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0년 국제 무대에 데뷔했으며,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아직 진출한 적이 없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8번 출전하여 2012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피에르에므리크 오바메양은 최다 득점자이며, 디디에 오보노는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유니폼은 에어니스, 푸마, 아디다스, 까파 등을 거쳐 현재 푸마가 제공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봉의 축구 - 가봉 축구 연맹
    가봉 축구 연맹은 1962년에 창립되어 가봉의 축구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으로, 초대 회장은 오귀스트 창고였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프리카 최초의 국가대표팀이자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다 우승국으로, FIFA 월드컵 3회 진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하계 올림픽 등 여러 대회에 참가했으며, 모하메드 살라와 같은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고 아흐메드 하산과 호삼 하산이 각각 최다 출전과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식 명칭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별칭레팡테르 (표범들)
협회가봉 축구 연맹
하위 연맹UNIFFAC (중앙아프리카)
대륙 연맹CAF (아프리카)
감독티에리 무유마
주장피에르에메릭 오바메양
최다 출장 선수디디에 오보노 (112)
최다 득점 선수피에르에메릭 오바메양 (33)
홈 경기장스타드 당곤제
FIFA 코드GAB
FIFA 최고 랭킹30
FIFA 최고 랭킹 날짜2009년 7월
FIFA 최저 랭킹125
FIFA 최저 랭킹 날짜2003년 4월–5월
Elo 최고 랭킹63
Elo 최고 랭킹 날짜1996년 11월
Elo 최저 랭킹123
Elo 최저 랭킹 날짜2004년 6월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 색상상의: 노랑, 하의: 파랑, 양말: 파랑
원정 유니폼 색상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흰색
경기 정보
첫 국제 경기오트볼타 5–4 가봉 (마다가스카르; 1960년 4월 13일)
최다 점수차 승리가봉 7–0 베냉 (리브르빌, 가봉; 1995년 4월 2일)
최다 점수차 패배카메룬 6–0 가봉 (아비장, 코트디부아르; 1961년 12월 26일)
모로코 6–0 가봉 (라바트, 모로코; 2006년 11월 15일)
지역 대회 이름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지역 대회 출전 횟수8
첫 지역 대회 출전1994년
지역 대회 최고 성적8강, 1996년2012년
지역 대회2 이름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지역 대회2 출전 횟수3회
첫 지역 대회2 출전2011년
지역 대회2 최고 성적8강, 2014년

2. 역사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0년 4월 13일,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국가들을 위한 우정 경기(Jeux de L'Amitié) 토너먼트에 참가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이 대회는 마다가스카르 안타나나리보에서 열렸으며, 가봉은 부르키나파소를 상대로 5-4로 패했다.[1][2][3] 1961년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열린 다음 토너먼트에서는 카메룬, 세네갈과 같은 조에 속해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1][4]

1962년 가봉 축구 연맹(Fédération Gabonaise de Football)이 설립된 후, 가봉은 콩고를 상대로 첫 승리(3-1)를 거두는 등 점차 발전된 모습을 보였다.[5] 1963년 세네갈 다카르에서 열린 세 번째 우정 경기에서는 영국령 감비아, 프랑스 아마추어팀, 상볼타와 같은 조에서 2위를 기록하며 이전보다 향상된 성적을 거두었으나, 조 1위만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수 있었기 때문에 탈락했다.[1][6]

1964년, 가봉은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했지만, FIFA가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에 단 한 장의 결승 진출권만 배정한 것에 항의하며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함께 기권했다.[7][8]

1970년대에 들어 가봉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처음 참가했지만, 코트디부아르에 패배했다.[9] 이후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과 197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는 경기 시작 전에 기권했다.[13][15] 197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는 콩고에 패했다.[18]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가봉은 1996년2012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하며 메이저 대회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특히 2012년 대회는 적도 기니와 공동 개최했다.[1]

스테판 N'게마와 마루앙 샤막의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3차 예선 모로코-가봉전 경기 모습


2010년대에 가봉은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최종 예선까지 진출했지만, 아쉽게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카메룬을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공동 개최국으로 참가하여 조별 리그를 통과하고 8강에 진출했으나, 말리와의 승부차기에서 패배했다.[1]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는 자격 없는 선수 출전으로 몰수패를 당하는 등 어려움을 겪으며 조 3위로 탈락했다.[1]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는 토고에 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1]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는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지만, 본선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2. 1. 1960년대

가봉은 1960년 4월 13일,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국가들을 위해 만들어진 최초의 우정 경기(Jeux de L'Amitié, 현대 아프리카 경기의 전신) 토너먼트에 참가하며 데뷔전을 치렀다. 이 대회는 마다가스카르안타나나리보에서 열렸다. 1라운드에서 가봉은 역시 데뷔전을 치르는 상볼타(현 부르키나파소)와 맞붙어 전반전 3-2로 앞섰음에도 불구하고 5-4로 패했다.[1][2][3] 1년 반 이상 경기를 치르지 않다가 1961년 12월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열린 다음 토너먼트에 참가했다.[1] 가봉은 카메룬, 세네갈과 함께 3조에 속했다. 크리스마스에 세네갈에게 3-2로 패하며 토너먼트를 시작했고, 박싱데이에는 카메룬에게 6-0으로 대패하며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4] 몇 달 후, 가봉 축구 연맹(Fédération Gabonaise de Football)이 공식적으로 설립되어 국가대표팀과 국내 경기의 발전을 감독하게 되었다.[5]

가봉 축구 연맹은 설립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첫 승리를 거두었다. 1962년 7월 14일, 가봉은 자국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콩고를 3-1로 이겼다. 같은 해 8월 20일에는 카메룬과의 홈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거두며 이전보다 훨씬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9월 16일에는 콩고 원정에서 3-1로 패했다. 1963년 4월에는 세네갈 다카르에서 열린 세 번째이자 마지막 우정 경기에 참가했다.[1] 가봉은 영국령 감비아, 프랑스 아마추어팀, 상볼타와 함께 C조에 속했다. 4월 12일 상볼타를 4-0으로 완파하며 시작했지만, 이틀 후 프랑스 아마추어팀에게 3-0으로 패했다. 4월 16일 영국령 감비아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2-2 무승부를 거두며 조 2위를 차지, 이전 토너먼트보다 눈에 띄게 향상된 결과를 얻었으나 조 1위만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수 있었기 때문에 탈락했다.[6]

몇 달 후, 가봉은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했다. 그러나 1964년 10월 8일, FIFA가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모두에게 결승 진출권을 단 1장만 배정한 결정에 항의하며 다른 모든 아프리카 참가국들과 함께 대회에서 기권했다.[7][8]

2. 2. 1970년대

가봉은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처음으로 참가했지만, 코트디부아르에 패하며 탈락했다. 1970년 11월 8일 홈에서 2-1로 첫 경기를 패했고, 2주 후 원정에서 1-0으로 패했다.[9]

이후 가봉은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과 197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참가했지만, 경기 시작 전에 기권했다.[13][15]

1976년, 가봉은 친선 경기에서 상투메 프린시페를 6-1로 크게 이겼는데, 이는 상투메 프린시페의 첫 국제 경기였다.[16]

1978년, 가봉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참가하여 콩고와 맞붙었다. 1977년 7월 17일 원정에서 3-2로 패했고, 7월 31일 홈에서 3-3 무승부를 기록하여 합계 6-5로 패했다.[18]

2. 3. 1980년대 ~ 2000년대

1996년2012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하여 가봉 축구 역사상 메이저 대회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1] 2012년 대회는 적도 기니와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했다.[1]

2. 4. 2010년대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최종 예선까지 진출하여 A조 2위를 기록하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아쉽게도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카메룬을 1-0으로 꺾는 이변을 일으켰고, 튀니지와 무승부를 거두며 8강 진출 가능성이 높았으나, 잠비아에 2-1로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적도 기니와 공동 개최국으로 참가하여 조별 리그에서 니제르, 모로코, 튀니지를 모두 꺾고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1] 특히 모로코와의 경기에서는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며 1996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8강 진출을 확정 지었다.[1] 8강전에서는 말리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1-1로 비겼으나, 승부차기에서 4-5로 패하며 아쉽게 탈락했다.[1] 이 경기에서 피에르-에메릭 오바메양이 페널티킥을 실축했지만, 그는 대회에서 3골을 기록하며 활약했다.[1]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2차 예선 E조에서는 니제르, 부르키나파소, 콩고와 한 조가 되었다.[1] 니제르와의 첫 경기에서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자격 없는 선수 찰리 무소노를 출전시킨 사실이 드러나 3-0 몰수패를 당했다.[1] 이후 오바메양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니제르를 4-1로 꺾으며 플레이오프 진출 가능성을 이어갔지만, 부르키나파소에 패하며 최종적으로 조 3위에 머물렀다.[1]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는 토고에 합계 3-2로 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1]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는 부르키나파소, 앙골라, 레소토와 한 조가 되어 선전한 끝에 조 1위로 본선 진출을 확정 지었다.[1] 그러나 2015년 대회 본선에서는 부르키나파소, 콩고, 적도 기니와 같은 조에 편성되어 개막전에서 2-0 승리를 거둔 것을 제외하고는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3. 국제 대회 경력

가봉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8번 출전하여 1996년적도 기니와 공동 개최한 2012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하여 가봉 축구 역사상 메이저 대회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1] 자국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는 3번 출전하여 2014년 대회에서 8강에 올랐고, 나머지 2번의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2012년 대회에 U-23 대표팀으로 출전한 것이 유일하며, 2무 1패의 성적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3. 1. FIFA 월드컵

Jeux de L'Amitié프랑스어 (아프리카 경기의 전신) 토너먼트에 참가하며 데뷔전을 치렀으나, 현재까지 가봉의 FIFA 월드컵 본선 기록은 없다.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최종 예선까지 올라 3승 3패, A조 2위를 기록하며 선전했다.[1]

FIFA 월드컵 기록rowspan="39" |예선 기록
년도라운드순위경기무*득점실점경기득점실점
1930년 ~ 1958년프랑스 소속프랑스 소속
1962년FIFA 회원국이 아님FIFA 회원국이 아님
1966년기권기권
1970년참가하지 않음참가하지 않음
1974년기권기권
1978년 ~ 1986년참가하지 않음참가하지 않음
1990년예선 탈락620459
1994년421175
1998년7214411
2002년210112
2006년123541514
2010년127051710
2014년621356
2018년823338
2022년621378
2026년미정430175
2030년미정
2034년
합계0/15672612297178



개최국 / 년결과개최국 / 년결과
1930FIFA 비회원국이었기 때문에
참가하지 못함
1982불참
1934 1986
1938 1990예선 탈락
1950 1994
1954 1998
1958 2002
1962 2006
1966기권 2010
1970불참 2014
1974기권 2018
1978불참 2022
총계출전 0회


3. 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봉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총 8번 출전했다.[1] 1996년 대회적도 기니와 공동 개최한 2012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하여 가봉 축구 역사상 메이저 대회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1]

} 2029

|-

!'''총계'''||'''8강'''||'''8/34'''||'''25'''||'''7'''||'''10'''||'''8'''||'''24'''||'''27'''

!116

!43

!30

!43

!135

!108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기록예선 기록
년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경기득점실점
1957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의 일부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의 일부
1959
1962CAF 비가맹CAF 비가맹
1963
1965
1968
1970불참불참
1972예선 탈락200213
1974기권기권
1976불참불참
1978예선 탈락201156
1980불참불참
1982기권기권
1984예선 탈락201126
1986201113
1988210111
1990630366
1992623132
1994조별리그12위2002076420102
19968강7위311143430182
1998예선 탈락614155
2000조별리그16위30122685121510
2002예선 탈락83321310
2004620477
2006123541514
2008421165
2010조별리그10위311122640283
20128강5위431073개최국 자격으로 출전
2013예선 탈락201123
2015조별리그12위310223633094
20179위303022개최국 자격으로 출전
2019예선 탈락622275
202116강12위413054631286
2023예선 탈락621335
2025예선 통과631279
2027미정미정
{{flagicon|}
출전: 8회
개최국 / 년도성적개최국 / 년도성적개최국 / 년도성적개최국 / 년도성적
1957CAF 비회원으로 인해
참가 불가
1978예선 탈락 1998예선 탈락 2017조별 리그 탈락
1959 1980불참 2000조별 리그 탈락 2019예선 탈락
1962 1982기권 2002예선 탈락 202116강
1963 1984예선 탈락 2004
1965 1986 2006
1968불참 1988 2008
1970 1990 2010조별 리그 탈락
1972예선 탈락 1992 20128강
1974기권 1994조별 리그 탈락 2013예선 탈락
1976불참 19968강 2015조별 리그 탈락


3. 3.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가봉은 자국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 3번 출전하여 2014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고, 나머지 2번의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대회결과
2009예선 탈락
2011조별 리그
20148강
2016조별 리그
2018기권
2020출전 금지[22]
2022불참


3. 4. 하계 올림픽

2012년 대회에 U-23 대표팀으로 출전한 것이 유일하며, 2무 1패의 성적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4. 기타 국제 대회 경력

Coupe de la CEMAC프랑스어에서는 10번의 대회 가운데 2013년 대회에서 우승, 2007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각각 1번씩 차지했고, 1999년 Coupe UNIFAC프랑스어에서도 우승을 차지했으며, Coupe UDEAC프랑스어에서는 7번의 대회 중 1985년, 1988년 대회에서 정상에 올랐다.[1]

5. 역대 감독

순서이름재임 기간
1 장 프루프(Jean Prouff)1960
2 로베르 비코(Robert Vicot)1979
3 알랭 드 마르티니(Alain de Martigny)1985–1986
4 네델류코 불라토비치(Nedeljko Bulatović)1986–1987
5 알랭 다 코스타(Alain Da Costa)1987–1989, 1994–1997, 2000–2002
6 카를-하인츠 바이강(Karl-Heinz Weigang)1989–1994
7 에두아르 에룸벵가니(Edouard Eroumbengani)1989–1991
8 로베르 팡테나(Robert Pintenat)1991–1992
9 장 티센(Jean Thissen)1992–1994
10 세르주 드베즈(Serge Devèze)1997–1998
11 안토니우 두마스(Antônio Dumas)1998–2000
12 클로드 라옐로마난(Claude Rayelomanan)2000
13 미셸 드 울프(Michel De Wolf)2002–2003
14 클로드 알베르 므부루노(Claude Albert Mbourounot)2003
15 자이르지뉴(Jairzinho)2003–2005
16 라파엘 잔바-잔바(Raphaël Nzamba-Nzamba)2005–2006
17 알랭 지레스(Alain Giresse)2006–2010
18 게르노트 로어(Gernot Rohr)2010–2012
19 파울루 조르제 레벨루 두아르테(Paulo Jorge Rebelo Duarte)2012–2013
20 스테판 부응겐자(Stéphane Bounguendza)2014
21 조르제 코스타(Jorge Costa)2014–2016
22 조제 안토니우 가리두(José António Garrido)2016
23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José Antonio Camacho)2016–2018
24 다니엘 쿠쟁(Daniel Cousin)2018–2019
25 파트리스 느뵈(Patrice Neveu)2019–2023
26 티에리 무유마(Thierry Mouyouma)2023–현재


6. 선수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주요 선수로는 피에르에므리크 오바메양, 마리오 레미나, 브뤼노 에퀴엘르 망가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로이 팔룽, 아롱 아팽당고예, 레비 마딩다, 겔로르 캉가, 디디에 은동, 말리크 에부나, 앙드레 비요고 포코, 디디에 오보노, 프레데릭 뷜로, 악셀 메예 등이 가봉 대표팀에서 활동했다.

6. 1. 주요 선수

다음은 주요 선수 명단이다.[20]

'''출전 경기 및 득점은 2024년 9월 10일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경기 후 기준이다.'''

포지션선수출전 경기득점현재 소속팀
GK루이스 음바바 Loyce Mbaba|루아스 음바바프랑스어4경기0골AS 망가스포르
GK앙세 응우비 뎀바 Anse Ngoubi Demba|앙세 응우비 뎀바프랑스어3경기0골US 라옹 레탑
GK로익 오워노 Loïc Owono|로익 오워노프랑스어1경기0골FC 15 드 아고스토
DF브뤼노 에퀴엘르 망가 Bruno Ecuele Manga|브뤼노 에퀴엘르 망가프랑스어106경기9골샤무아 니오르타 FC
DF아론 아팽당고예 Aaron Appindangoyé|아론 아팽당고예프랑스어67경기2골코카엘리스포르
DF알렉스 무케투 무순다 Alex Moucketou-Moussounda|알렉스 무케투 무순다프랑스어21경기1골아리스 리마솔 FC
DF앙투안 오요노 Anthony Oyono|앙투안 오요노프랑스어18경기0골프로시노네 칼초
DF자크 에코미에 Jacques Ekomié|자크 에코미에프랑스어10경기0골앙제 SCO
DF제레미 오요노 Jérémy Oyono|제레미 오요노프랑스어7경기0골프로시노네 칼초
DF우리 미셸 음불라 Urie-Michel Mboula|우리 미셸 음불라프랑스어2경기0골샨르르파스포르
DF야니스 음벰바 Yannis M'Bemba|야니스 음벰바프랑스어1경기0골FC 도르드레흐트
MF겔로르 캉가 Guélor Kanga|겔로르 캉가프랑스어72경기3골레드스타 벨그라드
MF마리오 레미나 Mario Lemina|마리오 레미나프랑스어32경기3골울버햄프턴 원더러스 FC
MF세르주 주니어 응우알리 Serge-Junior Ngouali|세르주 주니어 응우알리프랑스어16경기0골사르프스보르 08 FF
MF에릭 보쿰 Eric Bocoum|에릭 보쿰프랑스어5경기0골골 고하르 시르잔 FC
MF로이 몽귀 Roy Mouniengue|로이 몽귀프랑스어1경기0골AS 스타드 망지
MF브리마우 엔지엥귀 Brimau Nziengui|브리마우 엔지엥귀프랑스어1경기0골AS 빌레르 올게이트
FW피에르에므리크 오바메양 Pierre-Emerick Aubameyang|피에르에므리크 오바메양프랑스어79경기33골알 카디시야 FC
FW데니스 부앙가 Denis Bouanga|데니스 부앙가프랑스어42경기9골로스앤젤레스 FC
FW짐 알레비나 Jim Allevinah|짐 알레비나프랑스어26경기8골앙제 SCO
FW다비드 삼비사 David Sambissa|다비드 삼비사프랑스어15경기0골이스탄불스포르
FW제레미 오부네 Jérémie Obounet|제레미 오부네프랑스어5경기0골안테케라 CF
FW로디 에파게 Rody Effaghe|로디 에파게프랑스어1경기0골FC 고멜
FW에들린 에상 마투티 Edlin Essang-Matouti|에들린 에상 마투티프랑스어1경기0골JS 카빌리

6. 2. 역대 선수

다음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던 선수들 명단이다.

포지션선수 이름활동 기간
GK디디에 오보노2003-2017
GK앙토니 무파 메지2010-
DF브뤼노 에퀴엘르 망가2007-
DF로이드 팔린2011-
DF이론두 무사브-킹2013-
DF주앙 오비앙2014-
MF마리오 레미나2015-
MF앙드레 비요고 포코2010-
MF레비 마딘다2011-
MF디디에 이브라힘 엔동2012-
MF겔로르 캉가2012-
MF세르주 주니오르 마르틴송 응아리2017-
FW피에르에므리크 오바메양
FW말리크 에부나
FW로이 팔룽
FW아롱 아팽당고예
FW프레데릭 뷜로
FW악셀 메예



2024년 9월 10일 기준 최근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20]

포지션선수 이름
GK루이스 음바바
GK앙세 응우비 뎀바
GK로익 오워노
DF브루노 에쿠엘레 망가
DF아론 아핀당고예
DF알렉스 무케투 무순다
DF앙투안 오요노
DF자크 에코미에
DF제레미 오요노
DF우리 미셸 음불라
DF야니스 음벰바
MF게롤 캉가
MF마리오 레미나
MF세르주 주니어 응우알리
MF에릭 보쿰
MF로이 몽귀
MF브리마우 엔지엥귀
FW피에르에므리크 오바메양
FW데니스 부앙가
FW짐 알레비나
FW다비드 삼비사
FW제레미 오부네
FW로디 에파게
FW에들린 에상 마투티



지난 12개월 동안 가봉 국가대표팀에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선수 이름비고
GK주니어 누비 풋소v. ; 2023년 11월 19일
DF요한 오비앙v. ; 2024년 6월 11일
DF스테인 에소노v. ; 2024년 6월 11일
DF시드니 오비사v. ; 2023년 11월 19일
MF디디에 농v. ; 2023년 11월 19일
MF메드윈 비테게v. ; 2024년 6월 11일
MF클레시 루필루v. ; 2024년 3월 25일
MF잭 리송가v. ; 2023년 11월 19일
FW악셀 메예v. ; 2024년 6월 11일
FW샤비 바비카v. ; 2024년 3월 25일
FW아론 부펜자v. ; 2023년 11월 19일
FW앨런 두 마르콜리노v. ; 2023년 11월 19일


7. 팀 이미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의 별명은 프랑스어로 표범을 뜻하는 'Les Panthères'이다.

7. 1. 유니폼

키트 제공업체기간
에어니스2006년–2010년
푸마2012년–2016년
아디다스2017년–2018년
까파2019년–2023년
푸마2024년–


참조

[1] 웹사이트 Gabon matches http://www.elorating[...] 2017-01-15
[2] 웹사이트 Jeux Sportifs de la Communauté Française 1960 (Tananarive, Madagascar) https://www.rsssf.or[...] 2017-01-15
[3] 웹사이트 Burkina Faso matches http://www.elorating[...] 2017-01-15
[4] 웹사이트 Jeux de l'Amitié 1961 (Abidjan, Ivory Coast) https://www.rsssf.or[...] 2017-01-15
[5] 웹사이트 Member Association - Gabon https://web.archive.[...] 2017-01-18
[6] 웹사이트 Jeux de l'Amitié 1963 (Dakar, Senegal) https://www.rsssf.or[...] 2017-01-15
[7] 웹사이트 World Cup 1966 Qualifying https://www.rsssf.or[...] 2017-01-17
[8] 뉴스 How Africa Boycotted the 1966 World Cup https://www.bbc.com/[...] 2016-07-11
[9] 웹사이트 Gabon matches http://www.elorating[...] 2017-01-16
[10] 웹사이트 Games of the XIX. Olympiad Football Qualifying Tournament (Mexico City, Mexico, 1968) https://www.rsssf.or[...] 2017-01-17
[11] 웹사이트 Member Association - Gabon http://www.cafonline[...] 2017-01-18
[12] 웹사이트 Games of the XX. Olympiad Football Qualifying Tournament (Munchen, Germany, 1972) https://www.rsssf.or[...] 2017-01-16
[13] 웹사이트 World Cup Qualifying 1974 https://www.rsssf.or[...] 2017-01-18
[14] 웹사이트 African Games 1973 https://www.rsssf.or[...] 2017-01-16
[15] 웹사이트 African nations Cup 1974 https://www.rsssf.or[...] 2017-01-18
[16] 웹사이트 Sao Tome matches http://www.elorating[...] 2017-01-16
[17] 웹사이트 Jeux d'Afrique Centrale 1976 (Gabon, June 28-July 11) https://www.rsssf.or[...] 2017-01-17
[18] 웹사이트 African Nations Cup 1978 https://www.rsssf.or[...] 2017-01-18
[19] 웹사이트 African Games 1978 https://www.rsssf.or[...] 2017-01-18
[20] 웹사이트 Les Convoques https://x.com/fegafo[...] Fédération Gabonaise de Football
[21] 웹사이트 Gabon https://www.national[...]
[22] 웹사이트 Gabon, Djibouti suspended for Total CHAN 2020 http://www.cafonline[...] CAF 2017-11-15
[23] 일반
[24] 일반
[25] 일반
[26] 일반
[27]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