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병권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다.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고, 군사영어학교를 거쳐 육군 보병학교, 미국 육군참모대학교를 졸업했다.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제5사단 참모장, 제9사단장, 육군사관학교 교장, 제3군단장 등을 역임했다. 1961년 국방부 장관이 되었으나, 1963년 박정희의 민정 참여에 반대하여 사퇴했다. 1965년 한일 기본 조약 비준 반대 서명으로 구속되었고, 1970년 대한중석광업 사장을 지냈다. 레지옹 도뇌르 훈장, 태극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고등보통학교 동문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 대전고등보통학교 동문 - 박병배
경찰 출신으로 군 복무 후 정계에 입문하여 5선 국회의원을 지낸 박병배는 무소속, 신민당, 민주통일당에서 활동했으며 국방부 정무차관, 대전일보 사장 겸 발행인, 돈운학원 이사장을 역임했다. - 민중당 (1965년) - 유옥우
유옥우는 자유당에서 정계 입문 후 야당에서 활동하며 여러 차례 국회의원을 지냈고, 한일협정 반대 운동 중 옥고를 치렀으며 정치 테러를 당하기도 했으나, 국가보위입법회의 참여 경력으로 비판받기도 한 정치인이다. - 민중당 (1965년)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학도병 - 장도영
장도영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 출신으로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내각수반, 국방부 장관을 지냈으며, 반혁명 혐의로 기소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석방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교수로 활동하다가 사망했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학도병 - 장준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인 장준하는 일본군 학도병으로 징집 후 탈출하여 광복군에서 활동, 해방 후 김구의 비서를 지냈고, 《사상계》를 창간하여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의문사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박병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박병권 |
로마자 표기 | Bak Byeong-gwon |
한자 표기 | 朴炳權 |
출생일 | 1920년 1월 8일 |
사망일 | 2005년 9월 20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충청남도 논산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장군 제1묘역 28호 |
신장 | 174cm |
체중 | 68kg |
배우자 | 장덕희 |
자녀 | 2남 3녀 (그 중 장남 박영규, 차남 박윤규) |
군사 경력 | |
소속 | 대일본제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 |
최종 계급 | 소위 (일본 육군) 중장 (한국 육군) |
군 복무 | 일본제국 육군 (1944~1945) 대한민국 육군 (1946~1961) |
지휘 | 제5사단 제9사단 육군사관학교 제1관구 제6관구 제2훈련소 제3군단 전투병과교육사령부 |
참전 | 한국 전쟁 |
정치 경력 | |
정당 | 무소속 |
주요 정당 활동 | 민중당 당무위원 민주공화당 당무위원 |
공직 경력 | |
직책 | 제14대 국방부 장관 |
임기 | 1961년 7월 10일 ~ 1963년 3월 16일 |
전임 | 송요찬 |
후임 | 김성은 |
대통령 | 윤보선 대한민국 대통령 송요찬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백낙준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박정희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김현철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
총리 | 송요찬 대한민국 내각수반 백낙준 대한민국 내각수반 권한대행 서리 박정희 대한민국 내각수반 김현철 대한민국 내각수반 |
기타 경력 | |
주요 기업 활동 | 대한중석 사장 대한해운주식회사 고문 |
훈장 | |
주요 훈장 | 태극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 청조근정훈장 |
2. 학력
- 경성 연희전문학교 학사
- 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졸업
3. 생애 및 경력
박병권은 1920년 1월 충청남도 논산에서 태어났으며, 밀양 박씨이다.[1] 1944년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고 학도병으로 육군 예비장교학교를 졸업한 후 소위로 임관되었다.
광복 후 대한민국 육군에 입대하여 1946년 1월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소위(군번 10020번)로 임관되었다. 제5연대 창설에 참여하여 중대 부관, 대대 부관을 역임했다. 1946년 9월 강릉 제8연대 B중대장 및 제3대대장, 1947년 제4연대 부연대장, 12월 제5연대장을 역임했다. 1948년 7월 국방부 장관 전속 부관으로 발탁되었다.[2]
1950년 6월 제5사단 참모장을 시작으로, 제1군단 군수참모, 제5사단 및 제2사단 부사단장을 거쳤다. 1951년 6월 준장 진급 후 제9사단장을 역임하고,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교 유학 후 1953년 5월 소장으로 진급, 제5사단장이 되었다.
1954년 3월 육군사관학교 교장, 1955년 10월 제1관구 사령관, 1958년 8월 서울 제6관구 사령관, 1959년 3월 제2훈련소장, 1960년 2월 제3군단장, 8월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 11월 전투병과교육기지 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1961년 7월 예비역 편입 후 국방부 장관이 되었으나, 1963년 3월 박정희의 민정 참여에 반대하여 사퇴했다.[3] 1965년 한일 기본 조약 비준 반대 서명에 참여했다가 구속되기도 했다.[3] 1970년 대한중석광업 사장이 되었다.
3. 1. 일제강점기
1920년 1월 충청남도 논산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밀양 박씨이다.[1] 1944년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고 학도병으로 일본군 육군 예비장교학교(후쿠치야마 중부군 교육대)를 졸업, 소위로 임관되었다.3. 2. 광복 이후 대한민국 육군 복무
1946년 1월 군사영어학교(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소위(군번 10020번)로 임관되었다. 이치업, 송요찬, 백남권 소위, 미국인 소령과 함께 부산 제5연대 창설에 참여하여 중대 부관을 역임했다.[1] 1946년 3월 백선엽 중위가 대대장 겸 A중대장으로 부임하자, 대대 부관이 되었다.[1]1946년 9월 강릉 제8연대에 파견되어[1] B중대장, 제3대대장을 역임했다.[1] 1947년 광주 제4연대 부연대장[1]을 거쳐 1947년 12월 14일 제5연대장[1]이 되었다. 1948년 7월 국방부 장관 전속 부관이 되었다.[2]
1950년 6월 제5사단 참모장이 되었고, 1950년 7월 7일 제1군단 군수참모가 되었다. 1950년 10월 제5사단 부사단장, 1951년 3월 제2사단 부사단장을 역임했다. 1951년 6월 준장으로 진급했고, 1951년 8월 제9사단장이 되었다. 1952년 5월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교에 유학을 갔고, 1953년 5월 소장으로 진급했다. 1953년 6월 제5사단장이 되었다.
1954년 3월 육군사관학교 교장이 되었고, 1955년 10월 제1관구 사령관, 1958년 8월 서울 제6관구 사령관, 1959년 3월 제2훈련소장이 되었다. 1960년 2월 제3군단장이 되었고, 1960년 8월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 1960년 11월 전투병과교육기지 사령관이 되었다.
3. 3. 박정희 정부 시기
1961년 7월 예비역으로 편입된 후 국방부 장관이 되었다.[3] 1963년 3월 박정희의 민정 참여에 반대하여 국방부 장관직을 사퇴했다.[3] 1965년 한일 기본 조약 비준에 반대하는 예비역 장성 11명의 서명에 참여하여 구속되었다.[3]3. 4. 그 외
군사영어학교 동기로 민병권 전 교통부 장관이 있다.[1] 1970년 대한중석광업 사장이 되었다.4. 상훈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1953년 1월 22일[4]
- 태극무공훈장 - 1954년 1월 16일
- 을지무공훈장
참조
[1]
웹사이트
(2)밀양 박씨(密陽朴氏)-3,031,478명
http://www.seoulecon[...]
2022-08-15
[2]
뉴스
1948년 국군조직법 공포… 국방의 골격 갖춰지다
http://kookbang.dema[...]
2019-04-14
[3]
뉴스
"밑바닥부터 기어 올라가자" 가세 기울어 학교 다니며 택시운전 … 군 입대 열흘 만에 탈영, 재입대 … JP, 육사 가는 길은 험난했다
http://news.joins.co[...]
2016-11-30
[4]
웹사이트
Bak Byong Kown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015-12-02
[5]
서적
백마고지의 광영
[6]
서적
김형욱의 회고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