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앙골라에서 개최된 대회로,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겸하여 진행되었다. 48개국이 예선에 참가하여 15개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앙골라는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 이집트가 가나를 결승에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집트는 3회 연속이자 통산 7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대회는 4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토고 대표팀 공격 사건으로 인해 토고는 기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앙골라의 축구 - 앙골라 축구 국가대표팀
    앙골라 축구 국가대표팀은 앙골라를 대표하는 팀으로,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여 2무 1패를 기록하고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3번 8강에 진출했으며 COSAFA컵에서 3회 우승했다.
  • 2010년 앙골라 - 2010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 앙골라 선수단
    2010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에 앙골라는 육상, 농구, 핸드볼, 카누, 수영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하여 여자 핸드볼이 5위를 기록했으나, 다른 종목 선수들은 예선에서 탈락했다.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대회 명칭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대회 연도2010년
다른 명칭타사 데 아프리카 다스 나소에스 드 2010 (앙골라 포르투갈어)
공식 엠블럼
개최국앙골라
대회 기간1월 10일 ~ 1월 31일
참가 팀 수15개 팀
경기장 수4개
개최 도시 수4개
결과
우승 팀이집트
우승 횟수7회
준우승 팀가나
3위 팀나이지리아
4위 팀알제리
대회 통계
총 경기 수29경기
총 득점 수71골
총 관중 수543,500명
최다 득점자게도 (5골)
최우수 선수아흐메드 하산
최우수 골키퍼에삼 엘 하다리
이전/다음 대회
이전 대회2008년
다음 대회2012년

2. 예선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겸하여 진행되었다. 예선은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진행되었다. 개최국 앙골라를 포함한 48개국이 참가하여 15장의 본선 진출권을 놓고 경쟁했다.[5]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이 이 대회의 예선도 겸한다고 발표했다. 앙골라는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개최국임에도 불구하고,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에도 참가해야 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도 월드컵 개최국이었지만,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출전하기 위해 예선에 참가해야 했다.[5]

1, 2차 예선을 거쳐 최종적으로 15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1차 예선에서는 45개국이 12개 그룹으로 나뉘어 각 조 1위 팀 12개 팀과 1조부터 12조의 2위 팀 중 상위 8개 팀이 2라운드에 진출했다. 2라운드에 진출한 20개 팀은 5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각 조의 4위 팀들을 제외한 15개국이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출전권을 갖게 되었고, 동시에 조 1위팀 5개국은 월드컵 출전권도 갖게 된다.

2. 1. 본선 진출 확정 팀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팀은 다음과 같다.

국가본선 자격과거 본선 진출 횟수와 연도
개최국 자동 진출4회 (1996, 1998, 2006, 2008)
A조 1위15회 (1970, 1972,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A조 2위3회 (1994, 1996, 2000)
A조 3위6회 (1972, 1984, 1998, 2000, 2002, 2006)
B조 1위15회 (1963, 1976, 1978, 1980, 1982, 1984, 1988, 1990, 1992, 1994, 2000, 2002, 2004, 2006, 2008)
B조 2위13회 (1962, 1963, 1965, 1978, 198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B조 3위3회 (1986, 1996, 1998)
C조 1위13회 (196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2000, 2002, 2004)
C조 1위21회 (1957, 1959, 1962, 1963, 1970, 1974, 1976,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C조 3위13회 (1974, 1978, 1982, 1986,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D조 1위16회 (1963, 1965, 1968, 1970, 1978, 1980, 1982, 1984,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D조 2위2회 (2004, 2008)
D조 3위5회 (1972, 1994, 2002, 2004, 2008)
E조 1위17회 (1965, 1968, 1970, 1974,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E조 2위6회 (1978, 1996, 1998, 2000, 2002, 2004)
E조 3위1회 (1984)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에도 진출한 팀


  • 앙골라는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였다.
  • 알제리이집트는 최종 예선 C조에서 동률을 이루어 중립 지역인 수단에서 플레이오프를 치러 본선 진출팀을 가렸다.
  • 토고는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으나, 선수단이 카빈다에서 무장괴한의 총격 테러를 당해 기권하였다.[15]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진출국 지도


결과:
2010년 FIFA 월드컵과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진출에 성공한 팀들영어,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진출에 성공한 팀들영어,2010년 FIFA 월드컵과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진출에 실패한 팀들영어,기권하였거나 실격된 팀들영어

3. 개최국 선정

2006년 9월 4일,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은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으로 앙골라를 선정했다. 앙골라, 가봉/적도 기니(공동 개최), 리비아, 나이지리아가 유치 경쟁을 벌였다. CAF는 앙골라(2010년), 적도 기니/가봉(2012년), 리비아(2013년) 순으로 개최권을 배분했다.

앙골라 내전 이후 평화 정착을 장려하기 위해 앙골라가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나이지리아는 2010년,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예비 개최국으로 선정되었으나, 개최국이 CAF의 요구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한 조치였고 결국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2014년 대회는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으로 변경되어 홀수 해에 개최되도록 조정되었는데, 이는 FIFA 월드컵과 개최 연도가 겹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었다.

4. 경기장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4개의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루안다에서는 11월 11일 경기장에서 조별 리그 5경기, 8강전 1경기, 준결승전 1경기, 결승전 1경기가 열렸다. 카빈다의 시아지 국립 경기장에서는 조별 리그 1경기와 8강전 1경기가 열릴 예정이었으나,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의 기권으로 인해 총 4경기만 진행되었다. 벵겔라의 옴바카 국립 경기장에서는 조별 리그 5경기, 8강전 1경기, 준결승전 1경기, 3·4위전 1경기가 열렸다. 루방고의 툰다발라 국립 경기장에서는 조별 리그 1경기, 8강전 1경기가 열렸다.

도시경기장수용 인원
루안다11월 11일 경기장50,000명
카빈다시아지 국립 경기장20,000명
벵겔라옴바카 국립 경기장35,000명
루방고툰다발라 국립 경기장20,000명



루안다의 11월 11일 경기장


카빈다의 시아지 국립 경기장


벵겔라의 옴바카 국립 경기장


루방고의 툰다발라 국립 경기장

4. 1. 경기장 목록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4개의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루안다에서는 11월 11일 경기장에서 조별 리그 5경기, 8강전 1경기, 준결승전 1경기, 결승전 1경기가 열렸다. 카빈다의 시아지 국립 경기장에서는 조별 리그 1경기와 8강전 1경기가 열릴 예정이었으나,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의 기권으로 인해 총 4경기만 진행되었다. 벵겔라의 옴바카 국립 경기장에서는 조별 리그 5경기, 8강전 1경기, 준결승전 1경기, 3·4위전 1경기가 열렸다. 루방고의 툰다발라 국립 경기장에서는 조별 리그 1경기, 8강전 1경기가 열렸다.

도시경기장수용 인원
루안다11월 11일 경기장50,000명
카빈다시아지 국립 경기장20,000명
벵겔라옴바카 국립 경기장35,000명
루방고툰다발라 국립 경기장20,000명



5. 조 추첨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조 추첨은 2009년 11월 20일 앙골라 루안다의 탈라토나 컨벤션 센터에서 진행되었다. 16개 팀은 4개의 포트로 나뉘었으며, 포트 1에는 상위 4개 시드 국가가 배정되었다. 개최국인 앙골라와 전 대회 우승국인 이집트가 시드를 받았다. 나머지 14개 팀은 최근 3번의 대회 성적을 기준으로 순위가 매겨졌다. 카메룬코트디부아르가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하여 포트 1의 시드를 채웠다. 4개의 시드 팀은 최종 조 추첨 전에 각 조에 배치되었다.

시드 1시드 2시드 3시드 4


5. 1. 시드 배정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조 추첨은 2009년 11월 20일 앙골라 루안다의 탈라토나 컨벤션 센터에서 진행되었다. 16개 팀은 4개의 포트로 나뉘었으며, 포트 1에는 상위 4개 시드 국가가 배정되었다. 개최국인 앙골라와 전 대회 우승국인 이집트가 시드를 받았다. 나머지 14개 팀은 최근 3번의 대회 성적을 기준으로 순위가 매겨졌다. 카메룬코트디부아르가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하여 포트 1의 시드를 채웠다. 4개의 시드 팀은 최종 조 추첨 전에 각 조에 배치되었다.

시드 1시드 2시드 3시드 4


6. 선수 명단

각 팀은 23명의 선수 명단을 제출해야 했다.

7. 심판

주심부심



8. 조별 리그

조별 리그는 각 조 1, 2위 팀이 8강에 진출했다.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순서대로 순위를 결정했다.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골득실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옐로 카드 및 레드 카드 수를 고려한 페어 플레이 점수 시스템

# 조직 위원회에 의한 추첨.[6]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1) 기준이다.

;A조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A조에는 앙골라, 알제리, 말리, 말라위가 속했다. 앙골라와 알제리가 8강에 진출했다.

승점경기득실차
앙골라/Seleção Angolana de Futebolpt5312064+2
알제리/منتخب الجزائر لكرة القدمar4311113–2
말리/Équipe du Mali de football프랑스어4311176+1
말라위/National football team of Malawiny3310245–1



알제리와 말리는 승자승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으며, 1-0으로 승리한 알제리가 2위로 8강에 진출하였다.

2010년 1월 10일 앙골라와 말리의 첫 경기에서 앙골라는 아마두의 2골과 질베르투, 마누슈의 페널티킥 골로 4-0으로 앞서나갔다. 그러나 말리는 케이타가 2골, 카누테와 야타바레가 각각 1골을 넣어 4-4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0년 1월 11일에는 말라위가 음와풀리어와, 카포테카, 반다의 연속골로 알제리를 3-0으로 완파했다.

2010년 1월 14일에는 알제리가 할리체의 결승골로 말리를 1-0으로 꺾었고, 앙골라는 플라비오와 마누슈의 골로 말라위를 2-0으로 이겼다.

2010년 1월 18일 앙골라와 알제리는 0-0으로 비겼고, 말리는 카누테케이타, 바가요코의 득점으로 음와풀리어와가 한 골을 만회한 말라위를 3-1로 이겼다.

;B조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B조에는 코트디부아르, 가나, 부르키나파소, 토고가 속해 있었다.[16] 그러나 토고 대표팀이 카빈다에서 버스 총격 사건[13]으로 인해 기권하면서 3팀만이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16] 토고와의 경기는 모두 취소되었다.

승점경기득실차
코트디부아르4211031+2
가나3210123–1
부르키나파소1201101–1
토고기권



2010년 1월 11일에 열린 코트디부아르부르키나파소의 경기는 0 – 0 무승부로 끝났다. 1월 15일에는 코트디부아르가나를 3-1로 이겼다. 칼루, 티에네, 드로그바코트디부아르를 위해 득점했고, 기안이 가나의 골을 페널티킥으로 기록했다. 1월 19일 부르키나파소가나의 경기에서는 아유의 골로 가나가 1-0 승리를 거두었다.

코트디부아르가나가 8강에 진출했다.[16] 한편, 아프리카 축구 연맹토고에 대해 정부 개입으로 대회 출전을 포기했다는 이유로 징계를 내렸으나,[14] 스포츠 중재 재판소의 결정으로 징계는 취소되었다.

;C조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C조에는 이집트, 나이지리아, 베냉, 모잠비크가 속했다. 조별 리그는 2010년 1월 12일부터 1월 20일까지 진행되었다. 경기 결과, 이집트와 나이지리아가 8강에 진출했다.

승점경기득실차
이집트9330071+6
나이지리아6320153+2
베냉1301225–3
모잠비크1301227–5



1월 12일, 벵겔라의 벵겔라 음바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이집트는 나이지리아를 3-1로 꺾었다. 이집트는 전반 34분 모테압의 선제골, 후반 54분 하산의 추가골, 후반 87분 게도의 쐐기골로 승리했다. 나이지리아는 전반 12분 오바시가 한 골을 만회했다. 같은 날, 모잠비크와 베냉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모잠비크는 전반 29분 미루의 선제골과 후반 54분 푸무의 추가골로 앞서갔으나, 베냉은 전반 14분 오모토요시의 페널티킥 골과 전반 20분 칸의 자책골로 동점을 만들었다.

1월 16일, 나이지리아는 야쿠부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베냉을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이집트는 칸의 자책골과 게도의 추가골로 모잠비크를 2-0으로 이겼다.

1월 20일, 이집트는 알 무하마디와 모타브의 연속골로 베냉을 2-0으로 제압했다. 같은 날, 나이지리아는 오뎀윈지의 두 골과 마틴스의 한 골을 묶어 모잠비크를 3-0으로 완파했다.

;D조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D조에는 잠비아, 카메룬, 가봉, 튀니지가 속해 있었다. 잠비아와 카메룬이 8강에 진출했다.

승점경기득실차
잠비아43111550
카메룬43111550
가봉43111220
튀니지33030330



잠비아, 카메룬, 가봉은 승점이 같아 각 팀 간의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잠비아가 조 1위, 카메룬이 조 2위로 8강전에 진출했다.

승점경기득실차
잠비아32101440
카메룬32101330
가봉32101220



2010년 1월 13일 17:00(UTC+1)에 열린 카메룬과 가봉의 경기에서는 가봉이 쿠쟁의 득점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19:30(UTC+1)에 열린 잠비아와 튀니지의 경기는 J. 물렝가와 다우아디가 각각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2010년 1월 17일 17:00(UTC+1)에는 가봉과 튀니지가 득점 없이 비겼다. 19:30(UTC+1)에 열린 카메룬과 잠비아의 경기에서는 카메룬이 제레미, 에토, 이드라수의 득점으로 J. 물렝가와 C. 카통고가 득점한 잠비아를 3-2로 이겼다.

2010년 1월 21일 17:00(UTC+1)에는 가봉과 잠비아가 경기를 치렀는데, 잠비아가 칼라바와 차망가의 득점으로 F. 도 마르콜리노가 득점한 가봉을 2-1로 이겼다. 같은 시각 카메룬과 튀니지는 에토와 은게모가 득점하고, 튀니지는 체르미티와 체드주의 자책골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8. 1. A조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A조에는 앙골라, 알제리, 말리, 말라위가 속했다. 앙골라와 알제리가 8강에 진출했다.

승점경기득실차
앙골라/Seleção Angolana de Futebolpt5312064+2
알제리/منتخب الجزائر لكرة القدمar4311113–2
말리/Équipe du Mali de football프랑스어4311176+1
말라위/National football team of Malawiny3310245–1



알제리와 말리는 승자승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으며, 1-0으로 승리한 알제리가 2위로 8강에 진출하였다.

2010년 1월 10일 앙골라와 말리의 첫 경기에서 앙골라는 아마두의 2골과 질베르투, 마누슈의 페널티킥 골로 4-0으로 앞서나갔다. 그러나 말리는 케이타가 2골, 카누테와 야타바레가 각각 1골을 넣어 4-4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0년 1월 11일에는 말라위가 음와풀리어와, 카포테카, 반다의 연속골로 알제리를 3-0으로 완파했다.

2010년 1월 14일에는 알제리가 할리체의 결승골로 말리를 1-0으로 꺾었고, 앙골라는 플라비오와 마누슈의 골로 말라위를 2-0으로 이겼다.

2010년 1월 18일 앙골라와 알제리는 0-0으로 비겼고, 말리는 카누테케이타, 바가요코의 득점으로 음와풀리어와가 한 골을 만회한 말라위를 3-1로 이겼다.

8. 2. B조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B조에는 코트디부아르, 가나, 부르키나파소, 토고가 속해 있었다.[16] 그러나 토고 대표팀이 카빈다에서 버스 총격 사건[13]으로 인해 기권하면서 3팀만이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16] 토고와의 경기는 모두 취소되었다.

승점경기득실차
코트디부아르4211031+2
가나3210123–1
부르키나파소1201101–1
토고기권



2010년 1월 11일에 열린 코트디부아르부르키나파소의 경기는 0 – 0 무승부로 끝났다. 1월 15일에는 코트디부아르가나를 3-1로 이겼다. 칼루, 티에네, 드로그바코트디부아르를 위해 득점했고, 기안이 가나의 골을 페널티킥으로 기록했다. 1월 19일 부르키나파소가나의 경기에서는 아유의 골로 가나가 1-0 승리를 거두었다.

코트디부아르가나가 8강에 진출했다.[16] 한편, 아프리카 축구 연맹토고에 대해 정부 개입으로 대회 출전을 포기했다는 이유로 징계를 내렸으나,[14] 스포츠 중재 재판소의 결정으로 징계는 취소되었다.

8. 3. C조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C조에는 이집트, 나이지리아, 베냉, 모잠비크가 속했다. 조별 리그는 2010년 1월 12일부터 1월 20일까지 진행되었다. 경기 결과, 이집트와 나이지리아가 8강에 진출했다.

승점경기득실차
이집트9330071+6
나이지리아6320153+2
베냉1301225–3
모잠비크1301227–5



1월 12일, 벵겔라의 벵겔라 음바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이집트는 나이지리아를 3-1로 꺾었다. 이집트는 전반 34분 모테압의 선제골, 후반 54분 하산의 추가골, 후반 87분 게도의 쐐기골로 승리했다. 나이지리아는 전반 12분 오바시가 한 골을 만회했다. 같은 날, 모잠비크와 베냉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모잠비크는 전반 29분 미루의 선제골과 후반 54분 푸무의 추가골로 앞서갔으나, 베냉은 전반 14분 오모토요시의 페널티킥 골과 전반 20분 칸의 자책골로 동점을 만들었다.

1월 16일, 나이지리아는 야쿠부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베냉을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이집트는 칸의 자책골과 게도의 추가골로 모잠비크를 2-0으로 이겼다.

1월 20일, 이집트는 알 무하마디와 모타브의 연속골로 베냉을 2-0으로 제압했다. 같은 날, 나이지리아는 오뎀윈지의 두 골과 마틴스의 한 골을 묶어 모잠비크를 3-0으로 완파했다.

8. 4. D조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D조에는 잠비아, 카메룬, 가봉, 튀니지가 속해 있었다. 잠비아와 카메룬이 8강에 진출했다.

승점경기득실차
잠비아43111550
카메룬43111550
가봉43111220
튀니지33030330



잠비아, 카메룬, 가봉은 승점이 같아 각 팀 간의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잠비아가 조 1위, 카메룬이 조 2위로 8강전에 진출했다.

승점경기득실차
잠비아32101440
카메룬32101330
가봉32101220



2010년 1월 13일 17:00(UTC+1)에 열린 카메룬과 가봉의 경기에서는 가봉이 쿠쟁의 득점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19:30(UTC+1)에 열린 잠비아와 튀니지의 경기는 J. 물렝가와 다우아디가 각각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2010년 1월 17일 17:00(UTC+1)에는 가봉과 튀니지가 득점 없이 비겼다. 19:30(UTC+1)에 열린 카메룬과 잠비아의 경기에서는 카메룬이 제레미, 에토, 이드라수의 득점으로 J. 물렝가와 C. 카통고가 득점한 잠비아를 3-2로 이겼다.

2010년 1월 21일 17:00(UTC+1)에는 가봉과 잠비아가 경기를 치렀는데, 잠비아가 칼라바와 차망가의 득점으로 F. 도 마르콜리노가 득점한 가봉을 2-1로 이겼다. 같은 시각 카메룬과 튀니지는 에토와 은게모가 득점하고, 튀니지는 체르미티와 체드주의 자책골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9.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필요할 경우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사용하여 승자를 결정했다.

2010년 1월 24일 8강전 두 경기가 열렸다. 도스 코케이로스 경기장에서 열린 앙골라가나의 경기에서는 기안이 16분에 득점하여 가나가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시만델라 경기장에서 열린 코트디부아르알제리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알제리가 3-2로 승리했다. 코트디부아르는 칼루케이타가 득점했고, 알제리는 마트무르, 마지드, 부아자가 득점했다.

1월 25일에는 벵겔라 음바카 스타디움에서 이집트카메룬의 경기가 열려 연장전 끝에 이집트가 3-1로 승리했다. 이집트의 하산은 두 골을 넣었고, 게도가 한 골을 추가했다. 카메룬은 에마나가 득점했다. 같은 날 알토 다 셀라 경기장에서 잠비아나이지리아의 경기가 열렸고,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나이지리아가 5-4로 승리했다.

2010년 1월 28일 17시(현지 시각)에 루안다의 에스타디우 도스 코케이로스에서 열린 가나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 가나가 아사모아 기안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20시 30분, 벵겔라의 벤글라 음바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알제리이집트의 경기에서는 이집트가 호스니 아브드 라보, 모하메드 지단, 모하메드 압델 샤피, 모하메드 나기의 연속골로 4-0 대승을 거두었다.

2010년 1월 30일 17:00 (현지 시각), 벵겔라의 에스타디우 나시오날 데 옴바카에서 열린 3·4위전에서 나이지리아알제리를 1-0으로 꺾었다. 오빈나가 후반 56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 이날 경기는 12,000명의 관중이 지켜보았으며, 주심은 바다라 디아타 (세네갈)이 맡았다.

2010년 1월 31일 17:00 (현지 시각)에 루안다의 도스 코케이로스 경기장에서 열린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승전에서 이집트가 게도의 결승골에 힘입어 가나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는 50,000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주심은 말리 출신의 코망 쿨리발리가 맡았다.

이집트는 후반 40분, 교체 투입된 게도가 결승골을 기록하며 승리했다. 가나의 아게망 오포쿠는 전반 47분에 경고를 받았다. 이집트의 아흐메드 엘 모하마디는 후반 7분, 사이드 모아와드는 후반 3분, 호삼 갈리는 후반 15분에 각각 경고를 받았다.

양 팀의 선수 교체로는 가나는 후반 42분 아사모아 얀이 도미니크 아디아와, 후반 44분 아게망 오포쿠가 에릭 아드와 교체되었다. 이집트는 후반 12분 사이드 모아와드가 모하메드 아브델 샤피와, 후반 25분 에마드 메타에브가 게도와, 후반 44분 아흐메드 파티가 모아타셈 살렘과 교체되었다.

9. 1. 8강전

2010년 1월 24일 8강전 두 경기가 열렸다. 도스 코케이로스 경기장에서 열린 앙골라가나의 경기에서는 기안이 16분에 득점하여 가나가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시만델라 경기장에서 열린 코트디부아르알제리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알제리가 3-2로 승리했다. 코트디부아르는 칼루케이타가 득점했고, 알제리는 마트무르, 마지드, 부아자가 득점했다.

1월 25일에는 벵겔라 음바카 스타디움에서 이집트카메룬의 경기가 열려 연장전 끝에 이집트가 3-1로 승리했다. 이집트의 하산은 두 골을 넣었고, 게도가 한 골을 추가했다. 카메룬은 에마나가 득점했다. 같은 날 알토 다 셀라 경기장에서 잠비아나이지리아의 경기가 열렸고,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나이지리아가 5-4로 승리했다.

9. 2. 준결승전

2010년 1월 28일 17시(현지 시각)에 루안다의 에스타디우 도스 코케이로스에서 열린 가나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 가나가 아사모아 기안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20시 30분, 벵겔라의 벤글라 음바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알제리이집트의 경기에서는 이집트가 호스니 아브드 라보, 모하메드 지단, 모하메드 압델 샤피, 모하메드 나기의 연속골로 4-0 대승을 거두었다.

9. 3. 3·4위전

2010년 1월 30일 17:00 (현지 시각), 벵겔라의 에스타디우 나시오날 데 옴바카에서 열린 3·4위전에서 나이지리아알제리를 1-0으로 꺾었다. 오빈나가 후반 56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 이날 경기는 12,000명의 관중이 지켜보았으며, 주심은 바다라 디아타 (세네갈)이 맡았다.

9. 4. 결승전

2010년 1월 31일 17:00 (현지 시각)에 루안다의 도스 코케이로스 경기장에서 열린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승전에서 이집트가 게도의 결승골에 힘입어 가나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는 50,000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주심은 말리 출신의 코망 쿨리발리가 맡았다.

이집트는 후반 40분, 교체 투입된 게도가 결승골을 기록하며 승리했다. 가나의 아게망 오포쿠는 전반 47분에 경고를 받았다. 이집트의 아흐메드 엘 모하마디는 후반 7분, 사이드 모아와드는 후반 3분, 호삼 갈리는 후반 15분에 각각 경고를 받았다.

양 팀의 선수 교체로는 가나는 후반 42분 아사모아 얀이 도미니크 아디아와, 후반 44분 아게망 오포쿠가 에릭 아드와 교체되었다. 이집트는 후반 12분 사이드 모아와드가 모하메드 아브델 샤피와, 후반 25분 에마드 메타에브가 게도와, 후반 44분 아흐메드 파티가 모아타셈 살렘과 교체되었다.

10. 우승

이집트
7번째 우승



이집트는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3회 연속이자 통산 7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1. 최종 순위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9]

순위경기수득실차승점
1이집트6600152+1318
2가나53024406
3나이지리아631264+210
4알제리621359-47
5앙골라412165+15
6잠비아41215505
7코트디부아르311154+14
8카메룬411268-34
9말리311176+14
10가봉31112204
11튀니지30303303
12말라위310245-13
13부르키나파소201101-11
14베냉301225-31
15모잠비크301227-51

12. 수상

'''5골'''



'''3골'''

'''2골'''

'''1골'''

'''자책골'''

수상자비고
최우수 선수22x20px 아흐메드 하산우승
득점왕22x20px 게도5득점
최우수 골키퍼22x20px 에삼 엘하다리
신인왕22x20px 게도
페어 플레이 선수상22x20px 아흐메드 파티



== 베스트 XI ==

다음 선수들은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토너먼트 전체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각 포지션별 최고 선수로 선정되었다. 이들의 활약은 토너먼트 기술 연구 그룹(TSG)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이들이 팀을 선정했다.[8]

골키퍼수비수미드필더공격수
align=left valign=top|align=left valign=top|align=left valign=top|align=left valign=top|



'''교체 선수'''

12. 1. 베스트 XI

다음 선수들은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토너먼트 전체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각 포지션별 최고 선수로 선정되었다. 이들의 활약은 토너먼트 기술 연구 그룹(TSG)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이들이 팀을 선정했다.[8]

골키퍼수비수미드필더공격수
align=left valign=top|align=left valign=top|align=left valign=top|align=left valign=top|



;교체 선수

13. 팀 득점 기록

이집트가 15골로 최다 득점팀에 올랐다. 말리가 7골, 앙골라, 카메룬, 나이지리아가 각각 6골을 기록했다. 무장 괴한의 총기 난사 사건으로 기권한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의 B조에 포함된 코트디부아르와 잠비아가 5골을 기록하였다.

14. 기타 통계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총 득점은 71골이며, 경기당 평균 득점은 2.45골이다. 조별 리그에서 한 팀의 최다 득점은 7골로 이집트말리가 기록했다. 한 팀의 최다 실점은 10골로 알제리가 기록했고, 조별 리그에서 한 팀의 최다 실점은 7골로 모잠비크가 기록했다. 조별 리그에서 한 팀의 최소 실점은 1골로 이집트,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가 기록했다. 2라운드로 진출한 팀의 최소 실점은 2골로 이집트가 기록했다.

경기 최단 시간 골은 프레데리크 카누테 (말리 소속)가 말라위를 상대로 기록한 36초이다. 경기 최장 시간 골은 아흐메드 하산 (이집트 소속)이 카메룬을 상대로 기록한 104분이다. 한 경기 최다 득점은 앙골라말리의 경기로 8골(4-4)이 나왔다. 한 경기 최소 득점은 0골로, 코트디부아르부르키나파소, 앙골라알제리, 가봉튀니지, 잠비아나이지리아 경기에서 나왔다. 패배 팀의 최다 득점은 2골로, 잠비아 (카메룬 상대), 코트디부아르 (알제리 상대)가 기록했다. 무승부 경기 최다 득점은 8골로 앙골라말리의 경기(4-4)에서 나왔다. 승리 팀의 최다 득점은 4골로, 이집트 (알제리 상대, 4-0)가 기록했다.

15. 토고 대표팀 공격 사건

2010년 1월 8일,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토너먼트 참가를 위해 이동하던 중 앙골라의 카빈다 주에서 무장 괴한의 공격을 받았다.[10] 토고 축구 연맹 대변인은 아멜레테 아발로 코치와 언론 담당관 스타니슬라드 오클루, 그리고 운전기사가 사망했다고 밝혔다.[10] 분리주의 단체 카빈다 분리 해방 전선 - 군사 지위 (FLEC-PM)는 이 공격에 대한 책임을 주장했다.[10]

토고 대표팀은 사건 이후 대회 참가를 포기했다.[10] 선수들은 처음에는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경기에 출전하기로 결정했지만, 토고 정부의 명령에 따라 귀국했다.[10] 토고는 앙골라에서 철수한 후 1월 11일 가나와의 B조 첫 경기를 치르지 못해 토너먼트에서 공식적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2010년 1월 30일,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은 "토너먼트 기권에 대한 정부 개입"을 이유로 토고의 다음 두 번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대회 참가를 금지하고 팀에 5만 미국 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11][14] 토고는 2015년 대회까지 출전할 수 없었지만, 그 금지 조치는 2010년 5월 14일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의 판결로 해제되었다.[12]

참조

[1] 뉴스 Angola to host 2010 Nations Cup http://news.bbc.co.u[...] BBC Sport 2006-09-04
[2] 뉴스 Camino a la Copa Africana de Naciones Angola 2010 http://arogeraldes.c[...] Fox Sport 2009-02-20
[3] 뉴스 Ghana 0–1 Egypt http://news.bbc.co.u[...] BBC Sport 2010-01-31
[4] 뉴스 Africa Cup of Nations Cup to move to odd-numbered years http://news.bbc.co.u[...] BBC Sport 2010-05-16
[5] 뉴스 Angola 2010 – Fixture, stadiums and list of champions http://arogeraldes.b[...]
[6] 웹사이트 Regulations of the Orange Africa Cup of Nations Angola 2010, art. 72, p. 29 http://www.can-angol[...] 2010-01-09
[7] 뉴스 Orange CAN 2010 awards http://www.cafonlin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0-01-31
[8] 뉴스 CAF Releases top 11 of Orange CAN http://www.cafonlin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0-01-31
[9] 웹사이트 AFC Competition Operations Manual (Edition 2023) https://assets.the-a[...]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24-01-25
[10] 뉴스 Togo head home as Africa Cup of Nations gets under way http://news.bbc.co.u[...] BBC Sport 2010-01-10
[11] 뉴스 Togo handed two-tournament Nations Cup suspension http://soccernet.esp[...] 2010-01-30
[12] 웹사이트 Togo's African Cup ban is lifted http://news.bbc.co.u[...] BBC 2010-05-14
[13] 웹사이트 Togo officially disqualified from Africa Cup of Nations http://news.bbc.co.u[...] 英国放送協会 2010-01-11
[14] 웹사이트 Togo handed two-tournament Nations Cup suspension http://soccernet.esp[...] ESPN 2010-01-30
[15] 뉴스 토고축구팀 3명 숨져…남아공 “불똥 튈라” http://sports.news.n[...]
[16] 뉴스 토고 “안전이 우선”…네이션스컵 출전 포기 http://isplus.joins.[...] 일간스포츠 2010-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