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친일단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 문서는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친일 단체 관련 인물 명단을 제공한다. 친일 단체 목록과 함께, 가나다순으로 정리된 친일 인물들의 이름과 관련 분야, 활동했던 친일 단체 정보를 담고 있다. 또한, 친일 행적 분류, 친일파 청산 논쟁, 관련된 추가 정보들을 함께 제공한다.

2. 친일 단체 목록

일제강점기에 친일 행위를 주도했거나 적극적으로 참여한 단체들의 목록이다. 주요 단체로는 일진회, 대동일진회, 자위단원호회, 대동민우회 등이 있다.

2. 1. 주요 친일 단체

단체명관련 인물
일진회김경호, 김광현, 김병규, 김병순, 김사영, 김세진, 김연상, 김영걸, 김영우, 김영희, 김용진, 김재곤, 김재홍, 김정국, 김종완, 김진태, 김택현, 김호중, 김환성, 김효순, 김효진
대동일진회강병주, 강성구, 강영희, 김기주, 김동일, 김동현, 김병걸, 김병익, 김영준, 김정규, 김정민, 김태익, 김태훈
자위단원호회김상익, 김영구, 김재익
대동민우회김경식, 김연식


3. 친일 인물 목록 (분야별)


  • 동운경

3. 1. 가 (ㄱ)


  • 강근도 (姜根道)
  • 강병순 (姜柄順)
  • 강병주 (姜昞周)
  • 김효진 (金孝鎭)

3. 2. 나 (ㄴ)


  • 남정관 (南廷觀)
  • 노성석 (盧聖錫)
  • 노정규 (盧禎圭)

3. 3. 다 (ㄷ)


  • 동운경 (董雲卿)

3. 4. 마 (ㅁ)

이름생몰년도주요 활동 단체
문명기 (文明琦)1878 ~ 1968일진회, 시천교, 대정실업친목회, 조선불교단
문의홍 (文義泓)? ~ ?일진회
민태직 (閔泰稷)? ~ ?일진회


3. 5. 바 (ㅂ)


  • 박계일 (朴啓一)
  • 박구학 (朴九鶴)
  • 변기택 (邊基澤)

3. 6. 사 (ㅅ)


  • 사현필
  • 서병은
  • 심의혁

3. 7. 아 (ㅇ)


  • 안근모 (安謹模)
  • 안방렬 (安邦烈)
  • 이희섭 (李曦燮)

3. 8. 자 (ㅈ)


  • 장동환 (張東煥)
  • 장두현 (張斗鉉)
  • 지봉서 (池鳳瑞)

3. 9. 차 (ㅊ)

3. 10. 타 (ㅌ)

탁태윤

3. 11. 파 (ㅍ)

片尙永|편상영중국어

3. 12. 하 (ㅎ)


  • 하준석 (河駿錫)
  • 한경원 (韓景源)
  • 황철수 (黃轍秀)

4. 친일 행적 분류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인물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제의 식민 통치와 침략 전쟁에 협력했다. 이들의 행적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중추원: 조선총독부 자문 기관인 중추원에 참여하여 식민 통치에 협력했다.
  • 관료: 조선총독부 관료로서 일제의 행정 정책을 집행했다.
  • 경찰: 일제 경찰로서 독립운동을 탄압하고 민족 인사를 감시, 체포했다.
  • : 일본군 장교 또는 군속으로 복무하며 침략 전쟁에 가담했다.
  • 경제: 일제에 경제적으로 협력하여 부를 축적하고 민족 경제를 훼손했다.
  • 교육/학술: 친일적인 교육 및 학술 활동을 통해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민족의식을 약화시켰다.
  • 언론/출판: 친일 언론 및 출판 활동을 통해 일제의 선전 정책을 지원하고 여론을 조작했다.
  • 종교: 친일적인 종교 활동을 통해 민족의식을 약화시키고 일제의 통치에 순응하도록 유도했다.
  • 제국의회: 일본 제국의회 의원으로서 식민 통치를 옹호하고 법제화하는 데 기여했다.
  • 해외: 해외에서 일제의 침략 전쟁과 식민 통치에 협력했다.

4. 1. 중추원

다음은 조선총독부의 자문 기관인 중추원에 참여하여 일제의 식민 통치에 협력한 인물들이다.

이름
강이황
구연수
김기수
김명준
김사연
김재환
문명기
민영은
민원식
민재기
박영철
박영효
방의석
서병조
선우순
성원경
신석린
엄준원
원덕상
윤갑병
윤치호
이겸제
이근우
이기찬
이동우
이원보
이승우
장헌식
정교원
정대현
정병조
정석모
조병상
최양호
최정묵
최준집
최창호
하준석
한규복
현준호
황종국


4. 2. 관료

(출력 없음)

4. 3. 경찰


  • 남정관 (南廷觀)
  • 노성석 (盧聖錫) - 언론/출판
  • 노신근 (盧信根)
  • 노영근 (盧榮根)
  • 노응린 (盧應麟)
  • 노정규 (盧禎圭)

4. 4. 군


  • 남정관
  • 노성석 - 언론/출판
  • 노신근
  • 노영근
  • 노응린
  • 노정규

4. 5. 경제

해당 섹션은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친일단체 - 경제' 분야에 해당하는 인물 목록을 포함하고 있다. 요약에 따르면, 이들은 일제에 경제적으로 협력하여 부를 축적하고 민족 경제를 훼손한 인물들이다. 그러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요약에 언급된 인물들(문명기, 박승직, 방의석, 예종석, 이종만, 장홍식, 주성근, 차준담, 최창학, 한기방, 현준호, 홍충현)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원본 소스만을 기반으로 작성해야 하는 본 과업의 지침에 따라,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

4. 6. 교육/학술


  • 남정관
  • 노성석 - 언론/출판
  • 노신근
  • 노영근
  • 노응린
  • 노정규

4. 7. 언론/출판

4. 8. 종교


  • 남정관 (南廷觀)
  • 노성석 (盧聖錫) - 언론/출판
  • 노신근 (盧信根)
  • 노영근 (盧榮根)
  • 노응린 (盧應麟)
  • 노정규 (盧禎圭)

4. 9. 제국의회


  • 남정관 (南廷觀)
  • 노성석 (盧聖錫) - 언론/출판
  • 노신근 (盧信根)
  • 노영근 (盧榮根)
  • 노응린 (盧應麟)
  • 노정규 (盧禎圭)

4. 10. 해외

해외에서 일제의 침략 전쟁과 식민 통치에 협력한 인물들이다.

이름비고
양정묵
엄주익
오두환
이인수
최정규


5. 친일파 청산 논쟁

해방 이후 한국 사회에서는 친일파 청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가 구성되어 친일파 청산을 시도했지만, 이승만 정권의 방해와 친일 세력의 반발로 인해 좌절되었다.

친일파 청산 문제는 단순한 과거사 정리를 넘어, 한국 사회의 정의와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친일 잔재 청산은 역사 왜곡을 바로잡고,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친일 청산 과정에서 연좌제 적용 문제, 친일 행위의 범위와 기준 설정 문제 등 여러 논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또한, 친일 청산이 정치적 보복의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

친일파 청산은 과거의 잘못을 바로잡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들을 신중하게 고려하고, 사회적 합의를 통해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