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밑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밑씨는 속씨식물과 겉씨식물의 씨방 내에 위치하며, 씨앗을 형성하는 중요한 구조이다. 밑씨는 주심, 외피, 미세공, 칼라자, 주병 등으로 구성되며, 겉씨식물은 단일 외피를, 속씨식물은 이중 외피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밑씨 내에서 대포자모세포는 감수 분열을 통해 대포자를 생성하고, 이는 암 배우체로 발달하여 난세포를 형성한다. 수정 후 밑씨는 배와 배젖을 포함하며, 배젖은 씨앗 발달에 영양분을 공급한다. 밑씨의 외피는 포자낭의 포위로부터 진화한 것으로 여겨지며, 속씨식물의 이중 수정은 배젖 형성을 통해 배아 발달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꽃가루받이 - 과일
    과일은 식용 가능한 열매를 맺는 목본성 식물을 넓게, 과실 수확 목적의 과일나무를 좁게 의미하며, 형태, 생육 환경 등에 따라 나뉘고 단과, 집합과, 다화과 등으로 구분되며, 인류는 오래전부터 재배 및 섭취해왔고 한국에서는 과일 소비를 장려하기 위해 '과일의 날'을 지정했다.
  • 꽃가루받이 - 수정 (생물학)
    수정은 생물학에서 정자와 난자가 결합하여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는 과정이며, 유전적 재조합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체외 수정, 체내 수정, 식물 수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어난다.
밑씨
개요
씨방의 꽃 그림
씨방의 꽃 그림
유형식물 생식 구조
기능암컷 생식 세포를 보호하고 수정 후 씨앗으로 발달
관련 구조주피
배낭
주심
태좌
구조
주피배주를 둘러싸고 보호하는 외피
주공주피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화분관이 배낭으로 들어가는 통로
주심배낭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
배낭암컷 생식 세포인 난세포를 포함하는 구조
태좌씨방벽에 배주가 붙어 있는 부분
발달
배주 형성태좌에서 배주 원기가 발생
감수 분열배낭 모세포가 감수 분열을 통해 4개의 반수체 세포 형성
배낭 발달반수체 세포 중 하나가 살아남아 배낭으로 발달
수정화분관이 주공을 통해 배낭으로 들어가 난세포와 수정
씨앗 발달수정란이 배로 발달하고, 배낭은 배젖으로 발달하며, 주피는 종피로 발달
유형
직생배주주공, 주병, 배꼽이 일직선상에 위치
도생배주배꼽이 주공과 반대 방향에 위치
반전배주배주가 180도 회전하여 주공이 배꼽 옆에 위치
만곡배주배주가 구부러진 형태
굴곡배주주심과 배낭이 함께 구부러진 형태
기능
암컷 생식 세포 보호배낭 안의 난세포를 보호
수정 유도주공을 통해 화분관이 배낭으로 들어가도록 유도
씨앗 형성수정 후 씨앗으로 발달하여 종자 번식에 기여
추가 정보
중요성식물의 생식과 종자 번식에 필수적인 구조
다양성식물 종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짐

2. 위치 및 구조

속씨식물겉씨식물에서 밑씨는 서로 다른 위치와 구조를 보인다.

겉씨식물에서 밑씨는 씨방을 가지고 있는 비늘의 표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씨앗을 가진 구과(또는 거대포자엽) 내에 있다. 초기 멸종된 씨앗 고사리에서 밑씨는 잎의 표면에 있었다. 이들 분류군의 가장 최근 종에서, 컵(수정된 가지 또는 가지 그룹)이 밑씨를 둘러쌌다(예: ''케이토니아'' 또는 ''글로소프테리스'').

겉씨식물의 경우에는, 배주는 노출되어 암술 위에 늘어서 있다. 실제로는, 많은 경우 암술끼리 밀착되어 있어, 배주가 밖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2. 1. 속씨식물

속씨식물에서 밑씨는 암술의 씨방 안에 위치하며, 씨줄(funiculus)이라는 줄기 모양의 구조를 통해 태반에 부착된다. 식물 종에 따라 밑씨 부착, 즉 태좌의 다양한 패턴을 찾을 수 있다.[1]

태좌 유형설명예시
정단 태좌태반은 씨방의 꼭대기에 있다. 단일 또는 복합 씨방.
축심 태좌씨방은 방사형 세그먼트로 나뉘며, 태반은 별도의 씨방실에 있다. 심피의 복측 봉합선은 씨방의 중심에서 만난다. 태반은 심피의 융합된 가장자리를 따라 있다. 두 개 이상의 심피.무궁화, 감귤, 가지
기저 태좌태반은 씨방의 바닥(하단)에 있으며, 꽃받침의 돌출부에 있다. 단일 또는 복합 심피, 단실 씨방.씀바귀, 해바라기, 국화과
자유 중심 태좌격벽이 흡수되면서 축심에서 유래하여 밑씨가 중심 축에 남는다. 복합 단실 씨방.별꽃, 석죽
변연 태좌가장 단순한 유형. 씨방의 한쪽에만 길쭉한 태반이 있으며, 밑씨는 심피의 가장자리가 융합된 선에 부착된다. 단일 심피, 단실 씨방.완두
벽 태좌분할되지 않은 씨방 내의 씨방 안쪽 벽에 태반이 있으며, 융합된 심피 가장자리에 해당한다. 두 개 이상의 심피, 단실 씨방.배추
표면 태좌축심과 유사하지만 태반은 다실 씨방의 내부 표면에 있다.수련



배주에는 배낭 모세포가 들어 있으며, 이것이 감수 분열을 통해 4개의 세포가 되지만, 그 중 하나만 살아남아 배낭 세포가 된다. 배낭 세포는 분열을 통해 몇 개의 핵을 포함하는 배낭이 되는데, 그 중 하나가 난세포가 된다.

수정 후, 수정란은 발생을 시작하여 어린 식물이 어느 정도 형태를 갖추어 배주의 껍질(주피) 안에서 발달한다. 성숙하면 배주는 씨앗이 되고, 주피는 종피가 된다.

속씨식물의 경우, 배주는 주병으로 자방의 관다발과 연결되어 있으며, 배주는 수분 후 주병을 통해 씨앗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영양분을 받으며, 씨앗으로 성숙했을 때는 주병은 사라지므로, 주병은 포유류태아탯줄에 해당한다.

2. 2. 밑씨의 구성 요소

밑씨는 주심, 외피, 미세공(주공), 칼라자(합점) 등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 주심(Nucellus): 밑씨 내부 구조의 일부로, 대포자모세포를 포함하는 포자체성 이배체 세포층이다. 대포자모세포는 감수 분열을 통해 대포자를 생성한다.[5]
  • 외피(Integument): 밑씨를 둘러싸는 보호 세포층이다. 겉씨식물은 보통 하나의 외피(단외피)를 가지는 반면, 속씨식물은 두 개의 외피(이중외피)를 가진다.[2] 외피는 수정 후 종피로 발달한다.
  • 미세공(Micropyle, 주공): 외피가 주심을 완전히 둘러싸지 않고 남기는 작은 구멍으로, 수분 시 꽃가루 또는 꽃가루관이 들어가는 통로이다.[3]
  • 칼라자(Chalaza, 합점): 미세공 반대편에 위치하며, 주심과 외피가 연결되는 부위이다. 식물로부터의 영양분이 이곳을 통해 밑씨 내부로 이동한다.
  • 주병(funicle, 씨줄): 속씨식물의 경우, 배주는 주병으로 자방의 관다발과 연결되어 있으며, 배주는 수분 후 주병을 통해 씨앗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영양분을 받는다.

3. 발생 과정

배주 속 반수체 대포자는 여성 배우자체인 ''자성 배우자체''를 생성한다.

겉씨식물에서 자성 배우자체는 약 2000개의 핵으로 구성되며, 자성 원기를 형성하여 수정에 필요한 난세포를 생성한다.

속씨식물에서 자성 배우자체 (''배낭''이라고도 함)는 훨씬 작으며, 일반적으로 7개의 세포와 8개의 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자성 배우자체는 대포자가 3번의 유사 분열 분열을 거쳐 발달한다. 외피의 주공 입구에 가장 가까운 세포는 난세포로 분화되며, 그 옆에는 화분관을 유도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데 관여하는 두 개의 ''시너지드 세포''(협동세포)가 있다. 세 개의 ''대극 세포''(반족세포)는 배주의 반대쪽 (칼라잘) 끝에서 형성되어 나중에 퇴화한다. 배낭의 큰 ''중심 세포''에는 두 개의 ''극핵''이 있다.

배주와 자성 배우자체: 난세포 (노란색), 시너지드 (주황색), 두 개의 극핵이 있는 중심 세포 (밝은 녹색), 그리고 대극 세포 (짙은 녹색)


꽃가루관은 두 개의 정자 핵을 배주로 방출한다. 겉씨식물에서 수정은 암 배우체에 의해 생성된 장란기 내에서 발생한다. 여러 개의 난세포가 존재하고 수정될 수 있지만, 종자 내의 자원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하나의 접합자만 성숙한 배아로 발달한다.

속씨식물에서 하나의 정자 핵은 난세포와 융합하여 접합자를 생성하고, 다른 정자 핵은 중심 세포의 두 개의 극핵과 융합하여 다배체(일반적으로 삼배체) 배젖을 생성한다. 이러한 이중 수정은 속씨식물에 고유하지만, 다른 일부 그룹에서는 두 번째 정자 세포가 배우체의 다른 세포와 융합하여 두 번째 배아를 생성하기도 한다. 식물은 발달 중인 배아와 묘목의 식량원으로 전분, 단백질, 기름과 같은 영양분을 배젖에 저장하며, 이는 동물 알의 난황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 배젖은 종자의 배유라고도 한다. 접합자는 이후 자손포자체로 발달하며, 이는 차례로 하나 이상의 대포자낭을 생성한다.

속씨식물의 배낭은 발달하는 거대포자의 수에 따라 단포자성, 쌍포자성 또는 사분자포자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속씨식물의 경우, 배주에는 배낭 모세포가 들어 있으며, 이것이 감수 분열을 통해 4개의 세포가 되지만, 그 중 하나만 살아남아 배낭 세포가 된다. 배낭 세포는 분열을 통해 몇 개의 핵을 포함하는 배낭이 되는데, 그 중 하나가 난세포가 된다.

수정 후, 수정란은 발생을 시작하여 어린 식물이 어느 정도 형태를 갖추어 배주의 껍질(주피) 안에서 발달한다. 성숙하면 배주는 씨앗이 되고, 주피는 종피가 된다.

4. 수정 및 배 발달

꽃가루관은 두 개의 정자 핵을 배주로 방출한다. 겉씨식물에서 수정은 암 배우체에 의해 생성된 장란기 내에서 발생한다. 여러 개의 난세포가 존재하고 수정될 수 있지만, 종자 내의 자원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하나의 접합자만 성숙한 배아로 발달한다.

속씨식물에서는 하나의 정자 핵은 난세포와 융합하여 접합자를 생성하고, 다른 정자 핵은 중심 세포의 두 개의 극핵과 융합하여 다배체(일반적으로 삼배체) 배젖을 생성한다. 이러한 이중 수정은 속씨식물에 고유하다. 식물은 발달 중인 배아와 묘목의 식량원으로 전분, 단백질, 기름과 같은 영양분을 배젖에 저장하며, 이는 동물 알의 난황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 배젖은 종자의 배유라고도 한다. 접합자는 이후 자손포자체로 발달하며, 발달 중인 대포자체를 가진 배주는 박막배주 또는 후막배주로 설명될 수 있다.

속씨식물의 경우, 배주에는 배낭 모세포가 들어 있으며, 이것이 감수 분열을 통해 4개의 세포가 되지만, 그 중 하나만 살아남아 배낭 세포가 된다. 배낭 세포는 분열을 통해 몇 개의 핵을 포함하는 배낭이 되는데, 그 중 하나가 난세포가 된다.

수정 후, 수정란은 발생을 시작하여 어린 식물이 어느 정도 형태를 갖추어 배주의 껍질(주피) 안에서 발달한다. 성숙하면 배주는 씨앗이 되고, 주피는 종피가 된다.

5. 진화

배낭양치식물전엽체에 해당하는 구조이며, 포자낭에서 나오지 않고 그 내부에서 발달하게 된 것이다. 원래 포자엽 위에 있던 것이지만, 그 잎에 기인하는 포자낭을 보호하는 구조에 싸인 것이 씨앗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참조

[1] 서적 Concepts of Biology XI https://books.google[...] Rastogi Publications 2007
[2] 논문 The origin of the ovule 1995
[3] 서적 Paleobotany and the evolution of pla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4] 뉴스 After a dozen years of progress, the origin of angiosperms is still a great mystery 2007-12-20
[5] 간행물 BRCA2 is a mediator of RAD51- and DMC1-facilitated homologous recombination in Arabidopsis thaliana 2012
[6] 서적 Morphology and evolution of vascular plants W. H. Freeman and Company 1989
[7] 웹사이트 The Seed Biology Place:Structural seed types based on comparative internal morphology http://www.seedbiol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