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무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무성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1951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한양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여 정계에 입문, 국회의원 6선을 지냈다. 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을 거쳐 바른정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에서 활동했으며, 현재 국민의힘 상임고문으로 있다. 주요 경력으로는 한나라당 원내대표,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 등을 역임했다. 2016년 총선 패배에 책임을 지고 대표직에서 사퇴했으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박근혜 탄핵을 시사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용주 가 - 고윤
    고윤은 리하이 대학교에서 회계학을 전공하고 2013년 드라마 《아이리스 2》로 데뷔하여 다수의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주요 작품으로 《호텔킹》, 《미스터 백》, 영화 《국제시장》 등이 있다.
  • 김용주 가 - 김용주 (1905년)
    김용주는 1905년에 태어나 1985년에 사망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친일 행위를 하고 해방 후에는 기업가로 활동하며 전남방직 불하, 대한해운공사 사장,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내무부 차관 - 정석모
    경찰 출신 행정가이자 정치인인 정석모는 치안국장, 도지사, 차관, 6선 국회의원, 내무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충청권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고, 정계 은퇴 후에는 건양대학교 이사장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내무부 차관 - 이상배 (1939년)
    이상배는 행정고시 합격 후 울진군수, 안동시장, 경상북도지사, 환경청장, 서울특별시장 등 주요 행정 관료를 역임하고 제15·16·17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 보스정치인 - 이회창
    이회창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판사, 최연소 대법관, 국회의원,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세 차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며, 자유선진당을 창당하여 활동하며 강경한 보수주의적 정치 성향으로 알려졌다.
  • 보스정치인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김무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5년 김무성
이름김무성
로마자 표기Gim Museong
한자 표기金武星
출생일1951년 9월 20일
출생지부산광역시
국적대한민국
서명Kim Moo-sung signature.svg
정당
소속 정당자유한국당
과거 소속 정당바른정당 (2016-2017)
학력
모교한양대학교
직업
직업정치인
국회의원
선거구 (2013-2020)영도구 (–중구 2016년부터)
임기 시작2013년 4월 25일
임기 종료2020년 5월 30일
이전 국회의원이재균
다음 국회의원황보승희
선거구 (1996-2012)남구 B (부산광역시)
임기 시작 (1996-2012)1996년 5월 30일
임기 종료 (1996-2012)2012년 5월 29일
이전 국회의원 (1996-2012)유흥수
다음 국회의원 (1996-2012)서용교
주요 경력
소속 위원회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정당 대표새누리당 대표 최고위원
임기 시작 (정당 대표)2014년 7월 14일
임기 종료 (정당 대표)2016년 4월 14일
기타 직책동해제강 상무
동해제강 전무
삼동산업 대표이사
민주화추진협의회 특별위 부위원장
민족문제연구소 이사
통일민주당 총무국장
통일민주당 기획조정실 차장
민주자유당 의사국장
민주자유당 의원국장
제14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행정실장
대통령비서실 민정제2비서관
대통령비서실 사정제1비서관
제47대 내무부 차관
한나라당 총재비서실장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
민주화추진협의회 회장
한나라당 사무총장
한나라당 최고위원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
한나라당 원내대표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
여의도연구원 이사장
새누리당 상임고문
바른정당 상임고문
자유한국당 북핵폐기특별위원회 위원장
자유한국당 상임고문
미래통합당 상임고문
국민의힘 상임고문
김영삼민주센터 이사
내무부 차관제47대 내무부 차관
내무부 차관 임기 시작1994년 12월 26일
내무부 차관 임기 종료1995년 9월 21일
대통령 (내무부 차관)김영삼 대통령
총리 (내무부 차관)이홍구 총리
장관 (내무부 차관)김용태 내무부 장관
가족
아버지김용주
어머니방연숙
배우자최양옥
자녀큰딸 김현진
작은딸 김현경
막내아들 고윤
형제누나 김문희
큰형 김창성
작은형 김남성
남동생 김남곤
웹사이트
홈페이지김무성 홈페이지

2. 생애

1951년 김용주참의원과 남양 방씨 방연숙 여사 사이에서 태어났다. 한양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김영삼을 도와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며 정계에 입문하여 상도동계가 되었으며, 민주화추진협의회에도 참여하였다. 1985년 민족문제연구소 이사를 역임했고, 1986년에는 민주화추진협의회 특별위원회 부위원장에 선임되었다.

1987년 통일민주당 제13대 대선 대책본부 재정국장을 맡았으나, 후보단일화 실패로 김영삼은 2위로 낙선하였다. 같은 해 통일민주당 총무국장, 당 기획조정실 차장을 역임하였고, 1989년에는 국회 행정실장을 역임하였다.

1990년 3당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하자, 김영삼, 김덕룡 등과 함께 민주자유당 당원이 되었다. 이후 민주자유당의 의사국장과 의원국장 등을 지냈다. 1992년에는 민주자유당의 김영삼 대선 후보 추대대책위원회의 총괄국장을 맡았다. 1993년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행정실장, 대통령 민정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였다. 1994년에는 대한민국의 제47대 내무부 차관을 역임하였다.

1998년 11월, 서울지법 형사합의21부는 TRS(주파수 공용통신) 사업자 선정과 관련하여 1996년 5월에 업체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로 기소된 한나라당 김무성 의원(부산 남을)에게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죄를 적용, 징역 8월에 집행유예 1년 및 추징금 2천만원을 선고했다.[27]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김무성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 추진을 시사하며[33] 바른정당에 합류했다. 그러나 유승민 의원과의 갈등 끝에 2017년 11월 "보수대통합"을 명분으로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였다.[34]

자유한국당(새누리당이 2017년 2월 당명을 변경)이 2017년 11월 3일 박근혜를 제명한 후 11월 6일 바른정당을 탈당하고 자유한국당에 복당했다. 의원 은퇴 후에는 국민의힘 상임고문을 역임했다. 2022년 8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내정자로 선정되었으나, 9월에 이를 고사했다.[16]

김무성의 경력
구분내용
학력
국회의원 경력
국회 상임위원회
주요 당직
기업 및 단체 임원
주요 임명직


2. 1. 초기 생애 및 학창 시절

1951년 9월 20일 경상남도 부산시 용당동 (현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서 태어났으며, 본관김해 김씨이다.[19] 화랑국민학교, 경남중학교, 중동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한양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했으며,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최고위정책과정을 수료했다.[3]

부경대학교 정책학 명예 박사(2003년), 한국해양대학교 공공행정학 명예 박사(2006년), 동국대학교 정치학 명예 박사(2015년) 학위를 받았다.[3]

2. 2. 명예 박사 학위

2. 3. 정치 입문 및 민주화 운동

한양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김영삼을 도와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며 정계에 입문하여 상도동계가 되었으며, 민주화추진협의회에도 참여하였다. 1985년 민족문제연구소 이사를 역임했고, 1986년에는 민주화추진협의회 특별위원회 부위원장에 선임되었다. 1987년 통일민주당 제13대 대선 대책본부 재정국장을 맡았으나, 후보단일화 실패로 김영삼은 2위로 낙선하였다. 같은 해 통일민주당 총무국장, 당 기획조정실 차장을 역임하였고, 1989년에는 국회 행정실장을 역임하였다.[27]

2. 4. 3당 합당 이후

1990년 3당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하자, 김영삼, 김덕룡 등과 함께 민주자유당 당원이 되었다. 이후 민주자유당의 의사국장과 의원국장 등을 지냈다. 1992년에는 민주자유당의 김영삼 대선 후보 추대대책위원회의 총괄국장을 맡았다. 1993년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행정실장, 대통령 민정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였다. 1994년에는 대한민국의 제47대 내무부 차관을 역임하였다. 1996년에 신한국당 소속으로 제15대 총선에 출마하여 부산 남구 을에서 당선되었다. 1997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이회창 캠프에서 후보 비서실장을 역임하며 선거 운동을 총지휘했으나, 김대중에게 밀려 낙선했고 한나라당은 야당이 되었다. 이후 이회창이 한나라당의 총재가 되자 총재 비서실장으로 임명되었다.

1998년 11월 서울지법 형사합의21부는 TRS(주파수 공용통신)사업자 선정과 관련해 1996년 5월에 업체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로 기소돼 징역 2년이 구형된 한나라당 김무성 의원(부산 남을)에 대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죄를 적용, 징역 8월에 집행유예 1년 및 추징금 2천만원을 선고했다.[27]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다시 이회창 캠프에서 일하며 후보비서실장을 역임했고, 선대위에서 미디어대책본부장을 맡아 선거운동을 지휘하였다. 그러나 이회창은 노무현에게 밀려 또 한번 낙선하였고, 이회창은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이회창이 정계를 떠난 뒤 김무성은 당내에서 소장파로 분류됐고, 2003년 말 최병렬 대표의 사퇴와 조기 전당대회를 요구하며 대치하기도 하였다.[28]

2004년 박근혜가 신임 당대표로 선임되자 2005년 한나라당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2007년 제17대 대선 한나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이 되어 이명박 선거대책위원회에서 활동하였다. 2007년 11월에는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되었다. 이후 제18대 총선에서 친박으로 분류되어 공천에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그 해 7월 한나라당에 복당하였다.

2010년 5월부터 2011년 5월까지 한나라당 원내대표를 지냈고, 그 해 6월 대한민국 국회의 운영위원회 위원장, 국회의원 야구단 이구동성 단장을 역임하였다. 2010년에는 대한민국 국회의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정보위원회 위원을 맡으면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한중 의원외교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2012년 한나라당의 당명이 새누리당으로 당명이 바뀌어, 새누리당 소속 국회의원이 되었다. 2012년에 치러진 제19대 총선에는 또다시 공천에 탈락하여 출마하지 못하였으나 같은 해 12월 치러진 제18대 대선에서 새누리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총괄본부장이 되어 새누리당의 대선 승리에 기여하였다. 이듬해 4·24 재보궐선거에 출마하여 부산 영도구에서 당선되며 국회로 복귀하였다. 2014년 7월 14일에 제3차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대표로 선출되었다.[29]

20대 총선을 앞두고 친박계와 비박계 간에 공천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 친박 성향의 이한구를 중심으로 한 공천관리위원회는 서울 은평구 을, 서울 송파구 을, 대구 동구 갑, 대구 동구 을, 대구 달성군에 친박 후보들을 단수 추천하였다. 그러나 비박으로 전향한 김무성 대표는 "당헌ㆍ당규를 위반한 공천장에는 도장(대표직인)을 찍어주지 않겠다"며 이 5곳의 도장 날인을 거부하였다.[30][31] 최종적으로는 서울 은평을, 서울 송파을, 대구 동을 3곳은 무공천 지역구가 되어 비박 후보들이 출마하게 되었고, 나머지 2곳은 친박 후보들이 출마하였다. 2016년 4월 14일, 4.13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참패한 결과를 두고 20대 총선 결과는 새누리당이 초래한 것이라고 하며 새누리당 선거 참패에 모든 책임을 지고 당대표에서 사퇴하였다.[32]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드러나게 되자, 2016년 11월 박근혜에 대한 탄핵 추진을 시사했다.[33]

이후 바른정당에 합류하였으나, 이혜훈 바른정당 대표의 사퇴 이후 바른정당의 진로를 놓고 유승민 의원과의 갈등이 있었다. 2017년 11월 김 의원은 "사회 각계각층 국민, 보수우파 국민들, 보수 시민사회 단체들과 함께 보수대통합을 이뤄서 좌파정권의 폭주에 대항하도록 하겠다"며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였다.[34]

2018년 8월에는 "공화주의 정신에 입각해, 이데올로기가 아닌 보수라는 틀에서 벗어나 진정한 우파 정치를 만들어가야 한다."며 자신의 정치 철학을 설파했다. 그러면서 "공화주의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 독주를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 공화주의는 유승민 의원도 내세우는 정치철학이나, 두 사람이 중점을 두는 부분이 다르다. 정치공학자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도서에는 공화주의를 "군주 독재에 반하는 인민 주권에 의한 공동의 정치 형태"와 "사적 이익보다 평등을 목표로 한 공적 이익을 중요시하는 도덕 철학" 2가지로 정의했는데, 김 의원은 전자에, 유 의원은 후자에 중점을 두고 있다.[35]

2. 5. 신한국당 및 한나라당 시절

1996년 신한국당 소속으로 제15대 총선에 출마하여 부산 남구 을에서 당선되었다. 1997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이회창 캠프에서 후보 비서실장을 역임하며 선거 운동을 총지휘했으나, 김대중에게 밀려 낙선했고 한나라당은 야당이 되었다. 이후 이회창이 한나라당 총재가 되자 총재 비서실장으로 임명되었다.[27]

1998년 11월, 서울지법 형사합의21부는 TRS(주파수 공용통신) 사업자 선정과 관련하여 1996년 5월에 업체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로 기소된 한나라당 김무성 의원(부산 남을)에게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죄를 적용, 징역 8월에 집행유예 1년 및 추징금 2천만원을 선고했다.[27]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다시 이회창 캠프에서 후보비서실장을 역임했고, 선대위에서 미디어대책본부장을 맡아 선거운동을 지휘하였다. 그러나 이회창노무현에게 밀려 또 한 번 낙선하였고, 이회창은 정계에서 은퇴했다. 이회창이 정계를 떠난 뒤 김무성은 당내에서 소장파로 분류되었고, 2003년 말 최병렬 대표의 사퇴와 조기 전당대회를 요구하며 대치하기도 하였다.[28]

2004년 박근혜가 신임 당대표로 선임되자 2005년 한나라당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2007년 제17대 대선 한나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이 되어 이명박 선거대책위원회에서 활동하였다. 2007년 11월에는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되었다. 이후 제18대 총선에서 친박으로 분류되어 공천에서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그 해 7월 한나라당에 복당하였다.

2. 6. 친박계와의 갈등 및 복당

2007년 제17대 대선에서 한나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아 이명박 후보의 선거 운동을 지원했다. 제18대 총선에서는 친박계로 분류되어 공천에서 탈락했으나,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된 후 한나라당에 복당하였다.[28]

2010년 5월부터 2011년 5월까지 한나라당 원내대표를 역임했다. 2012년 제19대 총선에서는 다시 공천에서 탈락하여 출마하지 못했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제18대 대선에서 새누리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총괄본부장을 맡아 박근혜 후보의 당선에 기여하였다.[12]

20대 총선을 앞두고 친박계와 비박계 간의 공천 갈등이 심화되었다. 친박 성향의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특정 지역구에 친박 후보들을 단수 추천하였으나, 김무성 대표는 이에 반발하며 대표 직인 날인을 거부하였다.[30][31] 이로 인해 일부 지역구는 무공천 지역구가 되었고, 새누리당은 총선에서 참패했다. 김무성은 선거 결과에 책임을 지고 당 대표직에서 사퇴하였다.[32]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김무성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 추진을 시사하며[33] 바른정당에 합류했다. 그러나 유승민 의원과의 갈등 끝에 2017년 11월 "보수대통합"을 명분으로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였다.[34]

2. 7. 새누리당 대표 시절

2014년 7월 14일 제3차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29]

20대 총선을 앞두고 친박계와 비박계 간에 공천 갈등이 있었다.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서울 은평구 을, 서울 송파구 을, 대구 동구 갑, 동구 을, 달성군에 친박 후보들을 단수 추천했다. 그러나 비박계였던 김무성 대표는 "당헌ㆍ당규를 위반한 공천장에는 도장(대표직인)을 찍어주지 않겠다"며 이 5곳의 도장 날인을 거부하였다.[30][31] 결국 서울 은평을, 서울 송파을, 대구 동을 3곳은 무공천 지역구가 되어 비박 후보들이 출마했고, 나머지 2곳은 친박 후보들이 출마하였다.

2016년 4월 14일, 4.13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참패하자, 김무성은 선거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고 당 대표에서 사퇴하였다.[32]

2. 8. 탈당과 복당, 그리고 현재

2004년 박근혜가 신임 당대표로 선임되자 박근혜의 신임을 받아 이듬 해인 2005년 한나라당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제17대 대선 한나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이 되어 이명박 선거대책위원회에서 활동하였다. 2007년 11월에는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되었다. 이후 제18대 총선에서 친박으로 분류되어 공천에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그 해 7월 한나라당에 복당하였다.[29]

2010년 5월부터 2011년 5월까지 한나라당 원내대표를 지냈고, 그 해 6월 대한민국 국회의 운영위원회 위원장, 국회의원 야구단 이구동성 단장을 역임하였다. 2012년 한나라당의 당명이 새누리당으로 당명이 바뀌어, 새누리당 소속 국회의원이 되었다. 2010년에는 대한민국 국회의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정보위원회 위원을 맡으면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한중 의원외교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2012년에 치러진 제19대 총선에는 또다시 공천에 탈락하여 출마하지 못하였으나 같은 해 12월 치러진 제18대 대선에서 새누리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총괄본부장이 되어 새누리당의 대선 승리에 기여하였다. 이듬해 4·24 재보궐선거에 출마하여 부산 영도구에서 당선되며 국회로 복귀하였다. 2014년 7월 14일에 제3차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대표로 선출되었다.[29]

20대 총선을 앞두고 친박계와 비박계 간에 공천을 두고 논란이 일면서 공천 파동이 일어났다. 친박 성향의 이한구를 중심으로 한 공천관리위원회는 서울 은평구 을, 서울 송파구 을, 대구 동구 갑, 대구 동구 을, 대구 달성군에 친박 후보들을 단수 추천하였다. 그러나 비박으로 전향한 김무성 대표는 "당헌ㆍ당규를 위반한 공천장에는 도장(대표직인)을 찍어주지 않겠다"며 이 5곳의 도장 날인을 거부하였다.[30][31] 최종적으로는 서울 은평을, 서울 송파을, 대구 동을 3곳은 무공천 지역구가 되어 비박 후보들이 출마하게 되었고, 나머지 2곳은 친박 후보들이 출마하였다. 2016년 4월 14일, 4.13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참패한 결과를 두고 20대 총선 결과는 새누리당이 초래한 것이라고 하며 새누리당 선거 참패에 모든 책임을 지고 당대표에서 사퇴하였다.[32]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드러나게 되자, 2016년 11월 박근혜에 대한 탄핵 추진을 시사했다.[33]

이후 바른정당에 합류하였으나, 이혜훈 바른정당 대표의 사퇴 이후 바른정당의 진로를 놓고 유승민 의원과의 갈등이 있었다. 2017년 11월 김 의원은 "사회 각계각층 국민, 보수우파 국민들, 보수 시민사회 단체들과 함께 보수대통합을 이뤄서 좌파정권의 폭주에 대항하도록 하겠다"며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였다.[34]

2018년 8월에는 "공화주의 정신에 입각해, 이데올로기가 아닌 보수라는 틀에서 벗어나 진정한 우파 정치를 만들어가야 한다."며 자신의 정치 철학을 설파했다. 그러면서 "공화주의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 독주를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 공화주의는 유승민 의원도 내세우는 정치철학이나, 두 사람이 중점을 두는 부분이 다르다. 정치공학자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도서에는 공화주의를 "군주 독재에 반하는 인민 주권에 의한 공동의 정치 형태"와 "사적 이익보다 평등을 목표로 한 공적 이익을 중요시하는 도덕 철학" 2가지로 정의했는데, 김 의원은 전자에, 유 의원은 후자에 중점을 두고 있다.[35]

자유한국당(새누리당이 2017년 2월 당명을 변경)이 2017년 11월 3일 박근혜를 제명한 후 11월 6일 바른정당을 탈당하고 자유한국당에 복당했다. 의원 은퇴 후에는 국민의힘 상임고문을 역임했다. 2022년 8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내정자로 선정되었으나, 9월에 이를 고사했다.[16]

3. 논란

김무성은 여러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포항 향우회 행사에서 자신을 포항 사람이라고 칭하거나,[20] 국정감사에서 결함 있는 전투식량을 공개하고,[21] 제20대 총선 당시 "친박계" 후보 공천 추천서에 직인 날인을 거부하는 "옥새 투쟁"을 벌이기도 했다.[22][23][24]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자 14년 전 "트럼프 타워"로 이사한 것을 두고 "트럼프 당선을 예상했다"고 말했으며,[25] 제21대 총선 이후에는 극우 성향 유튜버들을 "썩은 놈들"이라고 비판했다.[26]

3. 1. "숯불" 피부색 발언

김무성은 나이지리아 흑인 학생의 피부색을 숯불과 비교한 발언으로 비판을 받았다.[5] 그는 2015년 12월 18일 영남대학교 학생에게 사과했다.[6]

3. 2. "노 룩 패스" 논란

김무성은 공항 도착장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국내외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 그는 밝은 연두색 캐리어를 바라보지도 않고 조수에게 건네주었는데, 이는 농구에서 사용되는 노 룩 패스와 매우 유사했다. 이 영상은 국제 언론에 소개되었고, 일각에서는 엘리트적이고 깔보는 듯하다는 비판도 받았다.[7][8]

3. 3. 부친의 친일 행적 논란

김무성의 아버지 김용주는 일제 강점기에 친일 행적을 보였다는 논란이 있다. 김용주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한국인들에게 일본의 전쟁을 지원하기 위한 기부를 촉구하고, 청년들에게 징집을 권유했다.[9][10][11]

4. 경력

기간직책
1976년 ~ 1982년동해제강 상무, 전무
1982년삼동산업 대표이사
1985년민주화추진협의회 특별위원회 부위원장
1989년통일민주당 총무국장, 기획조정실 차장
1992년민주자유당 의사국장, 의원국장
1993년제14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행정실장
1993년대통령비서실 민정제2비서관, 사정제1비서관
1994년 12월 ~ 1995년 9월제47대 내무부 차관
1996년 5월 ~ 2000년 5월제15대 국회의원 (부산 남구 을, 신한국당→한나라당)
1997년제15대 대통령 선거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비서실장
2000년 5월 ~ 2004년 5월제16대 국회의원 (부산 남구, 한나라당)
2000년한나라당 이회창 총재비서실장
2002년제16대 대통령 선거 한나라당 이회창 대통령 후보 비서실장
2002년 11월한나라당 이회창 대통령 후보 선대위원회 미디어대책본부장
2004년 5월 ~ 2008년 5월제17대 국회의원 (부산 남구 을, 한나라당→무소속)
2005년민주화추진협의회 회장, 한나라당 사무총장
2007년 11월 ~ 2008년한나라당 최고위원
2008년 5월 ~ 2012년 5월제18대 국회의원 (부산 남구 을, 무소속→한나라당→새누리당)
2010년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
2010년 5월 ~ 2011년 5월한나라당 원내대표
2013년 4월 ~ 2016년 5월제19대 국회의원 (부산 영도구, 새누리당)
2014년 7월 ~ 2016년 4월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
2014년 7월 ~ 2016년 8월여의도연구원 이사장
2016년 3월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새누리당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2016년 5월 ~ 2020년 5월제20대 국회의원 (부산 중구·영도구, 새누리당→무소속바른정당무소속자유한국당→미래통합당)
2016년 5월 ~ 2016년 12월새누리당 상임고문
2017년 1월 ~ 2017년 11월바른정당 상임고문
2017년 11월 ~ 2020년 2월자유한국당 상임고문
2018년 5월 ~ 2018년 6월자유한국당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고문
2019년 2월자유한국당 북핵외교안보특별위원회 고문
2020년 2월미래통합당 상임고문
2020년 2월 ~ 2020년 4월미래통합당 부산시당 2020 통합 선거책위위원회 명예선거대책위원장
2021년 3월 ~국민의힘 상임고문
2021년 3월 ~ 2021년 4월국민의힘 2021년 재보궐 선거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대위원장
2021년 3월 ~ 2021년 4월국민의힘 부산광역시당 2021년 재보궐선거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거대책위원장
2022년 5월 ~ 2022년 6월국민의힘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대위원장
현재김영삼민주센터 이사, 사단법인 민주화추진협의회 공동회장, 재단법인 가락중앙종친회 제25대 회장


5. 국회 소속 위원회


  • 제15대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재정경제위원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위원
  • 제16대 국회: 국회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행정자치위원회 위원
  • 제17대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위원장,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
  • 제18대 국회: 운영위원회 위원장, 국방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정보위원회 위원

6.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직책대수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비고
제13대 총선국회의원13대통일민주당4,680,17523.80%전국구 15번낙선승계 불능
제14대 총선국회의원14대민주자유당7,923,71838.50%전국구 50번낙선승계 전 탈당
제15대 총선국회의원15대신한국당38,97062.57%1위당선초선
제16대 총선국회의원16대한나라당75,21566.93%1위당선재선
제17대 총선국회의원17대한나라당38,82654.88%1위당선3선
제18대 총선국회의원18대무소속26,25549.69%1위당선4선
4·24 재보선국회의원19대새누리당27,98165.72%1위당선5선
제20대 총선국회의원20대새누리당43,44755.80%1위당선6선[36][37]


7. 가족 관계


  • 아버지: 김용주 (1905년 ~ 1985년)
  • 어머니: 방연숙 (1926년 ~ 2013년)
  • 누나: 김문희 (1928년 ~ )
  • 조카: 현정은 (1955년 ~ )
  • 형: 김창성 (1932년 ~ )
  • 형: 김남성 (1948년 ~ )
  • 배우자: 최양옥 (1956년 ~ )
  • 장녀: 김현진 (1981년 ~ )
  • 차녀: 김현경 (1984년 ~ )
  • 장남: 김종민 (1988년 ~ )
  • 남동생: 김남곤 (1959년 ~ )
  • 장인: 최치환 (1922년 ~ 1987년)[17]

참조

[1] 뉴스 Saenuri Party elects Rep. Kim Moo-sung as new chairman http://www.koreahera[...] 2014-07-14
[2] 뉴스 Ruling party reeling from election rout: Saenuri to launch emergency leadership, take in defectors http://www.koreahera[...] 2016-04-14
[3] 뉴스 Politician's suitcase incident goes viral for summing up entitled middle-aged men https://www.independ[...] 2017-05-24
[4] 뉴스 Kim Moo-sung says he’s not yet qualified to be president http://www.hani.co.k[...] 2015-08-01
[5] 뉴스 Rep. Kim Moo-sung sorry for skin-color joke https://www.koreatim[...] 2015-12-18
[6] 웹사이트 Saenuri chief apologizes for racist remark http://www.koreahera[...]
[7] 뉴스 Politician's suitcase incident goes viral for summing up entitled middle-aged men https://www.independ[...] 2017-05-24
[8] 뉴스 South Korean politician criticized for 'no-look' luggage toss at Seoul airport https://www.foxnews.[...] 2017-06-06
[9] 뉴스 Seoul’s Colonial Boomerang https://www.nytimes.[...] 2016-02-09
[10] 뉴스 ‘친일’ 김무성 아버지가 애국자로 둔갑하고 있다 http://www.hani.co.k[...] 2015-07-31
[11] 웹사이트 South Korea: The Politics Behind the History Wars https://thediplomat.[...] 2023-04-29
[12] 뉴스 セヌリ党新代表に非主流派の座長 金武星氏 http://world.kbs.co.[...] 2014-07-16
[13] 뉴스 韓国与党代表が辞任表明 総選挙大敗で引責 http://japanese.yonh[...] 2016-08-13
[14] 뉴스 非朴派の金武星・与党前代表「弾劾の先に立つ」 大統領選出馬断念し https://www.sankei.c[...] 2017-02-04
[15] 뉴스 与党非主流派29人が離党と新党結成宣言 4党体制に=韓国 http://japanese.yonh[...] 2017-02-04
[16] 웹사이트 김무성 "평통 수석부의장 제의받았지만 여러상황 감안해 고사" https://www.yna.co.k[...] 2023-09-15
[17] 웹사이트 김무성의 집안…적산기업 불하 받아 전남방직 만들어 https://www.hani.co.[...] 2023-08-21
[18] 웹사이트 연예인 자녀를 둔 정치인 이 사람 https://news.kbs.co.[...] 2022-07-17
[19]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2
[20] 웹사이트 김무성 대표 “고향발전 위해 최선의 노력 다하겠다” http://www.kbmaeil.c[...] 2023-09-15
[21] 웹사이트 국방위 김무성 의원 "연기나는 전투식량 먹다 총 맞을 수 있다" https://www.hankyung[...] 2009-10-06
[22] 웹사이트 이준석 부산행, 김무성 '옥새 파동'과는 다른 이유 https://www.edaily.c[...] 2021-12-01
[23] 웹사이트 김무성 대표 옥새 투쟁 왜? https://news.kbs.co.[...] 2016-03-25
[24] 웹사이트 ‘옥새파동’은 끝나지 않았다…‘법정 소송’ 비화한 김무성 날인거부 https://m.khan.co.kr[...] 2016-04-19
[25] 웹사이트 [영상] 김무성 “사실 14년 전 트럼프 당선 예상했다” https://www.joongang[...] 2016-11-10
[26] 웹사이트 [영상] 극우 유튜버를 향한 김무성의 직설, “전부 썩은 놈들이야” https://www.hankooki[...] 2020-05-13
[27] 뉴스 “TRS 사업자선정 비리]한나라당 김무성의원 집행유예” 논란 https://web.archive.[...] 동아일보 2015-12-09
[28] 간행물 <참고자료>한나라당 소장파 최병렬 대표 면담 결과 http://news.bbsi.co.[...] 불교신문 2004-02-18
[29] 뉴스 김무성, 새누리당 신임 당 대표 선출 http://news.tvchosun[...] TV조선 2014-07-14
[30] 뉴스 김무성 ‘옥새 쿠데타’ http://hankookilbo.c[...] 한국일보 2016-03-25
[31] 뉴스 김무성 '옥새' 안 찍으면…긴장한 '진박 후보들' https://news.sbs.co.[...] 2016-03-25
[32] 뉴스 김무성, 당대표 사퇴 "총선 결과, 새누리당이 초래" http://news.tf.co.kr[...] 2016-04-14
[33] 뉴스 김무성, "박 대통령 탄핵이 옳아" http://www.kookje.co[...] 2016-11-22
[34] 뉴스 김무성 등 바른정당 8명 한국당 복당…洪 "좌파 폭주 저지하자" http://news.chosun.c[...]
[35] 뉴스 같은 듯 또 다른…김무성·유승민의 ‘공화주의’, 정계개편 신호탄? http://www.segye.com[...] 2018-08-31
[36] 뉴스 <후보 득표현황>-부산(최종) https://www.yna.co.k[...] 2016-04-14
[37] 뉴스 [당선자]김무성 '6선' 성공…대권 가도는? https://www.news1.kr[...] 2016-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