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림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림원은 중국의 과거 왕조에서 학술 연구, 황제의 조칙 작성, 역사 편찬, 교육, 외교 문서 번역 등을 담당하던 관청이다. 당나라 때부터 청나라 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특히 명나라 시대에는 통역원을 두어 외국어 전문가를 양성했다. 1900년 국제 공사관 방위전 중 화재로 큰 피해를 입었고, 1911년 신해혁명으로 폐지되었다. 한림원에는 이백, 소식, 조맹부 등 많은 저명한 인물들이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정부 기관 - 중국 국가항천국
    중국 국가항천국은 1993년 설립되어 중국의 우주 개발을 총괄하는 정부 기관으로, 창어 계획, 톈원 1호, 선저우 계획, 톈궁 우주정거장 건설 등의 주요 사업을 통해 국제 우주 개발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 중국의 정부 기관 - 국가약품감독관리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은 중국의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및 식품의 안전 감독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과거 CFDA 등으로 불렸으며 조직 개편을 거쳐 현재는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산하에 있다.
  • 고려의 행정기관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 공민왕 때 명칭이 정해져 조선 시대에 관리 감찰, 규찰, 정치 참여 등을 수행했으며, 홍문관, 사간원과 함께 대간 또는 삼사로 불리며 국가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 고려의 행정기관 - 어사대
    어사대는 고려 시대에 시정을 논하고 풍속을 바로잡으며 관리의 잘못을 규탄하는 관청으로, 사헌대에서 명칭이 변경되어 금오대, 감찰사, 사헌부 등으로 변화했으며, 관원은 중서문하성의 낭사와 함께 대간으로 불리며 간쟁, 봉박, 서경의 권한을 행사했다.
한림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림원
한림원
중국어 (간체)翰林院
로마자 표기Hànlín Yuàn
개요
설립708년 당나라 현종 재위 기간
폐쇄1900년 6월 23일 감숙 용사에 의해 방화됨
1911년 신해혁명 이후 폐쇄됨
설립자현종
위치장안, 뤄양, 베이징, 난징

2. 역사

과거전시에 합격한 자 중, 1등인 장원은 한림원 수찬이 되고, 2등인 방안과 3등인 탐화는 “일갑”이라 칭하며 한림원 편수라는 서기로 무조건 채용되었다. 그러나 나머지(“이갑”·“삼갑”)는 한림원이 주최하는 조고 시험 결과에 따라 서길사로 임명되어 한림원에 남을 수 있었다. 조고의 출제는 시대에 따라 달랐지만, 논(論文), 조(황제의 조칙 원안), 시, 소(상주문)의 4가지 문제가 출제되는 경우가 많았다. 진사라 할지라도 “일갑”의 3명과 서길사를 제외하면 한림원을 나와 내외의 직책에 임명되었고, 그 대부분은 지방관에 임명되었지만, 곧바로 지방으로 나가면 그 이후의 출세가 어려워지므로, 누구나 한림원에 남기를 희망했다고 한다.

박학홍사과에서 추천된 학자나 문인 등 재야의 인재, 바둑의 국수(명인)가 임명되는 기대조, 뛰어난 서화가 등 금기서화에 뛰어난 자는 병설된 “기술원(ぎじゅついん)”에 모였다. 특히 서화를 담당하는 한림도화원은 나중에 독립하여 황제 직속 기관으로 운영되게 되었다.

명나라 시기 한림원은 다양한 외국어 학습 및 번역 자료를 편찬했는데, 이 자료들은 화이역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청나라 시기에는 1900년경 의화단 운동 당시 국제 공사관 방위전 중 8개국 연합군과 싸우던 감숙성 용감한 군인들(Kansu Braves)에 의해 화재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이 화재로 영락대전을 비롯한 많은 고서들이 소실되었다.[38] 한림원은 1911년 신해혁명으로 폐쇄될 때까지 계속 운영되었다.

2. 1. 명나라 시기

명나라 시기에 한림원은 다양한 외국어 학습 및 번역 자료를 편찬했다. 이러한 자료들은 화이역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음과 같은 언어들을 다루고 있다.

언어자료명비고
몽골어화이역어 – 달달관
태국어[https://archive.org/details/02076757.cn 화이역어(일)] – 샴관천문문
미얀마어[https://archive.org/details/02076758.cn 화이역어(이)] – 미얀마관역어 미얀마관래문 통용문
백이어 (다이어, 샨어)[https://archive.org/details/02076759.cn 화이역어(삼)] – 백이관천문문
백이어 (다이어, 샨어)[https://archive.org/details/02076760.cn 화이역어(사)] – 백이관천문문과 지리문
페르시아어[https://archive.org/details/02076761.cn 화이역어(오)] – 회회관《회회관잡자》천문문
페르시아어[https://archive.org/details/02076762.cn 화이역어(육)] – 회회관《회회관잡자》천문문과 지리문
위구르어 (구위구르어)[https://archive.org/details/02076763.cn 고창관래문] – 고창관래문위구르관
티베트어[https://archive.org/details/02076764.cn 역문비람] – 서번관
티베트어[http://www.wul.waseda.ac.jp/kotenseki/html/ho05/ho05_02389/index.html 서번역어] – 《서번역어》서번관
한국어화이역어/조선관역어
류큐어사류구록 (진간)#류구어(부)
류큐어사류구록 (소숭업)/부#류구어 – 사류구록 이어 이자
류큐어사류구록 (하자양)/권하#류구어[부
류큐어중산전신록/권육#풍진
류큐어중수사류구록
류큐어[http://www.guoxue123.com/biji/ming/slql/008.htm 사류구록삼종-이어(부)_국학내비]
류큐어[http://wenxian.fanren8.com/06/15/80/0.htm 0-사류구록-명-진간]
류큐어[http://www.guoxue123.com/other/gcdg/gcdg/107.htm 국조전고권지일백이 사류구록(명)진간 찬]
여진어[https://archive.org/details/bub_gb_4WouAAAAYAAJ/page/n49 《여직관》(여진어) 《여진역어》《여진관잡자》 in Die Sprache und Schrift der Jučen by Wilhem Grube by Wilhem Grube 《여진문과 여진어》저자: 葛祿博] [https://books.google.com/books?id=zBkYAAAAIAAJ&pg=PA1] [https://archive.org/stream/diespracheundsc00unkngoog#page/n24/mode/2up]


2. 2. 청나라 시기

1744년 건륭제의 개축 이후의 한림원


1900년경(현재 베이징) 베이징 한림원과 그 도서관은 국제 공사관 방위전 중 8개국 연합군과 싸우던 감숙성 용감한 군인들(Kansu Braves)에 의해 화재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영국 공사관 근처에서 위협 전술로 사용되었으며, 6월 22일부터 23일까지 화재가 한림원으로 번졌다.

이 화재로 많은 고서들이 소실되었다.[38]

한림원은 1911년 신해혁명으로 폐쇄될 때까지 계속 운영되었다.

2. 3. 폐지

1900년경(현재 베이징) 베이징 한림원과 그 도서관은 국제 공사관 방위전 중 8개국 연합군과 싸우던 감숙성 용감한 군인들(Kansu Braves)에 의해 화재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영국 공사관 근처에서 위협 전술로 사용되었으며, 6월 22일부터 23일까지 화재는 한림원으로 번졌다.[37]

동복상(Dong Fuxiang)의 회족 무슬림들이 연기 속에서 창문 위쪽으로 무차별 사격을 가하자 총소리의 규칙적인 소리는 덮여버렸고, 낡은 건물들은 마치 부싯깃처럼 타올랐다. 일부 방화범들은 사살되었지만 건물들은 불길에 휩싸였고, 주변에 서 있던 낡은 나무들도 횃불처럼 타올랐다. 유명한 영락대전을 구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많은 책들이 파괴되었기에 시도는 포기되었다.[37]

화재로 많은 고서들이 소실되었다.[38]

한림원은 1911년 신해혁명으로 폐쇄될 때까지 계속 운영되었다.

3. 주요 역할

한림원은 과거 시험 중 전시 합격자를 등수에 따라 채용하고, 박학홍사과를 통해 추천된 인재나 금기서화에 뛰어난 자들을 모아 운영했다. 전시에서 1등(장원)은 한림원 수찬, 2등(방안)과 3등(탐화)은 "일갑"으로 한림원 편수에 임명되었다.[1] 나머지("이갑", "삼갑")는 조고 시험을 통해 서길사로 선발되어 한림원에 남을 수 있었다.[1] 조고 시험은 논, 조, 시, 소 등 4가지 문제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았다.[1] 진사 출신이라도 "일갑"과 서길사를 제외하면 대부분 지방관으로 임명되었는데, 이후 출세를 위해 한림원에 남기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1]

박학홍사과로 추천된 학자, 문인, 바둑 국수(명인) (기대조), 서화가 등은 "기술원"에 소속되었고, 한림도화원은 황제 직속 기관으로 독립했다.[1]

3. 1. 학술 및 정책 자문

과거전시에 합격한 자 중, 1등인 장원은 한림원 수찬이 되고, 2등인 방안과 3등인 탐화는 “일갑”이라 칭하며 한림원 편수라는 서기로 무조건 채용되었다.[1] 그러나 나머지("이갑"·"삼갑")는 한림원이 주최하는 조고 시험 결과에 따라 서길사로 임명되어 한림원에 남을 수 있었다.[1] 조고 출제는 시대에 따라 달랐지만, 논(論文), 조(황제의 조칙 원안), 시, 소(상주문)의 4개 문제가 출제되는 경우가 많았다.[1] 진사라도 "일갑" 3명과 서길사를 제외하면 한림원을 나와 내외의 직책에 임명되었고, 대부분 지방관에 임명되었지만, 곧바로 지방으로 나가면 이후 출세가 어려워지므로 누구나 한림원에 남기를 희망했다고 한다.[1]

박학홍사과에서 추천된 학자나 문인 등 재야의 인재, 바둑의 국수(명인)가 임명되는 기대조, 뛰어난 서화가 등 금기서화에 뛰어난 자는 병설된 "기술원"에 모였다.[1] 특히 서화를 담당하는 한림도화원은 나중에 독립하여 황제 직속 기관으로 운영되게 되었다.[1]

3. 2. 황제의 조칙 작성 및 역사 편찬

과거전시에 합격한 자 중, 1등인 장원은 한림원 수찬이 되고, 2등인 방안과 3등인 탐화는 “일갑”이라 칭하며 한림원 편수라는 서기로 무조건 채용되었다. 그러나 나머지(“이갑”·“삼갑”)는 한림원이 주최하는 조고 시험 결과에 따라 서길사로 임명되어 한림원에 남을 수 있었다. 조고의 출제는 시대에 따라 달랐지만, 논(論文), 조(황제의 조칙 원안), 시, 소(상주문)의 4가지 문제가 출제되는 경우가 많았다. 진사라 할지라도 “일갑”의 3명과 서길사를 제외하면 한림원을 나와 내외의 직책에 임명되었고, 그 대부분은 지방관에 임명되었지만, 곧바로 지방으로 나가면 그 이후의 출세가 어려워지므로, 누구나 한림원에 남기를 희망했다고 한다.

3. 3. 교육

과거의 전시에 합격한 사람 중, 1등인 장원은 한림원 수찬이 되고, 2등인 방안과 3등인 탐화는 "일갑"이라 불리며 한림원 편수라는 서기로 무조건 채용되었다. 그러나 나머지("이갑"·"삼갑")는 한림원이 주최하는 조고 시험 결과에 따라 서길사로 임명되어 한림원에 남을 수 있었다.[1] 조고의 출제는 시대에 따라 달랐지만, 논(論文), 조(황제의 조칙의 원안), 시, 소(상주문)의 4가지 문제가 출제되는 경우가 많았다.[1] 진사라 할지라도 "일갑"의 3명과 서길사를 제외하면 한림원을 나와 내외의 직책에 임명되었고, 그 대부분은 지방관에 임명되었지만, 곧바로 지방으로 나가면 그 이후의 출세가 어려워지므로, 누구나 한림원에 남기를 희망했다고 한다.[1]

박학홍사과에서 추천된 학자나 문인 등 재야의 인재, 바둑의 국수(명인)가 임명되는 기대조, 뛰어난 서화가 등 금기서화에 뛰어난 사람은 병설된 "기술원"에 모였다.[1] 특히 서화를 담당하는 한림도화원은 나중에 독립하여 황제 직속의 기관으로 운영되게 되었다.[1]

3. 4. 외교 문서 번역

한림원의 하급 기관으로 통역원(四夷館/四译館 (Sìyí Guǎn/Sìyì Guǎn))이 있었다.[4] 명나라가 정화의 인도양 원정 이후인 1407년에 설립한 이 기관은 외국 사신의 표문을 처리하고 외국어 전문가를 양성하는 역할을 담당했다.[5] 여러 언어를 담당하는 부서들이 있었는데,[5] 여진어,[6][7][8] 타타르어(몽골어),[9][10][11][12] 한국어,[13] 류큐어, 일본어,[14][15] 티베트어,[16] 회회어(이슬람교도의 언어, 페르시아어),[17][18][19][20][21] 베트남어,[22] 버마어[22] 등을 비롯하여 "여러 오랑캐 부족들"(百夷 (Bǎiyí), 즉 중국 남서부 국경의 샨족)의 언어, "고창"(투루판 사람들, 즉 구 위구르어)",[9][20][23][24][25][26][27] "서천"(西天; 인도에서 사용되는 산스크리트어) 등의 언어를 담당하는 부서도 있었다. 1511년과 1579년에는 각각 라오어(八百 (Bābǎi))와 태국어를 담당하는 부서가 추가되었다.[28] 말라카 왕국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에 대한 어휘집인 滿剌加館譯語 (Mǎlājiā Guǎn Yìyǔ, 말라카 통역원 어휘)가 편찬되었다.[29][30][31][32][33] 참파 왕국에서 사용되는 참어에 대한 어휘집인 占城館 (Zhànchéng Guǎn)도 만들어졌다.[34][35]

청나라명나라의 사이관(四夷館)을 부활시켰는데, "오랑캐를 지칭하는 것에 민감했던" 만주족은 "이"(夷, 오랑캐)를 "이"(彝, 이족)로 바꾸고, 샨족의 외래어 표기인 "백이"(百夷, 백 오랑캐)를 "백역"(百譯, 백 번역)으로 변경했다.[36]

후에 청나라가 서양 언어 번역을 위해 설립한 동문관은 한림원이 아닌 종리영에 소속되었다.

4. 구성원

과거전시 합격자 중 장원, 방안, 탐화 외에도 조고 시험을 통해 서길사로 임명되어 한림원에 남을 수 있었다. 또한, 박학홍사과로 추천된 학자나 문인, 바둑의 국수(명인)인 기대조, 금기서화에 뛰어난 이들은 한림원 병설 “기술원”에 모였다. 특히 서화를 담당하는 한림도화원은 후에 황제 직속 기관으로 독립하였다.

4. 1. 주요 인물

이름생몰년주요 직책 및 경력
이백(李白)701–762시인
백거이(白居易)772–846시인
소식(蘇軾)1037–1101시인[3]
염술(晏殊)991–1055시인, 서예가, 1042년 재상
오양수(歐陽修)1007–1072사학자
심괄(沈括)1031–1095재상
장택단(張擇端)1085–1145화가
조맹부(趙孟頫)1254–1322화가, 서예가, 시인, 1314–1320년 원장
황자성(黃子澄)1350–1402궁정 학자
이동양(李東陽)1447–1516궁정 관리, 시인, 대사학 역임
니원로(倪元璐)1593–1644서예가, 화가, 고위 관료
오인헌(吳仁臣)1628–1689사학자이자 수학자
진몽뢰(陳夢雷)1650–1741학자, 작가, 사고전서(四庫全書) 편찬 총책임자
장팅우(張廷玉)1672–1755정치가이자 사학자
기효람(紀曉嵐)1724–1805학자, 시인, 사고전서(四庫全書) 편찬 총책임자
요내(姚鼐)1731–1815학자
고이(高鹗)1738–1815학자이자 편집자
하창령(何長齡)1785–1848학자이자 관리
증국번(曾國藩)1811–1872학자 출신의 주요 군사 관리
진란빈(陳蘭彬)1816–1895외교관 (미국, 스페인, 페루 대사)
옹통허(翁同龢)1830–1904황제의 사부
채원페이(蔡元培)1868–1940교육자
구홍지(瞿鴻機)1850–1918정치가


4. 2. 서길사 제도

과거전시에 합격한 자 중, 1등인 장원은 한림원 수찬이 되고, 2등인 방안과 3등인 탐화는 “일갑”이라 칭하며 한림원 편수로 무조건 채용되었다. 그러나 나머지(“이갑”·“삼갑”)는 한림원이 주최하는 조고 시험 결과에 따라 서길사로 임명되어 한림원에 남을 수 있었다. 조고 출제는 시대에 따라 달랐지만, 논(論文), 조(황제의 조칙 원안), 시, 소(상주문)의 4개 문제가 출제되는 경우가 많았다.[1] 진사라도 “일갑” 3명과 서길사를 제외하면 한림원을 나와 내외의 직책에 임명되었고, 그 대부분은 지방관에 임명되었지만, 곧바로 지방으로 나가면 그 이후의 출세가 어려워지므로, 누구나 한림원에 남기를 희망했다고 한다.[1]

5. 통역원 (명나라)

명나라 정화인도양 원정 이후인 1407년에 설립된 통역원은 외국 사신의 표문을 처리하고 외국어 전문가를 양성하는 기관이었다.[4] 여러 언어를 담당하는 부서들이 있었는데,[5] 여진어,[6][7][8] 타타르어(몽골어),[9][10][11][12] 한국어,[13] 류큐어, 일본어,[14][15] 티베트어,[16] 회회어(이슬람교도의 언어, 페르시아어),[17][18][9][19][20][21] 베트남어,[22] 버마어,[22] "여러 오랑캐 부족들"(百夷|Bǎiyí중국어, 중국 남서부 국경의 샨족의 언어), "고창"(투루판 사람들, 구 위구르어),[9][20][23][24][25][26][27] "서천"(西天; 인도에서 사용되는 산스크리트어) 등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었다. 1511년과 1579년에는 각각 라오어(八百|Bābǎi중국어)와 태국어를 담당하는 부서가 추가되었다.[28] 말라카 왕국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어휘집인 滿剌加館譯語|Mǎlājiā Guǎn Yìyǔ|말라카 통역원 어휘중국어가 편찬되었고,[29][30][31][32][33] 참파 왕국에서 사용되는 참어 어휘집인 占城館|Zhànchéng Guǎn중국어도 만들어졌다.[34][35]

참조

[1] 논문 The Han Lin Academy and a Chinese Deity http://www.jstor.org[...] 1996-04-13
[2] 논문 The Hanlin Academy in the Early Ch'ing Period (1644-1795) https://www.jstor.or[...] 1966
[3] 논문 Alchemy and Self-Cultivation in Literary Circles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 Su Shi 蘇軾 (1037-1101) and His Techniques of Survival – https://www.jstor.or[...] 1996
[4] 논문 Materials for the Study of the Ssŭ i Kuan 四 夷 譯 館 (Bureau of Translators) 1945
[5] 웹사이트 ͼ ݹż 䱾 Կ http://www.lib.cam.a[...]
[6] 서적 Translation (by A. Wylie) of the Ts'ing wan k'e mung, a Chinese grammar of the Manchu Tartar language (by Woo Kĭh Show-ping, revised and ed. by Ching Ming-yuen Pei-ho) with intr. notes on Manchu literature https://books.google[...]
[7] 서적 Translation of the Ts'ing wan k'e mung, a Chinese Grammar of the Manchu Tartar Language; with introductory notes on Manchu Literature: (translated by A. Wylie.) https://books.google[...] Mission Press
[8] 논문 The Djurtchen of Mandshuria: Their Name, Language, and Literature 1889
[9] 서적 From Yuan to Modern China and Mongolia: The Writings of Morris Rossabi https://books.google[...] BRILL 2014-11-28
[10] 서적 Translation (by A. Wylie) of the Ts'ing wan k'e mung, a Chinese grammar of the Manchu Tartar language (by Woo Kĭh Show-ping, revised and ed. by Ching Ming-yuen Pei-ho) with intr. notes on Manchu literature https://books.google[...]
[11] 서적 Chinese Researches https://archive.org/[...]
[12] 서적 Translation of the Ts'ing wan k'e mung, a Chinese Grammar of the Manchu Tartar Language; with introductory notes on Manchu Literature: (translated by A. Wylie.) https://books.google[...] Mission Press
[13] 논문 A Corean Vocabulary 1926
[14] 논문 漢語歷史音韻研究中的 一些方法問題 [Some Methodological Problems in Chinese Phonetics] https://www.research[...] 2020-05-24
[15] 학회발표 中國翻譯史學會論文投稿: 16世紀日本譯語的出版及傳抄 https://www.research[...] 2020-05-24
[16] PhD Translation of Empire: Mongol Legacy, Language Policy, and the Early Ming World Order, 1368-1453 https://www.research[...] 2020-05-24
[17] 서적 Trends in Iranian and Persian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2018
[18] 서적 Iranian languages and literatures of Central Asia: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present Association pour l'Avancement des Études Iraniennes 2015
[19] 논문 A Fifteenth-Century Chinese Diplomat in Herat 1993
[20] 서적 From Yuan to Modern China and Mongolia: The Writings of Morris Rossabi https://books.google[...] BRILL 2014-11-28
[21] 웹사이트 p. 5. http://www.sino-plat[...] 2023-06-25
[22] 웹사이트 Thông báo về việc các GS Nhật Bản sang trao đổi khoa học, tham gia đào tạo cao học Hán Nôm http://khoavanhoc.ed[...] 2016-01-22
[23]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6-10-15
[24] 서적 Abhandlung über die Sprache und Schrift der Uiguren https://books.google[...] Buske Verlag 1985-01
[25] 서적 Abhandlungen über die Sprache und Schrift der Uiguren https://archive.org/[...]
[26] 서적 Abhandlung über die Sprache und Schrift der Uiguren, nebst einem Wörterverzeichnisse und anderen uigurischen Sprachproben (etc.) https://archive.org/[...] Königl. Dr.
[27] 서적 Abhandlung über die Sprache und Schrift der Uiguren https://books.google[...]
[28] 논문 Materials for the Study of the Ssŭ i Kuan 四夷(譯)館 (Bureau of Translators)
[29] 서적 Classical Civilization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3-18
[30] 논문 A Chinese Vocabulary of Malacca Malay Words and Phrases Collected between A. D. 1403 and 1511 (?) 1931
[31] 논문 Corrigenda and Addenda: A Chinese Vocabulary of Malacca Malay Words and Phrases Collected between A. D. 1403 and 1511 (?) 1939
[32] 서적 A Sociolinguistic History of Early Identities in Singapore: From Colonialism to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2-12-07
[33]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Volume II: A Century of Wonder. Book 3: The Scholarly Disciplin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01-15
[34] 논문 A Chinese Vocabulary of Cham Words and Phrases 1939
[35] 서적 Classical Civilization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3-18
[36] 서적 Wild 1945
[37] 웹사이트 BOXER REBELLION // CHINA 1900 http://www.historiko[...] HISTORIK ORDERS, LTD WEBSITE 2008-10-20
[38] 서적 The Boxer Rebellion: The Dramatic Story of China's War on Foreigners That Shook the World in the Summer of 1900 https://archive.org/[...] Bloomsbury Publishing USA
[39] 문서 元朝翰林国史院考 汲古書院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