프론티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론티누스는 로마 제국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1세기 후반에 활동했다. 그는 브리타니아 총독, 아시아 속주의 프로콘술, 로마의 수도교를 관리하는 쿠라토르 아콰룸을 역임했으며, 트라야누스 황제 시기에는 두 차례 집정관을 지냈다. 프론티누스는 로마의 수도교에 대한 연구를 담은 저서 《로마상수도론》을 저술하여 로마의 수도 시설에 대한 역사와 관리 방안을 기록했다. 또한 군사 전술에 관한 책인 《스트라게마타》를 저술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3년 사망 - 유조 (제남간왕)
유조는 후한 시대 제남간왕으로, 태자 시절 총애하던 기녀 관련 사건을 은폐하려 살인과 협박을 저지르는 등 횡포를 부려 황실 부패를 드러냈으며, 그의 뒤는 유향이 이었다. - 40년대 출생 - 디온 크리소스토모스
디온 크리소스토모스는 로마 제국 시대에 활동한 그리스 철학자이자 수사학자로, 다양한 주제의 연설문들을 남겼으며 황제의 추방과 복귀를 겪었고, 그의 저작은 후대 비잔티움 제국까지 영향을 미쳤다. - 40년대 출생 - 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루스티쿠스
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루스티쿠스는 1세기 후반 코르도바 출신의 로마 제국 관리로서, 비긴티비리, 군사 호민관, 가도 큐라토르, 군단 지휘관, 바이티카 총독, 카파도키아-갈라티아 총독 등 다양한 직책을 역임하며 활발한 공직 활동을 펼쳤고, 특히 브리타니아 주둔 군단을 베스파시아누스 편으로 결집시키고 카파도키아 총독 재임 중 기근 구제 활동을 펼쳤으며, 뭄미아 니그리나와 혼인했다.
| 프론티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 | 기원후 40년경 |
| 사망 | 기원후 103년 |
| 국적 | 로마 |
| 직업 | 공학자 저술가 군인 정치인 |
| 주요 작품 | 수도에 대하여 전략론 |
| 직위 | 로마 집정관 |
| 자녀 | 1명 이상 |
| 군사 경력 | |
| 복무 기간 | 서기 70년경 ~ 90년대 |
| 계급 | 프라이토르 |
| 참전 | 브리튼 |
| 소속 | 로마 군단 |
| 지휘한 부대 | 브리튼 총독 |
| 정치 경력 | |
| 집정관 | 기원후 97년 기원후 100년 |
| 로마 수도 관리관 | 기원후 95년 ~ 103년 |
| 저서 | |
| 저서 | 수도에 대하여 전략론 |
2. 가족 사항
칭호나 묘비가 발견되지 않아, 프론티누스의 부모나 아내의 이름은 알 수 없다. 다만, 몇 가지 사실을 통해 다음과 같은 추론이 가능하다.
- 그는 나르보넨시스 출신이며, 본래 기사 계급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11]
- 푸블리우스 칼비시우스 루소 율리우스 프론티누스의 이름 명칭으로 보아, 프론티누스는 이복 자매가 있었을 것이다.[12]
- 퀸투스 소시우스 세네키오의 아내이자 소시아 폴라의 어머니였던 딸이 최소 한 명 있었다.[13]
3. 생애
70년에 프론티누스는 라인란트 반란 진압에 참여하여 링고네스족 7만 명의 항복을 받아냈다.[14] 이후 보좌 집정관을 거쳐 브리타니아 총독으로 임명되어 웨일스 남부의 실루레스족을 복속시키고 브리간테스족에 대한 원정을 벌였다.[15] 77년에는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의 뒤를 이어 브리타니아 총독직을 수행했다.[15]
83년에는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게르만 원정에 동행했을 것으로 추측된다.[15] 86년에는 아시아 속주의 프로콘술(총독)을 역임했다.[15]
97년, 네르바 황제에 의해 로마의 수도교를 감독하는 최고위직인 '쿠라토르 아콰룸'에 임명되었다.[6] 이는 프론티누스의 능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다. 98년과 100년에는 트라야누스 황제와 함께 집정관을 역임하였는데,[6] 이는 프론티누스가 트라야누스에게도 큰 신임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프론티누스는 아우구르 사제단의 일원이기도 했다.[6] 103년 또는 104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6]
4. 로마의 수도교
프론티누스의 주요 저서는 2권으로 된 로마상수도론으로, 로마의 수도교에 대한 상세한 보고서이다. 이 책은 로마 상수도의 역사와 설명을 담고 있으며, 사용과 유지에 대한 법률도 포함한다. 프론티누스는 서기 1세기 당시 아쿠아 마르키아, 아쿠아 아피아, 아쿠아 알시에티나, 아쿠아 테풀라, 안니오 베투스, 안니오 노부스, 아쿠아 비르고, 아쿠아 클라우디아, 아쿠아 아우구스타 등 아홉 개의 로마 수도교에 대한 역사, 크기, 양수량을 기록했다. 또한 각 수도교가 강, 호수, 샘 등 수원에 따라 다른 수질을 가진다고 설명했다.[7]
4. 1. 수도교 현황
프론티누스는 2권으로 된 저서 '로마상수도론'에서 아쿠아 마르키아, 아쿠아 아피아, 아쿠아 알시에티나, 아쿠아 테풀라, 안니오 베투스, 안니오 노부스, 아쿠아 비르고, 아쿠아 클라우디아, 아쿠아 아우구스타 등 당시 로마에 물을 공급하던 아홉 개의 로마의 수도교에 대한 역사, 크기, 양수량을 상세히 기록했다.[7] 그는 각 수도교의 수원(강, 호수, 샘)에 따른 수질 차이를 설명하고, 용도에 따라 적합한 수질의 물을 공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물의 분배는 도시로 들어오는 물의 높이, 수질, 방류 속도에 따라 복잡하게 이루어졌다. 수질이 좋지 않은 물은 관개, 정원, 세척용으로, 최상의 물은 식수로, 중간 품질의 물은 목욕탕과 분수에 사용되었다. 프론티누스는 여러 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혼합하는 것에 반대하며, 각 시스템의 물을 분리하는 것을 우선 과제로 삼았다.
4. 2. 사기와 절도
프론티누스는 수도교 관리자로 임명된 후, 수도교 시스템의 지도를 만들어 유지 보수 전에 상태를 평가했다. 그는 많은 수도교가 방치되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였다. 특히 부도덕한 농부와 상인들이 물을 불법으로 빼돌리는 것에 대해 우려했다. 이들은 급수를 빼돌리기 위해 수도교의 물길에 파이프를 삽입했을 것이다.[17]따라서 그는 각 수로마다의 취수와 급수를 면밀하게 조사하였고, 그 차이점들을 알아보았다. 소유자의 이름을 담고 있는 납관 도장 역시도 물 절도를 막는 데 사용되었다.[17] 그는 이전 세기에 공개된 수도교 구조물과 유지를 언급한, 비트루비우스의 중대한 서적인 건축서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17]
4. 3. 배수 시스템
프론티누스는 물 분배가 도시로 들어오는 수도교의 높이, 수질, 배출량 등에 따라 복잡하게 이루어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질에 따라 용도를 구분하여, 최상의 물은 식수로, 중간 품질의 물은 욕장과 분수에 사용하는 등의 효율적인 물 분배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했다.[2] 그는 또한 여러 수원에서 나오는 물을 섞는 관행을 비판하고, 각 수도교에서 나오는 물을 분리하는 정책을 시행했다.[2]4. 4. 유지 보수
프론티누스는 시스템 누수, 특히 찾고 수리하기 어려운 지하 도관의 누수에 대해 매우 우려했는데, 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상수도 기술자들이 직면하는 문제이다. 지상 수로교는 석조 구조물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관리가 필요했는데, 특히 아치형 상부 구조로 운행되는 곳이 그러했다. 그는 나무의 뿌리가 구조물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나무를 멀리 떨어뜨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영 수로교를 규제하는 기존 법률과 해당 법령의 집행 필요성을 검토했다.[8]프론티누스가 가장 우려한 것은 배수 시스템의 누수였는데, 특히 지하 배관에서의 누수 지점 특정과 수리는 어려웠으며, 현대 기술로도 이 문제는 심각하다. 지상의 수로는 석조 구조를 좋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아치 위의 수로 점검이 중요하다. 프론티누스는 수로 근처에 나무가 자라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했다. 나무는 뿌리를 뻗어 구조물에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또한 수로의 상태 관리에 대한 현행법을 조사하고, 새로운 제정법 시행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5. 군사 전술
프론티누스는 군사학에 관한 논문을 썼으나 현재는 소실되었다. 그의 현존하는 저서 《스트라게마타》는 그리스와 로마 역사에서 군사 전술의 예시들을 모아놓은 책이다. 그는 도미티아누스 황제 시절 게르마니아에서 장군으로 복무했던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 책을 저술했지만,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와 리비우스 같은 다른 로마 작가들의 저술과 유사한 점이 많아 문헌 자료를 주로 참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책의 4번째 부분은 진위 여부가 의심받고 있다.[18]
5. 1. 군사 전술의 예시
히스파니아 시테리어에서 전투를 벌일 때, 루키우스 메텔루스는 강의 흐름을 돌려 더 높은 지대에서 낮은 지대에 위치한 적의 진영으로 향하게 했다.[8] 그러자 적들이 갑작스러운 홍수에 당황했을 때, 그는 이 목적을 위해 매복해 있던 병사들에게 그들을 살해하도록 했다.[8]6. 평가 및 영향
프론티누스는 군사, 행정, 저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그의 저서인 《로마 상수도론(De aquaeductu)》은 로마 시대의 행정과 기술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책은 로마의 물 공급 역사와 상세 정보를 담고 있으며, 수도교의 이용과 보존에 관련된 규칙도 포함하고 있다.[6] 아피아 수도교, 알시에티나 수도교, 테풀라 수도교, 새로운 아니오 수도교, 아쿠아 비르고, 클라우디아 수도교, 트라야나 수도교 등 모든 로마 수도교의 역사와 수로의 크기, 수량 등의 상세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각 수도교의 수질에 대한 설명도 덧붙였다.
프론티누스는 수도교 관리관으로 임명된 후, 수도교 지도를 만들어 보존 작업 전에 상태를 평가할 수 있도록 했다. 그는 많은 수도교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농부나 상인들이 불법적으로 수도관을 연결하여 물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우려했다. 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취수량과 공급량을 꼼꼼하게 조사하여 불일치를 찾아냈다.[4]
그는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의 업적을 계승하여 로마의 공공 시설 개선에 힘썼다. 아그리파는 기원전 34년에 아쿠아 마르키아 수도교의 개보수와 수도관 연장을 포함한 공공 수리 및 개선 캠페인을 조직한 인물이다. 프론티누스는 아그리파처럼 공공의 이익과 효율적인 행정을 중시하는 중도진보적 관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그의 저술에도 반영되어 있다. 그의 업적과 저술은 현대의 행정가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7. 소설에서의 등장
프론티누스는 마커스 디디우스 팔코 소설인 ''은색 돼지'', ''청동의 그림자'', ''분수 속의 세 손'', ''유피테르의 신화''에 가공의 인물로 등장한다.[1] 또한 더 센츄리온스 소설인 ''야만 공주''와 ''황제의 게임''에도 등장한다.[1] 린제이 데이비스의 《밀정 팔코》 시리즈와 아만다 코크렐이 데미언 헌터 명의로 쓴 ''The Centurions''라는 3부작 소설에도 등장한다.[2]
참조
[1]
논문
Stemmata quid faciunt? The descendants of Frontinus
https://www.jstor.or[...]
[2]
논문
P. Calvisius Ruso. One Person or Two?
https://www.jstor.or[...]
[3]
문서
Stemmata quid faciunt?
[4]
서적
The Fasti of Roman Britain
Clarendon Press, Oxford
[5]
서적
Fasti
[6]
서적
Fasti
[7]
문서
25:1
[8]
간행물
Paper by Rogier van der Wal (Amsterdam) to the 2010 Classical Association Conference, Cardiff
[9]
문서
no. L174, Stratagems. De aquaeductu
[10]
간행물
Paper by Rogier van der Wal (Amsterdam) to the 2010 Classical Association Conference, Cardiff
[11]
논문
Stemmata quid faciunt? The descendants of Frontinus
https://www.jstor.or[...]
[12]
논문
P. Calvisius Ruso. One Person or Two?
https://www.jstor.or[...]
[13]
문서
Stemmata quid faciunt?
[14]
서적
The Fasti of Roman Britain
Clarendon Press, Oxford
[15]
서적
Fasti
[16]
서적
Fasti
[17]
문서
25:1
[18]
간행물
Paper by Rogier van der Wal (Amsterdam) to the 2010 Classical Association Conference, Cardif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