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르트리하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트리하리는 5세기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인도의 철학자이자 언어학자로, 언어 철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바키야파디야》를 저술하여 언어와 영적 해탈의 관계를 탐구했으며, '샤브다-브라만' 개념을 통해 궁극적 실재가 단어를 통해 표현된다고 주장했다. 그의 저작으로는 문법에 관한 책들과 시집 《샤타카트라야》가 있으며, 그의 철학은 베단타 등 다양한 인도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산스크리트어학자 - 파탄잘리
    파탄잘리는 고대 인도에서 문법학, 요가 철학, 의학 분야에 중요한 업적을 남긴 인물로, 산스크리트 문법 체계 완성, 요가 수행의 철학적 근거 제시, 의학 텍스트 저술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타밀 싯다 전통에서 숭배받는다.
  • 고대 산스크리트어 문법학자 - 파니니
    파니니는 고대 인도의 언어학자로, 고전 산스크리트어 문법서 《아슈타디야이》를 저술하여 현대 언어학과 컴퓨터 과학에 영향을 미쳤다.
  • 고대 산스크리트어 문법학자 - 파탄잘리
    파탄잘리는 고대 인도에서 문법학, 요가 철학, 의학 분야에 중요한 업적을 남긴 인물로, 산스크리트 문법 체계 완성, 요가 수행의 철학적 근거 제시, 의학 텍스트 저술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타밀 싯다 전통에서 숭배받는다.
  • 고대의 언어학자 - 파탄잘리
    파탄잘리는 고대 인도에서 문법학, 요가 철학, 의학 분야에 중요한 업적을 남긴 인물로, 산스크리트 문법 체계 완성, 요가 수행의 철학적 근거 제시, 의학 텍스트 저술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타밀 싯다 전통에서 숭배받는다.
  • 고대의 언어학자 - 공손룡
    공손룡은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변론가이자 철학자로, 명가 학파의 대표적 인물이며, '백마비마설'과 '견백론' 등의 독특한 논리를 통해 이름과 실체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논리학과 변론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바르트리하리
기본 정보
이름바르트리하리
로마자 표기Bhartṛhari
바르트리하리의 이미지 (미상 Hindi어 원고)
생애
시대기원후 5세기
지역마디아프라데시 주, 인도
출생지우자인
학문
주요 관심사문법
언어학
언어산스크리트어
사상
주요 저서바캬파디야
주요 사상스포타

2. 생애와 배경

바르트리하리는 인도 말와의 우자이에서 태어나 5세기에 살았던 것으로 여겨진다.[1][2][3] 학자들은 그가 서기 485년에서 540년 사이에 살았을 것으로 추정한다.[1][3][4] 발라비 (현대 구자라트의 발라) 궁정과 관련이 있었으나, 인도 현자의 길을 따르기 위해 감각적인 삶을 버리고 더 높은 의미를 추구하였다.[2] 수도 생활을 시도했지만 세속적인 쾌락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이후 우자이에서 요기의 삶을 살았다.[2]

6세기 자이나교 작가인 Simhasūrigaṇi는 바르트리하리가 바수라타라는 문법학자 밑에서 공부했다고 언급하며, 바르트리하리는 자신의 저서 바캬파디야에서 바수라타에게 일부 이론을 빚지고 있다고 말한다.[1][4]

중국 여행가 의정 (635-713 CE)은 자신의 여행기에서 바르트리하리가 불교 신자이며, ''바캬파디야'', ''페이나'', 파탄잘리의 마하바샤 주석을 저술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의정이 제시한 세부 사항, 특히 생존 기간과 불교 신자였다는 점에 오류가 있음을 발견했다.[5] 바르트리하리의 철학은 냐야의 철학적 실재론과 유사하며, 현상론에 가까웠던 디그나가 등의 불교적 입장과는 반대되는 비아카라나 학파로 여겨진다.[6][7]

3. 철학적 기여

바르트리하리는 언어 철학 분야에 큰 기여를 했으며, 특히 그의 저서 《바키야파디야/वाक्यपदीयsa》(Vākyapadīya, "문장과 단어에 관한 논문")에 담긴 이론으로 유명하다. 이 책은 문법과 그 형이상학적 기초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이다. 바르트리하리의 철학은 "샤브다-브라만"이라는 개념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이는 궁극적 실재가 단어를 통해 표현된다고 주장한다. 그는 언어와 인지가 연결되어 있으며, 문법을 이해함으로써 영적 해탈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4. 저작

바르트리하리는 언어 철학 분야의 저작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문법(vyākaraṇa)에 관한 네 권의 책을 썼다.


  • 바키아파디야
  • 마하바샤티카 (파탄잘리의 Vyākaraṇa-Mahābhāṣya에 대한 초기 부주석)
  • 바키아파디야브리티(''Vākyapadīya kāṇḍas'' 1과 2에 대한 주석)
  • 샤브다다투사미크샤[1][5][8][9]


시인으로서 그는 또한 300개의 구절로 구성된 3부작 모음집인 ''샤타카트라야'', 또는 ''샤타카''를 썼다.[11][3]

바키아파디야는 트리카단디(세 권)로도 알려져 있으며, 언어 철학, 문법, 의미론에 관한 인도의 언어학 논문이다. 3개의 주요 부분(또는 칸다)으로 나뉘는데, 브라흐마-칸다(브라만의 책), 바캬-칸다(문장의 책), 파다-칸다(단어의 책)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635개의 구절을 담고 있다. 브라흐마-칸다는 언어의 형이상학적 측면을, 바캬-칸다는 문장 구조와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파다-칸다는 단어의 의미, 음성학, 형태론, 의미론에 중점을 둔다. 바르트리하리의 철학은 "스포타"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다. 그는 스포타가 단어(들)의 의미를 전달하며, 단어(들)를 들을 때 청취자에게 드러난다고 믿었다. 파탄잘리와 달리, 바르트리하리는 발화의 각 요소, 즉 바르나(varṇasphoṭa; 문자 또는 음절), 파다(padasphoṭa; 단어), 바캬(vākyasphoṭa; 문장)에 스포타라는 용어를 적용한다.

''마하바샤티카''(Mahābhāṣyatikā)는 '트리파디'(Tripadi) 또는 '마하바샤디피카'(Mahabhashyadipika)라고도 하며, 파탄잘리의 ''마하바샤''(Mahabhashya)에 대한 주석이다. 마하바샤는 다시 파니니의 ''아슈타디야이''(Aṣṭādhyāyī)에 대한 주석이다. 바르트리하리는 문법 규칙을 분석하고 언어의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측면을 탐구한다. 이 텍스트에서 바르트리하리는 단어와 의미의 연결에 대해서도 논의하며, 이는 ''바키아파디야''(Vākyapadīya)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이 텍스트는 산스크리트 문법학자와 철학자들이 연구한다.

''샤타카트라야''(Śatakatraya, "세 개의 세기": ''샤타카,'' "세기"; ''트라야,'' "셋")는 각각 100개의 구절로 구성된 세 개의 모음집이다.[3][11] 이 모음집은 ''니티 샤타카''(Niti Śataka, 윤리, 정당한 삶의 원칙을 상세히 설명), 시린가라 샤타카(Śringara Śataka, 사랑, 사랑과 관계의 복잡성을 상세히 설명), ''및 바이라기야 샤타카''(Vairagya Śataka, 초탈, 바르트리하리의 출가에 대한 성찰)이다.[3][11] 작곡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바르트리하리의 생애에 걸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진다.[3][11] 바르트리하리는 복잡한 아이디어를 전달하기 위해 은유, 직유, 역설을 포함한 다양한 시적 장치를 사용한다.[3][11]

4. 1. 바키야파디야 (Vākyapadīya)

바르트리하리의 《바키야파디야》는 《트리카단디》(세 권)로도 알려져 있으며, 언어 철학, 문법, 의미론에 관한 인도의 언어학 논문이다. 3개의 주요 부분(또는 칸다)으로 나뉘는데, 《브라흐마-칸다》(브라만의 책), 《바캬-칸다》(문장의 책), 《파다-칸다》(단어의 책)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635개의 구절을 담고 있다. 《브라흐마-칸다》는 언어의 형이상학적 측면을, 《바캬-칸다》는 문장 구조와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파다-칸다》는 단어의 의미, 음성학, 형태론, 의미론에 중점을 둔다.

바르트리하리의 철학은 "스포타"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다. 그는 스포타가 단어(들)의 의미를 전달하며, 단어(들)를 들을 때 청취자에게 드러난다고 믿었다. 파탄잘리와 달리, 바르트리하리는 발화의 각 요소, 즉 바르나(varṇasphoṭa; 문자 또는 음절), 파다(padasphoṭa; 단어), 바캬(vākyasphoṭa; 문장)에 스포타라는 용어를 적용한다.

4. 2. 마하바샤티카 (Mahābhāṣyatikā)

''마하바샤티카''(Mahābhāṣyatikā)는 '트리파디'(Tripadi) 또는 '마하바샤디피카'(Mahabhashyadipika)라고도 하며, 파탄잘리의 ''마하바샤''(Mahabhashya)에 대한 주석이다. 마하바샤는 다시 파니니의 ''아슈타디야이''(Aṣṭādhyāyī)에 대한 주석이다. 바르트리하리는 문법 규칙을 분석하고 언어의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측면을 탐구한다. 이 텍스트에서 바르트리하리는 단어와 의미의 연결에 대해서도 논의하며, 이는 ''바키야파디야''(Vākyapadīya)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이 텍스트는 산스크리트 문법학자와 철학자들이 연구한다.

4. 3. 샤타카트라야 (Śatakatraya)

''샤타카트라야''(Śatakatraya, "세 개의 세기": ''샤타카,'' "세기"; ''트라야,'' "셋")는 각각 100개의 구절로 구성된 세 개의 모음집이다.[3][11] 이 모음집은 ''니티 샤타카''(Niti Śataka, 윤리, 정당한 삶의 원칙을 상세히 설명), 시린가라 샤타카(Śringara Śataka, 사랑, 사랑과 관계의 복잡성을 상세히 설명), ''및 바이라기야 샤타카''(Vairagya Śataka, 초탈, 바르트리하리의 출가에 대한 성찰)이다.[3][11] 작곡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바르트리하리의 생애에 걸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진다.[3][11] 바르트리하리는 복잡한 아이디어를 전달하기 위해 은유, 직유, 역설을 포함한 다양한 시적 장치를 사용한다.[3][11]

5. 영향과 유산

바르트리하리의 작품들은 베단타와 미맘사를 포함한 다양한 인도 철학 전통에서 연구되어 왔다. 이슬람과 서구 학자들 또한 다양한 번역 및 주석을 통해 관심을 보여왔다.

인도 시학 분야에서 바르트리하리의 《사타카트라야》는 계속해서 존경받고 연구되고 있다. 《사타카트라야》는 많은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의 독자들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6. 한국어 연구

참조

[1] 웹사이트 Bhartrihari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2024-06-20
[2] 웹사이트 Bhartrihari Indian Poet, Sanskrit Scholar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6-20
[3]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1998
[4] 서적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7
[5] 서적 Bhartṛhari, the grammarian Sahitya Akademi 1997
[6] 서적 The Word and the World: India's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From early Vedanta to Kashmir Shaivism: Gaudapada, Bhartrhari, and Abhinavagupta https://books.google[...] SUNY Press
[8] 서적 Bhartṛhari and the Buddhists http://link.springer[...] Springer Netherlands 1986
[9] 문서 Extensively used by later grammarians such as Kaiyaṭa, the text is only preserved in fragments. An edition based on an incomplete manuscript was published by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Pune (1985-1991), in six fascicles (fascicle 6 in two parts).
[10] 서적 The philosophy of the grammaria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11] 서적 The Śatakas of Bhartr̥ihari Routledge 2000
[12] 서적 現代語訳 南海寄帰内法伝 七世紀インド仏教僧伽の日常生活 法蔵館
[13] 백과사전 パタンジャリ 2023-05-18
[14] 서적 古典インドの言語哲学
[15] 서적 仏教・インド思想辞典 春秋社 1987-04-10
[16] 서적 インド哲学10講 岩波書店 2018-03-20
[17] 서적 夢幻の愛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