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동석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으로, 해남 출신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학과를 졸업하고 1979년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무사무관으로 시작하여, 제네바 및 주미 대표부 근무, 외무부 통상국 과장 등을 역임했다. 2004년 주휴스턴 총영사,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농림수산부 차관보를 지냈다. 2008년 미국과의 쇠고기 협상 수석대표를 맡았으며, 촛불 시위의 여파로 사퇴했다. 이후 외교통상부 외교역량 평가단 단장, 외교부 제2차관을 거쳐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대한민국에서 공직자로 산다는 것-협상대표는 동네북인가?》 등이 있으며, 홍조근정훈장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외교통상부 차관 - 천영우
천영우는 외무고시를 통해 외교관으로 시작하여 외교통상부, 주유엔대표부, 주영국 대사 등을 역임하고,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 한반도평화교섭본부 본부장, 제2차관, 대통령실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을 거쳐 현재 한반도미래포럼 이사장 등으로 활동한다. - 대한민국의 외교통상부 차관 - 김성환 (1953년)
김성환(1953년)은 외무고시 합격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여러 국가의 대사를 역임하고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냈으며, 현재는 대학교수, 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 해남군 출신 - 임영득
임영득은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고등고시 합격 후 해군 법무관으로 관료 생활을 시작, 무소속 및 민주정의당 국회의원과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변호사, 세무사로서 한국세무사회 회장과 대한양돈협회 회장을 지냈다. - 해남군 출신 - 박경두
박경두는 에페를 주 종목으로 하는 대한민국 펜싱 선수로, 아시아 선수권에서 개인전 1회 및 단체전 4회 우승, 세계 선수권 단체전에서 은메달 4개를 획득했으며, 도하 그랑프리 개인전과 헤이덴하임 월드컵 개인전에서 우승했다. - 바른정당 당원 - 김효재
김효재는 조선일보 기자 출신으로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이명박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을 역임했으나 디도스 사건으로 기소되었으며, 이후 사면 복권되어 국방대학교 초빙교수,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등을 거쳐 현재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다. - 바른정당 당원 - 김무성
김무성은 한양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상도동계 핵심 인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차례 국회의원을 역임, 한나라당(새누리당, 자유한국당)에서 주요 당직을 수행하며 다양한 정치적 활동을 펼친 정치인이다.
민동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민동석 |
원어명 | 閔東石 |
직책 | 대한민국 제14대 외교통상부 제2차관 |
임기 | 2010년 10월 27일 ~ 2012년 3월 2일 |
출생일 | 1952년 1월 11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북평리 |
정당 | 무소속 |
학력 |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학과 학사 |
경력 | 정치인, 기업인 |
종교 | 개신교 |
배우자 | 안경옥 |
2. 생애 및 경력
해남군 해남읍 복평리 출신이다. 마산서초등학교와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학과를 졸업했다. 1979년 4월 제13회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무사무관이 되었다.[1][2] 1985년 우루과이 라운드 서비스협상 대한민국측 대표단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 1989년에 주 제네바 대표부 1등 서기관으로 임명받았으며, 1993년에는 주미대사관 1등 서기관으로 발령받았다. 1996년 2월 1일 외무부 통상국 통상기구과장이 되었다.[1][2] 1998년 3월 1일 부이사관 외교통상부 기획관리실 기획예산담당관[3], 2004년 주휴스턴 총영사관 총영사로 부임했다. 같은 해 2004년 텍사스주 명예국무장관으로 위촉 받기도 했으며 2005년 3월 미국 텍사스주 정부로부터 명예시민증을 받았다. 2006년 5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농림수산부 차관보 겸 농업통상 정책관으로 일을 하였다.
2008년 미국과 한미 쇠고기 협상 수석대표를 맡아 정운천 장관과 함께 소고기 시장을 전면 개방한 총책임자로, 이는 국민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같은 해 촛불시위 등의 여파로 사퇴하였다. 그는 직원들에게 보낸 퇴임사 메일에서 "피말리는 협상을 마친 뒤 갑자기 닥쳐온 정치적 광란의 파도에 휩쓸리게 됐다. 근거없는 괴담과 선전선동의 거대한 물결을 온몸으로 거슬러 나갔으나 귀를 막은 사람들에게는 소용이 없었다”라는 말을 남겼다.[4]
2008년 1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외교통상부 외교역량 평가단 단장으로 근무하였다.
2009년 3월 3일 정운천 당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과 정식으로 MBC PD수첩 제작진을 명예훼손으로 고소했으며, 이에 검찰은 명예훼손에 업무방해 혐의를 추가해 조능희 전 PD수첩 CP를 비롯한 제작진 6명에게 검찰에 나오라고 소환장을 발부한 바 있다. 1심 재판부는 전원무죄판결을 내렸고, 민동석은 자신의 저서에서 촛불집회를 비판하고 재판에 대해서 불만을 강하게 표현하였다.[5]
2010년 외교부 제2차관을 거쳐 2012년 10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으로 재임하였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민동석은 해남군 해남읍 복평리 출신이다. 마산서초등학교와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학과를 졸업했다. 1979년 4월 제13회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무사무관이 되었다. 1985년 우루과이 라운드 서비스협상 대한민국측 대표단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 1989년에 주 제네바 대표부 1등 서기관으로 임명받았으며, 1993년에는 주미대사관 1등 서기관으로 발령받았다. 1996년 2월 1일 외무부 통상국 통상기구과장이 되었다. 1998년 3월 1일 부이사관 외교통상부 기획관리실 기획예산담당관, 2004년 주휴스턴 총영사관 총영사로 부임했다. 같은 해 2004년 텍사스주 명예국무장관으로 위촉 받기도 했으며 2005년 3월 미국 텍사스주 정부로부터 명예시민증을 받았다. 2006년 5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농림수산부 차관보 겸 농업통상 정책관으로 일을 하였다.2. 2. 외교관 경력
해남군 해남읍 복평리 출신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학과를 졸업하고 1979년 4월 제13회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무사무관이 되었다.[1][2] 1985년 우루과이 라운드 서비스협상 대한민국측 대표단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으며, 1989년에 주 제네바 대표부 1등 서기관, 1993년에는 주미대사관 1등 서기관으로 발령받았다. 1996년 2월 1일 외무부 통상국 통상기구과장이 되었다. 1998년 3월 1일 부이사관 외교통상부 기획관리실 기획예산담당관[3], 2004년 주휴스턴 총영사관 총영사로 부임했다. 같은 해 2004년 텍사스주 명예국무장관으로 위촉 받았으며 2005년 3월 미국 텍사스주 정부로부터 명예시민증을 받았다. 2006년 5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농림수산부 차관보 겸 농업통상 정책관으로 일을 하였다.2008년 미국과 한미 쇠고기 협상 수석대표를 맡아 정운천 장관과 함께 소고기 시장을 전면 개방하였으나, 같은 해 촛불시위 등의 여파로 사퇴하였다. 그는 직원들에게 보낸 퇴임사 메일에서 "피말리는 협상을 마친 뒤 갑자기 닥쳐온 정치적 광란의 파도에 휩쓸리게 됐다. 근거없는 괴담과 선전선동의 거대한 물결을 온몸으로 거슬러 나갔으나 귀를 막은 사람들에게는 소용이 없었다”라는 말을 남겼다.[4]
2008년 1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외교통상부 외교역량 평가단 단장으로 근무하였다.
2009년 3월 3일 정운천 당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과 정식으로 MBC PD수첩 제작진을 명예훼손으로 고소했으며, 이에 검찰은 명예훼손에 업무방해 혐의를 추가해 조능희 전 PD수첩 CP를 비롯한 제작진 6명에게 검찰에 나오라고 소환장을 발부한 바 있다. 1심 재판부는 전원무죄판결을 내렸고, 민동석은 자신의 저서에서 촛불집회를 비판하고 재판에 대해서 불만을 강하게 표현하였다.[5]
2010년 외교부 제2차관을 거쳐 2012년 10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으로 재임하였다.
2. 3. 한미 쇠고기 협상과 논란
2. 4. MBC PD수첩 고소
2. 5. 이후 경력
해남군 해남읍 복평리 출신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학과를 졸업하고 1979년 4월 제13회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무사무관이 되었다. 1985년 우루과이 라운드 서비스협상 대한민국측 대표단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 1989년에 주 제네바 대표부 1등 서기관으로 임명받았으며, 1993년에는 주미대사관 1등 서기관으로 발령받았다. 1996년 2월 1일 외무부 통상국 통상기구과장이 되었다. 1998년 3월 1일 부이사관 외교통상부 기획관리실 기획예산담당관, 2004년 주휴스턴 총영사관 총영사로 부임했다. 같은 해 2004년 텍사스주 명예국무장관으로 위촉 받기도 했으며 2005년 3월 미국 텍사스주 정부로부터 명예시민증을 받았다. 2006년 5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농림수산부 차관보 겸 농업통상 정책관으로 일을 하였다.2008년 미국과 한미 쇠고기 협상 수석대표를 맡아 정운천 장관과 함께 소고기 시장을 전면 개방한 총책임자로 같은 해 촛불시위 등의 여파로 사퇴하였다. 그는 직원들에게 보낸 퇴임사 메일에서 "피말리는 협상을 마친 뒤 갑자기 닥쳐온 정치적 광란의 파도에 휩쓸리게 됐다. 근거없는 괴담과 선전선동의 거대한 물결을 온몸으로 거슬러 나갔으나 귀를 막은 사람들에게는 소용이 없었다”라는 말을 남겼다.
2008년 1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외교통상부 외교역량 평가단 단장으로 근무하였다.
2009년 3월 3일 정운천 당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과 정식으로 MBC PD수첩 제작진을 명예훼손으로 고소했으며, 이에 검찰은 명예훼손에 업무방해 혐의를 추가해 조능희 전 PD수첩 CP를 비롯한 제작진 6명에게 검찰에 나오라고 소환장을 발부한 바 있다. 1심 재판부는 전원무죄판결, 자신의 저서에서 촛불집회를 비판하고 재판에 대해서 불만을 강하게 표현하였다.
2010년 외교부 제2차관을 거쳐 2012년 10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으로 재임하였다.
3. 저서
4. 상훈
참조
[1]
뉴스
인사
매일경제
1996-02-01
[2]
뉴스
인사
동아일보
1996-02-01
[3]
뉴스
인사
동아일보
1998-03-06
[4]
뉴스
민동석 정책관, 사임의 변 파문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9-04-15
[5]
뉴스
김보슬 PD 석방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09-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