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레리안 쿠이비셰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레리안 쿠이비셰프는 1888년 옴스크에서 태어나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참여하여 볼셰비키 활동을 했다.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 이후 사마라 소비에트 의장이 되었고, 러시아 내전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소비에트 연방에서 경제 및 정치 분야의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스탈린의 주요 경제 고문으로서 공산당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이었다. 1935년 심장마비로 사망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도시와 기념물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제1부정부수반 - 알렉세이 코시긴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코시긴은 1964년부터 1980년까지 소련의 총리를 역임한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스탈린 시대에 급속 승진하여 경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965년 경제 개혁을 통해 소비재 생산 확대와 경제 효율성 증대를 시도했다.
  • 소련의 제1부정부수반 - 프롤 코즐로프
    프롤 코즐로프는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인으로, 레닌그라드 당 조직 재건을 주도하고 흐루쇼프의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알코올 의존증과 뇌졸중, 그리고 노보체르카스크 학살 책임 논란으로 실각했다.
  • 옴스크 출신 - 예브게니야 카나예바
    예브게니야 카나예바는 올림픽 리듬체조 개인종합 2연패를 달성한 러시아의 리듬 체조 선수로, 세계 선수권 개인전 종목 석권 등 뛰어난 업적을 남기고 은퇴 후 러시아 리듬체조 연맹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옴스크 출신 - 블라다 로슬랴코바
    블라다 로슬랴코바는 러시아 출신의 모델로, 시베리아 옴스크에서 모델 활동을 시작하여 "시베리아 공주"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제시카 스탐, 사샤 피보바로바와 함께 "와이드 아이드 돌" 시대를 대표하는 모델로 활동하며, 니나 리치, 모스키노, 돌체 & 가바나 등 유명 브랜드의 광고 모델과 보그 프랑스 표지 장식, 여러 패션 잡지 화보 등장으로 인기를 얻어 보그 파리로부터 2000년대 최고의 모델 3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고 미국 보그로부터 슈퍼모델이자 런웨이의 전설이라고 칭송받았다.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 -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은 러시아 혁명가이자 소련의 정치인으로, 볼셰비키 혁명에 기여하여 소련의 국가 원수를 역임했으며, 스탈린 시대에는 명목상의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다 사망 후 국장으로 예우받았다.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발레리안 쿠이비셰프
기본 정보
쿠이비셰프 (1930년대)
출생일1888년 6월 6일 (구 5월 25일)
출생지옴스크, 아크몰린스크 주, 러시아 제국
사망일1935년 1월 25일 (46세)
사망지모스크바, 러시아 SFSR, 소비에트 연방
국적소비에트
정당RSDLP (볼셰비키) (1904–1918)
러시아 공산당 (1918–1935)
안장 장소크렘린 벽 묘지, 모스크바
직책
임기 시작1934년 5월 14일
임기 종료1935년 1월 25일
수상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임기 시작1926년 8월 5일
임기 종료1930년 11월 10일
수상알렉세이 리코프
전임자펠릭스 제르진스키
후임자세르고 오르조니키제
임기 시작1930년 11월 10일
임기 종료1934년 4월 25일
수상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전임자글렙 크르지자노프스키
후임자발레리 메즐라우크
임기 시작1923년 7월 6일
임기 종료1926년 8월 5일
수상블라디미르 레닌
알렉세이 리코프
전임자직책 신설
후임자세르고 오르조니키제
임기 시작1927년 12월 19일
임기 종료1935년 1월 25일
임기 시작1922년 4월 3일
임기 종료1923년 4월 25일
임기 시작1934년 2월 10일
임기 종료1935년 1월 25일
임기 시작1923년 4월 26일
임기 종료1924년 6월 2일

2. 생애와 경력

발레리안 쿠이비셰프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참여하여 혁명가의 길을 걸었으며, 러시아 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17년 2월 혁명 이후 사마라 소비에트 의장을 역임했다. 러시아 내전 동안에는 사마라 행정부 수반과 제1군, 제4군의 정치지도원으로 활동했다.

내전 이후 쿠이비셰프는 경제 분야에서 활동했다. 1928년부터 1930년까지 소비에트 국가경제최고위원회(Высший Совет Народного Хозяйства) 의장을, 1930년부터 1932년까지 고스플란(Госпла́н, 소비에트 국가계획위원회) 의장을, 1934년부터 1935년까지 인민통제위원회 의장과 소비에트 연방 인민위원회의 부의장을 역임했다.

세르게이 키로프 암살 사건을 조사하던 중 모스크바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으며, 유해는 크렘린 벽 묘지에 안장되었다.[2]

쿠이비셰프의 사후, 여러 도시들이 그의 이름을 따 개명되었다. 1935년부터 1991년까지 사마라(러시아 사마라주 주도), 볼가르(러시아 타타르스탄), 하가르친 (아르메니아)은 쿠이비셰프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주의 쿠이비셰프와 아르메니아의 쿠이비셰프는 여전히 그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2. 1. 초기 생애

쿠이비셰프는 1888년 6월 6일(구력 5월 25일) 시베리아 옴스크의 군인 가정에서 태어나 옴스크 육군 유년 학교(Омский кадетский корпусru)에서 공부하였다.[1] 1904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볼셰비키 파에 합류했다.[1] 이듬해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제국 군사-의학 아카데미에 입학했으나, 1906년 정치 활동으로 퇴학당했다.[1]

1906년부터 1914년까지 쿠이비셰프는 러시아 제국 각지에서 볼셰비키 활동을 벌이다가, 시베리아의 나름으로 추방되었다.[1] 1914년 12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페트로그라드 위원회 위원이 되었다.[1]

2. 2. 혁명가 시절

1917년 쿠이비셰프


쿠이비셰프는 1904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가입하여 혁명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05년 군사 의학 아카데미에 입학했으나, 혁명 운동 참여로 인해 1906년 퇴학당했다.[1] 1906년부터 1914년까지 러시아 제국 각지에서 볼셰비키 활동을 벌이다 시베리아의 나름으로 추방되었다.[1] 그는 야코프 스베르들로프와 함께 지역 볼셰비키 조직을 결성했다.[2] 1912년 5월 탈출하여 옴스크로 돌아갔지만, 곧 체포되어 1년 동안 투옥되었다.[2] 이후 탐보프로 이송되었으나 다시 탈출, 1913년부터 1914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 하르코프, 볼로그다 등지에서 시민 불안을 조장하는 활동을 했다.[2] 1914년 12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페트로그라드 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1917년 2월 혁명 이후, 사마라로 이동해 지방 소비에트 의장이 되었다.[1] 같은 해 10월, 사마라 혁명위원회 의장이 되어 시내의 볼셰비키 무장 봉기를 지휘했다.[3] 1918년부터 사마라 현 집행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3] 당시 '좌익 공산주의'에 가담하여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체결에 반대했다.

러시아 내전 기간 동안 쿠이비셰프는 사마라현 혁명 위원회 의장을 맡았으며, 제1군(RSFSR)과 제4군(RSFSR) 적군의 정치 위원으로 활동했다.[2] 1918년 10월, 당 사마라 현 위원회 의장이 되어 아스트라한 방어를 조직했다.[3] 1919년 10월, 전 러시아 중앙 집행 위원회 투르케스탄 위원회 부의장 겸 투르케스탄 전선 혁명군사회의 의원을 지냈다.[3] 자카스피 공세 시 정치 위원이 되어 투르케스탄 영내에서 숙청을 지휘했다.[3] 1920년 5월, 투르케스탄 전선 정치국장, 9월부터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전권 대표를 역임했다.[3]

2. 3. 러시아 혁명과 내전



1917년 2월 혁명 이후, 쿠이비셰프는 사마라로 이동해 지방 소비에트의 의장이 되었다. 같은 해 10월, 사마라 혁명위원회 의장이 되어 시내의 볼셰비키 무장 봉기를 지휘했다. 1918년부터 사마라 현 집행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당시 '좌익 공산주의'에 가담하여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체결에 반대했다.[2]

러시아 내전 동안 쿠이비셰프는 사마라 행정부의 우두머리와 제1군(RSFSR), 제4군(RSFSR)의 정치지도원을 역임하였다. 1918년 10월, 당 사마라 현 위원회 의장이 되어 아스트라한 방어를 조직했다.[2] 1919년 10월, 전 러시아 중앙 집행 위원회 투르케스탄 위원회 부의장 겸 투르케스탄 전선 혁명군사회의 의원을 지냈다. 자카스피 공세 시 정치 위원이 되어 투르케스탄 영내에서 숙청을 지휘했다.[2] 1920년 5월, 투르케스탄 전선 정치국장이 되었고, 9월부터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전권 대표를 역임했다.[2]

2. 4. 소비에트 연방 시절

쿠이비셰프는 1928년부터 1930년까지 소비에트 국가경제최고위원회(Высший Совет Народного Хозяйства) 의장을, 1930년부터 1932년까지는 고스플란(Госпла́н, 소비에트 국가계획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2] 1934년부터 1935년까지 인민통제위원회 의장과 소비에트 연방 인민위원회의 부의장을 지냈다.[2]

1920년 적색노동조합 국제기구 회의에 참여했고, GOELRO 계획 시행을 맡았다. 1923년 7월 6일부터 1926년 8월 5일까지 소련 초대 경제 검사관(인민 위원 of the Rabkrin)을 지냈다. 1926년부터 1930년까지 최고 국민 경제 위원회 위원장을, 1930년부터 1934년까지 국가 계획 위원회(Gosplan)를 이끌었다.[2] 1934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정치국 정식 구성원이었다. 이오시프 스탈린의 주요 경제 고문으로서 공산당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적기 훈장을 받았다. ''대(大) 소련 백과사전'' 초판 발기인이자 편집 위원회 위원이었다.[2]

1921년부터 당 중앙위원회 위원 후보, 1922년~1923년과 1926년 이후 중앙 위원을 역임했다. 1922년 4월~1923년 4월, 당 중앙위원회 서기를 지냈으며, 1922년~1923년과 1934년~1935년에는 중앙위원회 조직국원을 역임했다. 1923년 4월~1926년 8월, 당 중앙 감독 위원회 의장을 지냈고, 1923년~1927년, 중앙 감독 위원회 간부회의 의원을 역임했다. 1923년 7월부터 소련 노농(勞農) 감찰 인민 위원, 1926년 1월~5월, 소비에트 연방 인민 위원회 부의장을 겸임했다.

당내 파벌 투쟁에서 "당의 단결"에 찬성하며 이오시프 스탈린의 충실한 지지자가 되었다. 공업화와 집단화의 신봉자로, 1926년 8월 소련 최고 인민 경제 회의 의장이 되어 소련 연방의 모든 공업을 장악했다. 1927년 12월, 중앙위원회 정치국원이 되었고 실각할 때까지 그 지위를 유지했다.

1930년 세르고 오르조니키제를 대신하여 국가 계획 위원회(고스플란) 의장이 되었으며, 1934년 4월까지 재직했다. 1930년 11월~1934년 5월에는 인민 위원회 부의장을, 1932년 2월~1933년 4월에는 농산물 조달 위원회 의장을 겸임했다. 1934년 2월부터는 소련 연방 감독 위원회 의장을 맡았다. 1934년 5월, 쿠이비셰프를 위해 신설된 인민 위원회 제1부의장 직에 임명되었다.

세르게이 키로프 암살 사건을 조사하던 중, 모스크바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2] 유해는 크렘린 벽 묘지에 안장되었다.[2]

2. 5. 사망

1935년 1월 25일 모스크바에서 심부전으로 4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세르게이 키로프 암살 사건 수사에 착수한 지 며칠 후였다.

볼셰비키 전통에 따라 화장되었고, 유골은 크렘린 벽 묘지에 안치되었다.

3. 개인사

쿠이비셰프는 여러 번 결혼했지만 자녀는 없었다. 그는 재능 있는 음악가이자 시인이었다. 그의 세 번째 부인인 갈리나 알렉산드로브나 트로야노프스카야는 예브게니야 보쉬의 조카였다.[1]

그는 열정적인 음악가이자 시인이었다.[2]

쿠이비셰프는 두 번 결혼했지만, 친자식은 한 명도 없었다.[3]

부인설명
예브게니야 코간Евгения Соломоновна Коганru, 1886년 - 1937년, 1907년부터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 당원. 1918년 사마라 현 위원회 서기, 1930년~1936년 당 모스크바 시 위원회 서기 역임. 1937년 체포되어 자백을 거부했지만 총살되었고, 사후 명예 회복됨.[4]
파나 스차시키나야Пана Афанасьевна Стяжкинаяru, 1890년 - 1962년, 1908년부터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 당원. 통상 대표부, 당 중앙 위원회 사무국에서 일했으며, 리하르트 조르게의 암호수를 맡기도 함.


4. 평가와 유산

쿠이비셰프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볼셰비키 활동을 했고, 러시아 2월 혁명 이후에는 소비에트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다. 러시아 내전 동안에는 정치지도원으로 활동했으며, 1928년부터는 소비에트 국가경제최고위원회 의장, 고스플란 의장, 인민통제위원회 의장 등을 역임하며 경제 및 정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의 사후, 사마라(사마라주)시, 볼가르(타타르 공화국)시, 하가르친(아르메니아) 마을은 1935년부터 1991년까지 그의 이름을 따 쿠이비셰프로 불렸다. 노보시비르스크주쿠이비셰프와 아르메니아의 쿠이비셰프는 여전히 그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사마라의 쿠이비셰프 광장[3]두샨베(타지키스탄)에는 그의 동상이 있으며,[4] 사마라 근처 볼가 강에는 1957년에 완공된 쿠이비셰프 수력 발전소가 있다. 1953년에는 그의 모습이 담긴 우표가 발행되었다.

1953년 쿠이비셰프가 그려진 우표

4. 1. 비판

쿠이비셰프는 당내 파벌 투쟁 시기에 이오시프 스탈린을 충실하게 지지했다. 그는 공업화와 집단화의 신봉자로, 1926년 소련 최고 인민 경제 회의 의장이 되어 소련 연방의 모든 공업을 자신의 손에 넣었다. 1927년에는 중앙위원회 정치국원이 되었고, 실각할 때까지 그 지위를 유지했다.

쿠이비셰프는 대숙청의 추진자 중 한 명이었으나, 정작 그의 동생이자 붉은 군대 군단장이었던 니콜라이와 첫 번째 부인은 숙청으로 처형되었다. (두 사람 모두 사후 명예 회복)

5. 기념

1935년부터 1991년까지 사마라(러시아 사마라주의 주도), 볼가르(러시아 타타르스탄), 하가르친 (아르메니아)은 그의 이름을 따 쿠이비셰프로 불렸으며,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주쿠이비셰프아르메니아의 쿠이비셰프 두 도시는 여전히 그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3][4] 사마라 근처 볼가강에 1957년에 완공된 수력 발전소는 쿠이비셰프 수력 발전소로 명명되었다. 사마라의 쿠이비셰프 광장에는 그의 동상이 있다.

참조

[1] 서적 The House of Government http://dx.doi.org/1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08-07
[2] 웹사이트 Valerian Kuybyshev http://encyclopedia2[...]
[3] 웹사이트 Памятник В. В. Куйбышеву https://turportal63.[...] 2023-02-04
[4] 웹사이트 Google Maps https://www.google.c[...] 2019-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