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우치 사토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야우치 사토시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선수 시절에는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후루카와 전기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 1985-86년 일본 사커 리그와 1986년 JSL컵 우승을 이끌었다. 19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으로 일본 클럽 최초의 아시아 챔피언을 달성했고, 1984년 일본 국가대표팀에 데뷔하여 20경기에 출전했다. 은퇴 후에는 이가 FC 쿠노이치 감독을 맡아 1995년 리그 우승을 달성했으며,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 참가 감독 - 티나 토이네
티나 토이네는 독일의 전 여자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미드필더로 활동하며 그륀바이스 브라우바일러에서 선수 겸 감독을 역임했으며, 독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서 여러 차례 우승을 달성했다. -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 참가 감독 - 그렉 브라운
그렉 브라운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1991년 포항제철 아톰스에서 K리그 선수로 활동했으며, 선수 시절에는 호주 올해의 축구 선수로 선정되고 국가대표팀으로 활약했으며, 감독으로서 오스트레일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이끌었다. -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다카쿠라 아사코
다카쿠라 아사코는 일본 여자 축구 리그 MVP를 2회 수상한 뛰어난 선수이자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최초의 여성 감독으로서,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을 이끈 축구 지도자이다. -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이케다 후토시
이케다 후토시는 우라와 레즈에서 선수로 활동 후 지도자로 전향하여 일본 여자 U-20/U-17 대표팀 감독을 거쳐 2021년부터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고 있는 일본의 축구인이다.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허정무
허정무는 대한민국 축구 선수, 지도자, 행정가로 활동하며, 선수 시절에는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국가대표로 104경기 30골을 기록했으며, 지도자로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두 차례 역임하며 2010년 FIFA 월드컵 16강 진출을 이끌었다.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변병주
변병주는 대우 로얄즈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K리그 우승 등을 이끌고 국가대표 선수로 활약했으며, 지도자로서 대구 FC 감독을 역임했으나 금품 수수 혐의로 사임한 인물이다.
미야우치 사토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전체 이름 | 미야우치 사토시 |
출생일 | 1959년 11월 26일 |
출생지 | 도쿄도 |
신장 | 175cm |
포지션 | 미드필더 (은퇴)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데이쿄 고등학교 (1975-1977) |
프로 클럽 | 후루카와 전기 (1978-1988) |
클럽 출장 및 득점 | 114경기 (6골)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일본 (1984-1987) |
국가대표팀 출장 및 득점 | 20경기 (0골) |
지도자 경력 | |
감독 클럽 | 이가 FC 구노이치 미에 (1989-1997) |
감독 클럽 | 일본 여자 (1997-1999) |
감독 클럽 | 세이리츠 가쿠엔 고등학교 (2000-2020) |
2. 선수 시절
테이쿄 고등학교 시절, 미야우치 사토시는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제55회 전국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 3위(1976년), 제56회 전국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1977년)을 이끌었고, 두 대회 모두 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2] 1978년 후루카와 전기 공업 축구부(현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79년부터 주전으로 활약했으나, 훈련 중 오른쪽 무릎 반월판 부상을 당해 수술과 재활을 반복하며 선수 생활에 어려움을 겪었다.[2] 1983년, 두 번째 수술 후 수비형 미드필더로 전향하여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했다. 1985년 팀의 리그 우승과 아시아 클럽 선수권 1986 우승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축구 일본 대표로서는 1984년 9월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데뷔하여, 1986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서울 올림픽 예선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활약했다.
그러나 고질적인 무릎 부상으로 인해 1987-88 시즌을 마지막으로 28세의 젊은 나이에 은퇴해야 했다.[2]
2. 1. 클럽
1978년 후루카와 전기에 입단했다.[2] 초반에는 부상으로 인해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1982년, 클럽은 JSL컵에서 우승했다. 1983년부터 주전 선수로 활약하며, 1985-86년 일본 사커 리그와 1986년 JSL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85-86년과 1986-87년에는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었다. 아시아 무대에서는 1986년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했는데, 이는 일본 클럽 최초의 아시아 챔피언 등극이었다. 1988년에 은퇴했으며, 리그 통산 114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다.[2]클럽 성적 | 리그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일본 | 리그 | |||
1978 | 후루카와 전기 | JSL 디비전 1 | 1 | 0 |
1979 | 10 | 1 | ||
1980 | 3 | 1 | ||
1981 | 3 | 0 | ||
1982 | 4 | 1 | ||
1983 | 16 | 2 | ||
1984 | 18 | 1 | ||
1985/86 | 21 | 0 | ||
1986/87 | 18 | 0 | ||
1987/88 | 20 | 0 | ||
합계 | 114 | 6 |
2. 2. 국가대표팀
미야우치 사토시는 1979년 FIFA U-20 월드컵에 일본 U-20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으나,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다.[1] 1984년 9월 30일 대한민국과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1]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주전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최종 예선 진출에 기여했으나, 최종 예선에서 한국에 패하며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에도 출전했다.[1] A매치 통산 20경기에 출전했다.[1]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장 | 득점 |
1984 | 1 | 0 |
1985 | 8 | 0 |
1986 | 6 | 0 |
1987 | 5 | 0 |
합계 | 20 | 0 |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 팀 | 결과 | 감독 | 대회 |
---|---|---|---|---|---|---|---|
1. | 1984년 9월 30일 | 서울 | 대한민국 | ○2-1 | 모리 타카지 | 한일 정기전 | |
2. | 1985년 2월 23일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3-1 | 모리 타카지 | 월드컵 예선 | |
3. | 1985년 3월 21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0 | 모리 타카지 | 월드컵 예선 |
4. | 1985년 4월 30일 | 평양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0 | 모리 타카지 | 월드컵 예선 | |
5. | 1985년 6월 4일 | 아이치현 | 나고야시 미즈호 공원 육상 경기장 | 말레이시아 | ○3-0 | 모리 타카지 | 기린컵 |
6. | 1985년 8월 11일 | 아이치현 | 고베 종합 운동 공원 유니버 기념 경기장 | 홍콩 | ○3-0 | 모리 타카지 | 월드컵 예선 |
7. | 1985년 9월 22일 | 홍콩 | 홍콩 | ○2-1 | 모리 타카지 | 월드컵 예선 | |
8. | 1985년 10월 26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대한민국 | ●1-2 | 모리 타카지 | 월드컵 예선 |
9. | 1985년 11월 3일 | 서울 | 대한민국 | ●0-1 | 모리 타카지 | 월드컵 예선 | |
10. | 1986년 7월 25일 | 쿠알라룸푸르 | 시리아 | ○2-1 | 이시이 요시노부 | 메르데카 대회 | |
11. | 1986년 8월 1일 | 쿠알라룸푸르 | 말레이시아 | ●1-2(연장) | 이시이 요시노부 | 메르데카 대회 | |
12. | 1986년 9월 20일 | 대전 | 네팔 | ○5-0 | 이시이 요시노부 | 아시안 게임 | |
13. | 1986년 9월 22일 | 대전 | 이란 | ●0-2 | 이시이 요시노부 | 아시안 게임 | |
14. | 1986년 9월 24일 | 대전 | 쿠웨이트 | ●0-2 | 이시이 요시노부 | 아시안 게임 | |
15. | 1986년 9월 28일 | 대전 | 방글라데시 | ○4-0 | 이시이 요시노부 | 아시안 게임 | |
16. | 1987년 4월 8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인도네시아 | ○3-0 | 이시이 요시노부 | 올림픽 예선 |
17. | 1987년 4월 12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싱가포르 | ○1-0 | 이시이 요시노부 | 올림픽 예선 |
18. | 1987년 6월 14일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1-0 | 이시이 요시노부 | 올림픽 예선 | |
19. | 1987년 6월 26일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 | ○2-1 | 이시이 요시노부 | 올림픽 예선 | |
20. | 1987년 9월 18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네팔 | ○9-0 | 이시이 요시노부 | 올림픽 예선 |
1989년 은퇴 후, 일본 여자 축구 리그의 프리마 햄 FC 쿠노이치 감독으로 부임하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3] 부임 첫 해인 1989년 리그 6위를 기록했고, 이후 팀을 꾸준히 성장시켜 1995년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1994년 황후배, 1997년 L 리그 컵 우승 등 여러 차례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1988년 오쿠데라 야스히코가 주최한 축구 교실의 어시스턴트 코치로 활동했다.[3] 스카이 퍼펙트 TV!의 세리에 A, UEFA 챔피언스 리그 중계 등에서 축구 해설가로도 활동했다.[3] 2020년 AS 엘펜 사이타마의 대표 이사 회장으로 취임했다.[3]
3. 지도자 경력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겸임했다.[3] 1997년 AFC 여자 아시안컵 3위, 1998년 아시안 게임 동메달을 이끌었다. 그러나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 조별리그 탈락, 2000년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 실패의 책임을 지고 1999년 일본 여자 대표팀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세이리츠 학원 고등학교 축구부 총감독을 역임하며 전국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 진출을 이끌었다.
미야우치 사토시의 감독 경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연도 소속 클럽 리그전 컵 대회 순위 경기 승점 승리 무승부 패배 L리그컵 황후배 1989 JLSL 프리마 햄 6위 10 3 0 3 4 - 8강 1990 3위 15 15 5 5 5 - 4강 1991 3위 18 28 13 2 3 - 4강 1992 5위 18 22 9 4 5 - 4강 1993 6위 18 - 10 - 8 - 준우승 1994 L 3위 18 - 12 - 6 - 우승 1995 우승 18 - 18 - 0 - 4강 1996 준우승 18 - 16 - 2 준우승 4강 1997 3위 18 - 15 - 3 우승 준우승
4. 기타 경력
5. 수상 내역
5. 1. 선수
宮内 聡|미야우치 사토시일본어는 1978년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로 데뷔했다. 1988년 은퇴할 때까지 프로 통산 114경기 6골을 기록했으며, 후루카와 전기 소속으로 1985-86 일본 사커 리그 우승, JSL컵 2회 우승(1982, 1986) 및 1회 준우승, 1984년 일왕배 준우승, 1986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에 기여했다.[2] 1985-86 시즌과 1986-87 시즌에는 일본 사커 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기도 했다.
테이쿄 고등학교 시절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1976년 제55회 전국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 3위 및 우수 선수, 1977년 제56회 전국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및 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1979년 FIFA 월드 청소년 선수권 대회에 일본 청소년 대표로 발탁되었으나, 경기 출전 기회는 없었다.
소속팀 후루카와 전공에서는 1979년부터 주전으로 활약했지만, 훈련 중 오른쪽 무릎 반월판 부상을 당했다. 수술과 재활을 거쳤으나 후유증에 시달렸고, 이는 선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83년 두 번째 수술 후 수비형 미드필더로 전향하여 재능을 발휘, 1985년 팀의 리그 우승과 1986년 아시아 클럽 선수권 우승을 이끌었다.
1984년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일본 대표로 데뷔, 모리 타카지 감독 아래 대표팀 멤버로 자리 잡았다. 1986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니시무라 아키히로와 함께 중원을 담당하며 최종 예선 진출에 기여했고, 1986년 아시안 게임, 서울 올림픽 예선 등 국제 A매치 20경기에 출전했다.
잦은 부상으로 1987-88 시즌을 마지막으로 28세에 은퇴했다.
'''클럽 성적'''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
1978 | 후루카와 전기 | JSL 디비전 1 | 1 | 0 |
1979 | 10 | 1 | ||
1980 | 3 | 1 | ||
1981 | 3 | 0 | ||
1982 | 4 | 1 | ||
1983 | 16 | 2 | ||
1984 | 18 | 1 | ||
1985/86 | 21 | 0 | ||
1986/87 | 18 | 0 | ||
1987/88 | 20 | 0 | ||
합계 | 114 | 6 |
5. 2. 지도자
일본 여자 축구 리그의 이가 FC 쿠노이치 미에 감독으로 1995년 리그 우승, 1994년 여황배 우승을 이끌었다.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1997년 AFC 여자 아시안컵 3위, 1998년 아시안 게임 동메달을 이끌었으나,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 조별리그 탈락, 2000년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 실패의 책임을 지고 1999년 일본 여자 대표팀 감독직을 내려놓았다.[1]참조
[1]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2]
NFT player
[3]
간행물
株式会社エルフェンスポーツクラブ新役員就任と「ちふれAS エルフェン埼玉」 2020 シーズン 新体制について
https://www.as-elf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