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허일레스쿠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레스쿠 정리(Mihailescu's theorem)는 카탈랑 추측을 증명한 정리이다. 카탈랑 추측은 1844년 외젠 샤를 카탈랑이 제기한 것으로, xa - yb = 1 (x, a, y, b > 1)을 만족하는 자연수 해는 32 - 23 = 1뿐이라는 내용이다. 2002년 프레다 미하일레스쿠에 의해 증명되었으며, 원분체와 갈루아 가군 이론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이와 관련된 필라이 추측은 정수론의 미해결 문제로, 임의의 양의 정수 n에 대해, n을 두 완전 거듭제곱수의 차로 나타내는 방법이 유한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오판토스 방정식 - 펠 방정식
    펠 방정식은 제곱수가 아닌 양의 정수 n에 대해 x^2-ny^2=1 꼴로 표현되는 디오판토스 방정식이며, 이차 수체에서 노름이 1인 원소를 찾는 문제로 해석되고, 자명한 해 외에 항상 정수해를 가지며, 해는 연분수 전개를 통해 구할 수 있고, 무리 제곱근의 유리 근삿값과 관련되어 고대부터 연구되었다.
  • 디오판토스 방정식 - 베주 항등식
    베주 항등식은 주 아이디얼 정역에서 두 원소의 최대공약수를 그 두 원소의 정수 배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정리이며, 확장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통해 베주 계수를 구할 수 있고, 정수, 다항식 등 다양한 대수적 구조로 확장 가능하다.
  • 추측 - P-NP 문제
    P-NP 문제는 계산 복잡도 이론에서 P와 NP 복잡도 종류의 관계에 대한 미해결 문제로, 컴퓨터 과학과 수학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암호학, 최적화,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추측 -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은 타원 곡선의 유리점 구조와 L-함수 특성 간의 관계를 추측하는 미해결 문제로, 타원 곡선의 랭크가 L-함수의 s=1에서의 영점 차수와 같다고 주장하며, 클레이 수학 연구소의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이다.
  • 수론 정리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3 이상의 정수 n에 대해 xⁿ + yⁿ = zⁿ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리이며, 앤드루 와일스가 모듈러성 정리를 이용하여 1995년에 증명했다.
  • 수론 정리 - 라그랑주 네 제곱수 정리
    라그랑주 네 제곱수 정리는 모든 양의 정수를 네 개의 정수 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정리이다.
미허일레스쿠 정리
기본 정보
이름카탈란 추측
로마자 표기Katalan chucheok
분야수론
제안자외젠 샤를 카탈란
발표 년도1844년
증명 년도2002년
증명한 사람프레다 미허일레스쿠
내용
설명1보다 큰 자연수 x, y, a, b에 대해 을 만족하는 유일한 해는 , , , 이다.
일반화 및 관련 개념
일반화필츠 추측
관련 항목카탈란 소수, 알리콧 수열, 카탈란-딕슨 추측

2. 카탈랑 추측

1844년 외젠 샤를 카탈랑은 방정식 ''x''''a'' - ''y''''b'' = 1 (단, ''x'', ''a'', ''y'', ''b'' > 1)을 만족하는 자연수 해는 32 - 23 = 1뿐임을 제시하였다. 이는 '카탈랑 추측'으로 불리며 오랫동안 증명되지 않은 채 난제로 남아있었다.

2. 1. 카탈랑 추측의 증명

카탈랑 추측은 1844년 외젠 샤를 카탈랑이 제기한 후[3] 158년 만인 2002년 4월 프레다 미하일레스쿠에 의해 증명되었다.[5] 미하일레스쿠의 증명은 원분체와 갈루아 가군 이론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며[5], 유리 빌루가 부르바키 세미나에서 이 증명에 대한 해설을 제공했다.[5] 미하일레스쿠는 2005년에 간소화된 증명을 발표하기도 했다.[6]

이 문제의 역사는 1343년 게르소니데스가 (''x'', ''y'')가 (2, 3) 또는 (3, 2)인 경우를 증명한 것에서 시작된다.[3] 1850년 빅토르-아메데 레베스크는 ''b'' = 2인 경우를 다루었다.[3] 1976년 로버트 티데만은 초월수론에서 베이커의 방법을 적용하여 ''a'', ''b''에 대한 상한과 하한을 설정하고, ''x'', ''y'', ''a'', ''b''에 대한 유효한 상한을 제시했다.[4] 미셸 랑제뱅은 이 상한을 \exp \exp \exp \exp 730 \approx 10^{10^{10^{10^{317}}}}로 계산하여 유한한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카탈랑의 추측을 해결했다.[4]

3. 필라이 추측

'''필라이 추측'''은 1931년 인도 수학자 수바야 시바산카라나라야나 필라이가 제기한 정수론의 미해결 문제이다.[15] 필라이 추측은 임의의 양의 정수 ''n''에 대해, ''n''을 두 완전 거듭제곱수의 차로 나타내는 방법이 유한하다는 내용이다.[15] 더 나아가, 필라이는 방정식 Ax^n - By^m = C (''A'', ''B'', ''C''는 고정된 양의 정수, ''m'', ''n''은 2 이상의 정수)의 해 (''x'', ''y'', ''m'', ''n'')가 유한하다는 일반화된 추측을 제시했다.[15] (''m'', ''n'') ≠ (2, 2) 인 (''x'', ''y'', ''m'', ''n'')에 대해 유한 개의 해를 갖는다고 추측했다. 필라이는 고정된 ''A'', ''B'', ''x'', ''y''에 대해, 그리고 1보다 작은 임의의 λ에 대해, |Ax^n - By^m| \gg x^{\lambda n}은 ''m''과 ''n''에 대해 균일하게 성립함을 증명했다. 필라이는 1 미만의 λ에 대해 차 |Ax^n - By^m| \gg x^{\lambda n}는 ''m''과 ''n''에서 균일하게 된다는 것을 증명했다.[15]

일반적인 추측은 ABC 추측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17]

필라이 추측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차이가 ''n''인 완전 거듭제곱의 쌍이 유한 개만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 표는 ''n'' ≤ 64에 대해, 두 거듭제곱의 지수가 1보다 크고, 1018보다 작은 완전 거듭제곱에 대한 모든 해를 보여준다.

n
개수
kk + n
모두 완전 거듭제곱인 숫자 k
rowspan="33" style="padding:2px;background:white;border:none;"|n
개수
kk + n
모두 완전 거듭제곱인 숫자 k
11833216, 256
2125340없음
321, 1253531, 289, 1296
434, 32, 12136264, 1728
524, 2737327, 324, 14348907
60없음3811331
751, 9, 25, 121, 3276139425, 361, 961, 10609
831, 8, 973364049, 81, 216, 2704
9416, 27, 216, 640004138, 128, 400
1012187420없음
11416, 25, 3125, 3364431441
1224, 219744381, 100, 125
13336, 243, 49004544, 36, 484, 9216
140없음461243
1531, 49, 129502947681, 169, 196, 529, 1681, 250000
1639, 16, 1284841, 16, 121, 21904
1778, 32, 64, 512, 79507, 140608, 14338415290449332, 576, 274576
1839, 225, 343500없음
1958, 81, 125, 324, 50328435651249, 625
20216, 196521144
2124, 100532676, 24336
22227, 218754227, 289
2344, 9, 121, 20255539, 729, 175561
2451, 8, 25, 1000, 5429390803125648, 25, 169, 5776
252100, 14457364, 343, 784
2631, 42849, 6436343580없음
2739, 169, 216591841
2874, 8, 36, 100, 484, 50625, 1310446044, 196, 2515396, 2535525316
29119661264, 900
3016859620없음
3121, 2256341, 81, 961, 183250369
3244, 32, 49, 774464436, 64, 225, 512



각 ''n''에 대한 이러한 해의 개수는 에 나열되어 있다. 또한 가장 작은 해 (> 0)는 을 참조하라.

3. 1. 필라이 추측의 예시

개수kk + n
모두 완전 거듭제곱인 숫자 k1182125321, 125434, 32, 121524, 2760없음751, 9, 25, 121, 32761831, 8, 973369416, 27, 216, 64000101218711416, 25, 3125, 33641224, 219713336, 243, 4900140없음1531, 49, 12950291639, 16, 1281778, 32, 64, 512, 79507, 140608, 1433841529041839, 225, 3431958, 81, 125, 324, 50328435620216, 1962124, 10022227, 21872344, 9, 121, 20252451, 8, 25, 1000, 542939080312252100, 1442631, 42849, 64363432739, 169, 2162874, 8, 36, 100, 484, 50625, 13104429119630168593121, 2253244, 32, 49, 774433216, 256340없음3531, 289, 129636264, 172837327, 324, 14348907381133139425, 361, 961, 106094049, 81, 216, 27044138, 128, 400420없음43144144381, 100, 1254544, 36, 484, 921646124347681, 169, 196, 529, 1681, 2500004841, 16, 121, 2190449332, 576, 274576500없음51249, 625521144532676, 2433654227, 2895539, 729, 1755615648, 25, 169, 577657364, 343, 784580없음5918416044, 196, 2515396, 253552531661264, 900620없음6341, 81, 961, 18325036964436, 64, 225, 512



각 ''n''에 대한 해의 개수는 온라인 정수열 목록(OEIS)의 A076427 수열에, 가장 작은 해(> 0)는 A103953 수열에 나열되어 있다.

4. 대한민국에서의 의의

참조

[1] 간행물 Catalan's conjecture https://mathworld.wo[...] MathWorld
[2] 간행물
[3] 간행물 Sur l'impossibilité, en nombres entiers, de l'équation ''xm''=''y''2+1
[4] 서적 13 Lectures on Fermat's Last Theorem Springer-Verlag
[5] 간행물 Séminaire Bourbaki vol. 2003/04 Exposés 909-923
[6] 간행물
[7] 서적 Rational Number Theory in the 20th Century: From PNT to FLT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8] 서적 Diophantine approximations and Diophantine equations Springer-Verlag
[9] 문서 Mihăilescu(2004). これに先立ってBull. AMS誌の記事 Metsänkylä, Tauno (2003) でその概略が解説されている。
[10] 웹사이트 REFLECTION, BERNOULLI NUMBERS AND THE PROOF OF CATALAN'S CONJECTURE http://www.uni-math.[...]
[11] 간행물 Sur l'impossibilité, en nombres entiers, de l'équation ''xm''=''y''2+1
[12] 서적 13 Lectures on Fermat's Last Theorem Springer-Verlag
[13] 간행물 Séminaire Bourbaki vol. 2003/04 Exposés 909-923
[14] 간행물
[15] 서적 Rational Number Theory in the 20th Century: From PNT to FLT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16] 서적 Rational Number Theory in the 20th Century: From PNT to FLT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17] 서적 Diophantine approximations and Diophantine equations Springer-Verl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