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르트랑 모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트랑 모형은 동종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가격 경쟁을 벌이는 시장 상황을 묘사하는 경제 모형이다. 이 모형은 기업들이 다른 기업의 가격을 알고, 소비자가 가장 낮은 가격의 제품을 구매하며, 생산 능력에 제약이 없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동질적 재화의 경우, 기업들은 가격을 한계비용 수준까지 낮추어 이윤을 0으로 만들고, 이는 내쉬 균형을 이룬다. 차별화된 재화의 경우, 각 기업은 자신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가격을 설정하며, 최적 반응 함수를 통해 내쉬 균형을 찾는다. 생산 능력 제약이 있는 경우, 쿠르노 모형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며, 베르트랑 모형은 비현실적인 가정과 용량 제약, 담합의 가능성 등의 비판을 받는다. 비대칭적 한계비용, 네트워크 효과, 쿠르노 모형과의 비교 등 다양한 변형과 확장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앙투안 오귀스탱 쿠르노의 모델에 대한 조제프 베르트랑의 서평을 통해 공식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점 - 슈타켈베르크 모형
    슈타켈베르크 모형은 선도 기업이 먼저 생산량이나 가격을 결정하고 후발 기업이 이에 대응하여 균형을 이루는, 하인리히 폰 슈타켈베르크가 제시한 과점 시장 분석 모형이다.
  • 과점 - 쿠르노 모형
    쿠르노 모형은 과점 시장에서 각 기업이 경쟁 기업의 생산량을 고려해 자신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을 결정하는 경제 모델로, 내쉬 균형 상태로 귀결되며 미시경제학과 산업 조직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경쟁 (경제학) - 완전 경쟁
    완전 경쟁은 다수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존재하고 개별 참여자가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제품의 동질성, 자유로운 진입과 퇴거, 완전한 정보 공유 등의 특징을 갖는 시장 형태이다.
  • 경쟁 (경제학) - 경쟁 우위
    경쟁 우위는 기업이 경쟁사보다 뛰어난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능력으로, 원가 우위나 제품 차별화 우위를 통해 확보되며, 기업 아이덴티티, 핵심 역량, 외부 환경 변화, 그리고 공정한 경쟁 환경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 불완전 경쟁 - 과점
    과점은 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는 시장 구조로, 높은 진입 장벽, 상호 의존성, 비가격 경쟁 등의 특징을 보이며, 경쟁법과 반경쟁적 행위 규제를 받는다.
  • 불완전 경쟁 - 진입 장벽
    진입 장벽은 신규 기업이 특정 산업이나 시장에 진입할 때 겪는 어려움으로, 규모의 경제, 네트워크 효과, 자본 요건, 기존 업체의 우위, 유통 채널 접근성, 정부 규제 등이 주요 원인이며 시장 구조와 한국 시장의 특성으로 인해 그 강도가 달라진다.
베르트랑 모형
개요
유형경제 모델
분야산업 조직론
경쟁 유형가격 경쟁
모형
가정기업은 동질적인 제품을 생산한다.
기업은 동시에 가격을 결정한다.
소비자는 가장 낮은 가격의 제품을 구매한다.
핵심 내용기업은 한계 비용으로 가격을 설정하여 내쉬 균형을 달성한다.
특징
장점가격 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완전 경쟁 시장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한다.
단점제품의 동질성 가정은 현실과 거리가 멀다.
기업의 생산 능력 제약을 고려하지 않는다.
비판
제품 차별화현실에서는 제품 차별화가 일반적이므로, 베르트랑 모형의 적용에 한계가 있다.
생산 능력 제약기업의 생산 능력 제약이 있는 경우, 베르트랑 모형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관련 개념
쿠르노 경쟁기업이 생산량을 경쟁 변수로 사용하는 모형
슈타켈베르크 경쟁선도 기업과 추종 기업 간의 비대칭적인 경쟁 모형
에지워스 모형생산 능력 제약이 있는 복점 시장 모형

2. 베르트랑 경쟁 모형의 가정

베르트랑 경쟁 모형은 다음과 같은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 시장에 동질적인 상품(똑같은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최소한 둘 이상 있다.[4]
  • 기업들은 서로 협력하지 않는다.[33]
  • 기업들은 동시에 가격을 결정하며, 소비자들은 가격 정보를 모두 알고 있어 가장 싼 제품을 구매한다.[34]
  • 모든 기업은 동일한 한계비용을 가진다. 즉, c_1=c_2=...=c이다.[35]
  • 기업들은 생산능력에 제한이 없다. 즉, 시장 수요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31]


또한, 시장 경쟁의 수요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가정이 추가된다.

  •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한 기업이 시장 수요 전체를 차지한다.[31]
  • 만약 여러 기업이 동일한 가격을 제시하면, 이 기업들은 시장 수요를 똑같이 나눈다.(\frac{Q}{n})[36]

3. 동질적 재화의 베르트랑 경쟁

베르트랑 모형은 동질적인 재화를 생산하는 둘 이상의 기업이 가격 경쟁을 하는 상황을 분석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시장에 동질적인 제품을 제공하는 기업이 둘 이상 존재한다.
  • 기업들은 서로 협력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가격 경쟁을 한다.
  • 소비자들은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기업으로부터 제품을 구매한다. 만약 기업들이 같은 가격을 제시하면, 소비자들은 무작위로 기업을 선택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각 기업은 상대 기업보다 조금이라도 낮은 가격을 제시하여 시장 전체를 차지하려는 유인을 갖게 된다. 이러한 경쟁으로 인해, 결국 두 기업 모두 한계비용 수준까지 가격을 낮추게 된다.[8]

베르트랑 모형에서 경쟁 가격은 내쉬균형으로 작용한다. 두 기업 모두 한계비용으로 가격을 설정하면 이윤을 얻지 못한다. 한 기업이 가격을 한계비용으로 맞추고 다른 기업이 가격을 단위비용보다 높게 책정하면, 소비자들은 경쟁 가격의 제품을 선택하기 때문에 후자는 아무것도 얻지 못한다. 다른 어떤 가격 시나리오도 균형에 도달하지 못한다. 단위비용보다 높은 동일한 가격을 설정하면, 각 회사는 전체 시장을 장악하고 이윤을 크게 높이기 위해 서로의 가격을 깎으려는 불안정한 유인이 생긴다. 이러한 균형의 부재는 소비자가 동일한 선호도로 인해 저렴한 제품을 선호하는 대체재 시장에서 기업들이 경쟁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업들이 서로 다른 가격을 설정하는 경우에도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고가의 기업은 아무것도 얻지 못하고 경쟁사의 가격을 깎기 위해 가격을 낮추게 된다. 따라서 베르트랑 모형에서 유일한 균형은 두 회사 모두 경쟁 가격으로 알려진 단위비용과 같은 가격을 설정할 때 나타난다.[8]

베르트랑 균형은 '약한' 내쉬 균형이라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기업들은 경쟁 가격에서 벗어나도 아무것도 잃지 않는다. 다른 기업이 경쟁 가격을 설정하고 그 가격으로 모든 수요를 충족할 의향이 있는 경우, 각 기업은 0보다 많은 이윤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단순히 균형 상태인 것이다.

기업 2의 가격이 주어졌을 때 기업 1의 최적 반응 함수


베르트랑 모형의 최적 반응 함수와 내쉬 균형


베르트랑 모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34]

  • 참여자: 일정한 한계비용 c를 가진 두 개의 기업 i=1, 2 (c₁=c₂).
  • 전략 변수: 각 기업은 가격 수준(pᵢ=p₁)을 선택한다.
  • 시간: 동시 이동 게임.
  • 기업의 보상: 이윤.
  • 정보: 완전 정보.


기업 i의 개별 수요 함수는 각 기업이 설정한 가격의 함수이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26]

D(p_i,p_j) = \begin{cases} D(p_i), & \text{if }p_i

이때 시장 수요는 연속적이지만, 기업의 수요는 불연속적이다. 이는 기업의 이윤 함수도 불연속적임을 의미한다.[34] 기업 i는 pⱼ를 주어진 것으로 보고 이윤을 극대화하려고 한다.[37]

\pi_i=(p_i-c)D(p_i)

기업 i의 최적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pₘ을 총 산업 이윤을 극대화하는 독점 가격이라고 하자. 여기서 p_m=argmax_p(p-c)D(p)이다. 경쟁 기업이 가격을 pₘ으로 설정한 경우, 기업 i는 가장 작은 통화 단위 ε만큼 가격을 낮춰 전체 시장 수요 D(p)를 확보할 수 있다.[37] 따라서 기업 i의 최적 반응은 다음과 같다.[34]

R_i(p_j) = \begin{cases} p_m, & \text{if }p_j \geq p_m \\ p_j-\epsilon, & \text{if }c

결과적으로, 두 기업 모두 한계비용과 같은 가격을 설정하고 0의 이윤을 얻는 상태가 베르트랑 모형의 유일한 균형이 된다. 이는 기업들이 완전대체재인 동질적인 재화를 생산하기 때문이다.[26]

이처럼 베르트랑 모형에서의 가격 경쟁은 완전 경쟁에서의 균형과 유사한 결과를 초래한다.[38] 이를 베르트랑의 역설이라고 부른다. 현실에서는 기업들이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가격을 결정하기 때문에 베르트랑 모형의 예측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34]

4. 차별화된 재화의 베르트랑 경쟁

차별화된 재화의 베르트랑 모형의 최적반응함수


소비자는 최저가 기업에서 구매한다고 가정하지만, 제품 차별화, 운송비, 상품 검색 비용 등이 존재하는 경우 이 가정은 성립하지 않는다. 동질재의 베르트랑 모형을 차별화재의 모형으로 확장한 경우, 가격이 한계비용과 같아진다는 결과는 얻을 수 없다. 검색 비용이 존재하는 경우, 독점 가격이나 가격 분산이 균형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생긴다.[29]

4. 1. 최적반응함수와 내쉬 균형

두 기업이 가격을 결정하는 베르트랑 모형에서 각 기업은 상대 기업의 가격 결정을 고려하여 자신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가격을 설정한다. 이를 위해 각 기업은 상대 기업의 가격에 대한 자신의 최적 가격, 즉 최적반응함수를 도출한다.

두 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은 다음과 같다.

:q_{1}=\alpha_{1}-\beta_{1}p_{1}+\gamma_{1}p_{2} \qquad \text{where }\beta_{1}>\gamma_{1}

:q_{2}=\alpha_{2}-\beta_{2}p_{2}+\gamma_{2}p_{1} \qquad \text{where }\beta_{2}>\gamma_{2}

여기서 p_{1}, p_{2}는 각 기업의 가격, q_{1}, q_{2}는 각 기업의 수요량이다.

두 기업의 고정비용은 0이고, 한계비용은 각각 c_{1}, c_{2}일 때, 이윤함수는 다음과 같다.

:\pi_{1}=(p_{1}-c_{1})q_{1}

:\pi_{2}=(p_{2}-c_{2})q_{2}

각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은 다음과 같다.

:\frac{\partial \pi_{1}}{\partial p_{1}}=\alpha_{1}-2\beta_{1}p_{1}+\gamma_{1}p_{2}+\beta_{1}c_{1}=0

:\frac{\partial \pi_{2}}{\partial p_{2}}=\alpha_{2}-2\beta_{2}p_{2}+\gamma_{2}p_{1}+\beta_{2}c_{2}=0

위 조건에서 각 기업의 최적반응함수를 도출할 수 있다.

:p_{1}=\frac{\alpha_{1}+\beta_{1}c_{1}}{2\beta_{1}}+\frac{\gamma_{1}}{2\beta_{1}}p_{2}

:p_{2}=\frac{\alpha_{2}+\beta_{2}c_{2}}{2\beta_{2}}+\frac{\gamma_{2}}{2\beta_{2}}p_{1}

이 두 최적반응함수가 만나는 점이 차별화된 재화의 베르트랑 경쟁에서의 내쉬 균형이 된다.

동질재의 베르트랑 모형에서 내쉬 균형은 두 기업의 최적 반응 함수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며, 이때 두 기업은 모두 한계비용과 같은 가격을 설정하고 영(0)의 경제적 이윤을 얻는다.[34]

이는 기업들이 완전대체재인 동질적인 재화를 생산하기 때문에, 한 기업이 가격을 조금이라도 낮추면 모든 수요를 가져갈 수 있기 때문이다.[26] 만약 한 기업이 한계비용보다 낮은 가격을 책정하면, 다른 기업은 손실을 피하기 위해 한계비용으로 가격을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38]

베르트랑 균형은 '약한' 내쉬 균형으로, 기업들은 경쟁 가격에서 벗어나도 이윤이 줄어들지 않는다(어차피 이윤은 0이다).[26]

5. 생산능력 제약 하의 베르트랑 경쟁

생산능력이 제약된 상태에서 과점 기업이 가격 경쟁을 하는 경우에는 쿠르노 모형이 제시하는 결과와 같아지게 된다.[39] 생산능력을 쉽게 바꿀 수 없는 산업에서는 기업이 가격 경쟁을 하더라도 쿠르노 모형을 통해 시장의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는 함의를 갖는다.[40]

이 모델에서는 기업이 무한히 생산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기업이 단독으로 시장 전체에 공급할 능력이 없는 경우, “가격이 한계비용과 같다”는 결과는 성립하지 않는다. 생산능력에 제약이 있는 베르트랑 모델은 베르트랑-에지워스 모델이라고 불린다. 생산능력에 제약이 있는 경우, 순수 전략의 내쉬 균형은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은 에지워스의 역설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Huw Dixon이 제시한 것처럼 혼합 전략의 내쉬 균형이 존재한다.[30]

6. 베르트랑 경쟁 모형에 대한 비판

베르트랑 모형은 몇 가지 매우 극단적인 가정에 기반한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가장 저렴한 가격의 기업에서 구매하려고 한다고 가정한다. 많은 시장에서 이것이 성립하지 않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 비가격 경쟁과 제품 차별화, 운송 및 탐색 비용이 그 예이다. 예를 들어, 누군가 채소 가격을 1% 절약하기 위해 두 배의 거리를 이동할까? 베르트랑 모형은 제품 또는 위치 차별화를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지만, 가격이 한계비용으로 떨어진다는 주요 결과는 더 이상 유지되지 않는다. 탐색 비용이 있는 경우, 경쟁 가격 이외의 다른 균형, 즉 독점 가격 또는 심지어 가격 분산이 고전적인 "거래와 바가지" 모델과 같이 균형일 수 있다.[11]

이 모형은 또한 용량 제약을 무시한다. 단일 기업이 전체 시장에 공급할 용량이 없는 경우 "가격은 한계비용과 같다"는 결과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대한 분석은 프랜시스 이시드로 에지워스에 의해 시작되었고 베르트랑-에지워스 모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용량 제약이 있는 경우, 소위 에지워스 역설이라고 하는 순수 전략 내쉬 균형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휴 딕슨이 보여준 것처럼 일반적으로 혼합 전략 내쉬 균형이 존재할 것이다.[12]

또한, 일부 경제학자들은 기업이 고정비용 F을 가지고 있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계비용 c이 일정한 상황에서 비현실적인 결과로 이어진다고 비판했다. 따라서 Q 단위를 생산하는 총비용 TCTC = F + cQ이다. 고전적인 모형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가격은 결국 기업이 경제적 이윤이 0이고 한계 미만 단위에 대한 마진을 얻지 못하는 한계비용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기업은 고정비용을 회수할 수 없다. 그러나 기업이 상향 경사의 한계비용 곡선을 가지고 있다면, 한계 미만 판매에 대한 한계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고정비용 회수에 기여한다.[10]

베르트랑 모형에서는 협력할 큰 유인이 있다. 담합하여 독점 가격 p_m을 부과하고 시장을 n (시장의 기업 수)으로 동등하게 분배하는 것이다.\frac{p_m}{n}[13] 그러나 담합하지 않고 한계비용을 부과하는 것이 비협조적 결과이며 이 모형의 유일한 내쉬 균형이다.[10] 따라서 동시 이동 게임에서 무한 지평선을 가진 반복 게임으로 이동하면, 민속 정리 때문에 담합이 가능해진다.[14]

7. 베르트랑 경쟁과 쿠르노 경쟁의 비교

쿠르노 모형은 각 기업이 설정한 생산량으로 시장 전체의 공급량이 결정되고, 시장 가격이 결정되는 모형이다. 반면, 베르트랑 모형은 최저가를 제시한 기업이 시장의 수요 전체를 확보한다고 가정한다.[23]

베르트랑 모형으로 기술되는 시장은 쿠르노 모형으로 기술되는 시장보다 경쟁의 정도가 더 치열하다. 쿠르노 모형에서는 한 기업의 생산량 증가가 다른 기업의 생산량 감소를 가져오기 때문에, 경쟁의 정도가 베르트랑 모형만큼 치열하지 않다(기업이 생산량에서 Strategic substitutes|전략적 대체 관계영어에 있다고 표현한다). 반면, 베르트랑 모형에서는 기업이 경쟁 기업의 가격보다 낮은 가격을 설정함으로써 이윤을 늘리려 하기 때문에 경쟁의 정도가 더 치열해진다(기업이 가격에서 Strategic complements|전략적 보완 관계영어에 있다고 표현한다).[27]

쿠르노 모형은 기업이 사전에 생산량을 결정하고 그 생산량을 판매하는 데 전념하는 시장에 적용할 수 있다.[28] 베르트랑 모형은 생산량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고, 기업이 설정한 가격 하에서 발생하는 시장 수요를 충족할 만큼만 생산하는 시장에 적용할 수 있다.[24]

두 모형 모두 다른 모형보다 "우수하다"고 할 수 없다. 각 모형의 예측 정확도는 각 모형이 업계 상황에 얼마나 근접하는지에 따라 업계마다 다르다.

쿠르노와 베르트랑의 요소를 모두 통합한 2단계 모형을 생각할 수도 있다. 거기에서는 기업이 1단계에서 생산량을 결정하고, 2단계에서 가격을 결정한다.

8. 비대칭적 한계비용 하의 베르트랑 경쟁

베르트랑 경쟁에서는 각 기업이 동일한 재화를 동일한 비용으로 생산한다는 가정을 하지만, 임대 비용이나 규모의 경제 등 여러 요인으로 기업 간 비용이 다를 수 있어 현실과는 다르다. 따라서 비대칭적 한계비용을 갖는 베르트랑 경쟁의 결과를 분석하려는 연구가 있었다. J. Boone 외(2012)의 “비대칭적 비용을 가진 베르트랑 경쟁: 실험적 증거”에 따르면, 비용의 비대칭성 수준과 기업이 설정하는 가격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7] 즉, 기업들은 가격 설정에 대한 인센티브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토마스 드뮤잉크(Thomas Demuynck) 등(2019)은 비대칭적 비용을 가진 베르트랑 경쟁에서 순수 전략의 해법을 찾는 연구를 수행했다.[18] 하(Ha)는 정규형 게임에 대한 근시안적 안정 집합(MSS, Myopic Stable Set)을 정의했다. 두 기업이 있다고 가정하고, 한계비용을 '''C''', 기업 1의 한계비용을 '''C1''', 기업 2의 한계비용을 '''C2'''로 표기한다. 결과적으로 두 가지 경우가 있다.

C1 < C2일 때, 기업 1은 C1과 C2 사이의 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 '''C1 = C2 = C'''


이는 두 기업 모두 동일한 한계비용을 갖는 기본적인 베르트랑 경쟁의 경우이다. 그림에서 MSS는 두 기업 모두 가격을 설정할 단 하나의 유일한 점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내시균형의 순수 전략이다.

  • '''C1 < C2'''


이는 기업 2의 한계비용이 기업 1의 한계비용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기업 2는 자사의 한계비용과 같은 가격만 설정할 수 있다. 반면, 기업 1은 자사의 한계비용과 기업 2의 한계비용 사이에서 가격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 1이 가격을 설정할 수 있는 많은 점들이 존재한다.

표준 베르트랑 경쟁 모형과 달리 비대칭적 비용 하에서는 기업이 한계비용과 같은 가격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상황에 따라, 한계비용이 낮은 기업은 자사의 한계비용과 다른 기업의 한계비용 사이의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가격을 선택할 수 있다. 어떤 가격을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절대적인 답은 없으며, 현재 시장 상황과 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Subhasish Dugar 등(2009)은 비용 비대칭의 크기와 베르트랑 경쟁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19] 비용 비대칭이 작을 때는 경쟁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비용 비대칭의 크기가 클 경우, 저비용 기업이 가격을 낮추고 큰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것이다.

9. 네트워크 효과와 베르트랑 경쟁

표준 베르트랑 경쟁은 모든 소비자가 가격이 더 낮은 기업의 제품을 선택하고, 기업은 한계비용에 따라 가격만 설정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이 이론은 네트워크 효과를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완벽하게 정확하지 않다. 소비자는 다른 소비자의 사용 수에 따라 제품을 구매한다. 운동화를 구매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나이키와 아디다스(Adidas)를 선호하는 것처럼 매우 합리적이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거대한 브랜드이며 강력한 고객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Christian과 Irina (2008)는 시장에 네트워크 효과가 있는 경우 다른 결과를 발견했다.[20] 기업은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고 기업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가격을 설정하는 것을 선호할 것이다. Masaki (2018)는 또한 기업이 공격적인 가격 설정을 통해 더 큰 고객 기반을 확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21] 이는 긍정적인 순환 피드백을 만든다. 기업은 단순히 무작정 가격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고객 네트워크를 확보하려고 한다.

10. 역사

1883년에 조제프 베르트랑이 앙투안 오귀스탱 쿠르노의 저서 《Recherches sur les Principes Mathématiques de la Théorie des Richesses》에 대한 서평에서 베르트랑 모형을 공식화했다.[24] 쿠르노 경쟁 모델은 각 기업이 경쟁사의 가격을 고정된 것으로 보고 자사의 생산량을 선택하는 모델이지만, 균형 상태에서 기업이 한계비용을 초과하는 가격 설정을 한다는 결과가 나온다.[23] 베르트랑은 각 기업의 가격이 한계비용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쟁사의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변경하려는 유인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1889년에 프랜시스 이시도어 에지워스가 이 아이디어를 수학 모델로 기술하였다.[25] 현실적으로 베르트랑 경쟁은 불황기의 과잉 생산 능력이 있는 경우에 성립하기 쉽다고 여겨진다.[22]

참조

[1] 논문 Book review of theorie mathematique de la richesse sociale and of recherches sur les principles mathematiques de la theorie des richesses
[2] 논문 Bertrand versus Cournot Revisited https://www.jstor.or[...]
[3] 논문 The pure theory of monopoly Macmillan
[4] 논문 On the Existence of Pure Strategy Bertrand Equilibrium https://www.jstor.or[...]
[5] 논문 Oligopoly Games and the Cournot–Bertrand Model: A Survey https://onlinelibrar[...]
[6] 논문 Bertrand vs. Cournot competition in distribution channels with upstream collusion https://www.scienced[...] 2018-10-01
[7] 서적 Frontiers of Dynamic Games https://link.springe[...]
[8] 서적 Game Theoretic Problems in Network Economics and Mechanism Design Solu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9] 논문 On the Existence of Pure Strategy Bertrand Equilibrium https://www.jstor.or[...]
[10] 서적 The Palgrave Encyclopedia of Strategic Management
[11] 논문 Bargains and Ripoffs: A Model of Monopolistically Competitive Price Dispersion
[12] 논문 The existence of mixed-strategy equilibria in a price-setting oligopoly with convex costs
[13] 논문 Cartel Enforcement with Uncertainty about Costs https://www.jstor.or[...]
[14] 논문 The Folk Theorem in Repeated Games with Discounting or with Incomplete Information https://www.jstor.or[...]
[15] 논문 Endogenous Horizontal Product Differentiation under Bertrand and Cournot Competition: Revisiting the Bertrand Paradox https://www.nber.org[...] 2015-02-01
[16] 논문 Reconciling Cournot and Bertrand Outcomes: A Review http://hdl.handle.ne[...]
[17] 논문 Bertrand competition with asymmetric costs: Experimental evidence https://www.scienced[...] 2012-10-01
[18] 논문 Bertrand competition with asymmetric costs: a solution in pure strategies https://doi.org/10.1[...] 2019-09-01
[19] 논문 The Size of the Cost Asymmetry and Bertrand Competition: Experimental Evidence https://papers.ssrn.[...] 2009-08-23
[20] 논문 Bertrand Competition in Markets with Network Effects and Switching Costs https://www.degruyte[...] 2011-09-18
[21] 논문 Bertrand competition under network externalities https://www.scienced[...] 2018-11-01
[22] 서적 企業経済学 東洋経済新報社
[23] 논문 Bertrand versus Cournot Revisited https://www.jstor.or[...]
[24] 논문 Book review of theorie mathematique de la richesse sociale and of recherches sur les principles mathematiques de la theorie des richesses
[25] 논문 The pure theory of monopoly Macmillan
[26] 서적 Game Theoretic Problems in Network Economics and Mechanism Design Solu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7] 논문 Endogenous Horizontal Product Differentiation under Bertrand and Cournot Competition: Revisiting the Bertrand Paradox https://www.nber.org[...] 2015-02-01
[28] 논문 Reconciling Cournot and Bertrand Outcomes: A Review https://hdl.handle.n[...]
[29] 논문 Bargains and Ripoffs: A Model of Monopolistically Competitive Price Dispersion
[30] 논문 The existence of mixed-strategy equilibria in a price-setting oligopoly with convex costs
[31] 서적 The Palgrave Encyclopedia of Strategic Management
[32] 논문 The Folk Theorem in Repeated Games with Discounting or with Incomplete Information https://www.jstor.or[...]
[33] 논문 On the Existence of Pure Strategy Bertrand Equilibrium https://www.jstor.or[...]
[34] 논문 Oligopoly Games and the Cournot–Bertrand Model: A Survey https://onlinelibrar[...]
[35] 논문 Bertrand vs. Cournot competition in distribution channels with upstream collusion https://www.scienced[...] 2018-10-01
[36] 서적 Frontiers of Dynamic Games https://link.springe[...]
[37] 저널 On the Existence of Pure Strategy Bertrand Equilibrium https://www.jstor.or[...] 1995
[38] 서적 The Palgrave Encyclopedia of Strategic Management
[39] 저널 Quantity Precommitment and Bertrand Competition Yield Cournot Outcomes 1983
[40] 서적 미시경제학 시그마프레스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