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소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소속(Capra)은 소과(Bovidae) 양족(Caprinae)에 속하는 반추동물 속으로, 야생 염소, 집염소, 아이벡스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4개의 위를 가지고 있으며, 아프리카 북동부와 유라시아 대륙에 분포한다. 염소속은 9종의 야생종과 집염소를 포함하며, 종간의 계통 분류는 복잡하다. 염소는 인류가 가축화한 최초의 동물 중 하나이며, 털, 고기, 우유를 얻기 위해 사육되어 왔다. 현재 서식지 파괴, 남획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는 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양아과 - 부탄타킨
부탄타킨은 부탄, 중국, 인도에 서식하며 해발 1,000~4,500m 고도의 숲에서 풀, 새싹, 나뭇잎 등을 먹는 주행성 포유류로,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부탄의 국가 동물이다. - 영양아과 - 스프링복
스프링복은 남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서식하는 영양으로, 등 중앙의 피부 주름, 잎을 주식으로 하는 점, 프롱킹이라는 도약 행동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상징 동물로도 활용된다. - 아시아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아시아의 포유류 - 아시아코끼리
아시아코끼리는 코끼리과에 속하는 종으로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작고 귀가 작으며 코 끝에 돌기가 있고, 인도아대륙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아프리카의 포유류 - 큰돌고래
큰돌고래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지능이 높고 사회적인 돌고래과 포유류로, 소리와 몸짓으로 의사소통하고 반향정위를 사용하며, 인간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겪고 있다. - 아프리카의 포유류 - 더스키돌고래
더스키돌고래는 남반구 해안에 서식하는 몸길이 1.6~2.2m의 작은 돌고래로, 어두운 회색 몸통과 밝은 배를 가지며, 포경, 혼획,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염소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학명 | Capra Linnaeus, 1758 |
타입 종 | Capra hircus |
타입 종 명명자 | Linnaeus, 1758 |
화석 범위 | 초기 플라이스토세 - 현재 |
![]() | |
![]() | |
하위 분류 | |
종 | C. aegagrus C. caucasica C. cylindricornis C. falconeri C. hircus C. ibex C. nubiana C. pyrenaica C. sibirica C. walie |
2. 분류
염소속은 소과(Bovidae) 양족(Caprinae)에 속한다. 때때로 양속(''Ovis'')이나 바바리양속(Ammotragus)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들은 별개의 속으로 간주된다.[3] 과거 일부 학자는 마코르와 나머지 모든 형태를 한 종으로 묶어 단 두 종만을 인정하기도 했으나,[4] 현재는 일반적으로 9종의 야생종과 집염소(''Capra hircus'')를 포함하여 총 10종으로 분류한다.[5]
그러나 염소속 내 종들의 분류 및 계통 관계는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다.[9] 예를 들어, 동코카서스투르(Capra cylindricornis)는 IUCN에서는 독립된 종으로 인정하지만, MSW3(Mammal Species of the World, 3rd edition)와 같은 일부 분류 체계에서는 서코카서스투르(Capra caucasica)의 아종으로 취급하는 등 분류학적 견해 차이가 존재한다.[14][16][19]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과 같은 유전학적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종 간의 관계가 새롭게 밝혀지고 있지만, 여전히 분류 체계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9]
2. 1. 하위 종

염소속의 모든 구성원은 소과에 속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양족에 속한다. 따라서 이들은 반추동물이며, 먹이를 소화하고 되새김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4개의 방으로 구성된 위를 가지고 있다.
이 속은 때때로 양(''Ovis'')과 바바리양(''Ammotragus'')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3] 일반적으로 이들은 별개의 속으로 간주된다. 이 더 좁은 범위의 속 내에서도 일부 학자들은 마코르와 나머지 모든 종을 하나의 종으로 묶어 두 종만을 인정하기도 했다.[4] 그러나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9종의 야생종과 집염소를 포함하여 총 10종이 인정된다:[5]
최근의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에 따르면, 아시아아이벡스(''Capra sibirica'')와 누비아아이벡스(''Capra nubiana'')는 서로 별개의 종이며, 외형이 비슷한 알파인아이벡스(''Capra ibex'')와는 유전적으로 그다지 가깝지 않다. 알파인아이벡스는 이베리아아이벡스(''Capra pyrenaica'')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그룹을 형성한다. 서코카서스투르(''Capra caucasica'')는 동코카서스투르(''Capra cylindricornis'')보다 야생염소(''Capra aegagrus'')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코르(''Capra falconeri'')는 이전에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다른 염소속 종들과 비교하여 유전적으로 크게 분리되어 있지 않다.[9]
거의 모든 야생 염소 종은 이소지역종(지리적으로 분리된 분포)이다. 유일한 예외는 야생염소(''Capra aegagrus'')와 동코카서스투르(''Capra cylindricornis'') 사이, 그리고 마코르(''Capra falconeri'')와 아시아아이벡스(''Capra sibirica'') 사이의 분포 지역 중첩이다. 이 두 경우 모두, 분포 지역이 겹치는 종들이 야생에서 자연적으로 교배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사육 상태에서는 모든 염소속(''Capra'') 종들이 서로 교배하여 번식 가능한 자손을 낳을 수 있다.[10]
이름 | 학명 | 이미지 | 명명자, 연도 | 분포 | 분포도 | IUCN 상태 | 아종 |
---|---|---|---|---|---|---|---|
시베리아아이벡스 (아시아아이벡스) | Capra sibirica | -- | 팔라스, 1776 | 중앙아시아, 북아시아, 아프가니스탄, 서부 및 중국 북부 (주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도 북서부, 카자흐스탄 남동부, 키르기스스탄, 몽골, 파키스탄 북부, 러시아 남부,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동부. | -- | NT | C. s. sibirica, C. s. alaiana, C. s. hagenbecki, C. s. sakeen |
마코르 | Capra falconeri | -- | 바그너, 1839 | 남아시아; 카라코람산맥과 히말라야산맥 산맥. | -- | NT | C. f. falconeri, C. f. heptneri, C. f. megaceros, C. f. cashmiriensis, C. f. jerdoni (부하라마코르, 킬탄마코르 등 포함) |
염소 (집염소) | Capra hircus (또는 C. aegagrus hircus) | -- | 린네, 1758 | 범세계적 분포; 가축화. | LC (평가 대상 아님) | 야생염소의 아종으로 간주되기도 함. 다양한 품종 존재. | |
야생염소 (들염소, 서아시아아이벡스) | Capra aegagrus | ![]() | 에르슬레벤, 1777 | 터키, 코카서스 산맥에서 투르크메니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까지 | NT | 베조아르아이벡스 (C. a. aegagrus), 신드아이벡스 (C. a. blythi), 크레타염소 (C. a. creticus), 칠탄아이벡스 (C. a. chialtanensis), 투르크멘야생염소 (C. a. turcmenica) | |
동캅카스투르 (동캅카스염소) | Capra cylindricornis | -- | 블라이스, 1841 | 대코카서스산맥. | NT | 아종 없음 | |
서캅카스투르 (서캅카스염소) | Capra caucasica | -- | 귈덴슈테트와 팔라스, 1783 | 코카서스 산맥. | EN | 아종 없음 | |
알파인아이벡스 | Capra ibex | -- | 린네, 1758 | 알프스 산맥 (오스트리아, 바이에른, 프랑스, 이탈리아, 리히텐슈타인, 슬로베니아 & 스위스). | -- | LC | C. i. ibex (일부 학자는 누비아, 시베리아아이벡스를 아종으로 보기도 함) |
스페인아이벡스 (이베리아아이벡스) | Capra pyrenaica | -- | 신츠, 1838 | 이베리아 반도: 안도라, 피레네산맥, 스페인에서 포르투갈까지. | LC | Capra pyrenaica hispanica, Capra pyrenaica victoriae, †Capra pyrenaica lusitanica (포르투갈아이벡스), †Capra pyrenaica pyrenaica (피레네아이벡스) | |
누비아아이벡스 | Capra nubiana | -- | F. 퀴비에, 1825 | 북아프리카, 아라비아 반도 (이집트,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 오만, 팔레스타인, 사우디 아라비아, 수단, 아랍에미리트 및 예멘).[11] | VU | 아종 없음 (알파인아이벡스의 아종으로 분류되기도 함) | |
왈리아아이벡스 | Capra walie | -- | 뤼펠, 1835 | 에티오피아 고원 & 시미엔 산맥. | -- | VU | 아종 없음 |
분류 체계에 따라 종과 아종의 인정 범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분류 체계(MSW3 등)에서는 동코카서스투르(Capra cylindricornis)를 서코카서스투르(Capra caucasica)의 아종으로 취급하지만, IUCN 등에서는 독립된 종으로 간주한다.[14][16][19] 마찬가지로 누비아아이벡스와 시베리아아이벡스를 알파인아이벡스의 아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집염소는 야생염소의 아종(''Capra aegagrus hircus'')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2. 2. 계통 분류
염소속의 모든 구성원은 소과(Bovidae)에 속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양족(Caprinae)에 속한다. 따라서 염소는 반추동물이며, 먹이를 소화하고 되새김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4개의 방으로 구성된 위를 가지고 있다.염소속(''Capra'')은 때때로 양속(Ovis)과 바바리양속(Ammotragus)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3] 일반적으로 이들은 별개의 속으로 간주된다. 오늘날에는 보통 9종의 야생종과 집염소를 포함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5]
- ''Capra aegagrus'' 야생염소 (Wild goat영어; 서아시아아이벡스라고도 함)[17]
- ''C. a. aegagrus'' 베조르아이벡스
- ''C. a. blythi'' 신드아이벡스
- ''Capra hircus'' 집염소 (Goat영어; 야생화된 염소 포함; 때때로 ''C. aegagrus''의 아종으로 간주되기도 함)
- ''Capra sibirica'' 시베리아아이벡스 (Siberian ibex영어; 아시아아이벡스라고도 함)[6]
- ''Capra falconeri'' 마코르 (Markhor영어)[17]
- ''Capra caucasica'' 서코카서스투르 (West Caucasian tur영어; 코카서스아이벡스라고도 함)[17]
- ''Capra cylindricornis'' 동코카서스투르 (East Caucasian tur영어; 코카서스투르라고도 함. ''C. caucasica''의 아종으로 보는 설도 있음[14][16])[17]
- ''Capra ibex'' 알파인아이벡스 (Alpine ibex영어)
- ''Capra pyrenaica'' 이베리아아이벡스 (Spanish ibex영어; 스페인아이벡스라고도 함)[7]
- ''Capra nubiana'' 누비아아이벡스 (Nubian ibex영어)[8][17]
- ''Capra walie'' 왈리아아이벡스 (Walia ibex영어)[21]
염소속 내 종들의 계통 관계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복잡하다. 2019년 주라노(Zurano) 등의 연구에 따르면, 양족 내에서 염소속은 히말라야타르속(Hemitragus)과 가장 가까운 자매군을 형성한다.[22] 최근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연구들은 속 내 관계에 대한 몇 가지 단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시베리아아이벡스(''C. sibirica'')와 누비아아이벡스(''C. nubiana'')는 겉모습이 비슷한 알파인아이벡스(''C. ibex'')와는 유전적으로 거리가 있는 별개의 종으로 나타났다. 알파인아이벡스는 이베리아아이벡스(''C. pyrenaica'')와 함께 가까운 유전적 그룹을 형성한다. 서코카서스투르(''C. caucasica'')는 동코카서스투르(''C. cylindricornis'')보다 야생염소(''C. aegagrus'')와 더 가까운 관계를 보인다. 한때 염소속 내에서 별개의 가지로 여겨졌던 마코르(''C. falconeri'')는 다른 종들과 비교했을 때 유전적으로 크게 분리되어 있지는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9] 2012년 하사니나(Hassanina) 등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연구에서는 히말라야타르(''Hemitragus jemlahicus'')와 시베리아아이벡스(''C. sibirica'')가 가장 가까운 자매군을 이루고, 이 그룹이 누비아아이벡스(''C. nubiana''), 스페인아이벡스(''C. pyrenaica'')/알파인아이벡스(''C. ibex'') 그룹, 서코카서스투르(''C. caucasica'') 그룹, 그리고 집염소(''C. hircus'')/마코르(''C. falconeri'') 그룹 순서로 단계적으로 분기하는 계통 관계를 제시했다.[18]
거의 모든 야생 염소 종은 이소지역종(allopatric species), 즉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서식한다. 유일한 예외는 야생염소(''Capra aegagrus'')와 동코카서스투르(''Capra cylindricornis''), 그리고 마코르(''Capra falconeri'')와 시베리아아이벡스(''Capra sibirica'') 사이의 서식지 중첩이다. 이 두 경우 모두, 서식지가 겹치는 종들이 야생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교배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사육 상태에서는 모든 염소속 종들이 서로 교배하여 번식 가능한 자손을 낳을 수 있다.[10]
3. 형태
꼬리는 다소 길며, 꼬리 아래쪽 밑부분에는 털이 없는 노출부와 냄새샘이 있다.[15][16]
수컷과 암컷 모두 낫 모양의 뿔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종은 뿔이 휘어져 있기도 하다.[16] 뿔 밑부분의 단면은 삼각형이나 사각형이다.[16] 눈 아래샘 (안하선)이나 뒷다리 안쪽 밑부분 (서혜선), 발굽 사이 (제간선)에는 냄새샘이 없다.[15][16] 누골에는 움푹 들어간 부분이 없다.[16]
수컷은 아래턱에 수염 모양의 털이 나 있다.[15][16] 암컷은 뿔이 수컷보다 작고 표면이 매끄럽다.[16] 유두의 수는 2개이다.[16]
4. 분포 및 서식지
5. 생태
고산, 절벽, 초원, 삼림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16] 주로 대규모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15] 수컷의 경우, 자신의 몸에 소변을 묻혀 특유의 냄새를 풍기기도 한다.[15]
식성은 초식으로, 나뭇잎이나 가지, 풀 등을 먹는다.[16][17]
번식 형태는 태생이며, 한 번에 보통 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5]
6. 인간과의 관계
양과 함께, 염소는 최초로 가축화된 동물 중 하나였다. 가축화 과정은 현재 이란 북부 지역에서 적어도 10,000년 전에 시작되었다.[13] 염소의 털, 고기, 우유를 인간이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점이 가축화의 주된 이유였다. 염소 가죽은 캠핑이나 여행 시 물이나 와인을 담는 병으로 사용되었고, 일부 지역에서는 글씨를 쓰는 양피지로 만들어져 중세 시대까지 널리 쓰였다.
파상이 가축화되어 오늘날의 염소가 되었다고 여겨진다.[15][16][17]
한편, 개발이나 방목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가축과의 경쟁 및 교잡, 뿔을 얻기 위한 남획 등으로 인해 일부 야생 염소 종의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17][21]
참조
[1]
논문
The Initial Domestication of Goats (Capra hircus) in the Zagros Mountains 10,000 Years Ago
https://www.science.[...]
2022-06-30
[2]
논문
Capra ibex (Artiodactyla: Bovidae)
[3]
서적
Order Artiodactyla. Part 15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972-05-02
[4]
서적
Klassifikation der Säugetiere: Artiodactyla I
[5]
논문
Evolutionary history of the genus Capra (Mammalia, Artiodactyla): Discordance between mitochondrial DNA and Y-chromosome phylogenies
2006
[6]
논문
Common names of the Asiatic ibex superspecies at a turning point in its taxonomy and management
2023
[7]
논문
Common names of species, the curious case of Capra pyrenaica and the concomitant steps towards the 'wild-to-domestic' transformation of a flagship species and its vernacular names
https://doi.org/10.1[...]
2012
[8]
서적
Mammalia of Israel
https://en.wikipedia[...]
Israel Academy of Sciences and Humanities
1999
[9]
논문
Phylogenetic reconstructions in the genus Capra (Bovidae, Artiodactyla) based on the mitochondrial DNA analysis
https://doi.org/10.1[...]
2007
[10]
서적
Mammals of the Sowjetunion Vol. I UNGULATES
Leiden, New York
[11]
IUCN
Capra nubiana
[12]
IUCN
Capra nubiana
[13]
논문
The Initial Domestication of Goats (Capra hircus) in the Zagros Mountains 10,000 Years Ago
https://www.science.[...]
2000
[14]
서적
Cap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5]
서적
動物大百科4 大型草食獣
平凡社
[16]
서적
ヤギ属
東京動物園協会
[17]
서적
カフカスアイベックス」「カフカスツール」「ヌビアアイベックス」「パサン」「マーコール
講談社
[18]
논문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Cetartiodactyla (Mammalia, Laurasiatheria), as revealed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itochondrial genomes
[19]
IUCN
Capra cylindricornis
2015-10-11
[20]
간행물
International Commission on Zoological Nomenclature, Opinion 2027 (Case 3010). Usage of 17 specific names based on wild species which are predated or contemporary with those based on domestic animals (Lepidoptera, Osteichthyes, Mammalia): conserved
[21]
서적
ワリアアイベックス
講談社
[22]
논문
Cetartiodactyla: Updating a time-calibrated molecular phyloge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