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분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분체는 3 이상의 정수 n에 대해, n제곱근의 원소를 유리수체에 첨가하여 얻는 체의 확대 \mathbb Q(\zeta_n)을 의미한다. 원분체는 갈루아 확대이며, 갈루아 군은 정수 모듈로 n의 곱셈군과 동형이다. 원분체는 정다각형의 작도 가능성과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유체론, 상호 법칙 등 다양한 수학 분야와 관련이 깊다. 원분체의 유수는 디리클레 L-함수와 관련된 공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으며, 소인수 분해 정역이 되는 원분체는 특정 n 값에 대해서만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론 - 분해체
    분해체는 체 K 위의 다항식 p(X)가 일차 인자의 곱으로 완전 인수분해되고 그 근들에 의해 K 위에서 생성되는 체 확대 L을 의미하며, 동형을 제외하고 유일하고 갈루아 군과 관련이 있다.
  • 체론 - 체 (수학)
    체는 사칙연산이 자유롭고, 0이 아닌 모든 원소가 곱셈에 대한 역원을 갖는 가환환으로, 수학, 물리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본적인 역할을 하는 대수 구조이다.
  • 대수적 수론 - 아이디얼
    아이디얼은 유사환에서 환의 원소와의 곱셈에 대해 닫혀 있는 부분군으로, 왼쪽, 오른쪽, 양쪽 아이디얼로 나뉘며 가환환에서는 세 개념이 일치하고, 환 준동형사상의 핵으로 나타나 잉여환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아이디얼 수 개념에서 유래하여 추상대수학의 주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 대수적 수론 - 밀너 환
    밀너 환은 체 위의 가역원군으로 정의되는 등급환으로, 각 등급 성분인 밀너 K군은 대수적 K-이론, 고차 류체론, 갈루아 코호몰로지, 에탈 코호몰로지, 이차 형식 등 여러 수학 분야와 연결되는 심오한 추측들과 연관된다.
원분체
개요
정의유리수체의 원시 n번째 1의 근을 첨가하여 얻은 체.
기호
표기Q(ζn)
Q(exp(2πi / n))
성질
갈루아 군(Z/nZ)×
차수φ(n) 여기서 φ는 오일러 피 함수임.
관련 개념
관련 항목크로네커-베버 정리
페르마 소수

2. 정의

n\ge3이 3 이상의 정수이고, n\not\equiv 2\pmod 4일 때, ''n''차 '''원분체'''는 유리수체확대 \mathbb Q(\zeta_n)이며, \zeta_n^n=1을 만족시키는 원소 \zeta_n을 포함한다.

2. 1. 1의 거듭제곱근

n영어차 원분체는 1의 거듭제곱근 가운데 하나인 \zeta_n = e^{2\pi i/n} \in \mathbb{C}에 의하여 생성되는 체의 확대체 \mathbb{Q}(\zeta_n)이다. 여기서 \zeta_n은 원시 차 단위근이다.

2. 2. 원분 다항식

n영어번째 원분 다항식

:

\Phi_n(x) =

\prod_\stackrel{1\le k\le n}{\gcd(k,n)=1}\!\!\!

\left(x-e^{2\pi i k/n}\right)

=

\prod_\stackrel{1\le k\le n}{\gcd(k,n)=1}\!\!\!

(x-{\zeta_n}^k)



기약 다항식이므로, \mathbb{Q} 위에 있는 의 최소 다항식이다.

3. 성질

원분체 \mathbb Q(\zeta_n)/\mathbb Q갈루아 확대이며, 그 차수는 오일러 피 함수 \varphi(n)으로 주어진다.

:[\mathbb Q(\zeta_n):\mathbb Q]=\phi(n)

또한, 원분체는 유리수체아벨 확대이다. 크로네커-베버 정리에 따르면, 유리수체 \mathbb{Q}의 모든 유한 아벨 확대는 어떤 n에 대해 \mathbb{Q}(\zeta_n)에 포함된다. 이는 모든 원분체 \mathbb{Q}(\zeta_n)의 합집합이 \mathbb{Q}의 최대 아벨 확대 \mathbb{Q}^{ab}라는 것과 같다.

원분체 \textstyle \mathbb{Q}(\zeta_m)에 포함되는 대수적 정수의 집합은 \textstyle \mathbb{Z}[\zeta_m]이다.

3 이상의 정수 ''m''에 대해, 원분체 \textstyle \mathbb{Q}(\zeta_m)의 확대 차수는 \textstyle \varphi(m)이다. (\textstyle \varphi(n)오일러 피 함수)

임의의 원분체는 갈루아 확대이며, 갈루아 군아벨 군이다.

\mathbb{Q}(\zeta_m)\cap\mathbb{R} = \mathbb{Q}(\zeta_m + 1/\zeta_m)이다. 이 \textstyle \mathbb{Q}(\zeta_m + 1/\zeta_m)를 '''최대 실수 부분체''' 또는 '''실 원분체'''라고 한다.

디리클레 단위 정리에 의해 단위군은 랭크가 \varphi(n)/2 - 1인 유한 생성 아벨 군이다. 특히, \mathbb{Z}[\zeta_n]^\timesn \in \{1, 2, 3, 4, 6\}에 대해서만 유한군이다. \mathbb{Z}[\zeta_n]^\times꼬임 부분군\mathbb{Q}(\zeta_n)에 있는 단위근의 군이다. 원분 단위는 \mathbb{Z}[\zeta_n]^\times의 유한 지수 부분군을 형성한다.

원분체 \textstyle \mathbb{Q}(\zeta_m)의 유수(類數)를 h(m), 최대 실부분체 \textstyle \mathbb{Q}(\zeta_m+1/\zeta_m)의 유수를 h_2(m)이라고 하면,

h(m) = h_1(m)h_2(m) (h_1(m)은 유리 정수)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h_1(m)을 '''제1 인자''' 또는 '''상대 유수''', h_2(m)을 '''제2 인자''' 또는 '''실수 유수'''라고 한다.

제1 인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다.


  • 소수 ''p''에 대해, ''p''가 h(p)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필요충분 조건은, ''p''가 제1 인자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것이다. 즉, 제1 인자가 ''p''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p''는 정규 소수이다. 이 성질에 의해, 제1 인자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소수 ''p''에 대해, ''p''가 제1 인자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필요충분 조건은, p^2\textstyle \sum_{j=1}^{p-1}j^{2k}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정수 ''k'' \textstyle (1\leqq k\leqq (p-3)/2)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 h_1(p)가 홀수이면, h_2(p)는 홀수이다.


쿠머는 제1 인자의 증가도에 대해 \textstyle \lim_{p\to\infty}h_1(p)/\gamma(p) = 1이라고 예상했다. (단, \textstyle \gamma(p) = p^{(p+3)/4}/(2^{(p-3)/2}\pi^{(p-1)/2})). 이 예상의 성립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lim_{p\to\infty}\frac{\log(h_1(p)/\gamma(p))}{\log p} = 0는 알려져 있다.

제2 인자에 대해서는 제1 인자보다 다루기 어렵기 때문에 알려진 성질이 많지 않다. 다만, ''q''를 소수, n>1일 때, p = (2qm)^2+1이 소수이면, h_2(p)>2이다.

반디버(H. S. Vandiver)는 ''p''는 h_2(p)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지 않는다고 예상했다('''반디버 예상'''). 현재도 이 예상이 맞는지 불분명하다.

3. 1. 갈루아 군

원분체 \mathbb Q(\zeta_n)/\mathbb Q갈루아 군은 정수 모듈로 n의 곱셈군과 자연스럽게 동형이다. 즉,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Gal}(\mathbb Q(\zeta_n)/\mathbb Q)\cong(\mathbb Z/(n))^\times

이 동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k]\colon\sum_{i=0}^{\phi(n)-1}a_i\zeta_n^i\mapsto\sum_{i=0}^{\phi(n)-1}a_i\zeta_n^{ki}

이는 가역 잉여류 모듈로 n으로 구성되며, 1 \le a \le n이고 \gcd(a,n) = 1인 잉여류 a \mod n이다. 이 동형 사상은 각 \sigma \in \operatorname{Gal}(\mathbf{Q}(\zeta_n)/\mathbf{Q})a \mod n으로 보내는데, 여기서 a\sigma(\zeta_n) = \zeta_n^a정수이다.

만약 qn을 나누지 않는 소수이면, 프로베니우스 원소 \operatorname{Frob}_q \in \operatorname{Gal}(\mathbf{Q}(\zeta_n)/\mathbf{Q})(\mathbf{Z}/n\mathbf{Z})^\times에서 q의 잉여류에 해당한다.

3 이상의 정수 m에 대해, m = p_1^{e_1}\cdots p_r^{e_r} (p_1,\ldots,\ p_r는 서로 다른 소수, e_1,\ldots,e_r\geqq 1)로 소인수 분해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operatorname{Gal}(\mathbb{Q}(\zeta_m)/\mathbb{Q})\cong (\mathbb{Z}/m\mathbb{Z})^{\times}\cong (\mathbb{Z}/p_1^{e_1}\mathbb{Z})^{\times}\times\cdots\times (\mathbb{Z}/p_r^{e_r}\mathbb{Z})^{\times}

3. 2. 정수환

원분체의 정수환은 '''Z''''''ζ'''''이다. 즉, 원분체의 정수환은 1의 원시 n제곱근에 의해 생성되는 정수 계수 다항식들의 집합이다.

3. 3. 분기화

\mathbb Q(\zeta_n)/\mathbb Q에서 분기하는 소수n의 소인수들이다.

만약 n=\prod_pp^{n_p}라면 n_p>0일 때, \mathbb Z소 아이디얼 (p)\mathcal O_{\mathbb Q(\zeta_n)}에서 \phi(p^{n_p})제곱 아이디얼로 분해된다. 즉, 다음을 만족하는 서로 다른 소 아이디얼\mathfrak P_1,\dots,\mathfrak P_s\subset\mathcal O_{\mathbb Q(\zeta_n)}이 존재한다.

:(p)=(\mathfrak P_1\cdots\mathfrak P_s)^{\phi(p^{n_p})}

  • 특히, \mathbb{Q}(\zeta_n)/\mathbb{Q}n을 나누지 않는 모든 소수 위에서 비분기이다.
  • 만약 n이 소수 p의 거듭제곱이면, \mathbb{Q}(\zeta_n)/\mathbb{Q}p 위에서 완전히 분기된다.
  • 3 이상의 정수 m에 대해, m = p_1^{e_1}\cdots p_r^{e_r} (p_1,\ldots,\ p_r는 서로 다른 소수, e_1,\ldots,e_r\geqq 1)로 소인수 분해하면, 원분체 \mathbb{Q}(\zeta_m)에서 분기하는 유리 소수는 p_1,\ldots,\ p_r에 한정된다.

3. 4. 유수

원분체 \mathbb{Q}(\zeta_n)의 대수적 정수환이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인 경우(즉, 유수가 1인 경우)는 총 30개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

:n\in\{1,\dots,21, 24, 25, 27, 28, 32, 33, 35, 36, 40, 44, 45, 48, 60, 84\}

유수가 1이 아닌 원분체의 유수들은 (n\le99, n\not\equiv2\pmod4) 다음과 같다.

n유수n유수n유수n유수
2332983193737
392411214321147695
4943515523534889
55105625795941241
617630163764176564
678535136886969713882809
723731195741775117619
77128079100146415805812593
838382169598562058715368855
8913379363737915387292201936795
9510769296997411322842001992883


3. 5. 판별식

n영어번째 원분 다항식판별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1)^{\varphi(n)/2}\frac{n^{\varphi(n)}}{\prod_{p|n} p^{\varphi(n)/(p-1)}}.

여기서 \varphi오일러 피 함수이다.

4. 원분체와 정다각형

가우스는 자와 컴퍼스로 작도하는 정다각형인 정 ''n''-각형의 문제와 관련하여, 사이클로토믹 체 이론에 대한 초기 진전을 이루었다. 그의 선배들이 놓쳤던 놀라운 결과는 정십칠각형을 그렇게 작도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더 일반적으로, 임의의 정수 ''n'' ≥ 3에 대해 다음은 동치이다.


  • 정 ''n''-각형은 작도가능하다.
  • 로 시작하여 로 끝나는 일련의 체가 존재하며, 각 체는 이전 체의 2차 확장이다.
  • 2의 거듭제곱이다.
  • n=2^a p_1 \cdots p_r (여기서 ''a'', ''r'' ≥ 0 인 정수, p_1,\ldots,p_r는 페르마 소수)이다. 페르마 소수는 이 2의 거듭제곱인 홀수 소수 ''p''이다. 알려진 페르마 소수는 3, 5, 17, 257, 65537이며, 더 이상 없을 가능성이 높다.
  • 와 : 방정식 \zeta_3 = \tfrac{-1+\sqrt{-3}}{2}\zeta_6 = \tfrac{1+\sqrt{-3}}{2} 는 이며, 이는 의 이차 확장임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정삼각형과 정육각형은 작도가 가능하다.
  • : 마찬가지로 이므로 이며, 정사각형은 작도가 가능하다.
  • : 는 의 이차 확장이 아니지만, 이차 확장인 의 이차 확장이라 정오각형은 작도가 가능하다.

5. 원분체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방법 중 하나는 페르마 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는 것이다.

:x^n + y^n = (x + y)(x + \zeta y)\cdots (x + \zeta^{n-1} y)

여기서 xy는 일반적인 정수이고, 인수는 원분체 \mathbb{Q}(\zeta_n)의 대수적 정수이다. 만약 원분 정수 \mathbb{Z}[\zeta_n]에서 유일 인수 분해가 성립한다면, 이를 통해 페르마 방정식의 해가 없음을 보일 수 있다.

쿠머는 유일 인수 분해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았다. 그는 원분 정수에서 소수의 대체물을 도입하고, 류수 h_n를 통해 유일 인수 분해의 실패를 측정하였다. 만약 h_p가 소수 p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면 (이러한 p를 ''정칙 소수''라고 한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지수 n=p에 대해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소수 p에 대하여,

:x^p + y^p = z^p

의 좌변을 \mathbb{Q}(\zeta_p) 위에서 분해하면,

:(x + y)(x + \zeta_p y)\cdots (x + \zeta_p^{p-1} y) = z^p

가 된다. 코시 등은 위 좌변을 분석하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성립함을 증명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쿠머는 그들의 증명이 좌변의 분해가 유일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며, p=23일 때 성립하지 않음을 보였다.

쿠머는 소수의 분해가 유일하지 않더라도, 정칙 소수인 경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성립함을 증명했다. 정칙 소수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 소수 p는 원분체 \mathbb{Q}(\zeta_p)의 류수를 나누지 않는다.


정칙 소수에 대해서는 다음 보조 정리가 성립하며, 쿠머는 이 보조 정리를 사용하여 정칙 소수인 경우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했다.

'''쿠머의 보조 정리'''

소수 p가 정칙 소수이면, 원분체 \mathbb{Q}(\zeta_p)의 단수 \varepsilon\varepsilon\equiv a\ (\operatorname{mod}\ (1-\zeta_p)^p)가 되는 유리 정수 a가 존재하도록 취하면, \mathbb{Q}(\zeta_p)의 단수 \varepsilon_0가 존재하여, \varepsilon = \varepsilon_0^p로 나타낸다.

6. 원분체와 유체론

크로네커-베버 정리유리수체아벨 확대가 항상 어떤 원분체의 부분체임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이차체는 아벨 확대체이므로, 크로네커-베버 정리에 의해 어떤 원분체의 부분체가 된다.

크로네커의 청춘의 꿈은 크로네커-베버 정리가 기초체가 유리수체일 때를 다루는 것을 넘어, 허 이차체로 확장했을 때도 성립하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7. 원분체와 상호 법칙

가우스는 오늘날 가우스 합으로 불리는 1의 거듭제곱근의 지수 합을 고찰하여 제곱 잉여의 상호 법칙 및 제1, 2 보충 법칙을 제시했다. 가우스는 \textstyle \mathbb{Q}(\zeta_3),\ \textstyle \mathbb{Q}(\zeta_4) 상의 가우스 합을 고찰하여 3차, 4차 잉여의 상호 법칙을 얻을 수 있었다. 쿠머는 원분체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통해 고차 거듭제곱의 잉여에 관한 상호 법칙을 제시했다.

이후 고차 거듭제곱의 잉여의 상호 법칙은 푸르트벵글러에 의해 모든 소수에 대해 제시되었으며, 류체론의 결과를 이용하여 다카기, 아르틴(E. Artin), 하세(H. Hasse) 등에 의해 보다 일반적인 형태의 상호 법칙이 얻어졌다.

8. 원분체의 유수

원분체의 유수는 제1인자와 제2인자의 곱으로 분해된다. 제1인자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크기에 대한 추측이 제시되어 있다. 제2인자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덜 이루어졌으며, 반디버 예상과 같은 미해결 문제가 남아있다.

다음은 유수가 1이 아닌 원분체의 유수들을 나타낸 표이다 (n\le99, n\not\equiv2\pmod4).

n유수n유수n유수n유수
2332983193737
392411214321147695
4943515523534889
55105625795941241
617630163764176564
678535136886969713882809
723731195741775117619
77128079100146415805812593
838382169598562058715368855
8913379363737915387292201936795
9510769296997411322824001992883


8. 1. 유수 공식

원분체의 유수는 디리클레 L-함수와 관련된 명시적인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공식은 제1인자와 제2인자로 나뉘며, 특히 m이 소수 p일 때 더 간략한 형태로 표현된다.

  • 제1인자
  • 일반적인 경우:

:h_1(m) = \frac{\delta}{(2m)^{\frac{1}{2}\varphi(m)-1}}\prod_{\chi\in S}\sum_{n=1}^{m-1}\chi(n)n

  • \delta = \begin{cases} 1 & (m\not\equiv 0 \pmod 4), \\ \frac{1}{2} & (m\equiv 0 \pmod 4), \end{cases}
  • ''S''는 \chi(-1) = -1을 만족하는 법 ''m''에 관한 지표의 집합이다.
  • ''m''이 소수 ''p''인 경우:

:h_1(p) = \frac{1}{(2p)^{(p-3)/2}}\left|\prod_{\chi\in S}\sum_{k=1}^{p-1}\chi(k)k\right|

  • ''m''이 소수일 때, 또 다른 표현:

:h_1(p) = \frac{1}{(2p)^{(p-3)/2}}|G(\eta)G(\eta^2)\cdots G(\eta^{p-2})|

  • η는 1의 원시 p-1승근, \textstyle G(X) = \sum_{j=0}^{p-2}g_jX^j.
  • ''g''는 법 ''p''에 대한 원시근, \textstyle g^j\equiv g_j\ (\operatorname{mod}\ p)를 만족하는 정수 \textstyle 1\leqq g_j\leqq p-1 (\textstyle j=0,1,\ldots,p-2).
  • 마이레(Maillet) 행렬을 이용한 표현 (''m''이 소수일 때):
  • M_p = (R(rs'))_{r,s=1,2,\ldots,(p-1)/2} (''R(r)''은 \textstyle r\equiv R(r)\ (\operatorname{mod}\ p)를 만족하는 \textstyle 1\leqq R(r)\leqq p-1, ''r''은 \textstyle rr'\equiv 1\ (\operatorname{mod}\ p)를 만족하는 \textstyle 1\leqq r'\leqq p-1)
  • h_1(p) = \frac{1}{p^{(p-3)/2}}|\det M_p|

  • 제2인자
  • 일반적인 경우:

:h_2(m) = \frac{2^{\frac{1}{2}\varphi(m)-1}}{R}\prod_{\chi\in T}\sum_{n=1}^{[\frac{m-1}{2}]}\chi(n)\log|1-\zeta_m^n|

  • ''R''은 \textstyle \mathbb{Q}(\zeta_m)의 단위 기준, ''T''는 \chi(-1) = 1을 만족하는 법 ''m''에 관한 지표 중 단위 지표가 아닌 지표의 집합.
  • ''m''이 소수 ''p''인 경우:

:h_2(p) = \frac{2^{(p-3)/2}}{R}\prod_{k=1}^{(p-3)/2}\left|\sum_{j=0}^{(p-3)/2}\eta^{2k^j}\log|1-\zeta_p^{g^j}|\right|

  • η는 1의 원시 p-1승근, ''g''는 법 ''p''에 대한 원시근.
  • ''m''이 소수일 때, 쿠머 단수(원 단수)를 이용한 표현:
  • \textstyle k=2,3,\ldots,(p-1)/2에 대해, \delta_k = \sqrt{\textstyle \frac{(1-\zeta_p^k)(1-\zeta_p^{-k})}{(1-\zeta)(1-\zeta^{-1})}} ('''쿠머 단수''' 또는 '''원 단수''')
  • ''g''를 법 ''p''에 관한 원시근, \delta=\delta_g.
  • σ를 \textstyle \sigma(\zeta_p) = \zeta_p^g을 만족하는 \textstyle \operatorname{Gal}(\mathbb{Q}(\zeta_p)/\mathbb{Q})의 생성자.
  • M = (\log\sigma^{i+j}(\delta))_{i,j=0,1,\ldots,(p-5)/2}
  • h_2(p) = \frac{2^{(p-3)/2}}{R}|\det M|. (''R''은 \textstyle \mathbb{Q}(\zeta_p)의 단위 기준)


쿠머 단수는 유수 공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