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화는 말이나 글로 표현되는 언어의 특징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준언어적 특징, 운율적 특징, 비유창성 특징 등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준언어적 특징에는 표정, 제스처 등이 있으며, 운율적 특징은 목소리의 높낮이, 억양 등을 의미한다. 비유창성 특징은 말더듬, 꼬리표 의문문 등이 있으며, 말 메우개, 억양, 지시어, 접속어, 구어적 어휘 등도 발화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아동의 발화 능력은 사회경제적 지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아동 지향 언어는 음운론, 어휘, 문법 등에서 일반적인 발화와 차이를 보인다. 발화 이해를 위해서는 폴 그라이스의 협력 원리와 미하일 바흐틴의 발화 이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사소통 - 번역
번역은 출발어 텍스트를 목표어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직역과 의역 등의 방식을 통해 완역 또는 축약역으로 나뉘며, 기계 번역과 인간 번역의 차이, 그리고 문화와 사상의 교류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의사소통 -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은 인간과 컴퓨터 간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설계, 구현, 평가하는 학제간 분야로, 사용자 중심 설계 원칙을 통해 사용성, 효율성, 접근성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며, 인공지능, 감정 컴퓨팅,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그리고 보안 상호작용 등의 새로운 연구 영역이 발전하고 있다. - 사회언어학 - 지칭어
지칭어는 특정 대상을 명확히 지칭하는 용어로, 한국어에서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프로젝트 관리에서는 참조 조건의 의미로 프로젝트 목표와 범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 사회언어학 - 피진
피진은 서로 다른 언어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단순화된 언어로, 문법과 어휘가 제한적이며 모어 화자가 없지만, 널리 사용될 경우 크리올어로 발전하기도 한다.
발화 | |
---|---|
발화 | |
정의 | 한 사람이 말을 시작하고 끝내는 사이의 말의 연속체 |
언어학적 의미 | 화자가 특정 상황에서 내뱉는 실제적인 말 또는 문장 |
특징 | |
맥락 의존성 | 발화는 항상 특정 맥락과 상황에 따라 해석됨 |
의도 반영 | 화자의 의도와 목적을 담고 있음 |
다양한 형태 | 단어, 구, 절, 문장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 |
상호작용 | 대화나 의사소통 과정에서 상대방의 발화와 상호작용함 |
발화의 종류 | |
진술 | 사실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발화 |
질문 | 정보를 요구하는 발화 |
명령 | 행동을 요구하는 발화 |
감탄 | 감정을 표현하는 발화 |
약속 | 미래의 행동을 약속하는 발화 |
관련 개념 | |
문장 | 문법적으로 완결된 언어 단위, 발화의 구성 요소 |
담화 | 연결된 발화들의 모음, 발화의 상위 개념 |
화행 | 발화를 통해 수행되는 행위, 발화의 의미와 기능 |
문장 의미론 |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연구하는 분야 |
화용론 | 발화가 맥락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해석되는지를 연구하는 분야 |
2. 발화의 특징
발화는 말하거나 글을 쓸 때 나타나는 여러 특징을 가지고 있다. 크게 언어적 특징과 비언어적 특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비언어적 특징에는 준언어적 특징과 비유창성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발화의 의미를 풍부하게 하고,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2. 1. 언어적 특징

말하거나 글로 쓴 언어에서 발견되는 발화는, 극본에서처럼,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발화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추가되는 의사소통 형태인 준언어적 특징이 포함된다. 준언어적 특징의 예로는 얼굴 표정, 웃음, 시선 접촉, 제스처 등이 있다. 운율적 특징은 누군가가 말할 때의 목소리 소리, 즉 높낮이, 억양 및 강세를 말한다.[3]
생략은 말하거나 글로 쓸 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화가 전달될 때 화자가 상황에서 이미 이해되고 있는 단어를 생략하는 경우이다. (예: A: 주스? B: 네. A: 상온으로? B: 차갑게.)[3]
비유창성 특징 또한 발화를 생성할 때 발생한다. 대화 중에 무엇을 말할지 생각하면서 말에는 오류와 수정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유성/무성 정지, 즉 유성 정지에서는 "음", "어" 등이고, 필사본에서는 무성 정지는 정지 시간에 따라 (.) 또는 (1)로 표시된다. 꼬리표 의문문 또한 비유창성 특징의 일부이다. 이것은 화자가 청자가 화자가 말하는 것을 이해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다. (예: "무슨 말인지 아시겠어요?") 거짓 경고는 화자가 발화를 말하지만 멈추고 다시 시작할 때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자신을 수정하기 위해서이다.
말 메우개는 일반적으로 화자에게 시간을 주어 생각을 모아 발화를 계속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에는 "뭐", "등등"[4]과 같은 어휘가 포함된다. 억양/방언 또한 발화에 포함되는 특징이며, 이는 단어가 발음되는 방식, 발음, 그리고 세계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어휘를 말한다. 지시어는 "와! 저기 봐!"와 같이 이해하기 위해 더 많은 설명이 필요한 발화이다. 말의 간단한 접속사는 "그리고", "그러나"와 같은 다른 단어를 연결하는 단어이다. 구어적 어휘는 발화가 일반적으로 더 자유로운 비공식적인 유형의 말이다.[2]
2. 2. 준언어적 특징
준언어적 특징은 말하거나 글로 쓴 언어에서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의미를 부여하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얼굴 표정, 웃음, 시선 접촉, 몸짓 등이 이에 해당한다.[3] 운율적 특징은 말할 때 목소리의 높낮이, 억양, 강세 등을 말한다. 생략은 이미 이해되는 단어를 생략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주스?", "네.", "상온으로?", "차갑게."와 같은 대화에서 생략이 사용된다.[3]비유창성 특징은 말할 때 발생하는 오류나 수정을 말한다. "음", "어"와 같은 유성 정지, 멈춤 시간을 나타내는 무성 정지(.) 또는 (1) 등이 있다. 꼬리표 의문문은 상대방의 이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슨 말인지 아시겠어요?"와 같은 표현이다. 거짓 경고는 말을 멈추고 다시 시작하며 자신을 수정하는 경우를 말한다.[3]
말 메우개는 "뭐", "등등"[4]과 같이 생각할 시간을 벌기 위해 사용되는 어휘이다. 억양/방언은 단어 발음 방식, 발음, 지역별 어휘 유형을 나타낸다. 지시어는 "와! 저기 봐!"와 같이 추가 설명이 필요한 발화이다. 접속사는 "그리고", "그러나"와 같이 단어를 연결하는 단어이다. 구어적 어휘는 비공식적인 말하기 방식이다.[2]
2. 3. 비유창성 특징
말하거나 글로 쓴 언어에서 발견되는 발화에는 비유창성 특징이 나타난다. 대화 중 생각하면서 말할 때 오류와 수정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음", "어"와 같은 유성 정지와, 필사본에서 (.) 또는 (1)로 표시되는 무성 정지가 있다. 꼬리표 의문문 또한 비유창성 특징의 일부인데, 이는 화자가 청자가 이해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다. 예를 들면 "무슨 말인지 아시겠어요?"와 같다. 거짓 경고는 화자가 발화를 말하다가 멈추고 다시 시작하는 경우로, 보통 자신을 수정하기 위해서이다.[3]말 메우개는 일반적으로 화자에게 생각할 시간을 주어 발화를 계속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는 "뭐", "등등"[4]과 같은 어휘가 포함된다.
3. 아동 언어 발달과 발화
아동 지향 언어에서 발화는 여러 가지 추가적인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아동 지향 언어의 음운론은 일반적인 언어와 다르다. 발화는 더 느리게, 발화 사이에 더 긴 멈춤을 두고, 더 높은 음높이로 말해진다. 어휘와 의미론도 다른데, 화자는 "강아지" 대신 "멍멍이"와 같이 아이들에게 적합한 단어를 사용한다. 문법은 더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동사와 형용사의 사용이 적다. 한 단어 발화의 사용이 더 많고, 화용론적으로는 확장과 재구성과 같은 지원 언어를 사용한다.[6]
3. 1. 사회경제적 지위와 언어 발달
아이들의 발화 능력 발달은 부모, 성인 또는 아이가 성장하는 동안 함께하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는다.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발달은 부모, 성인 또는 보호자의 사회경제적 지위(SES)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교육 수준이 높고 사회경제적 지위(SES)가 높은 부모를 둔 아이들은 유아기 동안 더 큰 어휘력을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단어를 더 빨리 배우는 반면, 교육 수준이 낮고 사회경제적 지위(SES)가 낮은 부모를 둔 아이들은 어휘력이 더 작고 어휘 능력의 성장 속도가 느리다.[5] 이러한 상관관계는 교육 수준이 높은 부모가 교육 수준이 낮은 부모에 비해 자녀와 이야기할 때 더 많은 어휘를 사용하기 때문이다.[5] 2003년 Hoff의 분석은 이러한 상관관계를 뒷받침하며, 자녀와 이야기하는 어머니의 발화 평균 길이와 어휘가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아동의 어휘 발달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고소득층 어머니들은 자녀와 이야기할 때 더 긴 발화와 더 다양한 단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어머니들은 자녀와 이야기하는 시간도 더 많이 보내는 반면, 저소득층 어머니들은 더 짧은 발화와 더 적은 어휘를 사용한다. 결과적으로, 교육 수준이 높은 부모를 둔 아이들은 더 큰 어휘력을 가지고 있다.[5]3. 2. 아동 지향 언어 (Child-Directed Speech)

아이들의 발화 능력 발달은 부모, 성인 또는 아이가 성장하는 동안 함께하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는다.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발달은 부모, 성인 또는 보호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교육 수준이 높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부모를 둔 아이들은 유아기 동안 더 큰 어휘력을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단어를 더 빨리 배우는 반면, 교육 수준이 낮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부모를 둔 아이들은 어휘력이 더 작고 어휘 능력의 성장 속도가 느리다.[5] 이러한 상관관계는 교육 수준이 높은 부모가 교육 수준이 낮은 부모에 비해 자녀와 이야기할 때 더 많은 어휘를 사용하기 때문이다.[5] 2003년 Hoff의 분석은 이러한 상관관계를 뒷받침하며, 자녀와 이야기하는 어머니의 발화 평균 길이와 어휘가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아동의 어휘 발달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고소득층 어머니들은 자녀와 이야기할 때 더 긴 발화와 더 다양한 단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어머니들은 자녀와 이야기하는 시간도 더 많이 보내는 반면, 저소득층 어머니들은 더 짧은 발화와 더 적은 어휘를 사용한다. 결과적으로, 교육 수준이 높은 부모를 둔 아이들은 더 큰 어휘력을 가지고 있다.[5]
아동 지향 언어에서 발화는 여러 가지 추가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아동 지향 언어의 음운론은 다르다. 발화는 더 느리게, 발화 사이에 더 긴 멈춤을 두고, 더 높은 음높이로 말해진다. 어휘와 의미론도 다르며, 화자는 "강아지" 대신 "멍멍이"와 같이 아이들에게 적합한 단어를 사용한다. 문법은 더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동사와 형용사의 사용이 적다. 한 단어 발화의 사용이 더 많고, 화용론은 확장과 재구성과 같은 지원 언어를 사용한다.[6]
4. 발화 이해의 원리
발화가 원활하게 이해되기 위해서는 특정한 원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대표적으로 폴 그라이스와 미하일 바흐틴의 이론이 있다. 그라이스는 대화 참여자들이 지켜야 할 원칙을 제시했고, 바흐틴은 발화 자체가 갖추어야 할 속성을 강조했다.
4. 1. 그라이스의 협력 원리 (Gricean Maxims)
폴 그라이스(Paul Grice, 1989)는 발화가 이해되는 원활한 대화를 위해 필요한 네 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양의 격률''': 대화에 필요한 적절한 양의 정보를 제공한다.
# '''질의 격률''': 참된 정보를 제공한다.
# '''관련성의 격률''': 당면한 주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 '''태도의 격률''': 대화 전반에 걸쳐 발화에 질서를 주고, 명료하게 한다.[7][8]
4. 2. 바흐친의 발화 이론 (Bakhtin's Theory of Utterance)
철학자 미하일 바흐틴에 따르면, 발화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속성을 가져야 한다.- '''경계''': 모든 발화는 "화제의 변화"에 의해 경계가 지어져야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침묵에 의해 경계가 지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응답성 또는 대화성''': 발화는 이전 발화에 대한 응답/후속이거나 대화를 생성해야 한다.
- '''완결성''': 발화는 명확한 끝을 가져야 하며, 화자가 하고자 하는 모든 말을 했을 때만 발생한다.
- '''장르적 형식''': 화법 장르의 선택은 대화가 발생하는 특정 상황과 영역에 따라 결정된다.
바흐틴은 또한 발화와 문장이 동일한 것이 아니라고 강조한다. 바흐틴에 따르면, 문장은 화제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발화의 네 가지 속성 중 하나를 자동적으로 만족시키지 않는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언어 단위로서의 문장은 문법적인 성격을 가지는 반면, 발화는 "윤리적인" 것이다.[9]
참조
[1]
서적
Structural Linguistic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웹사이트
Level Up: English Language
http://www.allinfo.o[...]
2016-10-05
[3]
논문
Combining speech-based and linguistic classifiers to recognize emotion in user spoken utterances
2019-01-31
[4]
논문
Inter- and intra-language acoustic analysis of autonomous fillers
https://halshs.archi[...]
[5]
논문
Child-directed speech: relation to socioeconomic status,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and child vocabulary skill
https://dash.harvard[...]
[6]
웹사이트
Child Directed Speech a2-level-level-revision, english-language, child-language-acquisition, child-directed-speech Revision World
https://revisionworl[...]
2016-10-05
[7]
논문
Understanding violations of Gricean maxims in preschoolers and adults
[8]
논문
Maxims of Conversation
http://www.oxfordbib[...]
[9]
웹사이트
Utterance
http://pubpages.unh.[...]
2014-03-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