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려암은 밀도가 높고 어두운 색을 띠는 조립질 화성암으로, 주로 휘석과 사장석으로 구성된다. 해양 지각과 대륙에서 발견되며, 현무암질 마그마가 깊은 곳에서 천천히 냉각되어 형성된다. 반려암은 크롬, 니켈, 코발트 등 금속 자원을 함유하며, 건축 자재로도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이 대표적인 분포 지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성암 - 감람암
감람암은 감람석을 40% 이상 함유하는 조립질 초염기성암으로 지구 맨틀 상부의 주요 구성 암석이며, 감람석 함량에 따라 여러 종류로 세분되고, 오피올라이트, 현무암, 킴벌라이트 등에서 산출되며, 녹색을 띠는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일본 홋카이도의 아포이 산은 감람암 노출 지역으로 유네스코 세계 지오파크로 지정되었다. - 심성암 - 섬록암
섬록암은 사장석, 흑운모, 각섬석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심성 화성암으로, 반려암과 화강암의 중간 정도 화학 조성을 가지며 건축, 예술,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화성암 - 용암
용암은 화산 활동으로 지표면에 분출된 액체 상태의 녹은 암석 물질이거나 굳어져 형성된 암석을 뜻하며, 마그마에서 휘발성분이 빠져나온 것으로, 규산염이 주성분이고 온도와 조성에 따라 점성이 달라지며, 파호이호이 용암, 아아 용암 등의 형태가 있다. - 화성암 - 불국사 화강암
불국사 화강암은 경주 불국사의 석조 건축물에 사용된 화강암으로, 불국사의 건축적 아름다움과 역사적 가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채석지와 종류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반려암 | |
---|---|
일반 정보 | |
![]() | |
분류 | 화성암, 심성암 |
조직 | 조립질 |
광물 조성 | 휘석 사장석 감람석 (드묾) |
화학 조성 | 염기성 |
색 | 어두운 색 (녹색-검은색) |
굳기 | 5.5 - 7 (모스 척도) |
비중 | 2.7 - 3.3 g/cm³ |
구성 광물 | |
필수 광물 | 휘석 (보통 오자이트) 사장석 (래브라도라이트 또는 바이토우나이트) |
부수 광물 | 감람석 각섬석 흑운모 자철석 티탄철석 인회석 섬록암 |
산출 환경 | |
생성 | 지각 깊은 곳에서 마그마가 서서히 냉각될 때 형성됨. |
발견 장소 | 해양 지각 대륙 내 대규모 화성암 복합체 오래된 산맥의 침식된 지역 |
활용 | |
용도 | 건축 자재 도로 건설용 골재 치장벽돌 |
2. 조성
반려암은 밀도가 높고 어두운 회색이나 때때로 녹청색을 띤다. 유색 광물로는 휘석과 감람석이 있으며, 무색 광물로는 사장석이 주를 이룬다. 석영이나 준장석은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된다. 각섬석, 흑운모, 티탄철석, 울푀스피넬 등을 수 퍼센트 함유하며, 황철석, 자철석, 형석 등이 부성분 광물로 들어있기도 하다.[22] 휘석은 주로 단사휘석이며, 사방휘석도 소량 존재할 수 있다. 사방휘석의 양이 5% 이상이면 노라이트(norite)라고 한다. 석영 반려암은 이산화규소가 과포화된 마그마로부터 유래되었을 것이고, 에섹사이트(essexite)는 이산화규소에 불포화된 모마그마로부터 만들어진 반려암으로 준장석인 네펠린이 포함되어 있다. 반려암은 알갱이의 크기가 크다.
반려암은 실리카 함량이 비교적 낮고 철, 마그네슘, 칼슘이 풍부한 조립질(완정질) 화성암으로 ''고철질''로 묘사된다. 반려암은 휘석(주로 단사휘석)과 칼슘이 풍부한 사장석으로 구성되며, 소량의 각섬석, 감람석, 사방휘석 및 부성분 광물을 포함한다.[4] 감람석 또는 사방휘석이 10% 이상 포함되어 있으면 각각 감람석 반려암 또는 가브로노라이트로 분류된다. 각섬석이 존재한다면 오자이트 결정 주변의 테두리나 다른 광물의 작은 알갱이를 둘러싼 큰 입자(''포이킬리토'' 입자)로 발견된다.[5][6]
사장석의 함량이 낮아지면 맨틀의 주요 구성 암석인 페리도타이트가 된다.
반려암(가브로)은 실리카 함량이 비교적 낮고 철, 마그네슘, 칼슘이 풍부한 조립질(완정질) 화성암이다. 이러한 암석은 ''고철질''로 묘사된다. 반려암은 휘석(주로 단사휘석)과 칼슘이 풍부한 사장석으로 구성되며, 소량의 각섬석, 감람석, 사방휘석 및 부성분 광물을 포함한다.[4] 감람석 또는 사방휘석이 10% 이상 포함되어 있으면 각각 감람석 반려암 또는 가브로노라이트로 분류된다.
지질학자들은 암석의 광물 함량을 기준으로 조립질 화성암을 분류할 때, 주로 규산염 광물로 구성되고 광물 함량의 10% 이상이 석영, 장석, 또는 장석류 광물로 구성된 화성암의 경우, QAPF 다이어그램으로 분류한다. 석영(Q), 알칼리 장석(A), 사장석(P) 및 장석류(F)의 상대적인 풍부함은 다이어그램에서 암석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7][8][9] 석영이 QAPF 함량의 20% 미만, 장석류가 QAPF 함량의 10% 미만, 사장석이 총 장석 함량의 65%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암석은 '''가브로이드''' 또는 다이오리토이드로 분류된다. 가브로이드는 총 사장석의 아노르사이트(칼슘 사장석) 분율이 50% 이상이라는 점으로 다이오리토이드와 구별된다.
반려암(가브로) 자체는 석영이 QAPF 함량의 5% 미만, 장석류가 존재하지 않으며, 사장석이 장석 함량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가브로이드로 더 좁게 정의된다. 반려암은 10% 미만의 고철질 광물을 포함하는 아노르사이트와 구별된다.[7][8]
조립질 반려암은 세립질(현정질) 현무암을 형성하기 위해 빠르게 응고되는 용암과 동일한 조성을 가진 마그마의 느린 결정화에 의해 생성된다.[7][8]
3. 분류
가브로이드(반려암)는 몬조가브로, 석영 가브로, 네펠린 함유 가브로와 같이 반려암과 유사한 암석 유형의 집합이다. 반려암 자체는 석영이 QAPF 함량의 5% 미만, 장석류가 없으며, 사장석이 장석 함량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가브로이드로 정의된다. 반려암은 10% 미만의 고철질 광물을 포함하는 아노르사이트와 구별된다.[7][8]
조립질 가브로이드는 세립질(현정질) 현무암을 형성하기 위해 빠르게 응고되는 용암과 조성이 같은 마그마가 천천히 결정화되어 생성된다.[7][8]
반려암은 보통 등립질 조직을 보이지만, 오피틱 조직(휘석 안에 사장석의 판상 결정이 포함된 경우)을 나타내기도 한다.[6][13]
3. 1. 세부 분류
QAPF 분류 다이어그램에서 반려암은 사장석이 가장 많이 포함된 경우가 된다. 석영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석영반려암이라고 한다. 대신 준장석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준장석반려암이라고 한다. 네펠린반려암은 터랄라이트(theralite), 아날침반려암은 테셰나이트(teschenite)라고 한다. 더 이상의 분류로 넘어가면 유색광물의 비를 통해서 분류하게 된다. 감람석 함량이 많은 경우에는 감람석반려암이나 트록토리쓰(troktolith)가 된다.[4]
지질학자들은 암석의 광물 함량을 기준으로 조립질 화성암을 분류하기 위해 엄격한 정량적 정의를 사용한다. 주로 규산염 광물로 구성되고 광물 함량의 10% 이상이 석영, 장석, 또는 장석류 광물로 구성된 화성암의 경우, QAPF 다이어그램으로 분류를 시작한다. 석영(Q), 알칼리 장석(A), 사장석(P) 및 장석류(F)의 상대적인 풍부함은 다이어그램에서 암석의 위치를 플롯하는 데 사용된다.[7][8][9]
석영이 QAPF 함량의 20% 미만, 장석류가 QAPF 함량의 10% 미만, 사장석이 총 장석 함량의 65%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암석은 '''가브로이드''' 또는 다이오리토이드로 분류된다. 가브로이드는 총 사장석의 아노르사이트(칼슘 사장석) 분율이 50% 이상이라는 점으로 다이오리토이드와 구별된다.
사장석의 조성을 현장 조사만으로는 쉽게 결정할 수 없으므로, 고철질 광물의 함량을 기준으로 다이오리토이드와 가브로이드 사이의 예비 구분이 이루어진다. 반려암은 일반적으로 35% 이상의 고철질 광물, 주로 휘석 또는 감람석을 포함하는 반면, 다이오리토이드는 일반적으로 35% 미만의 고철질 광물을 포함하며,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각섬석이 포함된다.
반려암은 조암 광물 함량이 35% 미만인 백반려암, 조암 광물 함량이 35%에서 65%인 중반려암, 조암 광물 함량이 65% 이상인 흑반려암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조암 광물 함량이 90% 이상인 암석은 대신 초고철질암으로 분류되며, 조암 광물 함량이 10% 미만인 반려암은 사장암으로 분류된다.[8]
사장석, 휘석, 각섬석, 감람석의 상대적 비율을 기준으로 더 자세히 분류할 수 있다.
반려암은 때때로 관입 등가물로 간주되는 알칼리 현무암 또는 섬록암질 마그마 계열과 유사하게 알칼리 또는 섬록암질 반려암으로 분류된다. 알칼리 반려암은 일반적으로 감람석, 네펠린, 또는 아날심을 최대 10%까지 포함한다. 섬록암질 반려암은 단사휘석과 사방휘석을 모두 포함하여 개브로나라이트를 형성한다.
가브로이드(gabbroids, 가브로암이라고도 함[8])는 가브로와 유사한 조립질 화성암군이다.
가브로이드는 일반적으로 몇 퍼센트 정도의 소량의 자철석, 일메나이트, 울보스피넬과 같은 철-티타늄 산화물을 함유한다. 인회석, 지르콘, 흑운모도 부속 광물로 존재할 수 있다.[6]
4. 조직
반려암은 조립질로 알갱이의 크기는 1mm 이상인 경우가 많다. 알갱이 크기가 더 작은 경우에는 돌러라이트라고 하지만, 일상적으로는 세립질 반려암이라고도 한다. 반려암에 따라서는 페그마타이트 수준의 극단적으로 큰 알갱이가 생길 수도 있다. 휘석-사장석질의 누적암 중 일부는 거정질 반려암인 경우가 있는데, 이때 광물들은 침상의 벽개를 가질 수도 있다.[4]
반려암은 등립질 조직을 갖는 경우가 많지만, 때에 따라서는 사장석의 오이코크리스트가 석기보다 이른 시기에 성장하여 반정질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5. 기원
반려암은 해양지각에서 거의 대부분 발견되며, 가끔씩 대륙에서도 발견된다. 반려암은 현무암질 마그마가 지각 심부(대체로 5km 이상의 깊이)에서 천천히 식어가면서 형성된다. 현대에는 대부분의 반려암은 중앙해령에서 상승한 맨틀 물질이 천천히 결정화되면서 형성된다. 대륙에서 발견되는 반려암은 산성 마그마의 분화로부터 생겨났을 수 있다. 부가체처럼 두 대륙이 충돌하면서 형성되는 석영이 풍부하고 크기가 큰 마그마 챔버 안에서도, 상대적으로 작고, 알칼리를 많이 포함하며, 석영이 없거나 거의 포함되지 않은 암석이 형성된다.[4]
반려암은 관입한 상태에서 그대로 결정화되어 휘석과 사장석이 균질한 조직을 가지는 형태로 산출되는 경우가 있는 반면, 마그마의 결정 분화 작용에 중력의 영향으로 광물의 분리가 일어나면 휘석과 사장석이 마그마 안에서 가라앉아 층상의 누적암 형태로 산출되는 경우도 있다.
6. 이용
반려암은 크롬, 니켈, 코발트, 금, 은, 백금, 황화구리를 함유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안반점상 반려암은 화장석이나 포장석으로 많이 쓰이며, 상업적으로는 블랙 화강암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서양에서는 묘비나 서양식 주방의 조리대에 사용된다.[17][18][19]
7. 어원
반려암의 서양 이름인 개브로(gabbro)는 크리스티안 레오폴트 폰 부흐가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의 가브로 마을 이름을 따서 명명한 것이다.[1][2] 1809년, 폰 부흐는 이탈리아의 뱀상암 암석을 설명하면서 이 용어를 더 제한적으로 사용했고,[3] 오늘날 "변성 가브로"(변성 작용된 가브로)라고 부르는 암석에 "가브로"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쓰이는 반려암에서 반(斑)은 반점무늬를, 려(糲)는 "현미"를 뜻하며, 검은색 바탕에 현미와 같은 흰 반점 모양의 암석을 나타낸다. 이는 흰 사장석과 검은 휘석이 흑백의 반점으로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메이지 초창기에는 "비백석(飛白石)・카스리이시"라는 번역어도 사용되었는데, 이는 얼룩 무늬라는 뜻이다. 반려암이라는 번역어를 만든 것은 고토 분지로(1884년)이다. 중국에서는 휘석과 사장석으로 된 암석이라는 뜻에서 휘장암이라고 한다.
8. 한국
부산광역시 부산국가지질공원의 지질명소인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은 한국에서 반려암이 분포하는 거의 유일한 지역이며 세계적으로 희귀한 지질 유산이다.
참조
[1]
서적
'Chapter 11: Ophiolites, Ligurides and the tectonic evolution from spreading to convergence of a Mesozoic Western Tethys segment'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2001
[2]
서적
'Chapter 11: Ophiolites, Ligurides and the tectonic evolution from spreading to convergence of a Mesozoic Western Tethys segment'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2001
[3]
웹사이트
Gabbro
http://www.sandatlas[...]
2015-07-09
[4]
서적
A dictionary of geology and earth scienc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
서적
Glossary of geology.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1997
[6]
서적
Petrology : igneous, sedimentary, and metamorphic.
W.H. Freeman
1996
[7]
학술지
The IUGS systematics of igneous rocks
[8]
학술지
Rock Classification Scheme - Vol 1 - Igneous
http://nora.nerc.ac.[...]
1999
[9]
서적
Principles of igneous and metamorphic petr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10]
서적
Igneous Rocks: A Classification and Glossary of Terms
Cambridge Univ. Press
2005
[11]
학술지
Characteristic mineralogy of arc-related cumulate gabbros: Implications for the tectonic setting of gabbroic plutons and for andesite genesis
1986-10-01
[12]
학술지
Paragenesis of magma chamber internal wall discovered in Oman ophiolite gabbros
2016-04
[13]
학술지
A Note on the Origin of Ophitic Texture in the Chilled Olivine Gabbro of the Skaergaard Intrusion
1961-10
[14]
학술지
Komatiitic and Iron-rich Tholeiitic Lavas of Munro Township, Northeast Ontario
1977-05-01
[15]
서적
Igneous rocks and processes: a practical guide
Wiley-Blackwell
2010
[16]
학술지
The Rum Igneous Centre, Scotland
2014-08
[17]
학술지
By-product recovery from copper-nickel bearing duluth gabbro
1982-08
[18]
서적
'Cu-Ni-PGE Magmatic Sulfide Ores and their Host Layered Gabbros in the Haymiliyah Fossil Magma Chamber (Haylayn Block, Semail Ophiolite Nappe, Oman)'
1991
[19]
학술지
A Gold- and Platinum-Mineralized Layer in Gabbros of The Kap Edvard Holm Complex: Field, Petrologic, and Geochemical Relations
2000-08
[20]
서적
Stone in architecture : properties, durability
Springer-Verlag
1994
[21]
서적
Conservation of Historic Stone Buildings and Monuments
1982-01-01
[22]
문서
Walter Maresch/Medenbach: Gestei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