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양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위양속(Pseudois)은 소과에 속하는 포유류 속의 하나이다. 바랄(P. nayaur)과 난쟁이바랄(P. schaeferi)의 2종을 포함한다. 바랄은 부탄, 중국, 인도, 네팔, 파키스탄, 타지키스탄, 티베트 등에서 발견되며, 난쟁이바랄은 장강 협곡 상류 한 곳에서만 알려져 있다. 바위양속 동물들은 해발 1,000m와 5,500m 사이의 고산 지대에 서식한다. 2019년 연구에 따르면, 바위양속은 양속, 염소속 등과 가까운 관계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양아과 - 부탄타킨
부탄타킨은 부탄, 중국, 인도에 서식하며 해발 1,000~4,500m 고도의 숲에서 풀, 새싹, 나뭇잎 등을 먹는 주행성 포유류로,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부탄의 국가 동물이다. - 영양아과 - 스프링복
스프링복은 남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서식하는 영양으로, 등 중앙의 피부 주름, 잎을 주식으로 하는 점, 프롱킹이라는 도약 행동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상징 동물로도 활용된다. - 아시아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아시아의 포유류 - 아시아코끼리
아시아코끼리는 코끼리과에 속하는 종으로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작고 귀가 작으며 코 끝에 돌기가 있고, 인도아대륙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바위양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바위양속 | |
![]() |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우제목/경우제목 |
과 | 소과 |
아과 | 영양아과 |
족 | 양족 |
속 | 바위양속 (Pseudois) |
속 명명 | Hodgson, 1846 |
모식종 | Ovis nayaur |
모식종 명명 | Hodgson, 1833. |
하위 링크 | 종 |
하위 | 본문 참조 |
2. 하위 종
2. 1. 바랄 (''P. nayaur'')
큰바랄(히말라야푸른양, 티베트푸른양, 티베트야생양)은 바랄의 일종이다.2. 2. 난쟁이바랄 (''P. schaeferi'')
난쟁이바랄(작은바랄) 또는 드워프티베트산양이라고도 한다.3. 분포 및 서식지
바랄은 부탄, 중국, 인도, 네팔, 파키스탄, 타지키스탄, 티베트 등지에 분포한다. 난쟁이바랄은 중국 장강 협곡 상류의 좁은 지역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랄속 동물들은 1000m에서 5500m 사이의 고산 지대에 서식한다.
4. 계통 분류
2019년 주라노(Zurano) 등의 연구에 기초한 양족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바위양속은 양속, 염소속 등과 가까운 관계에 있다.[3]
{| class="wikitable"
|-
! colspan="2" | 양족
|-
| colspan="2" | 티베트영양속
|-
| colspan="2" |
{| class="wikitable"
|-
| 사향소속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샤무아속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바위양속
|-
|
|}
|}
|}
|}
참조
[1]
논문
GENUS ''Pseudois''
[2]
서적
Wildlife of the Tibetan Stepp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3]
논문
Cetartiodactyla: Updating a time-calibrated molecular phylogeny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