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냉의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냉의 역사는 식민지 이전 시기, 프랑스 식민 통치, 독립 이후의 시기로 구분된다. 프랑스 식민 통치 시기에는 코토누에 항구가 건설되고 철도가 부설되었으며, 학교 시설이 확장되었다. 1960년 다호메이 공화국으로 독립한 이후 여러 차례 군사 쿠데타가 발생했고, 1975년에는 베냉 인민 공화국으로 국명이 변경되었다. 1990년대 초 민주화 운동으로 다당제 헌법이 도입되었고, 니세포르 소글로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아프리카 최초의 민주적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이후 마티외 케레쿠가 재집권했고, 2006년 야이 보니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2016년에는 파트리스 탈롱이 대통령이 되었고, 2021년 재선에 성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냉의 역사 - 다호메이 공화국
다호메이 공화국은 1960년 프랑스에서 독립한 서아프리카 국가로,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어려움, 잦은 쿠데타를 겪다가 1975년 베냉 인민 공화국으로 국명을 변경하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베냉의 역사 | |
---|---|
기본 정보 | |
![]() | |
초기 역사 | |
그레이트 아드라 | 기원전 1100년경–1724년 |
오요 제국 | 기원전 1300년경–1836년 |
송가이 제국 | 기원전 1464년경–1591년 |
아콰무 왕국 | 기원전 1480년경–1734년 |
대서양 노예 무역 | 기원전 1500년경–1800년 |
네덜란드 노예 해안 | 기원전 1660년경–1760년 |
위다 왕국 | 기원전 1580년경–1728년 |
다호메이 왕국 | 기원전 1600년경–1904년 |
다호메이 연례 관습 | 기원전 1730년경–1904년 |
현대 | |
제1차 프랑스-다호메이 전쟁 | 1890년 |
제2차 프랑스-다호메이 전쟁 | 1892년–1894년 |
프랑스령 다호메이 | 1894년–1958년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 1895년–1958년 |
다호메이 공화국 | 1958년–1975년 |
소글로 쿠데타 | 1963년 |
케레쿠 쿠데타 | 1972년 |
베냉 인민공화국 | 1975년–1990년 |
용병 쿠데타 시도 | 1977년 |
베냉 공화국 | 1990년–현재 |
2. 프랑스 식민 통치 (1904년 ~ 1959년)
다호메이는 1904년부터 1959년까지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일부로서 프랑스의 식민 통치를 받았다. 프랑스 통치 아래 코토누에 항구가 건설되고 철도가 놓였으며, 로마 가톨릭 선교 단체를 통해 학교 시설이 확장되었다. 1946년에는 다호메이 자체 의회를 구성하고 프랑스 국민의회에 대표를 파견할 수 있는 프랑스 해외 영토가 되었다. 이후 1958년 12월 4일, 자치권을 가진 다호메이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60년 프랑스로부터 다호메이 공화국으로 독립했으나, 이후 12년 동안 여러 차례의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는 등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시기를 겪었다.[15][1] 1972년 마티외 케레쿠 소령이 쿠데타로 집권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하는 정권을 수립했고,[16][2] 1975년에는 국호를 베냉 인민 공화국으로 변경했다.[17][3] 베냉 인민혁명당(PRPB)의 일당 독재 체제는 1990년대 초까지 이어졌다.[18][4]
3. 독립 이후의 베냉 (1960년 ~ 현재)
1980년대 말 경제난과 민주화 요구가 거세지면서 프랑스 등 외부의 압력 속에 케레쿠 정권은 변화를 수용했다.[18][4] 1990년 국민 회의를 통해 민주 헌법이 도입되고 복수 정당제 하의 선거가 실시되었다. 이 첫 민주 선거에서 케레쿠는 니세포르 소글로에게 패배했으며,[18][4] 이는 아프리카에서 독재 정권이 평화적으로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된 최초의 성공 사례로 평가받는다.[19][5]
그러나 민주화 이후에도 정치적 안정이 완전히 정착되지는 않았다. 1996년 대선에서는 정계 은퇴를 선언했던 케레쿠가 다시 당선되어 재집권했고, 2001년 대선에서도 야당 후보들의 보이콧 속에 재선되었다.[18][4] 케레쿠는 헌법상 임기 및 연령 제한으로 2006년 대선에 출마하지 못했고, 서아프리카 개발 은행 총재 출신의 야이 보니가 당선되어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20][6][21][7] 야이 보니는 2011년 재선되었으나 선거 과정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23][9][24][10] 2015년 10월, 오랜 기간 베냉을 통치했던 마티외 케레쿠 전 대통령이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5][11]
2016년 대선에서는 사업가 출신의 파트리스 탈롱이 야이 보니의 지지를 받은 리오넬 진수 총리를 꺾고 당선되었다.[26][12] 탈롱 대통령은 2021년 재선에 성공했지만, 선거법 개정 등으로 야권의 참여가 제한되었다는 비판 속에 치러졌다.[27][13][28][14]
3. 1. 군사 정권 시대 (1960년 ~ 1972년)
1960년부터 1972년까지 베냉(당시 다호메이 공화국)에서는 여러 차례의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여 정권이 불안정하게 교체되었다.[15] 이 시기의 마지막 쿠데타는 1972년에 일어났으며, 마티외 케레쿠 소령이 이끄는 군부가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을 표방하며 집권했다.[16]
3. 2. 베냉 인민 공화국 시대 (1975년 ~ 1990년)
1972년 군사 쿠데타로 집권한 마티외 케레쿠 소령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통치 이념으로 내세웠다.[16][2] 1975년, 케레쿠 정권은 기존의 국호였던 다호메이 공화국을 베냉 인민 공화국으로 변경하였다.[17][3] 이후 베냉 인민혁명당(PRPB)이 유일 합법 정당으로서 1990년대 초까지 일당 독재 체제를 유지하며 완전한 권력을 행사했다.[18][4]
그러나 1980년대 말 경제난과 민주화 요구가 거세지면서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프랑스를 비롯한 외부 민주 세력의 압력과 격려 속에서[18][4] 케레쿠 대통령은 결국 1990년 국민 회의를 소집하여 새로운 민주 헌법 도입과 복수 정당제 허용, 대통령 및 입법 선거 실시를 결정하였다. 이는 베냉 인민 공화국 시대의 종말과 민주화 시대로의 전환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18][4] 베냉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프리카 국가 중 최초로 독재에서 다당제 민주주의 체제로 평화롭게 이행한 국가로 평가받는다.[19][5]
3. 3. 민주화 이행기 (1990년 ~ 1996년)
1990년대 초까지 베냉 인민혁명당(PRPB)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정권을 이끌던 마티외 케레쿠 대통령은 국내외의 민주화 요구에 직면했다. 프랑스를 비롯한 다른 민주 국가들의 격려 속에서 케레쿠는 새로운 민주 헌법 도입과 대통령 및 입법 선거 실시를 위한 국민 회의 소집을 결정했다.[4]
1991년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케레쿠는 당시 총리였던 니세포르 소글로에게 패배했으며, 소글로 지지 세력은 함께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과반수 의석을 확보했다.[4] 이 정권 교체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독재 체제가 평화적인 선거를 통해 다원주의 정치 체제로 전환된 최초의 사례로 기록되었다.[5]
그러나 1995년 3월에 실시된 두 번째 국회의원 선거에서 소글로 대통령이 이끄는 베냉 부활당(Parti de la Renaissance du Benin, RB)은 최대 정당이었지만 과반수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반면, 공식적으로 정계에서 은퇴했던 케레쿠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결성한 정당이 성공을 거두면서, 케레쿠가 다시 정치 무대에 복귀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는 그가 1996년 대통령 선거에 성공적으로 출마하는 배경이 되었다.[4]
3. 4. 케레쿠 대통령 재집권 시기 (1996년 ~ 2006년)
1995년 3월에 치러진 제2차 총선에서 당시 대통령 니세포르 소글로가 이끌던 베냉 르네상스 당(RB)은 단일 정당으로는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지만, 과반수에는 미치지 못했다. 한편, 공식적으로 정계 은퇴를 선언했던 전 대통령 마티외 케레쿠의 지지자들이 새로운 정당을 창당하여 성공을 거두면서, 케레쿠는 1996년과 2001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모두 승리하며 재집권에 성공했다.[18]
그러나 2001년 대통령 선거는 순탄치 않았다. 1차 투표 결과는 현직 대통령 마티외 케레쿠 45.4%, 전 대통령 니세포르 소글로 27.1%, 국회의장 아드리앙 훙베지 12.6%, 국무장관 브루노 아무수 8.6% 순이었다. 하지만 소글로와 훙베지 두 후보는 선거 과정에서의 부정 행위와 의심스러운 관행을 문제 삼으며 결선 투표를 보이콧했다. 이로 인해 3월 18일로 예정되었던 결선 투표는 며칠간 연기되었고, 결국 케레쿠는 자신의 내각에 있던 국무장관 아무수와 맞붙는 이른바 "친선 경기"를 치른 끝에 재선되었다.[18] 이러한 과정은 선거의 공정성에 대한 논란을 남겼다.
케레쿠의 두 번째 임기 중인 2002년 12월, 베냉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체제 포기 이후 처음으로 지방 선거를 실시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선거가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나, 수도 코토누의 시장을 선출하는 제12구 의회 선거에서는 부정 행위가 발생하여 선거관리위원회가 해당 선거를 다시 치르도록 결정했다. 재선거 결과, 니세포르 소글로 전 대통령이 이끄는 베냉 르네상스 당(RB)이 승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소글로는 2003년 2월 새롭게 구성된 시의회에서 코토누 시장으로 선출되었다.[18]
2003년 3월에는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으며, 국제 사회는 대체로 자유롭고 공정하게 진행되었다고 평가했다. 일부 사소한 부정 행위가 보고되었으나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이 선거에서 주요 야당이었던 베냉 르네상스 당(RB)는 의석을 잃었으며, 아드리앙 훙베지가 이끄는 민주 부활당(PRD)과 연합 에투알(AE) 등 다른 야당들은 정부 연립에 참여했다.[4]
케레쿠 대통령은 1990년 제정된 헌법의 임기 제한(연임까지만 허용) 및 연령 제한 규정에 따라 2006년 대통령 선거에는 출마할 수 없었다.[21] 2006년 3월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는 총 26명의 후보가 경쟁했으며, 전 서아프리카 개발 은행 총재였던 야이 보니가 당선되었다.[20] 유엔,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OWAS) 등 국제 참관단은 이 선거가 자유롭고 공정하며 투명하게 치러졌다고 평가했다.[21] 야이 보니는 2006년 4월 6일 대통령에 취임하며[18][22], 케레쿠의 재집권 시대는 막을 내렸다.
3. 5. 야이 보니 대통령 시대 (2006년 ~ 2016년)
전 서아프리카 개발 은행 총재였던 야이 보니는 26명의 후보가 경쟁한 2006년 3월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대통령에 당선되었다.[6][20] 유엔과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OWAS)를 포함한 국제 사회 참관단은 이 선거가 자유롭고 공정하며 투명하게 치러졌다고 평가했다.[7][21] 당시 마티외 케레쿠 대통령은 1990년에 제정된 헌법에 명시된 임기 제한 및 연령 제한 규정 때문에 출마할 수 없었다.[7][21] 야이 보니는 2006년 4월 6일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했다.[4][8]
2007년 3월 31일에는 국회의원 83명을 선출하는 총선이 실시되었다. 이 선거 결과, 야이 보니 대통령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던 정당 연합인 신흥 베냉을 위한 포스 코위(FCBE)가 국회에서 다수 의석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야이 보니 대통령은 자신의 입법 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상당한 영향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4][18]
2011년 3월 대통령 선거에서 야이 보니는 1차 투표에서 53.13%의 득표율을 얻어 재선에 성공했다.[9][23] 하지만 그의 주요 경쟁 후보들은 선거 과정에서 광범위한 부정이 있었다고 주장하며 선거 결과에 승복하지 않았다.[9][10][24]
야이 보니 대통령의 임기 중이던 2015년 10월, 베냉의 전 대통령 마티외 케레쿠가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1][25] 그는 1972년부터 1991년, 그리고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총 28년간 베냉을 통치했다.[11]
야이 보니 대통령은 헌법에 따라 5년 임기를 두 번 역임한 후, 2016년 3월 대통령 선거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이 선거에서는 사업가 출신의 파트리스 탈롱 후보가 야이 보니 대통령의 신흥 베냉을 위한 카우리 군대(FCBE) 소속 후보였던 리오넬 진수 당시 총리를 꺾고 당선되어 야이 보니의 뒤를 이었다.[12][26]
3. 6. 파트리스 탈롱 대통령 시대 (2016년 ~ 현재)
야이 보니 대통령이 5년 임기를 두 차례 마친 후, 사업가인 파트리스 탈롱이 그의 뒤를 이었다. 탈롱은 2016년 3월 대통령 선거에서 보니 야이 대통령의 신흥 베냉을 위한 카우리 군대(FCBE) 후보였던 리오넬 진수 총리를 꺾고 당선되었다.[12][26]
2021년 4월, 현직 대통령 파트리스 탈롱은 대통령 선거 1차 투표에서 86%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13][27] 선거법 개정으로 인해 탈롱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의회를 완전히 장악하게 되었다.[14][28]
참조
[1]
서적
Political Reform in Francophone Africa
Westview Press
[2]
간행물
Profiles of People in Power: The World's Government Leaders
[3]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L to Z
Infobase Publishing
[4]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Benin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08-06
[5]
서적
Countries of the world and their leaders yearbook 2007, Volume 1
Thomson Gale
[6]
뉴스
Boni wins Benin presidential election: official
https://www.abc.net.[...]
2006-03-22
[7]
뉴스
President Mathieu Kerekou leaves after 29 years
https://www.thenewhu[...]
2006-04-07
[8]
뉴스
Benin: Celebration As Boni Takes Over
https://allafrica.co[...]
[9]
뉴스
Rival rejects poll win of Benin's Boni Yayi
https://www.reuters.[...]
2011-03-22
[10]
뉴스
Benin's Boni Yayi wins second term - court
https://www.reuters.[...]
2011-03-21
[11]
뉴스
Benin's 'father of democracy' Mathieu Kerekou dies at 82
https://www.bbc.com/[...]
2015-10-15
[12]
웹사이트
Businessman 'wins Benin's presidential election'
https://www.france24[...]
2016-03-21
[13]
웹사이트
Benin's President Patrice Talon wins re-election with 86%
https://www.aljazeer[...]
[14]
웹사이트
Benin vote count begins after opposition groups boycott election
https://www.aljazeer[...]
[15]
서적
Political Reform in Francophone Africa
Westview Press
[16]
간행물
Profiles of People in Power: The World's Government Leaders
[17]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L to Z
Infobase Publishing
[18]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Benin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08-06
[19]
서적
Countries of the world and their leaders yearbook 2007, Volume 1
Thomson Gale
[20]
뉴스
Boni wins Benin presidential election: official
https://www.abc.net.[...]
2006-03-22
[21]
뉴스
President Mathieu Kerekou leaves after 29 years
https://www.thenewhu[...]
2006-04-07
[22]
뉴스
Benin: Celebration As Boni Takes Over
https://allafrica.co[...]
[23]
뉴스
Rival rejects poll win of Benin's Boni Yayi
https://www.reuters.[...]
2011-03-22
[24]
뉴스
Benin's Boni Yayi wins second term - court
https://www.reuters.[...]
2011-03-21
[25]
뉴스
Benin's 'father of democracy' Mathieu Kerekou dies at 82
https://www.bbc.com/[...]
2015-10-15
[26]
웹인용
Businessman 'wins Benin's presidential election'
https://www.france24[...]
2016-03-21
[27]
웹인용
Benin's President Patrice Talon wins re-election with 86%
https://www.aljazeer[...]
[28]
웹인용
Benin vote count begins after opposition groups boycott election
https://www.aljaze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