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레인 쇼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레인 쇼크는 2007년 7월 15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2007년 AFC 아시안컵 D조 2차전에서 바레인이 대한민국을 2-1로 이긴 경기를 지칭한다. 이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김두현의 선제골에도 불구하고 살만 이사와 이스마일 압둘라티프에게 골을 허용하여 역전패했다. 이 패배로 인해 대한민국은 조별 예선 통과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핌 베어벡 감독이 사퇴하는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아시아, 북중미카리브, 남미, 오세아니아의 팀들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월드컵 본선 진출을 놓고 경쟁한 결과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오스트레일리아가 본선에 진출했으며, 특히 오스트레일리아는 32년 만에 승부차기 끝에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4개 국가대표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뉴질랜드와 우루과이가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 2007년 AFC 아시안컵 -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07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24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최종 예선에서 각 조 1, 2위 팀이 본선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2007년 AFC 아시안컵 - 2007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
    2007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은 해당 대회에 참가한 각국 대표팀 선수들의 정보, 감독, 클럽 정보, 통계 자료 등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사 - 공한증
    공한증은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관계에서 오랫동안 우위를 점하며 중국이 한국을 두려워했던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2010년 이후 중국의 승리로 그 의미가 희석되었음에도 양국 축구 관계를 설명하는 역사적 용어로 남아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사 - 을용타
    을용타는 2003년 동아시아컵 축구 경기에서 이을용이 중국 선수의 뒤통수를 가격한 사건과 이를 소재로 한 인터넷 패러디를 일컫는 사건이다.
바레인 쇼크
경기 정보
대회2007년 AFC 아시안컵 D조 제4경기
경기 날짜2007년 7월 15일
경기장자카르타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심판쑨바오졔 (중국)
결과
팀 1 협회BFA
팀 1 득점2
팀 2 협회KFA
팀 2 득점1
기타 정보
제목바레인 대 대한민국
다른 제목바레인 쇼크

2. 경기 내용

2007년 7월 15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에서 열린 바레인대한민국2007년 AFC 아시안컵 D조 2차전 경기에서 바레인이 대한민국을 2-1로 꺾었다. 바레인은 살만 이사와 이스마일 압둘라티프가 득점하였고, 대한민국은 김두현이 득점하였다.

경기 시작 4분 만에 김두현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전반 43분 살만 이사에게 동점골을 허용했다. 후반 40분에는 이스마일 압둘라티프에게 역전 결승골을 내주며 1-2로 패배했다.

이 경기에서 바레인의 감독은 밀란 마찰라/밀란 마찰라cs였고, 대한민국의 감독은 핌 베어벡이었다.

2. 1. 상세 정보

2007년 7월 15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에서 열린 바레인대한민국2007년 AFC 아시안컵 D조 2차전 경기에서 바레인이 대한민국을 2-1로 꺾었다. 바레인은 살만 이사와 이스마일 압둘라티프가 득점하였고, 대한민국은 김두현이 득점하였다.

경기 시작 4분 만에 김두현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전반 43분 살만 이사에게 동점골을 허용했다. 후반 40분에는 이스마일 압둘라티프에게 역전 결승골을 내주며 1-2로 패배했다.

이 경기에서 바레인의 감독은 밀란 마찰라/밀란 마찰라cs였고, 대한민국의 감독은 핌 베어벡이었다.

2. 2. 양 팀 선수 명단

2. 3. 통계

내용이 비어있어 문서를 추가할 수 없습니다.

3. 대한민국의 패인

대한민국은 당시 전력이 매우 약하여 바레인 쇼크의 패인이 되었다.

4. 경기 후

대한민국은 2차전에서 바레인에 패배한 후, 3차전 인도네시아를 이겨야 했지만 사우디아라비아바레인이 비기면 탈락하는 상황이었다.[3] 이는 AFC 아시안컵의 규칙상, 승점이 같으면 FIFA 월드컵처럼 골득실-다득점-승자승 원칙 순으로 평가하는 게 아니라, UEFA 유로처럼 승자승 원칙을 먼저 보기 때문이었다.[3] 승자승 원칙이란, 축구에서 승점이 서로 같은 국가들끼리 맞대결에서 승패를 통해 승부를 가리는 규칙을 말한다. 대한민국은 바레인과의 맞대결에서 2:1로 패했기 때문에 승자승 원칙에 따라 탈락할 수밖에 없었다.[3] 또한 바레인과 사우디아라비아가 서로 중동 국가에 속한 형제 국가들이라 1982년 FIFA 월드컵히혼의 수치처럼 일부러 서로 짜고 경기하여 비기는 작전으로 나갈 가능성도 우려되었다.[3]

사우디아라비아는 바레인을 4:0으로 이겼지만, 대한민국은 인도네시아에 1:0으로 간신히 이기며 8강에 진출했다.[3] 결과는 도하의 기적에 가까웠지만, 경기력은 매우 좋지 않았다.[3] 인도네시아와의 경기에서도 많은 기회가 있었지만 김정우의 선제골을 제외하고는 모두 골을 넣지 못했다.[3]

일부 사람들은 베어벡 감독의 사퇴를 요구했고, 결국 베어벡 감독은 AFC 아시안컵에서 3위를 한 후 사퇴했다.[3] 이는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대한민국이 일본에게 1:0으로 패한 것과는 대조적이다.[3] 당시 대한민국과 일본은 실력 차가 비슷했던 반면, 바레인은 대한민국에 비해 축구 실력이 현저히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이 패했기 때문이다.[3]

도하의 기적과 같이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이라크가, 2007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대한민국을 기사회생시켜 주었다. 즉, 모두 서아시아 국가들이 대한민국을 도왔다.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도 대한민국이 우즈베키스탄과 비겼을 때, 이란시리아에게 패하지 않아 대한민국이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데 기여했다.[3]

2007년 AFC 아시안컵에서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제외하고,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일본을 만났는데, 이들은 모두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만났던 국가들이다.[3]

5.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한국, 선제골 넣고도 바레인에 충격패 http://foto.sportsch[...] 2007-07-16
[2] 뉴스 이번엔 '바레인 쇼크'... 한국, 바레인에 1-2 역전패 예선 탈락 위기 http://www.edaily.co[...] 2007-07-16
[3] 뉴스 <아시안컵축구> 사이버공간 `바레인 쇼크' 성토 http://sports.news.n[...] 2007-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