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생은 학교나 교육 기관에서 교육을 받는 사람을 의미한다. 학생에 대한 호칭은 국가별 교육 제도와 문화에 따라 다르며, 대한민국에서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등으로 구분한다. 학생은 교육 과정에서 권리를 가지며 자치 활동을 통해 사회 참여를 하기도 한다. 학생 문화는 장난, 익살 등의 특징을 보이며, 학교 간의 경쟁과 관련된 문화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생 - 졸업
졸업은 학교의 교육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학위 취득과 연관되며 졸업식에서는 학위 수여, 송별사, 학사복 착용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중세 유럽 대학에서 유래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졸업 문화가 존재한다. - 학생 - 입학
입학은 학교나 교육 기관에 학생이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각국은 다양한 입학 제도를 운영하고 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만 5세에서 7세까지 차이가 있으며 학년 시작 시기도 다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학생 | |
---|---|
학생 정보 | |
정의 | 교육 기관에 다니는 학습자 또는 사람 |
역할 | 지식을 습득하고 기술을 개발하는 것 |
학습 방법 | 강의 토론 개인 학습 현장 학습 실습 |
학습 장소 | 학교 대학교 훈련소 도서관 집 온라인 환경 |
학습 단계 |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 |
학습 활동 | |
수업 참여 | 수업 듣기 질문하기 토론 참여 |
과제 수행 | 숙제 프로젝트 시험 준비 |
학습 관련 활동 |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스터디 그룹 교류 활동 |
관련 용어 | |
학교 | 학생들이 교육을 받는 장소 |
교사 |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 |
학습 |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 |
교육 | 지식, 기술, 가치관 등을 전달하는 과정 |
교육 기관 | 학교, 대학, 훈련소 등 교육을 제공하는 곳 |
학업 | 학교나 교육 기관에서 배우고 익히는 활동 |
학습자 | 배우는 사람 |
학자 | 특정 분야를 깊이 연구하는 사람 |
신입생 | 학교나 교육 기관에 처음으로 입학한 학생 |
1학년 | 학교나 교육 기관에서 첫 번째 학년을 다니는 학생 |
2. 나라별 호칭
나라별로 교육 제도와 문화적 배경에 따라 학생을 부르는 명칭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 영국 연방:
- 영국, 웨일스 등 일부 영국 연방 국가에서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pupil'(pupillus|푸필루스la)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pupil'은 원래 미성년자를 성인 보호자의 보호 아래 있는 사람으로 지칭하는 라틴어 용어이다. 6년제 고등학교 또는 대학교 등 고등 교육 과정에서는 'student'(student|스튜던트영어)라는 용어가 표준적으로 사용된다.
- 필리핀 필리핀 교육부에서는 초등학생을 'pupil', 중·고등학생을 'student'라고 부른다.
-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성적이 저조하여 유급된 학생들을 "유급하다"라고 표현한다.
- 필리핀: 유급생을 "유급생"이라고 한다.
- 미국 미국 군사 사관학교: 공식적으로는 숫자로만 학년을 표기하지만,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구어체 표현이 사용된다.
- 1학년: "4학년" 생도 또는 사관후보생, "plebes"(plebes|플레베스영어)
- 2학년: "3학년" 생도 또는 사관후보생, "yearlings"(yearlings|이어링스영어) 또는 "yuks"(yuks|육스영어)
- 3학년: "2학년" 생도 또는 사관후보생, "cows"(cows|카우스영어)
- 4학년: "1학년" 생도 또는 사관후보생, "firsties"(firsties|퍼스티스영어)
- 일부 미국 대학교: 학생들은 "1학년"으로 입학하여 "4학년"(또는 경우에 따라 "5학년", "6학년" 등)으로 졸업한다.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학생은 재학 중인 학교나 과정에 따라 다양하게 불린다.- 초등학생: 초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이다.
- 중학생: 중학교에 다니는 학생이다. 성별에 따라 남중생, 여중생이라고도 한다.
- 고등학생: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이다. 남고생, 여고생, 고딩과 같은 줄임말이 있다. 계열에 따라 공고생(공업고등학교 재학생), 상고생(상업고등학교 재학생), 과고생(과학고등학교 재학생)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 대학생: 대학교에 다니는 학생이다. 여대생, 대딩과 같은 줄임말이 있다. 대학 이름을 붙여 서울대생(서울대학교 재학생), 연대생(연세대학교 재학생), 고대생(고려대학교 재학생)과 같이 부르거나, 단과대학(학과) 이름을 붙여 의대생(의학과 재학생), 약대생(약학과 재학생), 공대생(공과대학 대학생)과 같이 부르는 경우도 있다.
- 전문대생: 전문대학교에 다니는 학생이다.
- 대학원생: 대학원에 다니는 학생이다.
- 기숙생: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학생이며 기숙사생이라고도 한다.
- 통학생: 기숙사에서 생활하지 않고 자기 집이나 하숙집에서 학교에 가는 학생이다.
- 하숙생: 하숙집에 살면서 학교에 다니는 학생이다.
- 전학생: 다른 학교에 전학을 온 학생이다.
- 유학생: 다른 나라에 유학을 간 학생이다.
- 졸업생: 그 학교를 졸업한 학생이다.
- 수험생: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앞두고 있는 학생이다.
- 재수생: 시험에 떨어져서 배웠던 과정을 다시 배우는 학생이다. 횟수에 따라 3회 이상일 때에는 삼수생, 사수생, 오수생, 육수생, 장수생 등으로도 부르며 이를 통칭하는 N수생도 쓰인다.
- 반수생: 대학을 한 학기 다녔다가 적성에 맞지 않거나 더 높은 대학에 가고자 적성에 맞는 전공과목에 합격할 때까지 다시 배우는 학생
- 복학생: 휴학했다가 다시 학교 교육 과정을 배우는 학생
- 휴학생: 대학에 휴학을 신청한 학생
- 예과생: 대학의 의예과·치의예과·한의예과·수의예과에 재학하는 학생
- 본과생:
- 편입생: 다른 대학에서 편입학한 학생.
- 장학생: 장학금을 받으며 학교에 다니는 학생
- 문과생: 일반계 고등학교 문과에 다니는 학생
- 이과생: 일반계 고등학교 이과에 다니는 학생
이 밖에도 다음과 같은 표현도 쓰인다.
- 생도: 사관학교 등에서 학생을 이르는 말이다.
- 중고생: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 초중고생: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 여중생, 여고생, 여대생: 각각 여자 중학생, 여자 고등학생, 여자 대학생을 이르는 말이다.
- 학생들 사이에서는 초딩(초등학생), 중딩(중학생), 고딩(고등학생), 대딩(대학생) 같은 신조어도 주로 쓰인다.
- 남중생, 남고생, 남대생: 과거에는 잘 쓰이지 않았으나, 2000년도 이후로는 사용되고 있다.[31][32][33]
2. 2. 아시아

아시아 각국의 학생 호칭은 다음과 같다.
- '''중국''': 학교에 따라 소학생(초등학생), 초중생(중학생), 고중생(고등학생), 대학생이라고 부른다. 대학원은 연구원이라 부르므로 대학원생이라는 표현은 쓰이지 않고 연구생이라고 부른다.
- '''일본''': 초등학생은 아동, 중·고등학생은 생도, 대학교·대학원생은 학생, 유치원생은 유아/원아라고 부른다.
- '''싱가포르''': 6년간의 초등학교 교육이 의무이다.[4] 초등학교, 중등학교, 주니어 칼리지 또는 폴리테크닉 등의 교육 과정을 거친다. 통합 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도 있는데, 리버 밸리 고등학교와 같이 중학교 1학년부터 주니어 칼리지 2학년까지 같은 학교에 다니면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중학교를 마치는 시점에 치르는 "O" 레벨 시험을 치르지 않아도 된다. 국제학교는 영국, 미국, 캐나다 또는 호주 교육 과정과 같은 해외 교육 과정을 따른다.
- '''방글라데시''': 초등 교육이 의무 교육이다. 자녀를 학교 대신 일터에 보내는 것은 범죄이다. 어떤 기관이나 온라인에서 배우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학생이라고 부를 수 있다. 학부생, 대학원생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 '''브루나이''': 정부 및 사립 교육기관에서 교육이 무료이다. 초등 교육과 중등 교육을 각각 6년과 5년에 걸쳐 이수하며, 이후 6학년 센터, 대학 진학 또는 취업을 선택할 수 있다.
- '''캄보디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다니는 모든 학생들에게 교육은 무료이다.[1] 기초 교육 후에는 고등 교육 기관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4년이 걸린다.[1]
- '''인도''': 학교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단계로 나뉜다.

- '''네팔''': 12년제 학교 교육이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의 두 단계로 나뉜다.
- '''파키스탄''': 12년제 학교 교육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세 단계로 나뉜다.
- '''필리핀''': 현재 K-12 기본 교육 체계로 전환 중이다.[6][7][8] 1년의 유치원 과정으로 시작하여, 중등 교육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두 부문으로 구성된다.
- '''이란''': 학교 교육은 초등학교 6년, 고등학교 6년으로 구성된 12년제이다. 고등학교 졸업 후 이란 대학 입학 시험(Konkoor)에 응시할 수 있다.
2. 2. 1. 중국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학교에 따라 소학생(초등학생), 초중생(중학생), 고중생(고등학생), 대학생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대학원을 연구원이라 부르므로 대학원생이라는 표현은 쓰이지 않고 연구생이라고 부른다.2. 2. 2. 일본
초등학생은 아동, 중·고등학생은 생도, 대학교·대학원생은 학생, 유치원생은 유아/원아라고 부른다.2. 2. 3.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6년간의 초등학교 교육이 의무이다.[4] 초등학교, 중등학교, 주니어 칼리지 또는 폴리테크닉 등의 교육 과정을 거친다.과정 | 내용 |
---|---|
초등학교 (1학년~6학년) | |
중등학교 (중학교 1학년~4학년 또는 5학년) | |
주니어 칼리지 (주니어 칼리지 1학년~2학년 - 선택) 또는 폴리테크닉 (3년 - 선택) |
통합 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들도 있다. 리버 밸리 고등학교와 같이 중학교 1학년부터 주니어 칼리지 2학년까지 같은 학교에 다니면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중학교를 마치는 시점에 치르는 "O" 레벨 시험을 치르지 않아도 된다.
국제학교는 영국, 미국, 캐나다 또는 호주 교육 과정과 같은 해외 교육 과정을 따른다.
2. 2. 4.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에서는 초등 교육이 의무 교육이다. 자녀를 적령기에 초등학교에 보내지 않는 것은 거의 범죄나 다름없지만, 법적으로 처벌받는 범죄는 아니다. 하지만 학교 대신 아이들을 일터에 보내는 것은 범죄다. 방글라데시의 사회경제적 상황 때문에 아동 노동이 때때로 합법화되기도 하지만, 보호자는 아동의 초등 교육을 보장해야 한다. 방글라데시에서는 어떤 기관이나 온라인에서 배우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학생이라고 부를 수 있다. 학부 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을 학부생이라고 부르고,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을 대학원생이라고 부른다.
'''방글라데시의 교육 체계:'''
교육 단계 | 학년 | 연령 |
---|---|---|
초등 교육 (초등학교) | 1학년~5학년 | 6세~10세 |
중등 교육 (중학교) | 6학년~8학년 | 11세~13세 |
고등 교육 (고등학교) | 9학년~10학년 | 14세~15세 |
고등 교육 (대학) | 11학년~12학년 | 16세~17세 [5] |
2. 2. 5. 브루나이
브루나이 다루살람에서는 정부 교육기관뿐만 아니라 사립 교육기관에서도 교육이 무료이다. 교육기관은 크게 정부 또는 공립 기관과 사립 기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학생들은 학사 학위와 같은 고등 자격을 얻기 위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초등학교 (1학년~6학년)
- 중학교 (7학년~11학년)
- 고등학교 (또는 6학년 센터라고도 함) (12학년~13학년)
- 대학 (대학 예비과정~전문학사)
- 대학교 수준 (학부, 대학원 및 전문 과정)
초등 교육과 중등 교육을 각각 6년과 5년에 걸쳐 이수한다. 이 두 단계를 마치면 학생들은 6학년 센터, 대학으로 진학하거나 취업할 수 있다. 학생들은 정부 및 사립 대학에서 대학교 수준의 프로그램으로 진학할 수 있다.
2. 2. 6. 캄보디아
캄보디아의 교육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다니는 모든 학생들에게 무료이다.[1]학교 | 학년 |
---|---|
초등학교 | 1학년~6학년 |
중학교 | 7학년~9학년 |
고등학교 | 10학년~12학년 |
대학 | 1년차~3년차 |
대학교 | 1년차~4년차 또는 5년차 |
기초 교육 후 학생들은 고등 교육 기관(대학 또는 대학교)에서 학사(학부)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4년이 걸리지만, 기관에 따라 일부 과정의 기간은 더 길거나 짧을 수 있다.[1]
2. 2. 7. 인도
인도의 학교는 유치원(Nursery, Lower Kindergarten 또는 LKG, Upper Kindergarten 또는 UKG), 초등학교(Class 1–5), 중학교(6–10), 고등학교(11–12) 단계로 나뉜다. 학부 과정은 공학(BTech 또는 BE), 약학(B.pharm), 농학(Bsc agriculture)이 4년제 과정이고, 건축학(B.Arch.)이 5년제 과정이며, 이학 석사(M.Sc.)(5년 통합 과정)와 의학(MBBS)이 4.5년 과정에 1년의 인턴십을 포함하여 총 5.5년인 것을 제외하고는 3년 과정이다.
2. 2. 8. 네팔
네팔에서는 12년제 학교 교육이 초등학교(1학년부터 8학년까지)와 고등학교(9학년부터 12학년까지)의 두 단계로 나뉜다. 대학교의 경우 학사 학위는 평균 4년(수의학(BVSc)과 축산학(AH)은 5년 과정, 의학(MBBS)은 5년 반 과정 제외)이며, 석사 학위는 2년이다.2. 2. 9. 파키스탄
파키스탄에서는 12년제 학교 교육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세 단계로 나뉜다. 초등학교는 5년, 중학교는 3년, 고등학교(대학이라고도 함)는 2년이 소요된다. 대부분의 학사 학위는 4년, 석사 학위는 2년이 걸린다.2. 2. 10. 필리핀
필리핀은 현재 K-12 (K+12라고도 함) 기본 교육 체계로 전환 중에 있다.[6][7][8] 교육은 이상적으로 1년의 유치원 과정으로 시작된다. 전환이 완료되면 초등학교는 1학년부터 6학년까지로 구성된다. 교육부는 특히 공립학교의 초등학생을 가리킬 때 "학생"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중등 교육 또는 고등학교는 7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중학교'와 11학년부터 12학년까지의 '고등학교', 두 가지 주요 부문으로 구성된다. 교육부는 7학년 이상의 학습자를 "학생"이라고 부른다.2. 2. 11. 이란
이란의 학교 교육은 초등학교 6년, 고등학교 6년으로 구성된 12년제이다. 고등학교는 다시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나뉘며, 고등학교에서는 수학·물리, 과학, 인문학, 이슬람 과학, 직업, 실무 및 지식 등 여섯 가지 분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졸업장을 받으며, 이를 통해 수학, 과학, 인문학, 언어,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이란 대학 입학 시험(Konkoor)에 응시할 수 있다. 대학 입학 시험은 매년 과학기술부 산하의 국가교육평가기관[9](National Organization of Education Assessment)에서 주관하며, 이 기관은 이란의 대학들을 관리한다.[10] 극심한 박해를 받는 소수 종교인 바하이교 신자들은 의사, 변호사 또는 다른 전문직 종사자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공식적으로 대학 입학이 금지되어 있다.[11] 그러나 무슬림, 기독교인, 유대교인, 조로아스터교인들은 대학 입학이 허용된다.2. 3. 아프리카
아프리카 나라별 학생에 대한 호칭은 다음과 같다.나라 | 내용 |
---|---|
나이지리아 | 나이지리아의 교육은 6-3-3-4 체계(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로 운영된다. 초등학생은 pupil, 대학생과 고등학생은 student라고 불린다.[3] 전문대학은 2년 또는 4년 교육 후 국가 졸업장(ND 또는 OND)과 고등 국가 졸업장(HND)을 수여하며, 교육대학은 2년간의 교육 후 나이지리아 교육 자격증(NCE)을 제공한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 교육은 초등학교(1학년~3학년), 중학교(4학년~7학년), 고등학교(8학년~12학년)의 세 가지 유형의 학교로 나뉜다. 고등학교 졸업반(12학년) 학생들은 매트릭스 또는 매트릭이라고 불리며, 10월과 11월에 Umalusi 협의회에서 인정하는 12학년 시험을 치른다. 대부분의 공립학교는 4학기제이고, 대부분의 사립학교는 3학기제이다. |
2. 3. 1.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의 교육은 6-3-3-4 체계로 운영된다. 이는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을 의미한다. 대학교 수학 기간은 전공에 따라 다르다. 초등학생은 흔히 pupil, 대학생과 고등학생은 student라고 불린다.[3]나이지리아 교육 체계에는 전문대학(polytechnic)과 교육대학(college of education)도 있다. 전문대학은 2년 또는 4년의 교육 후 국가 졸업장(National Diploma, ND 또는 OND)과 고등 국가 졸업장(Higher National Diploma, HND)을 수여한다. HND는 ND 또는 OND를 취득한 기관과 다른 기관에서 취득할 수 있지만, OND 자격증 없이는 HND를 취득할 수 없다.
교육대학은 2년간의 교육 후 나이지리아 교육 자격증(Nigerian Certificate in Education, NCE)을 제공한다.
2. 3. 2.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교육은 초등학교(1학년~3학년), 중학교(4학년~7학년), 고등학교(8학년~12학년)의 세 가지 유형의 학교로 나뉜다. 고등학교 졸업반(12학년) 학생들은 '매트릭스(Matrics)' 또는 '매트릭(Matric)'이라고 불리며, 10월과 11월에 Umalusi 협의회에서 인정하는 12학년 시험을 치른다. 시험 문제는 국립 기본 교육부를 통해 정부 학교에 대해 전국적으로 설정 및 관리되며, 많은 사립학교 매트릭스(Matrics)는 독립 교육 위원회(IEB)에서 설정한 시험을 치른다.남아프리카 공화국 대부분의 학교의 학년도는 1월부터 12월까지이며, 방학으로 인해 학년도는 학기로 나뉜다. 대부분의 공립학교는 4학기제이고 대부분의 사립학교는 3학기제이지만, 3학기제 공립학교와 4학기제 사립학교도 드물지 않다.
2. 4. 오세아니아
국가 | 교육 과정 | 학년 | 교육 기관 | 비고 |
---|---|---|---|---|
호주 | 유치원 | 만 3~4세 | 유치원 (선택 사항) | |
초등학교 | 만 5세 | 뉴사우스웨일스주: 유치원(Kindergarten), 빅토리아주: 예비학교(Preparatory School, prep), 남호주: 수용반(Reception) | 의무 교육 시작 | |
초등학교 | 1~6학년 (만 6~12세) | 초등학교 | ||
중등학교 | 7~12학년 (만 13~18세) | 중등학교 | ||
대학교 | 12학년 이후 | 대학교 또는 TAFE(기술 및 추가 교육(Technical and Further Education)) | TAFE에서는 직업 훈련을 받을 수 있음 | |
뉴질랜드 | 유치원 | 만 3~5세 | 유치원 또는 유아학교 (선택) | |
초등학교 | 1~6학년 | Primary School | 보통 해당 학년의 지역 학교에 다님 | |
중간학교 | 7~8학년 | Intermediate | ||
중고등학교 | 9~13학년 | secondary school/college |
2014년 이전에는 서호주, 남호주, 퀸즐랜드주에서는 초등학교 과정이 7학년까지였지만, 각 주 정부의 합의에 따라 2014년부터 모든 주에서 초등학교 과정은 6학년으로 통일되었다.[1]
2. 4. 1. 호주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만 3~4세 아동을 위한 유치원 교육은 선택 사항이다. 만 5세가 되면 의무 교육인 초등학교에 입학하는데,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는 유치원(Kindergarten), 빅토리아주에서는 예비학교(Preparatory School, prep), 남호주에서는 수용반(Reception)으로 불린다. 학생들은 1학년부터 6학년까지(만 6~12세) 교육을 받는다. 2014년 이전에는 서호주, 남호주, 퀸즐랜드주에서는 초등학교 과정이 7학년까지였지만, 각 주 정부의 합의에 따라 2014년부터 모든 주에서 초등학교 과정은 6학년으로 통일되었다. 이후 학생들은 7학년부터 12학년까지(만 13~18세) 중등학교에 다닌다. 12학년 이후에는 대학교에서 고등 교육을 받거나 TAFE(기술 및 추가 교육(Technical and Further Education))에서 직업 훈련을 받을 수 있다.2. 4. 2.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는 만 3~5세에 유치원 또는 유아학교(선택)에 다닌 후, 만 5세에 초등학교 1학년(Year One)에 입학한다. 1학년부터 6학년까지는 초등학교(Primary School)이며, 보통 해당 학년의 지역 학교에 다닌다. 7학년과 8학년은 중간학교(Intermediate)이며, 9학년부터 13학년까지는 중고등학교(secondary school) 또는 대학교(college)에 다닌다.[1]구분 | 학년 | 교육 기관 |
---|---|---|
유치원 | 만 3~5세 | 유치원/유아학교 (선택) |
초등학교 | 1~6학년 | Primary School |
중간학교 | 7~8학년 | Intermediate |
중고등학교 | 9~13학년 | secondary school/college |
2. 5. 유럽
유럽에서는 국가별로 학생을 부르는 명칭이 다르다.- '''핀란드''': 의무 교육을 받는 어린이는 "oppilas"(복수형 'oppilaat'), 고등 교육을 받는 학생은 "opiskelija"(복수형 'opiskelijat')라고 부른다.
- '''프랑스''':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학생은 élève|엘레브프랑스어, 대학교 또는 그와 유사한 수준의 학교 학생은 étudiant|에튀디앙프랑스어이라고 부른다.
- '''독일''': 대학교에 다니는 사람은 "Student"(남성) 또는 "Studentin"(여성)이라고 부른다. 학교 학생을 부르는 일반적인 용어는 "Schüler" 또는 "Schülerin"이다.

- '''아일랜드''': 초등학교(primary school)와 중등학교(secondary school)로 나누어 교육을 받는다.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에서는 학부생을 학년에 따라 "주니어 프레시먼", "시니어 프레시먼", "주니어 소피스터", "시니어 소피스터"라고 부른다. 대학교 1학년 신입생은 "프레셔", 졸업반 학생은 "파이널리스트"라고 불린다.

- '''이탈리아''': 대학교 1학년생을 ''matricola''라고 부른다.
- '''스웨덴''': 대학교 수준에서 공부하는 사람만을 학생(studentsv, 복수 studentersv)이라고 부른다. 낮은 학년에서는 elevsv(복수 eleversv)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 '''영국''': 대학교 수준에서 공부하는 사람을 "학생(student)"이라고 부른다.[12]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는 1학년을 "베장트", 2학년은 "세미베장트", 3학년은 "터티언", 4학년은 "매지스트랜드"라고 부른다.
2. 5. 1. 핀란드
핀란드에서는 학생을 "opiskelija"(복수형은 'opiskelijat')라고 부르지만, 의무 교육을 받는 어린이는 "oppilas"(복수형은 'oppilaat')라고 부른다. 최초 교육 단계는 "esikoulu"(직역하면 '유치원')이며, 2015년부터 의무 교육이 되었다. 아이들은 여섯 살이 되는 해에 esikoulu에 다니기 시작하며, 다음 해에 초등학교, 중학교에 해당하는 의무 교육인 "peruskoulu"(직역하면 "기본 학교")에 입학한다. peruskoulu는 "alakoulu"(1학년부터 6학년)와 "yläkoulu"(7학년부터 9학년)로 나뉜다. 의무 교육 후 대부분의 아이들은 lukio(고등학교) 또는 ammattioppilaitos(직업학교)에 진학하며(toisen asteen koulutus, 2단계 교육), 이 시점부터 학생(opiskelija)이라고 불린다. 일부는 yläkoulu 교육 과정을 재수강하는 "kymppiluokka"에 다닌다.응용과학대학교(ammattikorkeakoulu) 또는 대학교에 다니려면 2단계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대학교 추천 졸업 기간은 5년이다. 1학년생은 "fuksi"라고 부르며, 5년 이상 수학한 학생은 "N:nnen vuoden opiskelija"(N년차 학생)라고 부른다.
2. 5. 2.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학생을 élève|엘레브프랑스어라고 부른다. 대학교 또는 그와 유사한 수준의 학교 학생은 étudiant|에튀디앙프랑스어이라고 부른다. 일부 고등 교육 기관에서는 1학년생을 bleu|블뢰프랑스어 또는 bizuth|비쥐프랑스어라고 부른다.2. 5. 3. 독일
독일에서는 대학교에 다니는 사람을 "Student"(남성) 또는 "Studentin"(여성)이라는 독일어 단어를 사용한다. 1학년 대학생은 "Erstsemester" 또는 구어체로 "Ersties"("firsties")라고 불린다. 학교 학생을 부르는 일반적인 용어는 "Schüler" 또는 "Schülerin"이다. 학생들은 처음 4년(일부 주에서는 6년) 동안 초등학교("Grundschule")에 다닌다. 그 후, 대학 진학 준비 학교인 "김나지움"(Gymnasium)으로 진학한다. 김나지움에 다니는 학생들은 "Gymnasiasten"이라고 불리며, 다른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Hauptschüler" 또는 "Realschüler"라고 불린다. 아비투어(Abitur)를 취득한 학생들은 "Abiturienten"이라고 불린다.
2. 5. 4. 아일랜드
아일랜드의 학생들은 만 5세부터 초등학교(primary school)에 입학하여 8년 동안 교육을 받는다. 초등학교는 유치원(junior infants), 고학년 유치원(senior infants), 그리고 1학년부터 6학년까지로 구성된다.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중등학교(secondary school)에 진학하며, 중등학교는 3년의 중학교 과정(junior cycle)과 2년의 고등학교 과정(senior cycle)으로 나뉜다. 중학교 과정 3학년 말에는 모든 학생이 주니어 인증 시험(Junior Certificate)을 치러야 한다.3학년 이후에는 "전환 학년"(transition year)이라는 선택 과정을 통해 정규 수업 대신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율적이고 책임감 있는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고, 고등학교 과정의 독립적인 학습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고등학교 과정은 5학년과 6학년으로 구성되며, 6학년 말에는 모든 학생이 리빙 서티피케이트(Leaving Certificate)라는 최종 국가 시험을 치른다. 이 시험 결과는 고등 교육 진학에 중요한 기반이 되며, 각 대학 과정마다 입학에 필요한 최소 점수가 있다.[1]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에서는 학부생을 학년에 따라 "주니어 프레시먼(junior freshmen)", "시니어 프레시먼(senior freshmen)", "주니어 소피스터(junior sophister)", "시니어 소피스터(senior sophister)"라고 부른다. "소피스터(Sophister)"는 2학년(sophomore)을 의미하는 다른 용어이지만, 다른 교육 기관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2]
대학교에서는 1학년 신입생을 "프레셔(fresher)"라고 부르며, 새 학년이 시작되는 주를 "프레셔 위크(Freshers' Week)" 또는 "환영 주(Welcome Week)"라고 한다. 졸업반 학생은 "파이널리스트(finalist)"라고 불린다.[3]
2. 5. 5. 이탈리아
이탈리아에서 ''matricola''는 대학교 1학년생을 의미한다. 고전 학교나 과학 학교 수학 여부에 따라 다른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골리아르디아 입회식 전통에 따르면, 대학교 입학 연도에 따라 ''matricola''(1학년), ''fagiolo''(2학년), ''colonna''(3학년), ''anziano''(4학년) 등으로 불리지만, 이러한 구분은 골리아르디아 외부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2. 5. 6. 스웨덴
스웨덴에서는 대학교 수준에서 공부하는 사람만을 학생(studentsv, 복수 studentersv)이라고 부른다. 상급 중등 학교(gymnasium)를 졸업하는 것을 ta studentensv(말 그대로 "학생이 되다")이라고 하지만, 졸업식 이후에는 대학교 수준의 교육에 등록하지 않는 한 졸업생은 더 이상 학생이 아니다. 낮은 학년에서는 elevsv(복수 eleversv)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모든 교육 단계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는 studerandesv(복수 또한 studerandesv)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공부하는 사람'을 의미한다.2. 5. 7. 영국
전통적으로 영국에서 "학생(student)"이라는 용어는 대학교 수준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만 사용된다.[12]영국 대학교의 신입생(first-year student)은 비공식적으로 "신입생(fresher)"이라고 불리지만, 일반적으로는 "1학년생" 또는 "1학년"이라고 불린다.[12]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University of St Andrews)에서는 1학년을 "베장트(bejant)"라고 부른다.[12] 2학년은 "세미베장트(semi-bejant)", 3학년은 "터티언(tertian)", 4학년 또는 최종 학년 학생은 "매지스트랜드(magistrand)"라고 한다.[12]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는 초등학교가 선택 사항인 "유치원"으로 시작하여 수용반(reception)을 거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이어진다.[12] 국립학교에서는 11~12세에 중학교에 입학하는데, 이전에는 "1학년"이라고 불렸지만 현재는 "7학년"이라고 한다.[12] 11학년까지 진학한 후 같은 학교 또는 별도의 식스폼 칼리지(sixth form college)에서 식스폼(sixth form)에 입학한다.[12]
북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는 3~4세에 유치원 또는 수용반에서 시작하여 "P1"(Primary의 약자) 또는 "1학년"으로 초등학교를 시작한다.[12] "P7" 또는 "7학년"까지 초등학교에 다닌 후, 11세에 중학교에 입학하는데, 북아일랜드에서는 "1학년" 또는 "8학년", 스코틀랜드에서는 "S1"이라고 한다.[12] 16세에 "5학년", "12학년" 또는 "S5"까지 중학교에 다닌 후, 학교에 계속 다닐지 여부를 스스로 결정한다.[12] 북아일랜드에서는 AS 레벨("하위 식스")을 이수한 후 다음 해에 A 레벨("상위 식스")을 이수하며, 스코틀랜드에서는 16~18세 학생들이 하이어(Highers)를 이수한 후 어드밴스드 하이어(Advanced Highers)를 이수한다.[12]
2. 6. 아메리카
나라별로 학생에 대한 호칭은 다음과 같다.2. 6. 1. 캐나다
캐나다의 교육은 주 정부의 관할이며, 초등, 중등, 고등 교육으로 나뉜다. 학년 구분은 주마다 다를 수 있다.[1]퀘벡주에서는 초등학교(6년), 중등학교(5년), 대학(2~3년)의 교육 체계를 운영한다. 퀘벡의 초등학교는 école primaire프랑스어 (1~6학년), 중등학교는 école secondaire프랑스어 (7~11학년, Secondaries I~V)라고 부른다. 중등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3년제 대학 프로그램이나 2년제 대학 예비 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한다. 일부 영어 écoles secondaire프랑스어와 대부분의 프랑스어 écoles secondaire프랑스어에서는 학생들이 secondaries프랑스어 I~V를 1년차부터 5년차라고 부르기도 한다.[1]
다른 주에서는 12학년제를 운영하며, 학년 구분은 주마다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브리티시컬럼비아주는 초등학교(유치원~7학년)와 중고등학교(8~12학년)로 나누는 반면, 앨버타주와 노바스코샤주는 초등학교(유치원~6학년), 중학교(7~9학년), 고등학교(10~12학년)로 나눈다.[1]
캐나다에서 '대학'은 보통 기술, 직업, 응용 예술, 응용 기술, 응용 과학 학교 또는 커뮤니티 칼리지를 의미하며, 2년제 디플로마 증명서, 디플로마, 준학사 학위 및 (일부 경우) 학사 학위를 수여한다. 퀘벡의 대학 예비 및 기술 교육 시스템 내 공공 기관은 세gep(Collège d'enseignement général et professionnel, "일반 및 직업 교육 대학")라고 불린다.[1]
2. 6. 2. 미국
미국에서는 첫 공식적인 학년을 킨더가르텐이라고 하며, 학생들을 킨더가르텐생이라고 부른다. 킨더가르텐은 대부분의 주에서 선택 사항이지만, 이 학년을 건너뛰는 학생은 거의 없다. 유치원(Pre-K)은 최연소 학생에 대한 학업적 기대치가 계속 높아짐에 따라 교육의 표준이 되고 있다. 많은 공립학교에서 유치원 전 학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미국에서는 12년의 의무 교육이 있다. 처음 8년은 단순히 숫자로 표기(예: 1학년, 5학년)하며, 학생들을 1학년생, 5학년생이라고 부른다. 중학교에 진학하면 6학년생, 7학년생, 8학년생이라고 부른다. 고등학교(9학년~12학년, 고등학교)에 진학하면 학생들을 신입생(freshman영어), 2학년생(sophomore영어), 3학년생(junior영어), 졸업반(senior영어})이라고 부른다. 어떤 학년이 초등학교, 중학교, 중고등학교 또는 고등학교에 속하는지는 주 또는 지역 관할권에 따라 결정된다.
대학생들은 학부 과정이 전통적인 4년보다 더 길지 않는 한, 4년 동안 신입생(freshman영어), 2학년생(sophomore영어), 3학년생(junior영어), 졸업반(senior영어})이라고 불린다.
3. 기타
성적이 저조하여 유급된 학생들을 가리켜 "학년을 늦추다" 또는 "학년을 유급하다"라고 한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는 "유급하다"라고 표현하며, 필리핀에서는 "유급생"이라고 한다.[25] 대한민국에서는 1학년 학생을 '새내기'라고 부르며, 2학년 이상 학생을 '헌내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국제 학생의 날(11월 17일)은 1939년 나치가 체코슬로바키아 점령에 항의하는 학생 시위 이후 프라하 대학교를 급습한 사건을 기념하는 날이다. 독일군은 모든 체코 대학교와 대학을 폐쇄하고 1200명이 넘는 학생들을 나치 강제 수용소로 보냈으며, 11월 17일에 9명의 학생 지도자들을 처형했다.[25]
참조
[1]
웹사이트
Student Definition of Student by Oxford Dictionary on Lexico.com also meaning of Student
https://web.archive.[...]
2020-08-11
[2]
웹사이트
STUDENT definition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https://dictionary.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4-09
[3]
웹사이트
Education in Nigeria
https://wenr.wes.org[...]
2017-03-07
[4]
웹사이트
Primary
http://www.moe.gov.s[...]
2021-04-02
[5]
웹사이트
Bangladesh Education System
http://www.classbase[...]
2016-04-30
[6]
문서
K to 12 Toolkit
https://www.official[...]
2016-10-21
[7]
문서
K to 12 Curriculum Guides
https://web.archive.[...]
2016-10-21
[8]
문서
Republic Act 10533
https://www.senate.g[...]
2016-10-21
[9]
웹사이트
Sanjesh.org
http://www.sanjesh.o[...]
[10]
웹사이트
وزارت علوم، تحقیقات و فناوری - صفحات - صفحه اصلی
https://web.archive.[...]
2012-12-09
[11]
뉴스
Studying at the Bahai secret university
https://www.bbc.co.u[...]
2017-01-18
[12]
웹사이트
'Studentification': a guide to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practice
http://www.universit[...]
2009-07-11
[13]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2-12-08
[14]
웹사이트
Definition of a super senior
http://www.doubleton[...]
2006-10-05
[15]
웹사이트
Minnesota Vocational Schools, Trade Schools, Technical Schools - RWM.org
http://www.rwm.org/r[...]
2011-10-06
[16]
웹사이트
Seeley G. Mudd Manuscript Library: FAQ Student pranks
https://web.archive.[...]
Princeton.edu
2012-04-24
[17]
웹사이트
Blog Archive » Student Pranks
http://www.kiwiblog.[...]
Kiwiblog
2006-10-21
[18]
뉴스
Student prank that gave the Chinese a fit of the willie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3-11-01
[19]
웹사이트
Student Pranks! Attention!
http://www.essaymama[...]
Essaymama
2014-09-03
[20]
뉴스
Sticky student prank injures teacher
http://www.fox11az.c[...]
FOX11AZ.com
2007-06-14
[21]
웹사이트
Nightmare on student street
https://web.archive.[...]
DesignForm
2014-02-15
[22]
뉴스
Oski and Tree Have Rowdy, Long History
http://archive.daily[...]
The Daily Californian
2002-11-22
[23]
서적
Nightwork: A History of Hacks and Pranks at MIT
2003
[24]
서적
If at All Possible, Involve a Cow: The Book
[25]
웹사이트
The 17th of November: Remembering Jan Opletal, martyr of an occupied nation
http://www.radio.cz/[...]
Radio Prague
[26]
웹사이트
Student Definition of Student by Oxford Dictionary on Lexico.com also meaning of Student
https://www.lexico.c[...]
2020-08-11
[27]
웹사이트
STUDENT definition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https://dictionary.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4-09
[28]
문서
専門学校の場合は学生ではなく生徒
[29]
뉴스
「児童」と「生徒」と「学生」の違い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5-03-24
[30]
서적
東京帝国大学五十年史 上
[31]
뉴스
우리나라 소비 트렌드 .. 여중생 그룹 주도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00-09-13
[32]
뉴스
서바이벌 게임장 2곳 개장,400명 첫 입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0-05-13
[33]
뉴스
남자 대학생 절반 주 1회 이상 폭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1-02-27
[34]
법률
학생의날 제정에 관한 건
1953-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