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년 아시안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6년 아시안 게임은 1986년 9월 20일부터 10월 5일까지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된 종합 스포츠 대회이다. 1979년 유치가 확정되었으며, 북한의 유치 경쟁과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 등의 사건이 있었다. 서울을 비롯한 전국 주요 도시에서 분산 개최되었으며, 27개국이 참가하여 유도, 태권도, 여자 사이클, 여자 사격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총 메달 수에서 1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는 대한민국 스포츠 발전에 기여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의 발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86년 동계 아시안 게임
1986년 일본 삿포로에서 열린 제1회 동계 아시안 게임은 7개국이 참가하여 7개 종목, 총 35개의 경기에서 일본이 1위를 차지했으며, 남북한은 아이스하키 종목에서 40년 만에 남북 대결을 펼쳐 주목받았다. - 1986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86년 전국체육대회
1986년 전국체육대회는 1986년 10월 9일부터 10월 13일까지 서울특별시에서 5일간 개최되었으며, 육상, 수영, 축구, 야구 등 다양한 종목들이 정식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 1986년 9월 - 1986년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
1986년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는 1986년 9월 14일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청사에서 발생했으며, 팔레스타인 출신 아부 니달이 북한의 사주를 받아 저지른 테러로 밝혀졌다. - 1986년 9월 - 제43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1986년에 개최된 제43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는 알랭 로브그리에 심사위원장 아래 에릭 로메르 감독의 《녹색 광선》이 황금사자상을 수상했으며, 파올로와 비토리오 타비아니 형제가 이탈리아 영화계에 기여한 공로로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다. - 고양이과 마스코트 - 호돌이
호돌이는 김현이 디자인하여 한국 호랑이를 친근하게 형상화하고 서울 올림픽을 상징하는 상모와 'S'자를 표현한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의 공식 마스코트로서, 큰 인기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후 IOC에 권리가 귀속되었고 1986년 아시안 게임 마스코트이자 수호랑에게 영향을 주었다. - 고양이과 마스코트 - 수호랑과 반다비
수호랑과 반다비는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과 동계 패럴림픽의 공식 마스코트로서, 각각 흰 호랑이와 반달가슴곰을 모티프로 하여 올림픽과 패럴림픽 참가 선수와 관람객을 보호하고 평화와 화합의 정신을 상징한다.
1986년 아시안 게임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제10회 아시안 게임 |
로마자 표기 | X Asian Games |
다른 명칭 | 1986년 아시안 게임, 1986년 아시아 경기대회, 서울 1986 |
개최 도시 | 서울 |
참가 국가 | 27개국 |
참가 선수 | 4,839명 |
경기 종목 | 25개 종목, 296개 세부 종목 |
개막일 | 1986년 9월 20일 |
폐막일 | 1986년 10월 5일 |
개회 선언 | 전두환 대통령 |
폐회 선언 | 파하드 알파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회장 |
성화 점화 | 장재근, 박미선 |
주 경기장 | 올림픽 스타디움 |
이전 대회 | 1982 뉴델리 |
다음 대회 | 1990 베이징 |
이전 동계 대회 | 1986 삿포로 |
다음 동계 대회 | 1990 삿포로 |
웹사이트 | ocasia.org (보관됨) |
기타 정보 | |
관련 기사 | 서울 아시아 경기 大會(대회) 내일 開幕(개막) (동아일보, 1986년 9월 19일) |
2. 유치 과정
1977년 수출 1000억달러, 1인당 국민소득 1천 달러를 넘으면서 대한민국은 다시 한번 아시안 게임을 유치하자는 논의가 나왔고, 1979년에 공식적으로 유치에 도전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7] 2년 후 열리게 될 올림픽과 함께 아시안 게임을 연달아 개최하겠다는 발상은 당시나 지금이나 전무후무한 파격적인 방안이었는데, 당시 대한민국이 종합 국제 스포츠 대회를 개최한 경험이 없었기에 아시안 게임을 통해 개최 능력을 보여준 뒤 올림픽까지 성공적으로 개최한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은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 분산 개최되었다. 잠실 올림픽 주경기장을 비롯한 올림픽공원 내 경기장들이 신축 또는 개보수되어 사용되었으며, 기존 시설들도 활용되었다.[1]
그런데 유치 확정 발표를 미루던 1980년 10월 말, 북한의 평양가 개최 신청서를 접수하면서 남북한 아시안 게임 유치 대결이 펼쳐졌다.[8]
1981년 11월 26일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아시아 경기 연맹(AGF,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의 전신) 총회에서 대한민국 서울이 1986년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로 선정되었다. 서울과 함께 유치 경쟁에 나섰던 이라크 바그다드, 북한 평양이 유치 신청을 철회하면서 1986년 아시안 게임을 서울에서 개최하자는 안건이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9]
3. 경기장
대회에 사용된 경기장들은 다음과 같다.경기장 종목 잠실올림픽주경기장 개회식/폐회식, 육상, 축구 (결승전) 부산 구덕운동장 축구 부산 요트경기장 요트 대구 시민운동장 축구 대전 운동장 축구 동대문운동장 축구 동서울볼링센터 볼링 과천 승마장 승마 광주 무등경기장 축구 한양컨트리클럽 골프 한양대학교 체육관 배구 화랑양궁장 양궁 잠실실내체육관 농구 잠실실내수영장 다이빙, 수영, 수구 잠실학생체육관 복싱 미사리 조정경기장 조정, 카누 올림픽체조경기장 배드민턴, 체조 올림픽 펜싱 경기장 펜싱 상무 체육관 레슬링 올림픽테니스경기장 테니스 올림픽역도경기장 역도 88체육관 유도 성남 하키경기장 하키 올림픽벨로드롬 사이클 (트랙) 서울대학교 체육관 탁구 수원실내체육관 핸드볼 성균관대학교 수원캠퍼스 체육관 태권도 태릉국제종합사격장 사격 통일로 코스 사이클 (로드)
선수와 관계자들의 숙소로 사용된 아시아선수촌아파트는 1986년 6월에 준공되었으며,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하고 있다. 1,356세대의 18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88년 하계 올림픽 이후 민간에 분양되었다.
3. 1. 주요 경기장 목록
종목 | 경기장 | 세부 종목 | 비고 |
---|---|---|---|
골프 | 한양컨트리클럽 | ||
농구 | 잠실실내체육관 | ||
레슬링 | 성남 상무체육관 | 국군체육부대 내 (現 문경으로 이전) | |
배구 | 한양대학교 올림픽체육관 | ||
배드민턴 | 올림픽체조경기장 | KSPO DOME | |
복싱 | 잠실학생체육관 | ||
볼링 | 동서울볼링센터 | 철거 후 아파트로 재건축 | |
사격 | 태릉국제종합사격장 | ||
사이클 | 올림픽벨로드롬 | 트랙 | |
통일로 | 도로 | ||
수영 | 잠실실내수영장 | ||
승마 | 과천승마장 | 現 렛츠런파크 서울 | |
양궁 | 화랑양궁장 | 육군사관학교 내 | |
역도 | 올림픽역도경기장 | 우리금융아트홀 | |
요트 | 부산 수영만요트경기장 | ||
유도 | 88체육관 | KBS 아레나 | |
육상 | 잠실올림픽주경기장 | ||
조정 | 미사리 조정경기장 | ||
체조 | 올림픽체조경기장 | KSPO DOME | |
축구 | 잠실올림픽주경기장 | 결승전 | |
동대문운동장 | 철거 후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동대문역사문화공원으로 새단장 | ||
대전한밭종합운동장 | 철거 후 베이스볼 드림파크로 건립 | ||
광주무등경기장 | 철거 후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로 건립 | ||
대구시민운동장 | 철거 후 대구 FC 축구 전용 구장으로 건립 | ||
부산구덕운동장 | |||
카누 | 미사리 조정경기장 | ||
탁구 | 서울대학교 체육관 | ||
태권도 | 수원 성균관대학교 체육관 | ||
테니스 | 올림픽테니스경기장 | ||
펜싱 | 올림픽펜싱경기장 | SK올림픽핸드볼경기장 | |
하키 | 성남종합운동장 | ||
핸드볼 | 수원실내체육관 |
4. 참가국
총 27개국이 1986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였으며, 부탄, 요르단이 처음으로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였다.[10][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라오스, 몽골, 남예멘, 아프가니스탄, 시리아는 정치적인 이유로 불참하였다.[10][11] 버마는 재정 문제로, 브루나이는 국왕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의 서거로 불참하였다.[10][11]
개최국인 한국은 494명의 선수단을 파견하여 가장 많은 선수단을 구성하였다.[3]
IOC 코드 | 국가 | 선수 수 |
---|---|---|
KOR | 대한민국 | 494 |
JPN | 일본 | 440 |
CHN | 중화인민공화국 | 388 |
IND | 인도 | 300 |
INA | 인도네시아 | 205 |
THA | 태국 | 204 |
KUW | 쿠웨이트 | 191 |
HKG | 홍콩 | 184 |
MAL | 말레이시아 | 125 |
NEP | 네팔 | 105 |
PAK | 파키스탄 | 98 |
IRN | 이란 | 94 |
PHI | 필리핀 | 93 |
SAU | 사우디아라비아 | 73 |
BRN | 바레인 | 63 |
QAT | 카타르 | 62 |
OMA | 오만 | 54 |
IRQ | 이라크 | 52 |
BAN | 방글라데시 | 51 |
SIN | 싱가포르 | 33 |
JOR | 요르단 | 30 |
UAE | 아랍에미리트 | 30 |
SRI | 스리랑카 | 20 |
LIB | 레바논 | 10 |
YAR | 북예멘 | 10 |
BHU | 부탄 | 8 |
MDV | 몰디브 | 5 |
5. 경기 종목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는 25개 종목의 경기가 치러졌다. 세부 종목은 다음과 같다.
유도, 태권도, 여자 사이클, 여자 사격이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6. 대회 진행
1986년 아시안 게임은 1986년 9월 20일 개회식을 시작으로 10월 5일 폐회식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269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기가 치러졌다.[1] 이 대회에서는 유도, 태권도, 여자 사이클, 여자 사격이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