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일 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 킴은 고려인 출신으로, 러시아의 수력 기술자이자 건설 기술자이다. 러시아 극동에서 태어나 블라디보스토크와 레닌그라드에서 거주하며 극동 연방 대학교와 레닌그라드 폴리테크닉 대학교를 졸업했다. 1935년 반혁명 단체 조직 혐의로 체포되어 4년간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석방 후 영구 동토 기지 책임자 및 노릴스크 콤비나트 설계 사무소 책임자를 역임했다. 그는 말뚝 기초 이론 창작에 기여하여 1966년 레닌상을 수상했으며, 극지방 건설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미하일 킴은 1970년 크라스노야르스크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극동 연방 대학교 동문 - 일리야 벨랴코프
일리야 벨랴코프는 러시아 출신의 한국어 전공자로, 한국어능력시험 최고 점수를 받고 삼성에서 근무했으며, 방송 출연과 칼럼 기고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극동 연방 대학교 동문 - 알렉산드르 민
한인 강제 이주 후 붉은 군대에 징집되어 제2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코벨 전투에서 혁혁한 전공을 세웠으나 전사한 알렉산드르 민은 한인 최초로 소련 영웅 칭호를 추서받은 소련 군인이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출신 - 니콜라이 신
니콜라이 신은 고려인 강제 이주의 고통을 예술로 승화시킨 화가로, 1957년 모스크바 국제청년축제 대상 수상, 1982년 대작 《레퀴엠》 완성, 1997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여 등의 활동을 했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출신 - 알렉산드라 킴
알렉산드라 킴은 시베리아 출신의 고려인으로,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에서 활동하며 한인 사회당을 창당했고, 1918년 체포되어 처형되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2009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했다. - 한국계 소련인 - 남일
남일은 소련군 장교 출신으로, 북한으로 파견되어 조선인민군 창설에 기여하고 한국 전쟁 당시 참모총장, 외무상, 부총리 등을 역임한 북한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한국계 소련인 - 허가이
허가이는 소련파 북한 정치인으로, 해방 후 북한 정권 수립에 핵심 역할을 했으나 김일성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에는 암살 의혹이 있다.
미하일 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미하일 바실리예비치 킴 |
원어 이름 | Михаил Васильевич Ким |
로마자 표기 | Mikhail Vasilyevich Kim |
출생 및 사망 | |
출생일 | 1907년 8월 8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프리모르스키주 케드로바야파디 |
사망일 | 1970년 9월 4일 |
사망지 | 소련 러시아 SFSR 크라스노야르스크 |
국적 | |
국적 | 소련 |
학력 및 경력 | |
분야 | 수력 공학, 지구물리학 |
모교 | 극동 국립대학교 |
직업 | 공학자 |
수상 | |
수상 내역 | 레닌상 레닌 훈장 대조국전쟁 용맹노동포장 국민 경제 달성 박람회 포장 3회 |
2. 생애
미하일 킴은 고려인으로 러시아 극동에서 태어나 레닌그라드 폴리테크닉 대학교를 졸업한 기술자이다.[2][3] 그는 정치적인 이유로 체포되어 수감 생활을 겪었으나, 석방 후 노릴스크 지역의 건설 분야에서 활동하며 영구 동토층 지반 공학 발전에 기여했다.[3] 특히 말뚝 기초 이론 개발에 참여한 공로로 레닌상을 수상했으며, 시베리아 지역 건설 관련 회의 중 사망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김은 고려인 가족으로 러시아 극동 프리모르스키 지방 케드로바야 파드 마을에서 태어났다. 1923년부터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1927년부터는 레닌그라드에서 살았다.[2] 그는 극동 연방 대학교 노동자 학부(1927년)와 레닌그라드 폴리테크닉 대학교 (1932년)를 졸업했다.[3]2. 2. 체포와 투옥
김은 1935년 10월 5일에 체포되었다. 한국과 만주 등지의 반당 단체와 연계하여 반혁명 단체를 조직했다는 혐의를 받았다.[3] 이로 인해 4년의 징역형을 선고받고, 노릴스크에 위치한 노릴라그에서 수감 생활을 했다. 복역 중에는 수력 기술자이자 수석 감독으로 일했다.[3]2. 3. 석방 후 활동 및 업적
1939년 3월 1일에 석방된 후, 영구 동토 기지의 책임자가 되었고, 노릴스크 콤비나트 설계 사무소의 측량 부서 책임자를 맡았다.[3] 1966년 말뚝 기초 이론 창작에 참여한 공로로 레닌상을 수상했다.[3] 그는 환기되는 지하 공간이 있는 말뚝 위의 집이 적절히 운영될 경우 튼튼하게 유지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3]2. 4. 사망
그는 1970년 9월 4일, 시베리아와 극동 지역의 건설 문제에 관한 회의 중 크라스노야르스크에서 사망했다.[3]3. 업적 및 평가
김은 영구 동토 지역에서의 건설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1939년 강제 노동 수용소에서 석방된 후, 그는 영구 동토 기지의 책임자와 노릴스크 콤비나트 설계 사무소 측량 부서의 책임자를 맡으며 관련 연구와 기술 개발에 참여했다.[3]
특히 김은 영구 동토 위에 건물을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는 말뚝 기초 이론을 창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환기가 되는 지하 공간을 갖춘 말뚝 위에 지어진 집이 적절히 관리될 경우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라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였다.[3] 이러한 연구와 기술 개발은 노릴스크와 같은 극지방 도시 건설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기술적 토대가 되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66년에는 레닌상을 수상하였다.[3] 이는 그의 과학 기술 분야에서의 뛰어난 업적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참조
[1]
간행물
The Great Siberian Thaw
https://www.newyorke[...]
2022-01-07
[2]
웹사이트
Ким Михаил Васильевич (1907 - 1970) |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правка
http://memo.kraslib.[...]
2015-04-02
[3]
웹사이트
Ким Михаил Васильевич ::: Воспоминания о ГУЛАГе :: База данных :: Авторы и тексты
https://www.sakharov[...]
[4]
간행물
The Great Siberian Thaw
https://www.newyorke[...]
2022-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