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82년은 원나라, 일본, 쩐 왕조 등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연호가 사용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교황 마르티노 4세가 아라곤의 페드로 3세를 파문하고, 나폴리 왕국이 시칠리아 왕국에서 분리되었으며,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가 스코틀랜드 왕에게 서한을 보낸 일 등이 있었다. 또한, 허트퍼드 칼리지가 옥스퍼드 대학교에 설립되고, 워터마크 기술이 도입되는 등 다양한 사건들이 일어났다. 주요 사망 인물로는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리웰린 압 그리피드 등이 있다.
2. 연호
3. 기년
원(元) 세조(世祖) 23년 및 고려(高麗) 충렬왕(忠烈王) 8년, 쩐 왕조(陳朝) 인종(仁宗) 4년이다.
4. 주요 사건
11월 9일 - 교황 마르티노 4세가 아라곤의 페드로 3세를 파문했다.[1] 이는 3월 30일 시칠리아 만종의 영향으로, 시칠리아 음모가들이 샤를 1세의 통치에 대항하는 봉기를 일으켜 수천 명의 프랑스인들이 살해당했기 때문이다.
- 나폴리 왕국이 시칠리아 왕국에서 분리되다.
- 1월 25일 -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가 스코틀랜드의 왕 존 1세에게 서한을 보내 스코틀랜드에 대한 그의 청구를 인정하도록 요구했다.
- 12월 - 쿠만족이 헝가리를 침공했다.
- 허트퍼드 칼리지가 옥스퍼드 대학교에 설립되었다.
- 새로 주조소에서 주조된 동전이 요구되는 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합격 심사 양식이 제정되었다.
- 브뤼헤에서 통합 공공 부채의 존재에 대한 최초의 증거가 발견되어, 저지대 국가에 대한 정부 지출 자금 조달을 위해 연금 사용 확대를 확인하였다.[13]
- 가장 최근의 라데렐로 분출은 이탈리아 남부 토스카나의 보라치페로 분화구호에서 관측되었다.
- 워터마크 기술이 이탈리아 볼로냐의 제지업자들에 의해 도입되었다.
- 캔터베리 대교구의 대주교인 존 펙햄은 런던의 모든 유대교 회당에 폐쇄를 명령하고, 유대인 의사가 비유대인을 진료하는 것을 금지한다.
- 랑그도크의 알비 대성당 건설이 시작된다.
- 3월 30일 - 시칠리아에서 샤를 당주의 압제에 대한 폭동이 발생.(시칠리아 만종)
4. 1. 한국
1282년은 한국과 관련된 내용이 없다.4. 2. 아시아
1282년 11월 9일 교황 마르티노 4세가 아라곤의 피터 4세를 파문했다. 나폴리 왕국이 시칠리아 왕국에서 분리되었다.4. 3. 유럽
1282년 유럽에서는 다양한 사건들이 일어났다.11월 9일에는 교황 마르티노 4세가 아라곤의 페드로 3세를 파문했다.[1] 이는 3월 30일 시칠리아 만종 전쟁의 영향으로, 시칠리아 음모가들이 샤를 1세의 통치에 대항하는 봉기를 일으켜 수천 명의 프랑스인들이 살해당했기 때문이다.[1] 이 반란으로 샤를 1세는 비잔틴 제국에 대한 십자군 원정을 포기해야 했고, 페드로 3세가 시칠리아 섬의 통치를 넘겨받았다.[1] 그 결과 나폴리 왕국이 시칠리아 왕국에서 분리되었다.[1]
3월에는 리웰린 압 그리피드의 동생 다피드 압 그리피드가 이끄는 웨일스군이 하워든 성을 공격하여 점령하고, 로저 드 클리포드 경을 포로로 잡았다.[1] 리웰린은 다피드와 함께 잉글랜드에 대항하는 반란에 참여했고, 이는 에드워드 1세에 의한 웨일스의 최종적인 잉글랜드 정복으로 이어졌다.[1] 6월 17일 란데이로 전투에서 길버트 드 클레어가 이끄는 잉글랜드군은 웨일스군에게 패배하여 남부 웨일스로의 확장이 중단되었다.[4] 12월 11일 오레윈 다리 전투에서는 에드워드 1세가 이끄는 잉글랜드군이 웨일스군을 격파하고 리웰린 압 그리피드가 사망했다.[10] 11월 6일 모엘-이-돈 전투에서 루크 드 타니가 이끄는 잉글랜드군은 앵글시 섬으로 가는 부교를 건너다 웨일스군에게 패배했다.[9]
5월 1일 포를리 전투에서 장 드 에페가 이끄는 프랑스 원정군은 포를리를 공격했지만, 귀도 1세 다 몬테펠트로가 이끄는 구엘프와 기벨린 군대에게 패배했다.[1]
여름, 페드로 3세가 이끄는 아라곤 원정군은 북아프리카 콜로에 상륙하여 콘스탄티누스 총독의 반란을 지원했지만, 하프스 왕조의 아부 이샤크 이브라힘 1세에 의해 진압되었다.[2]
6월, 산초 왕세자는 귀족 연합을 구성하여 아버지 알폰소 10세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다.[3] 7월, 알폰소 10세는 마린 왕조의 아부 유수프 야쿠브 이븐 압드 알-하크와 동맹을 맺었다.[5] 8월, 산초가 이끄는 카스티야군은 바다호스를 포위했다가 철수했고, 알폰소 10세는 코르도바로 진군했다.[3] 11월, 알폰소 10세는 코르도바를 재정복했고, 교황 마르티노 4세는 산초와 귀족들에게 알폰소에게 충성을 맹세하도록 강요하여 반란을 종식시켰다.[3]
6월 26일, 드니스 1세는 아라곤의 엘리자베스와 결혼했다.[4]
8월 30일, 페드로 3세는 시칠리아의 트라파니에 도착했고, 9월 4일에는 "시칠리아의 왕"으로 선포되었다.[6][7] 샤를은 메시나 해협을 건너 나폴리 왕국으로 도망쳤다.[7]
9월 또는 10월, 라슬로 4세는 호드 호수 전투에서 쿠만 군대를 격파했다.[8]
12월 27일, 루돌프 1세는 아들 알브레히트 1세와 루돌프 2세를 오스트리아 공작령과 슈타이어마르크 공작령의 공동 통치자로 임명하여 합스부르크 왕가의 기초를 세웠다.[10]
홀란트의 백작 플로리스 5세는 서프리슬란트를 공격했다가 패배했지만, 아버지 빌헬름 2세의 시신을 수습했다.
스테판 드라구틴 왕은 사냥 중 부상으로 동생 스테판 밀루틴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페드로 3세는 필리프 4세의 아라곤 십자군에 대비하여 나스르 왕조의 그라나다의 지원을 얻었다.[11]
4. 4. 기타 지역
- 11월 9일 - 교황 마르티노 4세가 아라곤의 피터 4세를 파문했다.
- 나폴리 왕국이 시칠리아 왕국에서 분리되었다.
5. 탄생
- 루트비히 4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 우즈베크 칸, 킵차크 칸국과 청장한국의 칸
- 2월 2일 - 모드 차워스, 잉글랜드 귀족 여성 (1322년 사망)
- 4월 1일 - 루트비히 4세 ('''바이에른 공'''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1347년 사망)
- 4월 15일 - 프리드리히 4세 ('''투사''' ), 독일 귀족 (1329년 사망)
- 5월 5일 - 돈 후안 마누엘, 스페인 귀족이자 왕자 (1348년 사망)
- 6월 19일 - 그웬리안 펨치 레웰린, 웨일스 공주 (1337년 사망)
- 8월 7일 - 엘리자베스 오브 러들란, 잉글랜드 공주 (1316년 사망)
- 알렉시오스 2세 ('''메가스 콤네노스''' ), 트라페준타 제국 황제 (1330년 사망)
- 안니발레 디 체카노, 이탈리아 추기경이자 대주교 (1350년 사망)
- 블랑슈 드 프랑스, 프랑스 공주 (카페 왕조) (1305년 사망)
- 클라라 오브 리미니, 이탈리아 귀족 여성, 수녀이자 성인 (1346년 사망)
- 에릭 마그누손, 스웨덴 왕자이자 상속자 (1318년 사망)
- 코노에 이에히라, 일본 귀족 (후지와라 씨) (1324년 사망)
- 리스싱 (또는 '''준다오''' ), 중국 풍경 화가 (1328년 사망)
- 니콜라스 쾨세기, 헝가리 고위 성직자이자 주교 (1336년 사망)
- 오신, 킬리키아 아르메니아의 왕 (라프롱 가문) (1320년 사망)
- 우즈베크 칸, 골든 호드의 몽골 통치자 (1341년 사망)
- 파올로 다고마리 디 프라토, 이탈리아 수학자 (1374년 사망)
- 스피네타 말라스피나 ('''위대한 자''' ), 이탈리아 귀족 (1352년 사망)
- 인노첸시오 6세, 제199대 교황
- 지도법친왕,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법친왕, 가인
- 소호묘초, 가마쿠라 시대의 린자이종의 승려
- 후안 마누엘, 카스티야 왕국의 왕족
- 마리아 비톰스카, 헝가리 왕 카로이 1세 로베르트의 첫 번째 왕비
- 무극지현,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린자이종의 승려
- 위그 5세, 부르고뉴 공작
- 루트비히 4세, 신성 로마 황제, 바이에른 공작
5. 1. 실존 인물
- 루트비히 4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 우즈베크 칸, 킵차크 칸국과 청장한국의 칸
- 2월 2일 - 모드 차워스, 잉글랜드 귀족 여성 (1322년 사망)
- 4월 1일 - 루트비히 4세 ('''바이에른 공'''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1347년 사망)
- 4월 15일 - 프리드리히 4세 ('''투사''' ), 독일 귀족 (1329년 사망)
- 5월 5일 - 돈 후안 마누엘, 스페인 귀족이자 왕자 (1348년 사망)
- 6월 19일 - 그웬리안 펨치 레웰린, 웨일스 공주 (1337년 사망)
- 8월 7일 - 엘리자베스 오브 러들란, 잉글랜드 공주 (1316년 사망)
- 알렉시오스 2세 ('''메가스 콤네노스''' ), 트라페준타 제국 황제 (1330년 사망)
- 안니발레 디 체카노, 이탈리아 추기경이자 대주교 (1350년 사망)
- 블랑슈 드 프랑스, 프랑스 공주 (카페 왕조) (1305년 사망)
- 클라라 오브 리미니, 이탈리아 귀족 여성, 수녀이자 성인 (1346년 사망)
- 에릭 마그누손, 스웨덴 왕자이자 상속자 (1318년 사망)
- 코노에 이에히라, 일본 귀족 (후지와라 씨) (1324년 사망)
- 리스싱 (또는 '''준다오''' ), 중국 풍경 화가 (1328년 사망)
- 니콜라스 쾨세기, 헝가리 고위 성직자이자 주교 (1336년 사망)
- 오신, 킬리키아 아르메니아의 왕 (라프롱 가문) (1320년 사망)
- 파올로 다고마리 디 프라토, 이탈리아 수학자 (1374년 사망)
- 스피네타 말라스피나 ('''위대한 자''' ), 이탈리아 귀족 (1352년 사망)
- 인노첸시오 6세, 제199대 교황
- 지도법친왕,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법친왕, 가인
- 소호묘초, 가마쿠라 시대의 린자이종의 승려
- 후안 마누엘, 카스티야 왕국의 왕족
- 마리아 비톰스카, 헝가리 왕 카로이 1세 로베르트의 첫 번째 왕비
- 무극지현,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린자이종의 승려
- 위그 5세, 부르고뉴 공작
5. 2. 가상 인물
6. 사망
- 1월 8일 - 호조 요시마사, 일본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가인 (* 1242년/1243년)
- 2월 22일 - 기스카르도 수아르디, 이탈리아 성직자이자 주교
- 2월 24일 - 필리프 무스케, 프랑스 주교이자 작가
- 3월 2일 - 보헤미아의 아녜스, 보헤미아 공주 (1211년 출생)
- 3월 22일 - 벤베누투스 스코티볼리, 이탈리아 사제이자 주교
- 4월 1일 - 아바카, 일 칸국의 제2대 칸 (* 1234년)
- 4월 3일 - 이마가와 구니우지,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 1243년)
- 4월 4일
- * 베르나르 아일리에리우스 (또는 아일러), 프랑스 추기경 (1216년 출생)
- 4월 10일 - 아마드 파나카티, 페르시아 재상 겸 정치가
- 4월 26일 - 몽케 테무르, 시라즈의 몽골 통치자 (1256년 출생)
- 4월 29일 - 기욤 드 브레, 프랑스 성직자이자 추기경
- 5월 16일 - 토마스 3세, 사보이 귀족 (사보이 가문)
- 6월 19일 - 엘레노어 드 몽포르, 웨일스 공주 (1252년 출생)
- 8월 27일 ~ 9월 13일 - 브와디스와프 오폴스키, 비엘룬 공작, 오폴레-라치부시 공작 (* 1225년)
- 8월 25일 - 토마스 드 칸틸루페, 잉글랜드 주교 (1218년 출생)
- 9월 9일 - 스웨덴의 잉그리드, 스웨덴 귀족
- 10월 13일 - 니치렌, 일본 불교 승려 (1222년 출생)
- 10월 27일 - 로저 모티머, 잉글랜드 귀족 (1231년 출생)
- 10월 30일 - 이븐 할리칸, 바르마키드 사학자 (1211년 출생)
- 11월 6일
- * 루크 드 테니, 잉글랜드 귀족이자 원수
- * 로저 드 클리퍼드, 잉글랜드 귀족이자 기사
- 11월 21일 - 닛켄,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 니치렌 종 (법화종)의 종조 (* 1222년)
- 12월 11일
- * 리웰린 압 그리피드, 웨일스 공 (1223년 출생)
- *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동로마 제국 팔레올로고스 왕조의 초대 황제 (* 1225년)[14]
- * Llywelyn ap Gruffudd, 웨일스 공 (* 1228년?)
- 12월 17일 - 폴하임의 비카르트, 독일 주교
- 앨리스 드 라 로슈, 아웃르메르 귀족 부인 겸 섭정
- 베네데토 시니가르디, 이탈리아 프란체스코회 수사 (1190년 출생)
- 게오르기오스 아크로폴리테스, 비잔틴 역사가이자 정치가
- 휴 드 베닌 (또는 벤힘), 스코틀랜드 성직자이자 주교
- 이벨린의 이사벨라, 아웃르메르 귀족 부인 (이벨린 가문)
- 마가레타 삼비리아, 덴마크 여왕이자 섭정 (1230년 출생)
- 로베르 4세, 프랑스 귀족 (드뢰 가문) (1241년 출생)
- 로버트 드 네빌, 잉글랜드 귀족이자 기사 (1223년 출생)
- 알렉산더 스튜어트, 스코틀랜드 귀족 (1220년 출생)
- 아흐마드 파나카티, 몽골 제국의 관료 (* 출생년도 미상)
- 파올로 말라테스타, 이탈리아의 외교관 (* 1246년)
6. 1. 실존 인물
- 1월 8일 - 호조 요시마사, 일본 귀족 (1243년 출생)
- 2월 22일 - 기스카르도 수아르디, 이탈리아 성직자이자 주교
- 2월 24일 - 필리프 무스케, 프랑스 주교이자 작가
- 3월 2일 - 보헤미아의 아녜스, 보헤미아 공주 (1211년 출생)
- 3월 22일 - 벤베누투스 스코티볼리, 이탈리아 사제이자 주교
- 4월 4일
- * 아바카 칸, 일 칸국의 몽골 통치자 (1234년 출생)
- * 베르나르 아일리에리우스 (또는 아일러), 프랑스 추기경 (1216년 출생)
- 4월 10일 - 아마드 파나카티, 페르시아 재상 겸 정치가
- 4월 26일 - 몽케 테무르, 시라즈의 몽골 통치자 (1256년 출생)
- 4월 29일 - 기욤 드 브레, 프랑스 성직자이자 추기경
- 5월 16일 - 토마스 3세, 사보이 귀족 (사보이 가문)
- 6월 19일 - 엘레노어 드 몽포르, 웨일스 공주 (1252년 출생)
- 8월 25일 - 토마스 드 칸틸루페, 잉글랜드 주교 (1218년 출생)
- 9월 9일 - 스웨덴의 잉그리드, 스웨덴 귀족
- 10월 13일 - 니치렌, 일본 불교 승려 (1222년 출생)
- 10월 27일 - 로저 모티머, 잉글랜드 귀족 (1231년 출생)
- 10월 30일 - 이븐 할리칸, 바르마키드 사학자 (1211년 출생)
- 11월 6일
- * 루크 드 테니, 잉글랜드 귀족이자 원수
- * 로저 드 클리퍼드, 잉글랜드 귀족이자 기사
- 12월 11일
- * 리웰린 압 그리피드, 웨일스 공 (1223년 출생)
- *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비잔틴 황제[14]
- 12월 17일 - 폴하임의 비카르트, 독일 주교
- 앨리스 드 라 로슈, 아웃르메르 귀족 부인 겸 섭정
- 베네데토 시니가르디, 이탈리아 프란체스코회 수사 (1190년 출생)
- 게오르기오스 아크로폴리테스, 비잔틴 역사가이자 정치가
- 휴 드 베닌 (또는 벤힘), 스코틀랜드 성직자이자 주교
- 이벨린의 이사벨라, 아웃르메르 귀족 부인 (이벨린 가문)
- 마가레타 삼비리아, 덴마크 여왕이자 섭정 (1230년 출생)
- 로베르 4세, 프랑스 귀족 (드뢰 가문) (1241년 출생)
- 로버트 드 네빌, 잉글랜드 귀족이자 기사 (1223년 출생)
- 알렉산더 스튜어트, 스코틀랜드 귀족 (1220년 출생)
- 4월 1일 - 아바카, 일 칸국의 제2대 칸 (* 1234년)
- 4월 3일 - 이마가와 구니우지,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 1243년)
- 8월 27일 ~ 9월 13일 - 브와디스와프 오폴스키, 비엘룬 공작, 오폴레-라치부시 공작 (* 1225년)
- 11월 21일 - 닛켄,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 니치렌 종 (법화종)의 종조 (* 1222년)
- 12월 11일 - Llywelyn ap Gruffudd, 웨일스 공 (* 1228년?)
- 아흐마드 파나카티, 몽골 제국의 관료 (* 출생년도 미상)
- 파올로 말라테스타, 이탈리아의 외교관 (* 1246년)
6. 2. 가상 인물
참조
[1]
서적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Routledge
[2]
서적
L'Algérie cœur du Maghreb classique. De l'ouverture islamo-arabe au repli (658-1518)
La Découverte
[3]
서적
The Gibraltar Crusade: Castile and the Battle for the Strait
[4]
서적
A Great and Terrible King: Edward I and the Forging of Britain
Hutchinson
[5]
서적
The Gibraltar Crusade: Castile and the Battle for the Strait
[6]
서적
A History of Aragon and Catalonia
Methuen
[7]
서적
Byzantium and the Crusades
Hambledon
[8]
서적
At the Gate of Christendom: Jews, Muslims and "Pagans" in Medieval Hungary, c. 1000–c. 13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Edward I
Yale University Press
[10]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11]
서적
Jews, Muslims, and Christians in and around the Crown of Aragon: essays in honour of Professor Elena Lourie
https://books.google[...]
Brill
2016-10-13
[12]
서적
Первый московский князь Дани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http://krotov.info/l[...]
Nauka
[13]
서적
Medieval Capital Markets. Markets for renten, state formation and private investment in Holland (1300-1550)
Brill
[14]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