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문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문절은 신라 간관 백중학의 후손으로, 고려 시대의 문신이다. 1238년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원, 중서사인, 이부시랑, 국자좨주 등을 역임했다. 충렬왕 때 낭사 파직 사건에 연루되었으나 복직하여 국학대사성, 보문각학사를 거쳐 1280년 동지공거로 과거를 주관했다. 1282년에 사망했으며, 시호는 문간이다. 그는 원종 복위 시 임연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간언하여 지조를 보여주었으며, 문장력이 뛰어나 칭송을 받았다.

2. 생애

신라 백중학의 후손으로 남포군 사람이다. 1238년 문과에 급제[1]한림원(翰林院)에 들어갔고, 여러 관직을 거쳐 중서사인(中書舍人)에 이르렀으며, 이부시랑(吏部侍郞)과 국자좨주(國子祭酒)를 역임했다.

충렬왕 때 사의대부(司議大夫)가 되었는데, 당시 아무 공훈도 없는데다 집안에 결함이 있는 자가 벼슬에 오르는 경우가 많아 낭사(郞舍)[2]가 임명장에 서명을 하지 않았다. 왕이 거듭 재촉했으나 명을 따르지 않자, 어떤 자가 원한을 품고 왕의 측근들을 들쑤셔 왕을 격노하게 만들었다. 마침 승지(承旨) 이존비(李尊庇)가 감찰사(監察司)의 장계를 바치려 하자, 왕은 첨의부(僉議府)의 장계라고 생각해 크게 성을 내어 꾸짖으며 이존비를 쫓아냈으며, 이어 쿠치(忽赤) 최숭(崔崇)을 시켜 백문절 등의 낭사를 체포하게 했다. 이존비가 사실을 밝히려고 다시 나아가자 왕이 낭사를 구하려는 것이라 생각하고 꾸짖어 멈추게 한 다음 바로 백문절 등을 파직시켰다. 이에 이존비가 큰 소리로 “군왕이 신하의 마음을 몰라주시는데 제가 어찌 감히 왕명의 출납을 맡겠습니까? 당장 저를 파면해 주소서!”라고 외치니 이지저(李之氐)가 나아가 왕에게 아뢰었다.

왕이 그 장계를 받아 살펴본 후 후회하며 모두를 석방하였다.

얼마 뒤에 백문절은 국학대사성(國學大司成)·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로 승진했고,[3] 1280년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과거를 주관하여 이백기 등 35명을 급제시켰다.[4]

1282년 졸(卒)했다.[3] 시호는 문간(文簡)이다.[5] 고려사에 열전이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신라 간관(諫官) 백중학의 후손으로 남포군 사람이다. 1238년 문과에 급제해[1] 한림원(翰林院)에 들어갔고, 여러 관직을 거쳐 중서사인(中書舍人)에 이르렀으며, 이부시랑(吏部侍郞)과 국자좨주(國子祭酒)를 역임했다.

2. 2. 낭사 파직 사건과 복직

충렬왕 때 사의대부(司議大夫)가 되었는데, 당시 아무 공훈도 없는데다 집안에 결함이 있는 자가 벼슬에 오르는 경우가 많아 낭사(郞舍)가 임명장에 서명을 하지 않았다.[2] 왕이 거듭 재촉했으나 명을 따르지 않자, 어떤 자가 원한을 품고 왕의 측근들을 들쑤셔 왕을 격노하게 만들었다. 마침 승지(承旨) 이존비(李尊庇)가 감찰사(監察司)의 장계를 바치려 하자, 왕은 첨의부의 장계라고 생각해 크게 성을 내어 꾸짖으며 이존비를 쫓아냈으며, 이어 쿠치(忽赤) 최숭(崔崇)을 시켜 백문절 등의 낭사를 체포하게 했다. 이존비가 사실을 밝히려고 다시 나아가자 왕이 낭사를 구하려는 것이라 생각하고 꾸짖어 멈추게 한 다음 바로 백문절 등을 파직시켰다. 이에 이존비가 큰 소리로 “군왕이 신하의 마음을 몰라주시는데 제가 어찌 감히 왕명의 출납을 맡겠습니까? 당장 저를 파면해 주소서!”라고 외치니 이지저(李之氐)가 나아가 왕에게 아뢰었다.

왕이 그 장계를 받아 살펴본 후 후회하며 모두를 석방하였다.

얼마 뒤에 백문절은 국학대사성(國學大司成)·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로 승진했고,[3] 1280년(충렬왕 6)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과거를 주관하여 이백기(李伯琪) 등 35명을 급제시켰다.[4]

2. 3. 관직 생활과 사망

신라 간관(諫官) 백중학(白仲鶴)의 후손으로 남포군 사람이다. 1238년(고종 25) 문과에 급제[1]해 한림원(翰林院)에 들어갔고, 관직을 두루 거쳐 중서사인(中書舍人)에 이르렀으며, 이부시랑(吏部侍郞)과 국자좨주(國子祭酒)를 역임했다.

충렬왕(忠烈王)조에 사의대부(司議大夫)가 되었는데, 당시 아무 공훈도 없는데다 집안에 결함이 있는 자가 벼슬에 오르는 경우가 많아 낭사(郞舍)[2]가 임명장에 서명을 하지 않았다. 왕이 거듭 재촉했으나 명을 따르지 않자, 어떤 자가 원한을 품고 왕의 측근들을 들쑤셔 왕을 격노하게 만들었다. 마침 승지(承旨) 이존비(李尊庇)가 감찰사(監察司)의 장계를 바치려 하자, 왕은 첨의부의 장계라고 생각해 크게 성을 내어 꾸짖으며 이존비를 쫓아냈으며, 이어 쿠치(忽赤) 최숭(崔崇)을 시켜 백문절 등의 낭사를 체포하게 했다. 이존비가 사실을 밝히려고 다시 나아가자 왕이 낭사를 구해 보려는 것이라 생각하고 꾸짖어 멈추게 한 다음 바로 백문절 등을 파직시켰다. 이에 이존비가 큰 소리로 “군왕이 신하의 마음을 몰라주시는데 제가 어찌 감히 왕명의 출납을 맡겠습니까? 당장 저를 파면해 주소서!”라고 외치니 이지저(李之氐)가 나아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왕이 그 장계를 받아 살펴본 후 후회하며 모두를 석방하였다.

얼마 뒤에 백문절은 국학대사성(國學大司成)·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로 승진했고[3], 1280년(충렬왕 6)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과거를 주관하여 이백기(李伯琪) 등 35명을 급제시켰다.[4]

1282년(충렬왕 8) 졸(卒)했다.[3] 시호는 문간(文簡)이다.[5] 고려사에 열전이 있다.

3. 일화와 평가

1269년(원종 10년) 원종 복위와 관련한 일화에서, 백문절은 평소 나약하게 보였으나 붓을 던지고 왕에게 간언하는 모습으로 지조와 절개가 있는 인물로 평가받았다.[1]

『고려사』는 백문절에 대해 "문장력이 풍부해 물이 콸콸 쏟아지듯 글을 써내려갔기 때문에 당시 사람들로부터 추앙을 받았으나, 재주를 가지고 뽐낸 적이 없었다"라고 평가했다.[1]

3. 1. 원종 복위 건의

1269년 원종이 복위해 원나라로 가게 되자, 임연은 아들 임유간(林惟幹)과 심복들을 시켜 왕을 호종하게 함으로써 왕을 폐위한 사건에 대해 절대 입을 열지 못하게 했다.[1] 원종이 백문절에게 병으로 왕위에서 물러났다는 내용의 표문을 짓게 하자 백문절은 붓을 던지고 울면서 간언했고, 이에 원종이 느낀 바 있어 황제에게 모든 것을 사실대로 고했다.[1] 백문절이 늘 나약한 듯이 보였으나, 이런 일이 있자 사람들은 그가 지조와 절개가 있는 사람임을 비로소 알게 되었다.[1]

3. 2. 평가

는 백문절에 대해 그의 열전에서 "백문절은 문장력이 풍부하여 글을 쓸 때 물이 콸콸 쏟아지듯 막힘이 없었기에 당시 사람들로부터 추앙을 받았지만, 자신의 재주를 뽐낸 적이 없었다"라고 평가했다.[1]

1269년(원종 10년) 원나라로 가게 된 원종이 백문절에게 병으로 왕위에서 물러났다는 내용의 표문을 짓게 하자, 백문절은 붓을 던지고 울면서 간언했다. 이에 원종이 느낀 바 있어 황제에게 모든 것을 사실대로 고했다. 이 일로 사람들은 평소 나약하게 보였던 백문절에게 지조와 절개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1]

4. 가계

관계이름비고
증조부백광우(白光宇)병부원외랑(兵部員外郎)
조부백여주(白汝舟)좌승선(左承宣)·한림시강학사(翰林侍講學士)·지제고(知制誥)
아버지백경선(白景瑄)예부낭중(禮部郞中), 증(贈) 우복야(右僕射)
초배전주 이씨(全州李氏)
계배성주 이씨(星州李氏)이세주(李世柱)의 딸
장남백이정(白頤正)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 상의회의도감사(商議會議都監事) 상당군(上黨君) 문헌공(文憲公)
장자부구 안동 김씨(舊 安東金氏)중대광(重大匡) (上洛君) 김순(金恂)의 2녀
차남백효주(白孝珠)대호군(大護軍)
차자부평양 조씨(平壤趙氏)문하시중(門下侍中) 평양군(平壤君) 조인규(趙仁規)의 3녀
매부이진(李瑨)[6]문과에 급제했으나 벼슬하지 않음
생질이존비(李尊庇)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5. 작품


  • 광무(光武) "百戰車中講六經 八珍案上憶蔞亭 雲臺滿壁丹靑濕 七里灘頭訪客星."[7]

  • 방산사 이수(訪山寺 二首)
  • * "十笏禪房花木深 丁東山溜響於琴 解衣盤礴雙楓下 時有人間未見禽."〈제1수〉[8]
  • * "樹陰無罅小溪流 一炷淸香滿石樓 苦熱人間方卓午 臥看初日在松頭."〈제2수〉[9]

  • 당우(唐虞) "茅茨影裏土階卑 萬壽毫生八彩眉 四海人民無一事 耕田鑿井外何知"[10]

참조

[1] 서적 『동인지문오칠』
[2] 문서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속한 정3품 이하의 벼슬아치를 이르는 말로, 당시에는 중서문하성이 첨의부(僉議府)로 개칭되었다.
[3] 서적 『고려사』 「백문절전」
[4] 서적 『고려사』 「선거지」
[5] 서적 『백이정 행장』
[6] 문서 『이존비 묘지명』
[7] 인용구
[8] 인용구
[9] 인용구
[10] 인용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