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티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티어는 고대 아나톨리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분류상 북서 코카서스어족, 남 코카서스어족, 예니세이어족, 부루샤스키어 등과의 연관성이 제기된다. 하티어는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접두사와 접미사를 활용하여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알려진 어휘로는 "혀"를 뜻하는 'alef', "땅"을 뜻하는 'fur' 등이 있다. 하티어 화자가 직접 기록한 문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히타이트인들이 남긴 기록을 통해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티인 - 하투샤
    하투샤는 튀르키예 보아즈칼레 근처에 위치한 고대 도시 유적으로, 기원전 17세기부터 12세기까지 히타이트 제국의 수도였으며 거대한 성벽, 왕궁, 사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보아즈쾨이 문서 보관소와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 점토판 등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쐐기 문자 - 수메르어
    수메르어는 기원전 4천 년기 후반부터 기원전 2천 년기 초까지 메소포타미아 남부에서 사용된 고립어로, 쐐기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문학 작품과 행정 기록을 통해 연구되고, 아카드어에 밀려 사어가 되었지만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쐐기 문자 - 점토판
    점토판은 기원전 3000년경부터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쐐기 문자를 새겨 넣어 영수증, 학술서, 외교 문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 기록 매체이다.
  • 고립어 (비교언어학) - 아이누어
    아이누어는 일본 홋카이도와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일본어 교육 강화와 차별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부흥 운동과 언어 보존 노력으로 학습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홋카이도 방언만 남아 있고 교착어의 특징과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진다.
  • 고립어 (비교언어학) - 마푸체어
    마푸체어는 남아메리카 마푸체족이 사용하는 고립어 또는 미분류 언어로, 다양한 방언과 포합어 및 교착어적 문법 특징을 가지며, 라틴 문자로 표기하고 언어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티어
언어 정보
이름하티어
다른 이름하투실리어
사용 지역아나톨리아
민족하티인
사용 시기기원전 2천년기
언어 계통분류 불명 (하토-카스카어족?)
언어 부호(ISO 639-3)xht
언어 부호(Glottolog)hatt1246
Glottolog 명칭하티어

2. 분류

하티어는 주변 언어들과의 계통 관계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고립어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일부 학자들은 하티어와 북서 코카서스어족, 남 코카서스어족과의 연관성을 제시하기도 한다.[4][5][6][7] 또한 예니세이어족, 부루샤스키어 등과의 어휘적 유사성도 제기된다.[8][9] 하티어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교착어의 특징을 보이며, 접두사와 접미사를 통해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2. 1. 북서 코카서스어족과의 연관성

일부 학자들은 하티어와 압하스-아디게어족 간의 유사성을 근거로, 중앙 아나톨리아에서 코카서스에 이르는 언어 블록의 가능성을 제안한다.[4][5][6][7] 알렉세이 카시안에 따르면, 하티어와 예니세이어족, 부루샤스키어 사이에도 어휘적 일치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혀"는 하티어에서 ''alef''이고, 코트어에서 ''alup''이며, "달"은 하티어에서 ''kap''이고 케트어에서 ''qīp''이며, "산"은 하티어에서 ''ziš''이고 부루샤스키어에서 ''ćhiṣ''이다(또한 "돌"에 대한 원시 예니세이어 단어인 ''*čɨʔs''와 비교).[8][9]

2. 2. 예니세이어족, 부루샤스키어와의 연관성

알렉세이 카시안은 하티어와 예니세이어족, 부루샤스키어 사이에도 어휘적 일치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8][9] 다음은 그 예시이다.

하티어예니세이어족부루샤스키어
alef (혀)코트어 alup (혀)
kap (달)케트어 qīp (달)
ziš (산)부루샤스키어 ćhiṣ (산) (참고: "돌"에 대한 원시 예니세이어 단어 *čɨʔs)


3. 문법

하티어는 교착어적인 특징을 가지며, 접두사접미사를 통해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하티어는 복수 표현과 격조사를 사용했다.

3. 1. 복수 표현

하티어에서는 le-|레xht 접두사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복수를 형성한다고 알려져 왔다. 예를 들어 "어린이"는 le-pinu|레피누xht이다. 그러나 오늘날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이를 소유 대명사 부착사로 간주하며, "그의" 또는 "그들의"를 의미한다고 해석한다.[11] 하티어는 접두사 fa-|파xht를 붙여 집합 복수를 형성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fa-shaf|파샤프xht는 "신들"을 의미한다.

3. 2. 격조사

속격은 접미사 '-(u)n'으로 표시된다. (예: furxht "땅", furunxht "땅의")[12] 일부 학자들은 대격이 'es-'로 표시되었다고 주장하지만 (ess-alepxht "단어" 등), 다른 학자들은 이를 소유 대명사 부착사로 본다.[12]

4. 어휘

alefxht = "혀"


ashafxht = "신"


fa-zarixht = "인류, 인구"


felxht = "집"


  • finduxht = "포도주" (복합어 ''findu-qqaram'' "포도주 국자"에서 발견됨)

furxht = "땅"


Furun-Kattexht = "땅의 왕", 하티어 전쟁 신


Furu-Semuxht = 하티어 태양 여신


Hanfasuitxht = 하티어 옥좌 여신


hilamarxht = "사원"


Kaskuxht = 하티어 달의 신


kattexht = "왕"

  • nifasxht = "앉다"

pinuxht = "아이"


zarixht = "필멸자"

  • zixht = "놓다"

5. 기록 자료

CTH 738: 여신 테테스하피 축제


하티어를 사용한 화자가 자신의 언어로 직접 작성한 문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현재 하티어 연구는 간접적인 자료나 이웃이자 후계자인 히타이트인들이 남긴 기록에 의존해야 한다. 기원전 14세기와 13세기에 히타이트 사제들이 작성한 종교적인 점토판에서 일부 하티어 단어를 발견할 수 있다. 텍스트 기호의 행간에는 "사제가 이제 하티어로 말한다"라는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10]

하티어 단어의 어근은 산, 강, 도시, 신들의 이름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다른 하티어 단어들은 일부 신화 텍스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발행된 모든 하티어 문서는 히타이트 텍스트 목록 (CTH)에 목록화되어 있다. 하투사에서 발견된 문서는 CTH 725-745에 걸쳐 있다. 이 중 CTH 728, 729, 731, 733, 736은 하티어/히타이트어 이중 언어 문서이다. CTH 737은 네리크에서 열리는 축제를 위한 하티어 주문이다. 단편적이지만 중요한 이중 언어 문서 중 하나는 "하늘에서 떨어진 달의 신" 이야기이다. (2004년까지 출판되지 않은 사피누와에도 추가적인 하티어 텍스트가 있다.)

참조

[1] 서적 A Mystery in Clay: Codes, Languages, and a Journey Through Time to the Last Ice Age AuthorHouse
[2] 백과사전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3] 웹사이트 Hattian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4] 논문 On the Relationship of Hattic to the Northwest Caucasian languages Nauka
[5] 서적 Peoples of the Caucasus Eastword Publications
[6] 논문 Nekotorye sxodnye strukturnye priznaki xattskogo i abxazo-adygskix jazykov Nauka
[7] 논문 Xattskij (protoxettskij) jazyk Nauka
[8] 서적 Хаттский язык Academia
[9] 논문 Hattic as a Sino-Caucasian language
[10] 서적 The Hattian and Hittite Civilizations
[11] 문서 Zsolt 2012: 132 and Schrijver 2018: 214-215
[12] 서적 Reconstructing languages and cultures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