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니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니노는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에 위치한 도시형 정착지이자 항구이다. 타타르 해협에 위치하며, 소베츠카야가반에서 북쪽으로 15km 떨어져 있다. 1907년에 설립되었으며, 1943년에 철도가 건설되면서 항구로 발전했다. 바니노는 유라시아 대륙 최동단의 기차역이 있는 곳으로, 석탄 및 알루미늄 등 물류 수송의 요충지 역할을 한다. 주요 산업으로는 석탄, 목재, 석유 등이 있으며, 특히 석탄 수출이 활발하다. 사할린과의 페리 운항을 통해 러시아 본토와의 연결을 제공하며, 일본 이시카리시, 대한민국 여수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행정 구역 - 뱌츠코예
    뱌츠코예는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에 위치한 마을로, 퉁구스 민족의 거주, 러시아 제국 편입, 제2차 세계 대전 시기를 거쳤으며, 김일성이 지휘한 제88독립저격여단이 주둔했고, 김정일 출생과 관련된 논란이 있는 곳이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행정 구역 - 오호츠크
    오호츠크는 러시아 극동 하바롭스크 지방의 작은 항구 도시로, 오호타강 하구에 위치하며, 코사크 월동지로 시작하여 러시아 최초의 태평양 연안 정착지 중 하나였으나, 블라디보스토크의 부상으로 중요성을 잃었고 현재는 오호츠크 공항이 있다.
  • 러시아의 항구 도시 -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는 "동방을 지배하다"라는 뜻을 가진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행정 중심지이자 항구 도시로, 태평양 함대 기지가 주둔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종착역이자 주요 무역항으로 발전했고, 한때 폐쇄 도시였다가 현재는 극동 연방관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 러시아의 항구 도시 - 세바스토폴
    세바스토폴은 크림반도 남서쪽 흑해 연안의 도시로, 러시아 제국 시대에 흑해 함대의 주요 기지로 건설되어 크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에 합병되었으나 우크라이나와 국제 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바니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로마자 표기Vanino
러시아어 표기Ванино
위치하바롭스크 변경주
행정 구역바닌스키 군
종류도시형 촌락
지위노동자 촌락
중심지 여부바닌스키 군의 행정 중심지
설립 연도1907년
웹사이트바니노 공식 웹사이트
인구 통계
2010년 인구 조사17,001명
2002년 인구 조사19,180명
1989년 인구 조사21,510명
2021년 인구14,986명
인구 밀도486명/km²
지리 정보
좌표49°05′N 140°16′E
시간대UTC+10 (블라디보스토크 시간대)
해발 고도20m
행정 및 연락 정보
우편 번호682860
지역 번호+7 42137
기타
관련 항목와니노 항
관련 지명와니노 만

2. 지리

바니노는 직선 거리로 소베츠카야가반에서 북쪽으로 15km 떨어져 있지만, 실제 도로 거리는 해안선이 매우 굴곡져 있어 약 두 배 더 멀다.

3. 역사

바닌 만은 타타르 해협에 위치해 있으며, 1874년 해안 지도를 제작하는 팀에서 일했던 지형학자 이오아킴 클레멘티에비치 바닌(И. К. Ванинru)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바니노는 1907년에 설립되었다.[2]

1943년 콤소몰스크나아무르에서 바니노 항구를 연결하는 철도 건설이 시작되어 1945년에 완공되었다. 이 철도는 바이칼-아무르 철도의 최동단 구간이었다. 바니노 기차역은 1947년에 개통되었다. 이로 인해 바니노 항구는 빠르게 성장했다.

1940년대에 바니노는 블라디보스토크와 함께 소련 "본토"에서 마가단으로 죄수를 수송하는 주요 항구였으며, 마가단은 콜리마 굴락 노동 수용소의 항구였다. 당시 정치범들은 마가단과 야쿠츠크를 잇는 국도 건설이나 국도변의 금광 등에서 강제 노동에 종사했다. 스탈린 시대 이후에도 이 항구는 러시아 북동부의 항구로 가는 최단 경로를 제공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계속 증가했다. 항만에서 처리된 화물량은 1989년에 1,150만 톤으로 정점을 찍었다.

1958년, 바니노는 소베츠카야 가반에서 행정적으로 분리되어 도시형 정착지가 되었다. 1973년에는 새로 창설된 바닌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바니노역은 유라시아 대륙 최동단의 역이다. 브라츠크에서 정련된 알루미늄이나, 넬류그리 등 남야쿠트 탄전에서 채굴된 석탄은 바무 철도 경유로 바니노까지 운반되어 항구에서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지로 수출되고 있다.

1973년 이래, 사할린의 홀름스크(옛 마오카 부근)와 바니노를 잇는 쇄빙선에 의한 페리(바니노-홀름스크 철도 연락선)가 운항하여 사할린과 러시아 본토를 잇는 연락로가 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에는 경제 혼란으로 바니노 항구는 축소되어, 2005년의 처리량은 620만 톤으로 감소했다. 한때 홀름스크를 경유하여 오타루로 향하는 국제 페리가 운항되었지만, 연료비 폭등을 이유로 2005년에 휴항되었다.

3. 1. 소련 시대

바닌 만은 타타르 해협에 위치해 있으며, 1874년 해안 지도를 제작하는 팀에서 일했던 지형학자 이오아킴 클레멘티에비치 바닌(И. К. Ванинru)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바니노는 1907년에 설립되었다.[2]

1943년 콤소몰스크나아무르에서 바니노 항구를 연결하는 철도 건설이 시작되어 1945년에 완공되었다. 이 철도는 바이칼-아무르 철도의 최동단 구간이었다. 바니노 기차역은 1947년에 개통되었다.[2] 이로 인해 바니노 항구는 빠르게 성장했다.

1940년대에 바니노는 블라디보스토크와 함께 소련 "본토"에서 마가단으로 죄수를 수송하는 주요 항구였으며, 마가단은 콜리마 굴락 노동 수용소의 항구였다. 스탈린 시대 이후에도 이 항구는 러시아 북동부의 항구로 가는 최단 경로를 제공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계속 증가했다. 항만에서 처리된 화물량은 1989년에 1,150만 톤으로 정점을 찍었다.

1958년, 바니노는 소베츠카야 가반에서 행정적으로 분리되어 도시형 정착지가 되었다. 1973년에는 새로 창설된 바닌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바니노역은 유라시아 대륙 최동단의 역이다. 브라츠크에서 정련된 알루미늄이나, 넬류그리 등 남야쿠트 탄전에서 채굴된 석탄은 바무 철도 경유로 바니노까지 운반되어 항구에서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지로 수출되고 있다.

1973년 이래, 사할린의 홀름스크(옛 마오카 부근)와 바니노를 잇는 쇄빙선에 의한 페리(바니노-홀름스크 철도 연락선)가 운항하여 사할린과 러시아 본토를 잇는 연락로가 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에는 경제 혼란으로 바니노 항구는 축소되어, 2005년의 처리량은 620만 톤으로 감소했다. 한때 홀름스크를 경유하여 오타루로 향하는 국제 페리가 운항되었지만, 연료비 폭등을 이유로 2005년에 휴항되었다.

3. 2. 소련 붕괴 이후

바닌 만은 타타르 해협에 위치해 있으며, 1874년 해안 지도를 제작한 탐험대의 지형학자 이오아킴 클레멘티에비치 바닌(И. К. Ванинru)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1940년대에 바니노는 블라디보스토크와 함께 소련 "본토"에서 마가단으로 죄수를 수송하는 주요 항구였다.

콤소몰스크나아무르에서 시작되어 1945년에 완공된 철도(향후 바이칼-아무르 철도의 최동단 구간) 건설로 바니노는 소련의 다른 지역과 육로로 연결되었다.[2] 바니노 기차역은 1947년에 개통되었으며, 이로 인해 바니노 항구는 빠르게 성장했다.[2] 바니노역은 유라시아 대륙 최동단의 역으로, 내륙으로 생활 물품을 보내는 거점이자 내륙에서 오는 산물의 집산지이다. 브라츠크에서 정련된 알루미늄이나 넬류그리 등 남야쿠트 탄전에서 채굴된 석탄은 바무 철도 경유로 바니노까지 운반되어 항구에서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지로 수출된다.

스탈린 시대 이후에도 이 항구는 러시아 북동부의 항구로 가는 최단 경로를 제공했기 때문에 중요성이 계속 증가했다. 항만에서 처리된 화물량은 1989년에 1,150만 톤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2005년에는 620만 톤이었다.

1958년, 바니노는 소베츠카야 가반에서 행정적으로 분리되어 도시형 정착지가 되었다.[2] 1973년에는 새로 창설된 바닌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2]

4. 경제

바니노는 타타르 해협 (동해의 최북단)의 중요한 항구이며, BAM 철도 노선이 이 항구를 경유한다.[3] 바니노는 화물 처리량 기준 러시아 10대 항구 중 하나이다.[3]

사할린 해운 회사는 바니노를 허브(및 주요 본토 철도 연결)로 삼고 있으며, 마가단, 페트로파블롭스크 캄차츠키, 부산까지 정기 화물선을 운항한다. 1973년부터 쇄빙선 차량, 여객선 및 바니노-홀름스크 열차 페리를 운영하여 사할린과 러시아 본토 간의 중요한 연결을 제공하고 있다.[4]

Transbunker 그룹이 운영하는 석유 터미널과 정유 공장이 있으며, 이는 선박 엔진용 연료유 생산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러시아 유일의 정유 공장이다.[5]

바니노는 보스토치니 항구(나호트카 근처) 다음으로 태평양에서 러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석탄 항구이며, 연간 1,500만 톤에서 2,000만 톤의 석탄을 처리하고 있다. 러시아 최대 석탄 생산 업체 중 하나인 메첼은 석탄 수요가 많은 아시아 시장에 석탄을 공급하기 위해 바니노에 자체 터미널을 건설했다. 이 새로운 터미널은 2012년에 완공되었으며, 연간 2,500만 톤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되었다.

2018년, 바니노 항구는 약 2,000만 톤의 석탄을 수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 최대 석탄 생산업체인 SUEK는 바니노 항구를 확장하여 수출량을 80% 이상, 즉 연간 4,000만 톤으로 늘릴 계획이다. 러시아 에너지부 장관 알렉산더 노바크는 2025년까지 러시아의 아시아 석탄 수출을 두 배로 늘릴 계획이라고 발표했다.[6]

알카임(목재 판매업)이 있다.

4. 1. 주요 산업

바니노는 타타르 해협 (동해의 최북단)에 있는 중요한 항구이며, BAM 철도 노선이 이 항구를 경유한다.[3] 바니노는 화물 처리량 기준 러시아 10대 항구 중 하나이다.[3]

사할린 해운 회사는 바니노를 허브(및 주요 본토 철도 연결)로 삼고 있으며, 마가단, 페트로파블롭스크 캄차츠키, 부산까지 정기 화물선을 운항한다. 1973년부터 쇄빙선 차량, 여객선 및 바니노-홀름스크 열차 페리를 운영하여 사할린과 러시아 본토 간의 중요한 연결을 제공하고 있다.[4]

Transbunker 그룹이 운영하는 석유 터미널과 정유 공장이 있으며, 이는 선박 엔진용 연료유 생산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러시아 유일의 정유 공장이다.[5]

바니노는 보스토치니 항구(나호트카 근처) 다음으로 태평양에서 러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석탄 항구이며, 연간 1,500만 톤에서 2,000만 톤의 석탄을 처리하고 있다. 러시아 최대 석탄 생산 업체 중 하나인 메첼은 석탄 수요가 많은 아시아 시장에 석탄을 공급하기 위해 바니노에 자체 터미널을 건설했다. 이 새로운 터미널은 2012년에 완공되었으며, 연간 2,500만 톤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되었다.

2018년, 바니노 항구는 약 2,000만 톤의 석탄을 수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 최대 석탄 생산업체인 SUEK는 바니노 항구를 확장하여 수출량을 80% 이상, 즉 연간 4,000만 톤으로 늘릴 계획이다. 러시아 에너지부 장관 알렉산더 노바크는 2025년까지 러시아의 아시아 석탄 수출을 두 배로 늘릴 계획이라고 발표했다.[6]

알카임(목재 판매업)이 있다.

4. 2. 바니노-홀름스크 철도 연락선

바니노는 타타르 해협(동해의 최북단)의 중요한 항구이며, BAM 철도 노선이 이 항구를 경유한다. 화물 처리량으로 측정했을 때 러시아 10대 항구에 속한다.[3]

1973년부터 사할린 해운 회사는 쇄빙선 차량, 여객선 및 바니노-홀름스크 철도 연락선을 운영하여 사할린과 러시아 본토 간의 중요한 연결을 제공하고 있다.[4] 1940년대를 통해 바니노는 블라디보스토크와 함께 오호츠크해 북쪽의 마가단 항구와 대륙 본토를 잇는 연락선 발착 항구였으며, 콜리마 광산의 굴라그(강제 수용소)로 보내지는 정치범들도 바니노에서 마가단 항구로 보내졌다.[9] 스탈린 시대 이후에도, 소련 최동단 지역으로의 최단 항로를 제공하는 바니노 항구의 중요성은 높아져 1989년에는 항구의 화물 처리량이 1,150만 톤에 달했다.[9] 또한 1973년 이래, 사할린의 홀름스크(옛 마오카 부근)와 바니노를 잇는 쇄빙선에 의한 페리(바니노-홀름스크 철도 연락선)가 운항하여 사할린과 러시아 본토를 잇는 연락로가 되었다.[9]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에는 경제 혼란으로 바니노 항구는 축소되어, 2005년의 처리량은 620만 톤으로 감소했다.[9] 한때 홀름스크를 경유하여 오타루로 향하는 국제 페리가 운항되었지만, 연료비 폭등을 이유로 2005년에 휴항되었다.[9]

4. 3. 석탄 산업 확장

바니노는 타타르 해협 (동해의 최북단)의 중요한 항구이며, BAM 철도 노선이 이 항구를 경유한다. 이 부락의 경제적 중요성은 화물 처리량으로 측정했을 때 러시아 10대 항구에 속하는 항구에 기반을 두고 있다.[3]

바니노는 보스토치니 항구(나호트카 근처) 다음으로 태평양에서 러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석탄 항구이며, 연간 1,500만 톤에서 2,000만 톤의 석탄을 처리하고 있다. 러시아 최대 석탄 생산 업체 중 하나인 메첼은 석탄 수요가 많은 아시아 시장에 석탄을 공급하기 위해 바니노에 자체 터미널을 건설했다. 이 새로운 터미널은 2012년에 완공되었으며, 연간 2,500만 톤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되었다.

2018년, 바니노 항구는 약 2,000만 톤의 석탄을 수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 최대 석탄 생산업체인 SUEK는 바니노 항구를 확장하여 수출량을 80% 이상, 즉 연간 4,000만 톤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러한 확장은 아시아 시장의 석탄 수요 증가를 충족하기 위한 것이다. 러시아 에너지부 장관 알렉산더 노바크는 2025년까지 러시아의 아시아 석탄 수출을 두 배로 늘릴 계획이라고 발표했으며, 이는 SUEK 확장의 또 다른 촉매제가 될 것이다.[6]

5. 자매 도시

바니노는 다음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7]


  • 이시카리 (일본)
  • 여수 (대한민국)

참조

[1] 간행물 2010Census
[2] 웹사이트 История http://www.admpos-va[...] 2011-11-01
[3] 웹사이트 Vanino Commercial Sea Port http://www.ceebd.co.[...] City Business Promotion Centre Ltd 2009-11-27
[4] 웹사이트 SASCO: Vanino-Kholmsk http://www.sasco.ru/[...]
[5] 웹사이트 Vanino Oil Terminal http://www.transbunk[...] Transbunker Group
[6] 웹사이트 Russia Seeks Expansion to Asian Coal Market Despite Strong Competition https://russiabusine[...] Russia Business Today 2018-09-17
[7] 뉴스 Край от севера до юга http://www.rg.ru/200[...]
[8]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5-24
[9] 간행물 4 月の木材価格・需給動 https://www.jawic.or[...] 日本木材総合情報センター 2013-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