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나무아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벚나무아속은 벚나무속(Prunus)의 아속으로, 귀룽나무절(sect. Laurocerasus)과 벚나무절(sect. Cerasus)로 분류된다. 귀룽나무절에는 귀룽나무, 버지니아귀룽나무, 월계귀룽나무 등 여러 종이 속하며, 벚나무절에는 벚나무, 왕벚나무, 춘추벚나무 등 '진짜 벚나무'로 불리는 종들을 포함한 다양한 종과 잡종이 존재한다. 벚나무는 한국 문화에서 활 제작, 장식용 목재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벚꽃은 봄철의 대표적인 경관을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8년 기재된 식물 - 나미브수박
나미브수박은 남아프리카와 나미비아의 나미브 사막 건조 지역에 분포하는 다육 식물로, 일반 수박과의 교배를 통해 해충 저항성 수박 개발 가능성이 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관심 대상 아님으로 평가된다. - 벚나무 - 센본자쿠라
센본자쿠라는 일본의 벚꽃 명소 또는 벚꽃 관련 작품의 제목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벚꽃 명소와 축제, 하츠네 미쿠의 노래, 만화 《BLEACH》의 무기, 경주마의 이름 등으로 사용된다. - 벚나무 - 양벚나무
양벚나무는 잎자루에 붉은색 샘이 있고, 흰색 꽃이 피며 식용 열매를 맺는 낙엽활엽수로, 관상수, 목재, 약재 등으로 활용된다. - 벚나무속 - 매실나무
매실나무는 중국 남부 원산의 장미과 낙엽 교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여름에 청매와 황매로 나뉘는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재배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벚나무속 - 벚꽃
벚꽃은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나무의 꽃으로, 다양한 종과 재배 품종이 존재하며, 봄의 상징으로서 일본의 하나미 문화를 비롯한 여러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일제강점기 시대에는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악용되기도 했고,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로 개화 시기가 빨라지고 있다.
벚나무아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Prunus subg. Cerasus |
명명자 | (Mill.) Focke ex Engl. & Prantl |
하위 분류 | |
종 | 본문 참조 |
2. 하위 분류
벚나무아속에는 벚나무절과 귀룽나무절 등 다양한 하위 종들이 속한다.
'''벚나무절'''(sect. ''Cerasus'')에는 다음과 같은 종들이 있다.
- 개벚나무 ''P. leveilleana'' Koehne
- 개벚지나무 ''P. maackii'' Rupr.
- 대만벚나무 ''P. campanulata'' Maxim.
- 루치아벚나무 ''P. mahaleb'' L.
- 벚나무 ''P. jamasakura'' Siebold ex Koidz.
- 북개벚지나무 ''P. meyeri'' Rehder
- 산개벚지나무 ''P. maximowiczii'' Rupr.
- 산벚나무 ''P. sargentii'' Rehder
- 석도벚나무 ''P. koraiensis'' Nakai ex T. Kawamoto
- 섬벚나무 ''P. takesimensis'' Nakai
- 슈미트벚나무 ''P.'' × ''schmittii'' Rehder
- 신양벚나무 ''P. cerasus'' L.
- ''P. cerasus'' var. ''marasca'' (Host) Vis.
- ''P. cerasus'' var. ''semperflorens'' (Ehrh.) W. D. J. Koch
- 야산벚나무 ''P. serrulata'' Lindl.
- 사옥 ''P. serrulata'' var. ''quelpaertensis'' Uyeki
- 양벚나무 ''P. avium'' (L.) L.
- 오시마벚나무 ''P. lannesiana'' (Carrière) E. H. Wilson
- 올벚나무 ''Prunus itosakura'' Siebold
- 왕벚나무 ''P.'' × ''yedoensis'' Matsum.
- 제주벚나무 ''P.'' × ''nudiflora'' (Koehne) Koidz.
- 춘추벚나무 ''P.'' × ''subhirtella'' Miq.
- ''P.'' × ''subhirtella'' var. ''koshiensis'' (Koidz.) Ohwi
- 티베트벚나무 ''P. serrula'' Franch.
- 후지벚나무 ''P. incisa'' Thunb.
- ''P. incisa'' var. ''bukosanensis'' (Honda) Hara
- ''P. incisa'' var. ''kinkiensis'' (Koidz.) Ohwi
- ''P. incisa'' var. ''ontakenbia'' Koidz. & H. Kubota
- ''P. incisa'' var. ''tomentosa'' Koidz.
- 히말라야벚나무 ''P. rufa'' Hook. f.
- ''P. nipponica'' Matsum.
- 쿠릴일본고산벚나무 ''P. nipponica'' var. ''kurilensis'' (Miyabe) E. H. Wilson
- ''P. alaica'' (Pojark.) Gilli
- ''P. apetala'' (Siebold & Zucc.) Franch. & Sav.
- ''P. apetala'' var. ''pilosa'' (Koidz.) E. H. Wilson
- ''P. canescens'' Bois
- ''P. cerasoides'' D. Don
- ''P. clarofolia'' C. K. Schneid.
- ''P. concinna'' Koehne
- ''P. conradinae'' Koehne
- ''P. cyclamina'' Koehne
- ''P.'' × ''dawyckensis'' Sealy
- ''P. dielsiana'' C. K. Schneid.
- ''P. dielsiana'' var. ''abbreviata'' Cardot
- ''P. emarginata'' (Douglas) Eaton
- ''P.'' × ''eminens'' Beck
- ''P.'' × ''fontanesiana'' (Spach) C. K. Schneid.
- ''P. fruticosa'' Pall.
- ''P.'' × ''furuseana'' Ohwi
- ''P. glandulifolia'' Rupr. & Maxim.
- ''P.'' × ''gondouinii'' (Poit. & Turpin) Rehder
- ''P. himalaica'' Kitam.
- ''P.'' × ''incam'' Ingram ex R. T. Olsen & Whittem.
- ''P. itosakura'' Siebold
- ''P.'' × ''juddii'' E. S. Anderson
- ''P. pensylvanica'' L. f.
- ''P. pleiocerasus'' Koehne
- ''P. pojarkovii'' A. E. Murray
- ''P. pseudocerasus'' Lindl.
- ''P. setulosa'' Batalin
- ''P.'' × ''sieboldii'' (Carrière) Wittm.
- ''P. speciosa'' (Koidz.) Nakai
- ''P. stipulacea'' Maxim.
- ''P. takasagomontana'' Sasaki
- ''P. tatsienensis'' Batalin
- ''P. trichostoma'' Koehne
- ''P.'' × ''tschonoskii'' Koehne
- ''P.'' × ''yedoensis'' Matsum.
2. 1. 귀룽나무절 (sect. ''Laurocerasus'')
- 귀룽나무 ''P. padus'' L.
- * 서울귀룽나무 ''P. padus'' var. ''seoulensis'' (H. Lév.) Nakai
- * 흰귀룽나무 ''P. padus'' var. ''glauca'' Nakai
- * 흰털귀룽나무 ''P. padus'' var. ''pubescens'' Regel & Tiling
- * ''P. padus'' var. ''commutata'' Dippel
- * ''P. padus'' var. ''laxa'' Rehder
- 버지니아귀룽나무 ''P. virginiana'' L.
- * ''P. virginiana'' var. ''demissa'' (Nutt.) Torr.
- 섬개벚나무 ''P. buergeriana'' Miq.
- 세로티나벚나무 ''P. serotina'' Ehrh.
- * ''P. serotina'' var. ''alabamensis'' (C. Mohr) Little
- * ''P. serotina'' var. ''salicifolia'' (Kunth) Koehne
- * ''P. serotina'' var. ''virens'' (Wooton & Standl.) McVaugh
- 월계귀룽나무 ''P. laurocerasus'' L.
- 일본귀룽나무 ''P. grayana'' Maxim.
- 캐롤라이나귀룽나무 ''P. caroliniana'' (Mill.) Aiton
- 포르투갈월계귀룽나무 ''P. lusitanica'' L.
- * 아조레스월계귀룽나무 ''P. lusitanica'' subsp. ''azorica'' (Mouill.) Franco
- * ''P. lusitanica'' subsp. ''hixa'' (Brouss. ex Willd.) Franco
- ''P. africana'' (Hook. f.) Kalkman
- ''P. brachypoda'' Batalin
- ''P. bracteopadus'' Koehne
- ''P. ceylanica'' (Wight) Miq.
- ''P. cornuta'' (Wall. ex Royle) Steud.
- ''P. grisea'' (Blume ex Müll. Berol.) Kalkman
- ''P. guanaiensis'' Rusby
- ''P. ilicifolia'' (Nutt. ex Hook. & Arn.) D. Dietr.
- * ''P. ilicifolia'' var. ''occidentalis'' Brandegee
- ''P. incana'' (Pall.) Batsch
- ''P. jenkinsii'' Hook. f. & Thomson
- ''P. myrtifolia'' (L.) Urb.
- ''P. napaulensis'' (Ser.) Steud.
- ''P. obtusata'' Koehne
- ''P. phaeosticta'' (Hance) Maxim.
- ''P. pygeoides'' Koehne
- ''P. spinulosa'' Siebold & Zucc.
- ''P. ssiori'' F. Schmidt
- ''P. turneriana'' (F. M. Bailey) Kalkman
- ''P. undulata'' Buch.-Ham. ex D. Don
- ''P. wilsonii'' (Diels ex C. K. Schneid.) Koehne
- ''P. zippeliana'' Miq.
2. 2. 벚나무절 (sect. ''Cerasus'')
3. 문화
한국에서는 주로 벚나무 껍질을 이용해 활을 만들거나 목재를 장식용으로 사용했다.[1] 세종실록에는 벚나무 껍질이 불에 타 함흥에서 갑산 경계까지 산 위의 초목이 모두 타버렸다는 기록이 있으며, 사람들은 이를 하늘 불[天火]이라고 불렀다고 한다.[2] 세종 7년(1425년)에는 공조에 바치는 벚나무 껍질(반화피)을 없애자는 논의가 있었는데, 이는 벚나무 껍질이 활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이다.[3]
3. 1. 벚꽃 문화
한국에서는 주로 벚나무 껍질을 이용해 활을 만들거나 목재를 장식용으로 사용했다.[1]세종실록에는 벚나무 껍질이 불에 타 함흥에서 갑산 경계까지 산 위의 초목이 모두 타버렸다는 기록이 있으며, 사람들은 이를 하늘 불[天火]이라고 불렀다고 한다.[2]
또한, 세종 7년(1425년)에는 공조에 바치는 반화피(斑樺皮, 벚나무 껍질)를 없애자는 논의가 있었는데, 이는 벚나무 껍질이 활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이다.[3]
참조
[1]
웹사이트
"''Cerasus'' in Flora of China"
http://efloras.org/f[...]
2021-01-23
[2]
논문
"Phylogenetic inferences in ''Prunus'' (Rosaceae) using chloroplast ''ndhF'' and nuclear ribosomal ITS sequences"
https://www.jse.ac.c[...]
2008-04-25
[3]
논문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Prunus sensu lato (Rosaceae)
https://onlinelibrar[...]
2013
[4]
논문
"Phylogeny and spatio-temporal diversification of ''Prunus'' subgenus ''Laurocerasus'' section ''Mesopygeum'' (Rosaceae) in the Malesian region"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