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는 유신 체제 하의 민청학련 사건을 계기로 1974년에 결성된 구속자 가족 운동 협의회를 모체로 한다. 박정희 정권과 전두환 정권 시대에 정치적 박해를 받은 양심수 가족들이 모여 결성되었으며, 양심수 석방, 국가보안법 등 악법 폐지, 고문 추방과 인권 실현, 사회 민주화, 민족 통일을 위해 활동한다. 주요 활동으로는 양심수 석방을 위한 목요 집회, 시와 노래의 밤 개최, 이근안 현상 수배 캠페인, 교도소 항의 방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인권 - 윤석양
    윤석양은 1990년 국군보안사령부에서 민간인 사찰 자료를 폭로하여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국방부 장관과 보안사령관이 경질되고 기무사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수배 생활과 군무이탈 혐의 기소 후 노동운동에 참여했고 영화 '모비딕'의 실제 주인공이기도 하다.
  • 대한민국의 인권 - 대한민국 차별금지법
    대한민국 차별금지법은 차별 금지를 위한 법률 제정 시도와 관련되어 2005년 법 제정 추진이 무산된 후 여러 차례 발의되었으나 국회 통과에 이르지 못했고, 2020년에는 차별금지법안 및 평등법안이 발의되었으며, 국민 여론은 긍정적이나 세부 내용과 사회적 파장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 1985년 설립된 단체 - 국경 없는 기자회
    국경 없는 기자회는 1985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언론인 구금, 살해, 미디어 규제를 감시하고 언론 자유 지수를 발표하며 언론인 지원 및 교육, 국제 캠페인, 로비 활동을 펼치는 단체이다.
  • 1985년 설립된 단체 -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은 1985년 민민협과 국민회의의 통합으로 결성된 대한민국의 재야 운동 단체로서, 민주화와 통일 운동을 목표로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6월 항쟁에 기여한 뒤 1989년 전민련으로 발전 해소되었다.
  • 대한민국의 시민사회운동 단체 - 참여연대
    참여연대는 1994년 박원순에 의해 설립된 시민단체로, 정치 및 경제 권력 감시, 시민 권리 확대, 사회 개혁을 위한 활동을 하며, 회비와 후원금으로 재정을 운영하고, 11개의 활동 기구와 4개의 부설 기관을 운영하며 월간 참여사회 등 간행물을 발행한다.
  • 대한민국의 시민사회운동 단체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은 1974년 결성되어 박정희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사회적 발언과 활동을 통해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기본 정보
유형시민사회단체
결성1986년
해산2006년
활동 기간1986년 ~ 2006년
별칭민가협
주요 활동
주요 목표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발생한 정치범 가족 지원
양심수 석방 운동
국가보안법 철폐 운동
조직 및 운영
주요 구성원민주화 운동 관련 정치범, 양심수 가족
운영 방식회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후원금으로 운영
역사
결성 배경1980년대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의 격화와 함께 정치범 및 양심수 증가
주요 사건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전민련) 결성 지원
국가보안법 철폐를 위한 다양한 활동 전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및 책임자 처벌 요구
해체 이유대한민국의 문민정부 출범 이후 정치범 및 양심수 감소, 조직 운영의 어려움
기타
관련 단체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전민련)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민변)
영향대한민국 민주화 운동 및 인권 신장에 기여
평가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축
정치범 및 양심수 가족들의 인권 보호에 기여
국가보안법 철폐 운동의 선두 역할

2. 설립 배경

민가협은 유신 체제 하의 정치 탄압 사건인 민청학련 사건을 계기로 1974년에 결성된 '구속자 가족 운동 협의회'를 모체로,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 사건(남민전 사건)과 재일 한국인 간첩단 사건 등 박정희 정권 시대부터 정치적 박해를 받아온 양심수 가족들과, 전두환 정권 시대인 1980년대 초반 민주화 투쟁을 벌이다 구속된 수많은 학생들의 가족들이 모여 결성되었다.[1]

3. 목적과 활동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는 개발 독재 정권 하에서 구속된 청년, 학생, 노동자 등 민주 인사들의 인권 침해 상황을 사회에 알리고, 양심수 석방, 국가보안법 등 악법 폐지, 고문 추방과 인권 실현, 사회 민주화, 민족 통일을 목적으로 활동했다.[1]

3. 1. 주요 활동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는 개발 독재 정권 하에서 구속된 양심수들의 석방과 국가보안법 폐지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 국가보안법 폐지 운동: 민가협은 국가보안법이 민주주의를 억압하는 악법이라고 보고, 이를 폐지하기 위한 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했다.[1]
  • 양심수 현황 보고: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양심수 현황을 보고하여 사회적 관심을 촉구했다.[1]
  • 목요 집회: 1993년부터 양심수 석방과 국가보안법 철폐를 위한 목요 집회를 개최했다. 집회 참석자들은 저항을 상징하는 보라색을 사용했다.[1] [5]
  • 인권 운동: 인권 강좌와 인권 콘서트를 개최하여 인권 의식을 높이는 활동을 펼쳤다.[1]
  • 시와 노래의 밤 / 시민 가요제: 1998년부터 양심수를 위한 시와 노래의 밤, 시민 가요제를 개최하여 양심수 문제를 널리 알렸다.[5]
  • 이근안 현상 수배 캠페인: 1989년, 고문 경찰 수사관 이근안을 현상 수배하는 캠페인을 벌여 고문 문제의 심각성을 알렸다.[5]
  • 교도소 및 수사 기관 항의 방문: 교도소 인권 유린 사태와 체포 구속 관련 문제에 대해 교도소와 수사 기관에 항의 방문하는 등 긴급 행동을 전개했다.[5]
  • 양심수 석방 기금 마련 바자회: 양심수 석방 기금을 마련하기 위한 바자회를 실시했다.[5]

참조

[1] 논문 Talking and Listening in the Age of Modernity: Essays on the history of sound ANU Press 2007-11-01
[2] 서적 Protest Politics and the Democratization of South Korea Lexington Books
[3] 웹사이트 South Korean democracy protesters https://www.upi.com/[...] 2019-06-22
[4] 웹사이트 5.5 million S. Koreans gain amnesty https://www.deseretn[...] 1998-03-13
[5] 뉴스 Kim's Decree Benefits Millions; Some Dissidents Are Left Out : South Korea Grants Sweeping Amnesty https://www.nytimes.[...] 2019-06-22
[6] 뉴스 New South Korea Leader Grants Sweeping Amnesty to 5.5 Million https://www.nytimes.[...] 2019-06-22
[7] 웹사이트 Dae-Han Song https://solidarityst[...] 2014-11-12
[8] 웹사이트 Seoul Frees Political Prisoner of 41 Years https://www.washingt[...] 1999-0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