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냉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냉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9년 나이지리아와의 경기에서 첫 국제 경기를 치렀으며, 2004년, 2008년,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0년에는 국가대표팀 해체 및 감독 해고 등의 어려움을 겪었지만,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에 진출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스테판 세세뇽은 최다 출전 및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과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주요 성적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냉의 축구 - 베냉 축구 연맹
    베냉 축구 연맹은 베냉의 축구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으로,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부진 이후 선수단 해고와 2011년 회장 체포 등 여러 논란을 겪었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CAF에 관한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CAF에 관한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베냉 축구 국가대표팀
기본 정보
베냉 축구 연맹 로고
베냉 축구 연맹 로고
별칭레 게파르 (치타)
이전 별칭레 에퀴뢰유 (다람쥐)
협회베냉 축구 연맹
연맹CAF (아프리카)
하위 연맹WAFU (서아프리카)
감독게르노트 로어
주장스티브 무니에
최다 출장 선수스테판 세세뇽 (89)
최다 득점 선수스테판 세세뇽 (24)
홈 경기장스타드 드 라미티에
FIFA 코드BEN
FIFA 최고 랭킹59위
FIFA 최고 랭킹 날짜2009년 11월-12월, 2010년 4월
FIFA 최저 랭킹165위
FIFA 최저 랭킹 날짜1996년 7월
Elo 최고 랭킹56위
Elo 최고 랭킹 날짜1964년 12월
Elo 최저 랭킹165위
Elo 최저 랭킹 날짜1995년 5월 13일
유니폼 정보
베냉 축구 국가대표팀 홈 유니폼
홈 유니폼
베냉 축구 국가대표팀 원정 유니폼
원정 유니폼
경기 정보
첫 경기0–1 (다호메이; 1959년 11월 8일)
최대 점수차 승리7–0 ( 아비장, 코트디부아르; 1961년 12월 27일)
최대 점수차 패배10–1 (나이지리아; 1959년 11월 28일)
지역 대회 정보
지역 대회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지역 대회 출전 횟수4회
첫 지역 대회 출전2004년
최고 성적8강 (2019년)

2. 역사

베냉은 1959년 11월 8일 나이지리아와의 경기에서 0-1로 패하며 첫 공식 국제 경기를 치렀다. 이후 여러 차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했지만,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8강 진출 이전까지는 이렇다 할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2010년에는 베냉 축구 연맹 회장 안조린 무샤라프가 체포되고,[1] 국가대표팀이 해체되는 등 혼란스러운 시기를 겪었다. 2016년에는 FIFA로부터 활동 정지 처분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에 진출하며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특히,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모로코를 승부차기 끝에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

2. 1. 초기 역사 (프랑스 식민지 시대 ~ 1980년대)

베냉은 1959년 11월 8일 나이지리아와의 경기에서 0-1로 패하며 첫 공식 국제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는 베냉이 1960년 8월 1일 독립하기 전 프랑스의 속령이었던 시기에 열렸다.[1]

베냉은 역사상 처음으로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진출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로코, 나이지리아와의 경기에서 모두 패했다. 베냉의 유일한 득점은 무사 라툰지가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기록했다.

2008년에도 베냉은 말리, 코트디부아르, 나이지리아에 패했다. 라작 오모토요시가 코트디부아르와의 경기에서 1-4로 패할 때 득점을 기록한 것이 유일한 득점이었다.

2. 2. 발전과 좌절 (1990년대 ~ 2010년대 초반)

베냉은 1990년대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세 차례 진출했지만,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는 좌절을 겪었다.

2004년 대회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로코, 나이지리아에 모두 패했지만, 무사 라툰지가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득점을 기록했다.[1] 2008년 대회에서도 말리, 코트디부아르, 나이지리아에 패배했지만, 라작 오모토요시가 코트디부아르를 상대로 득점을 기록했다.[1]

2010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2차 예선에서 조 1위를 차지했지만, 3차 예선에서 가나에 밀려 조 2위를 기록하며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 그러나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진출에는 성공했다. 이 대회에서 베냉은 모잠비크와 무승부를 기록하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첫 승점을 획득했지만, 나이지리아와 이집트에 패하며 조 3위로 탈락했다.[1]

2010년에는 베냉 축구 연맹 회장 안조린 무샤라프가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고, 베냉 축구 연맹은 3회 연속 조별 예선 탈락을 이유로 국가대표팀을 해체하고 감독 미셸 두수예와 코칭 스태프 전원을 해고했다.[2][3]

2014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알제리, 말리, 르완다와 함께 H조에 편성되었으나 조 3위에 그치며 탈락했다.[1]

2. 3. 재도약 (2010년대 후반 ~ 현재)

2010년대 초반, 베냉 대표팀은 주요 대회에서 연이어 좋지 못한 성적을 거두자, 베냉 축구 연맹이 국가대표팀을 해체하고 감독과 코칭 스태프 전원을 해고하는 사태를 겪었다.[2][3] 이는 2010년 FIFA 월드컵 이후 굿럭 조나단 대통령에 의해 2년간 활동 정지 처분을 받은 나이지리아와 비슷한 사례였다.

2014년 월드컵 예선에서 베냉은 알제리, 말리, 르완다와 같은 조에 편성되었으나 조 3위에 그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16년 5월에는 FIFA로부터 알 수 없는 이유로 활동 정지 처분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베냉은 3위 팀 중 세 번째로 좋은 성적을 거두며 본선에 진출, 이전에 해고되었던 미셸 두수예 감독과 다시 뭉쳐 8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특히,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모로코를 승부차기 끝에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비록 결승 진출팀인 세네갈에게 패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베냉 축구 역사에 남을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현재 베냉 대표팀의 코칭 스태프는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
감독 게르노트 로어
수석코치 무스타파 차워그베
제르베 아자노운
골키퍼 코치 아폴리네르 그바다마시
피트니스 코치 이브라힘 크파데누
경기 분석관 크리스토프 파고운
팀 의사 헤르베 그발라주 박사
미셸 조그베누 박사
물리치료사 알랭 그베누
토마 웅크페
우스만 우수
막심 추아시
팀 코디네이터 베르나르 그베지시
기술 감독 모하메드 아그바시


3. 역대 주요 성적

베냉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4번 출전하여 2019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하는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기록은 없다.

대회결과경기 수득점실점
FIFA 월드컵본선 진출 없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8강 (2019)14059724
서아프리카 네이션스컵조별리그 탈락100461024
WAFU 네이션스컵4위12237919



2004년, 2008년,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특히 2010년 대회 이후에는 베냉 축구 연맹이 국가대표팀을 해체하고 감독과 코칭 스태프 전원을 해고하기도 했다.[2][3] 2019년 대회에서는 16강에서 모로코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8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3. 1. FIFA 월드컵

베냉은 현재까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이 없다.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4승 2패, 3조 1위로 최종 예선에 진출했고, 최종 예선에서도 3승 1무 2패, D조 2위를 기록하며 베냉 축구 역사상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최고 성적을 달성했다.[1]

년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1930년독립 이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8]없음[9]
1966년[8]불참
1970년[8]
1974년[8]예선 탈락
1978년불참
1982년
1986년예선 탈락
1990년불참
1994년예선 탈락
1998년불참
2002년예선 탈락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
합계colspan=9|



년도경기득점실점승점
1930년독립 이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8]없음[9]
1966년[8]불참
1970년[8]
1974년[8]20021100
1978년불참
1982년
1986년2002060
1990년불참
1994년61053193
1998년불참
2002년2011121
2006년1223713269
2010년12714181422
2014년6222898
2018년2101233
합계4413724468946
순위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26위 (아프리카 27위)


3. 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베냉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4번 출전했다. 2019년 대회 이전까지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그러나 2019년 대회에서 베냉은 사상 처음으로 16강에 진출했고, 모로코와의 16강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4-1로 승리하며 8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이는 베냉이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통틀어 사상 처음으로 메이저 대회 8강에 진출한 기록이다.

년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57년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연방 소속
1959년
1962년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비가입
1963년
1965년불참
1968년
1970년
1972년예선 탈락
1974년기권
1976년
1978년불참
1980년예선 탈락
1982년불참
1984년예선 탈락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6년기권
1998년예선 탈락
2000년
2002년
2004년조별 리그16위300318
2006년예선 탈락
2008년조별 리그15위300317
2010년14위301225
2012년예선 탈락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8강8위504134
2021년예선 탈락
2023년
2025년본선 진출
2027년결정되지 않음
2029년
합계8강4/3414059724


3. 3. 기타 대회

베냉은 서아프리카 네이션스컵과 WAFU 네이션스컵에 참가했다.

년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82조별 리그6위302148
1983참가하지 않음
1984조별 리그5위400439
1986참가하지 않음
1987조별 리그7위302137
합계조별 리그3/5100461024



년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
2010년조별 리그7위301205
2011년불참
2013년4위4위402256
2017년4위4위520348
합계4위3/412237919


4. 선수

[6]

다음은 2024년 10월 11일과 15일에 열린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루완다와의 경기에 소집된 베냉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이다.[5]

''기록은 2024년 10월 15일 루완다와의 경기 이후 기준이다.''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전 수득점 수현재 소속팀
GK사튀르낭 알라그베Saturnin Allagbé|1993년 11월 22일영어460보테프 브라츠
GK마르셀 댕지누Marcel Dandjinou|1998년 6월 25일영어100JDR 스타스
GK마리아노 쉬노비Mariano Ahouchovi|2004년 7월 29일영어00로토포포
DF올리비에 베르돈Olivier Verdon|1995년 10월 5일영어380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DF세드릭 운톤지Cédric Hountondji|1994년 1월 19일영어322앙제
DF로드리그 파시누Rodrigue Fassinou|1999년 5월 22일영어160로토포포
DF라시드 무미니Rachid Moumini|2004년 10월 27일영어141아이에마
DF요한 로슈Yohan Roche|1997년 7월 7일영어141페트롤룰 플로이에슈티
DF모하메드 티자니Mohamed Tijani|1997년 7월 10일영어130이베르돈-스포르트
DF라비우 산카마오Rabiou Sankamao|2003년 10월 12일영어30ASPAC
DF타미무 우루Tamimou Ouorou|2003년 5월 3일영어10핫타 클럽
MF세시 달메이다Sessi D'Almeida|1995년 11월 20일영어381아폴론 리마솔
MF주니어 올라이탄Junior Olaitan|2002년 5월 9일영어284트루아
MF마테오 알린비Mattéo Ahlinvi|1999년 7월 2일영어240베스테로스
MF도도 도쿠Dodo Dokou|2004년 5월 4일영어141스무하
MF하산 이무라네Hassane Imourane|2003년 4월 8일영어131모던 퓨처
MF마리아노 아우앙보Mariano Ahouangbo|2002년 11월 16일영어30AS 솔리만
MF지슬랭 아우도Ghislain Aoudjo|1999년 7월 2일영어30다제 FC 달플루에
MF로마리크 아무수Romaric Amoussou|2000년 12월 10일영어30코통 스포르
MF사마두 아티지쿠Samadou Atchadjikou|2004년 2월 2일영어00알 마스리
FW조델 도수Jodel Dossou|1992년 3월 17일영어6710소쇼
FW스티브 무니에Steve Mounié|1994년 9월 29일영어5719아우크스부르크
FW토신 아이예군Tosin Aiyegun|1998년 6월 26일영어163로리앙
FW안드레아스 운톤지Andreas Hountondji|2002년 7월 11일영어112번리
FW스티브 트라오레Steve Traoré|1998년 2월 18일영어40로코모티브 소피아


4. 1. 주요 선수

스테판 세세뇽은 베냉 최다 득점자이자 최다 출전 선수이다.


'''굵은 글씨'''는 현재 베냉에서 활동 중인 선수를 나타낸다.[6]

최다 출전 선수
순위선수출전 수득점 수활동 기간
1스테판 세세뇽(Stéphane Sessègnon)89242004년–현재
2칼레드 아데농(Khaled Adénon)8622006년–2023년
3미카엘 포테(Mickaël Poté)69102008년–2022년
4조델 도수(Jodel Dossou)67102013년–현재
5다미앵 크리소스토메(Damien Chrysostome)5802002년–2011년
6스티브 무니에(Steve Mounié)57192015년–현재
7조슬랭 아우에야(Jocelyn Ahouéya)5532003년–2013년
라자크 오모토요시(Razak Omotoyossi)55212004년–2016년
9로무알드 보코(Romuald Boco)5212004년–2013년
10다비드 키키(David Kiki)5102015년–현재
세이다트 쇼모고(Séïdath Tchomogo)5162003년–2014년



최다 득점자
순위선수득점 수출전 수경기당 득점률활동 기간
1스테판 세세뇽(Stéphane Sessègnon)24890.272004년–현재
2라자크 오모토요시(Razak Omotoyossi)21550.382004년–2016년
3스티브 무니에(Steve Mounié)19570.332015년–현재
4우마르 쇼모고(Oumar Tchomogo)15340.441995년–2008년
5조델 도수(Jodel Dossou)10670.152013년–현재
미카엘 포테(Mickaël Poté)10690.142008년–2022년
7무사 라툰지(Moussa Latoundji)6210.291993년–2004년
무리탈라 오군비이(Mouritala Ogunbiyi)6470.131998년–2019년
세이다트 쇼모고(Séïdath Tchomogo)6510.122003년–2014년
10레옹 베산(Léon Bessan)5200.251995년–2007년
아니세트 아자모시(Anicet Adjamossi)5480.12002년–2013년


4. 2.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0월 11일과 15일에 열린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루완다와의 경기를 위해 다음 선수들이 소집되었다.[5]

''2024년 10월 15일 루완다와의 경기 후 기록된 출전 수와 득점 수''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전 수득점 수현재 소속팀
GK사튀르낭 알라그베1993년 11월 22일영어460보테프 브라츠
GK마르셀 댕지누1998년 6월 25일영어100JDR 스타스
GK마리아노 쉬노비2004년 7월 29일영어00로토포포
DF올리비에 베르돈1995년 10월 5일영어380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DF세드릭 운톤지1994년 1월 19일영어322앙제
DF로드리그 파시누1999년 5월 22일영어160로토포포
DF라시드 무미니2004년 10월 27일영어141아이에마
DF요한 로슈1997년 7월 7일영어141페트롤룰 플로이에슈티
DF모하메드 티자니1997년 7월 10일영어130이베르돈-스포르트
DF라비우 산카마오2003년 10월 12일영어30ASPAC
DF타미무 우루2003년 5월 3일영어10핫타 클럽
MF세시 달메이다1995년 11월 20일영어381아폴론 리마솔
MF주니어 올라이탄2002년 5월 9일영어284트루아
MF마테오 알린비1999년 7월 2일영어240베스테로스
MF도도 도쿠2004년 5월 4일영어141스무하
MF하산 이무라네2003년 4월 8일영어131모던 퓨처
MF마리아노 아우앙보2002년 11월 16일영어30AS 솔리만
MF지슬랭 아우도1999년 7월 2일영어30다제 FC 달플루에
MF로마리크 아무수2000년 12월 10일영어30코통 스포르
MF사마두 아티지쿠2004년 2월 2일영어00알 마스리
FW조델 도수1992년 3월 17일영어6710소쇼
FW스티브 무니에1994년 9월 29일영어5719아우크스부르크
FW토신 아이예군1998년 6월 26일영어163로리앙
FW안드레아스 운톤지2002년 7월 11일영어112번리
FW스티브 트라오레1998년 2월 18일영어40로코모티브 소피아


참조

[1] 웹사이트 Fifa back detained Benin FA boss Anjorin Moucharaf https://www.goal.com[...] 2021-11-09
[2] 뉴스 Benin löst Nationalelf auf http://www.spiegel.d[...] 2010-02-09
[3] 웹사이트 Bénin: Les Ecureuils et Michel DUSSUYER sanctionnés http://www.febefoot.[...] Fédération Béninoise de Football
[4] 웹사이트 Benin coach Michel Dussuyer 'unaware' of sacking http://news.bbc.co.u[...] BBC Sport 2010-02-09
[5] 웹사이트 La liste https://www.facebook[...] Benin Football Federation 2024-05-27
[6] 웹사이트 Benin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7] 간행물 footballista 2009/6/24号
[8] 문서 다호메이로 참가
[9] 문서 다호메이 축구협회 창립 이전
[10]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