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노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노강은 그 명칭의 기원이 불확실한 강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비(非) 인도유럽어족 요소인 'ar(i)n'에서 유래하여 슬라브어 형태인 'Warnow'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중세 슬라브 부족인 바르나비가 이 강에서 이름을 따왔을 수 있다. 고대 지리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이 강을 'Chalusus'로, 중세 시대에는 'Goderak'과 유사한 이름으로 언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의 강 - 하펠강
하펠강은 독일 북동부를 흐르는 325km 길이의 강으로, 메클렌부르크 호반 지대에서 발원하여 엘베강으로 합류하며 베를린과 포츠담을 지나고, 역사적으로 수운 교역 중심지이자 독일 분단 시기 동서 베를린 경계였으며 현재는 독일 주요 내륙 수로이자 수상 스포츠와 관광 명소를 제공한다.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의 강 - 페네강
페네강은 독일 북동부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에 위치한 강으로, 여러 지류와 합류하여 쿠머로베 호수로 흘러 들어가 앙클람을 거쳐 오데르 석호로 이어지며, 특히 페네 계곡은 "북쪽의 아마존"이라고 불리는 중부 유럽 최대의 늪 지역 중 하나이다.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 로스토크
로스토크는 독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 발트해 연안의 항구 도시로, 한자 동맹 가입과 로스토크 대학교 설립으로 번성했으나 전쟁과 갈등으로 쇠퇴, 이후 무역과 조선업, 항공기 제조업으로 경제를 회복, 동독 시대 최대 항구 도시였으나 통일 후 인구 감소를 겪었지만 현재는 문화 및 관광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 슈베린
슈베린은 독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의 주도로, 슬라브족 정착지에서 유래하여 메클렌부르크 공령의 수도로 번성했으며 호수로 둘러싸인 아름다운 경관과 역사적 건축물을 자랑하는 약 9만 5천 명의 도시이다. - 독일의 강 - 라인강
라인강은 스위스 알프스에서 발원하여 북해로 흐르는 1,036.20km의 유럽 주요 강으로, 6개국을 지나며 군사적·문화적 요충지이자 수운로로서 기능해 왔으나, 수질 오염과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 문제 또한 안고 있다. - 독일의 강 - 다뉴브강
다뉴브강은 독일에서 발원하여 흑해로 흘러드는 유럽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여러 나라의 수도를 지나며 수운 및 문화적 경계 역할을 하고, 풍부한 생물다양성과 역사적 유산을 지닌 국제적인 강이다.
바르노강 | |
---|---|
개요 | |
이름 | 바르노강 |
독일어 이름 | Warnow |
로마자 표기 | Barenogang |
IPA (독일어) | /ˈvaːʁno/ |
지리 | |
위치 | 독일 |
주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
발원지 | 메클렌부르크 |
하구 | 발트해 |
길이 | 155.4 km |
유역 면적 | 3324 km² |
기타 |
2. 명칭 및 어원
이 명칭의 기원은 불확실하다. 중세 슬라브 부족인 바르나비는 바르노강에서 그들의 이름을 따왔을 것으로 추정된다.[1]
2. 1. 비(非) 인도유럽어족 어원설
이 명칭의 기원은 불확실하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비(非) 인도유럽어족(아마도 특히 하티어일 것으로 추정) 요소인 ''ar(i)n'' ('샘, 시내')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로 인해 슬라브어 형태인 ''Warnow''가 /v-/의 첨가를 통해 생겨났을 가능성이 있다.[1]2. 2. 중세 시대 명칭
최근 연구에 따르면 비(非) 인도유럽어족(아마도 특히 하티어일 것으로 추정) 요소인 ''ar(i)n'' ('샘, 시내')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로 인해 슬라브어 형태인 ''Warnow''가 /v-/의 첨가를 통해 생겨났을 가능성이 있다.[1] 중세 슬라브 부족인 바르나비는 바르노프 강에서 그들의 이름을 따왔을 가능성이 있다. 고대 지리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서기 150년경 바르노프 강과 일치하는 위치의 강을 Χαλοῦσος (Chalususla)라고 불렀다.[2] 이 강은 또한 중세 시대 몇몇 자료에서 ''Goderak''과 유사한 이름으로 등장한다. 예를 들어, ''크뉘틀링가 사가'' 119장에는 ''Guðakrsá'' ('신의 밭 강')로,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데인인의 사적''에는 ''ad Gudacram amnem'' ('구다크라 강으로'; 14.25.16)이라는 구절로 나타난다.[3] 한편, 뤼베크의 아놀드의 ''슬라브족 연대기''에는 오보드리테스의 사도 베르노가 'pro Gutdracco Godehardum episcopum venerari constituit' ('굿드라코 대신 힐데스하임의 고타르트 주교에 대한 존경을 제정했다')라고 언급되어 있다.[4] 이 굿드라코는 다른 기록에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 신의 이름이 강 이름의 민간 어원학적 해석으로 생겨났다는 의혹도 있다.[5]참조
[1]
서적
Ortsnamen und Ortsgeschichten auf Rügen mitsamt Hiddensee und Mönchgut: Anmerkungen zur Geschichte
Books on Demand
2003
[2]
웹사이트
Claudius Ptolemaios: Geographike Hyphegesis, Ch. 11: Germania Magna
https://penelope.uch[...]
[3]
서적
Gesta Danorum: The History of the Danes
Clarendon Press
2015
[4]
서적
Mitologia slava: studi sulla mitologia dei popoli slavi. Antologia
Universita degli studi di Pisa, Istituto di lingua e letteratura russa
1995
[5]
서적
Ortsnamen und Ortsgeschichten auf Rügen mitsamt Hiddensee und Mönchgut: Anmerkungen zur Geschichte
Books on Demand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