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규모의 경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규모의 경제는 생산량 증가에 따라 평균 생산 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일반 비용의 분산, 대량 구매, 기술 발전, 노동 분업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생산 능력이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투입 요소의 가격 협상력이 높아져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앨프리드 마셜의 내부 경제와 외부 경제 이론으로 설명되며, 규모의 경제는 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 규모 수익률과의 관계, 독점 경향, 그리고 외부 규모의 경제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산경제학 - 수확 체감
    수확 체감은 생산 요소 투입 증가에 따라 한계 생산량이 감소하는 현상으로, 농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며 기술 발전에 따라 단기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생산경제학 - 경제잠재력
  • 경제학에 관한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경제학에 관한 - 민간 부문
    민간 부문은 이윤 추구를 목표로 하는 경제 주체들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국가 경제 체제에 따라 비중과 역할이 다르며, 고용 창출의 원천이 되지만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여 국가의 규제를 받는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규모의 경제
규모의 경제
정의생산량 증가에 따른 평균 비용 감소 현상
유형
내부 규모의 경제생산 요소의 전문화
대량 구매 할인
기술적 효율성 증대
외부 규모의 경제산업 집중으로 인한 이익
전문화된 노동 시장 형성
보조 산업 발달
효과
비용 절감생산량 증가에 따른 단위당 비용 감소
가격 경쟁력 강화낮은 생산 비용으로 인해 시장에서 경쟁 우위 확보
이윤 증가비용 절감과 가격 경쟁력으로 인한 이윤 확대
시장 지배력 확대높은 생산 능력과 낮은 비용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규모의 불경제
정의생산 규모가 너무 커져 평균 비용이 증가하는 현상
원인관리 복잡성 증가
노동자 간 의사소통 문제 발생
조직 내 비효율성 증가
관련 개념
범위의 경제여러 제품을 함께 생산할 때 비용이 절감되는 현상
학습 효과생산 경험이 누적될수록 생산 비용이 감소하는 현상
네트워크 효과사용자 수가 증가할수록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가 증가하는 현상
예시
대량 생산 기업자동차, 전자제품 등 대량 생산 기업에서 규모의 경제 효과 발생
대형 마트대량 구매를 통해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제공하여 소비자 이익 증대
IT 기업소프트웨어 개발 및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규모의 경제 효과 발생
경제학적 의미
시장 구조규모의 경제는 과점이나 독점 시장 형성에 영향을 미침
산업 정책정부 정책은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여 산업 경쟁력을 강화 가능

2. 규모의 이익

규모의 이익은 생산 설비 증대에 따른 생산비 절감 효과를 의미한다. 대량생산에 의한 이익은 일정 수준(최적 규모)을 넘어서면 설비에 무리가 생겨 효율이 떨어지고 생산물 단위당 비용이 증가하지만, 설비 증대는 이를 막을 수 있다. 설비 증대와 함께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면 비용 증가를 막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줄여나갈 수 있다.[4]

따라서 대량생산의 이익은 설비가 일정한 단기적인 비용 법칙이지만, 대규모 생산의 이익은 설비 변화를 고려하므로 장기적인 비용 법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설비를 이동 파라미터로 하여 단기 평균비용곡선과 한계비용곡선의 관계를 합친 것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장기 공급곡선을 설명하는 근거가 된다. 설비가 변화함에 따라 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은 점차 작아지고, 그 최저점만을 이은 포락선은 체감한다.

그러나 대규모의 이익도 무한히 지속되는 것은 아니다. 규모가 커지면서 내부 통제가 어려워지는 등 생산 기술보다는 경영 관리 측면에서 무리가 발생하여 장기적으로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기술 진보와 경영 합리화가 필요하다.

이 개념은 마셜의 내부 경제(internal economies)와 외부 경제(external economies) 이론으로 잘 알려져 있다. 마셜은 기업에서 특정 재화를 만드는 생산 규모 증대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를 두 가지로 분류했다.


  • 내부 경제: 개별 기업의 자력, 내부 조직, 경영 능률 등 개별 기업에 고유한 요인에 따른 것이다.
  • 외부 경제: 기업을 포함한 산업의 전반적인 발전으로 인해 발생하며, 특히 유사한 기업들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발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마셜은 분석의 주체가 되는 기업을 대표적 기업이라고 불렀다. 이는 피구에 의해 균형기업이라는 개념으로 발전되었고, 내부 경제와 외부 경제의 문제는 다음과 같이 다루어졌다. 즉, 여러 기업으로 구성된 산업에서 한 기업의 장기적 생산비는 그 기업 자체의 생산 규모뿐만 아니라, 그 기업이 속한 산업 전체의 생산 규모에 의해서도 결정된다고 보았다.

이 문제는 신고전파의 생산함수 분석에 포함되어 신고전파 성장 이론을 전개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규모의 경제는 크기가 커짐에 따라 일을 더 효율적으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4]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다음이 있다.

  • 구매: 장기 계약을 통한 자재 대량 구매
  • 관리: 관리자의 전문화 증대
  • 재무: 은행 차입 시 낮은 이자율, 더 광범위한 금융 상품 접근
  • 마케팅: 미디어 시장에서 더 광범위한 생산량에 걸쳐 광고 비용 분산
  • 기술적 요인: 규모에 대한 수익 체감을 생산 함수에서 활용


이러한 요인들은 모두 장기 평균 비용(LRAC)을 낮추어 단기 평균 총비용(SRATC) 곡선을 아래쪽,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생산 비용을 감소시킨다.

규모의 경제는 국제 무역 패턴이나 특정 시장의 기업 수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개념이다. 일부 산업에서 기업이 대규모로 성장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활용되며, 자유 무역 정책의 정당성을 제공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리히텐슈타인이 자국 시장에만 판매하는 경우 자체 자동차 제조업체를 보유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지만, 자동차를 세계 시장에 수출한다면 수익성이 높아질 수 있다.

규모의 경제는 자연 독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규모의 경제에는 내부 규모의 경제와 외부 규모의 경제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내부 규모의 경제: 산업 내 기업 수가 감소할 때 생산 비용이 감소하지만, 나머지 기업들이 이전 수준에 맞춰 생산량을 늘리는 산업.
  • 외부 규모의 경제: 더 많은 기업의 도입으로 인해 비용이 감소하여 전문 서비스 및 기계의 더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산업.


두 제품 X의 양을 생산하는 총비용이 두 개의 별도 기업 대신 단일 기업에서 생산할 때 더 낮으면 규모의 경제가 존재한다. (범위의 경제#경제 참조)

3. 규모의 경제 결정 요인

규모의 경제는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1. 생산비 구조:생산비는 크게 일반비용(불변비용)과 특수비용(가변비용)으로 나뉜다.


  • 일반비용(불변비용): 생산량과 관계없이 발생하는 비용으로, 토지, 건물 등의 시설비, 일반 관리비, 기술 개발 연구비 등이 있다.
  • 특수비용(가변비용): 생산량에 따라 변동하는 비용으로, 임금, 원자재비, 광열비 등이 있다.


총생산비를 총생산물로 나눈 평균비용은 초기에는 불변비용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그러나 가변비용이 증가하면서 생산량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평균비용은 다시 증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한계생산비(추가 생산에 필요한 비용)도 초기에는 감소하지만, 결국에는 '한계생산력체감의 법칙'에 따라 증가한다.
2. 대량생산의 이익과 규모의 이익:

  • 대량생산의 이익: 생산량 증가에 따라 단위당 일반비용 부담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하지만 설비가 일정한 단기적인 상황에서는 대량생산이 어느 정도(최적 규모)를 초과하면 설비에 무리가 생겨 능률이 떨어지고 생산물 1단위당 비용이 증가한다.
  • 규모의 이익: 설비 증대에 따른 생산비 절감 효과를 의미한다. 설비 증대는 대량생산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술 도입을 통해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규모의 이익은 장기적인 비용 법칙으로 간주된다.

3. 마셜의 내부경제와 외부경제:앨프리드 마셜은 규모의 경제를 기업 내부 요인에 따른 내부경제와 산업 전체의 발전에 따른 외부경제로 구분했다.

  • 내부경제: 개별 기업의 자력, 내부 조직, 경영 능률 등 기업 고유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규모의 경제이다.
  • 외부경제: 산업의 일반적인 발전, 특히 유사 기업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발달함에 따라 발생하는 규모의 경제이다.

4. 기타 요인:규모의 경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 구매: 장기 계약을 통한 자재의 대량 구매로 구매 단가를 낮출 수 있다.
  • 관리: 관리자의 전문화를 통해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재무: 은행으로부터 차입할 때 더 낮은 이자율을 적용받거나 더 다양한 금융 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
  • 마케팅: 미디어 시장에서 더 광범위한 생산량에 걸쳐 광고 비용을 분산시킬 수 있다.
  • 기술적 요인: 생산 함수에서 규모에 대한 수익 체감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모두 장기 평균 비용(LRAC)을 낮추어 단기 평균 총비용(SRATC) 곡선을 아래쪽,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생산 비용을 감소시킨다. 규모의 경제는 국제 무역 패턴이나 특정 시장의 기업 수, 자유 무역 정책의 정당성, 자연 독점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활용된다.

3. 1. 물리적, 공학적 기반

규모의 이익은 설비 증대에 따른 생산비 절감 효과를 의미한다. 대량 생산은 일정 수준(최적 규모)을 넘어서면 설비에 무리가 생겨 효율이 떨어지고 단위당 생산비가 증가하지만, 설비 증대는 이를 막을 수 있다. 새로운 기술 도입과 함께 설비가 증대되면 비용 증가를 막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대량 생산의 이익은 설비가 고정된 단기적인 현상이지만, 규모의 생산 이익은 설비 변화를 고려하므로 장기적인 비용 법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설비를 변수로 하여 단기 평균 비용 곡선과 한계 비용 곡선의 관계를 종합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장기 공급 곡선을 설명하는 근거가 된다. 설비가 abc로 변화함에 따라 평균 비용 곡선의 최저점은 점차 낮아지고, 이 최저점들을 이은 포락선은 체감한다. 그러나 규모의 이익도 무한히 지속되지는 않는다. 규모가 커지면 내부 통제가 어려워지는 등 생산 기술보다는 경영 관리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장기적으로도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기술 발전과 경영 합리화가 필요하다.[4]

공학에서 인식되는 규모의 경제는 정육면체 법칙과 같이 물리적 기반을 갖는 경우가 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용기의 표면적은 크기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지만 부피는 세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이 법칙은 건물, 공장, 파이프라인, 선박, 항공기 등의 자본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구조 공학에서 보의 강도는 두께의 세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항공기나 선박과 같은 차량의 항력 손실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화물 부피에 비례하여 증가하지는 않지만, 물리적 세부 사항은 매우 복잡할 수 있다. 따라서 크기를 키우면 주어진 속도에서 톤당 연료 소비량이 일반적으로 감소한다.

산업 공정의 열 손실은 파이프, 탱크 및 기타 용기의 단위 부피당 정육면체 법칙과 다소 유사한 관계로 변화한다. 일부 생산에서는 플랜트 크기 증가로 인해 열 분산 감소로 인한 에너지 절약 덕분에 평균 가변 비용이 감소한다.

크기 증가의 경제적 효과는 공간의 불가분성과 3차원성을 혼동하기 때문에 종종 잘못 해석된다. 이러한 혼란은 파이프와 오븐과 같은 3차원 생산 요소가 일단 설치되고 작동되면 항상 기술적으로 불가분하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크기 증가로 인한 규모의 경제는 불가분성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의 3차원성에만 의존한다. 실제로 불가분성은 생산 능력의 균형에 의해 생성되는 규모의 경제 또는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더 효율적인 사용으로 인한 단일 플랜트의 수익 증가만을 의미한다. 그러나 후자의 현상은 정의상 더 큰 플랜트의 사용과 관련된 규모의 경제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3. 2. 재고 및 예비 자원 관리

규모의 경제의 기저에는 통계적 요인과 관련된 규모 수익이 존재한다. 관련된 자원의 수가 많을수록 예측 불가능한 불측의 사태(예를 들어, 기계 예비 부품, 재고, 운전 자본 등)에 대처하는 데 필요한 예비 자원의 양은 비례적으로 줄어든다.[4]

3. 3. 거래 경제

규모의 경제는 크기가 커짐에 따라 일을 더 효율적으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4] 기업이 등장하는 이유 중 하나는 거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이다. 일반적으로 규모가 클수록 투입재 가격에 대한 교섭력이 커지므로, 소량 주문하는 기업에 비해 원자재 및 중간재 구매 측면에서 화폐적 규모의 경제의 이점을 누린다. 이 경우, 규모에 따른 수익의 "물리적" 관점에서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화폐적 규모의 경제라고 한다. 또한, 공급 계약에는 고정 비용이 수반되므로 생산 규모가 증가하면 평균 비용이 감소한다. 이는 기업 금융 연구에 중요한 유용성을 지닌다.[5]

3. 4. 생산 능력 균형

규모의 이익은 생산비 분석에 관한 법칙 중 하나로,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단위당 생산비가 감소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생산비가 일반비용(불변비용)과 특수비용(가변비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일반비용은 생산량과 관계없이 발생하는 비용으로, 시설비, 관리비, 연구개발비 등이 포함된다. 반면 특수비용은 생산량에 따라 변동하는 비용으로, 임금, 원자재비, 광열비 등이 해당된다.

총생산비를 총생산물로 나눈 평균비용은 초기에는 불변비용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그러나 가변비용이 증가하면서 생산량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평균비용은 다시 증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한계생산비(추가 생산에 필요한 비용)도 초기에는 감소하지만, 결국에는 '한계생산력체감의 법칙'에 따라 증가한다.

대량생산의 이익은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단위당 일반비용 부담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하지만 설비가 일정한 단기적인 상황에서는 대량생산이 어느 정도(최적 규모)를 초과하면 설비에 무리가 생겨 능률이 떨어지고 생산물 1단위당 비용이 증가한다.

이와 달리, 규모의 이익은 설비 증대에 따른 생산비 절감 효과를 의미한다. 설비 증대는 대량생산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술 도입을 통해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규모의 이익은 장기적인 비용 법칙으로 간주된다. 이는 설비를 이동 파라미터로 하여 단기 평균비용곡선과 한계비용곡선의 관계를 통해 나타낼 수 있으며, 장기 공급곡선을 설명하는 근거가 된다.

설비가 abc로 변화함에 따라 평균비용곡선의 최소점은 점점 작아지고, 그 최소점들을 이은 포락선은 체감한다. 그러나 규모의 이익도 무한히 지속되지는 않는다. 규모가 커지면 내부 통제 곤란 등 경영 관리상의 문제가 발생하여 장기적으로 비용이 다시 증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기술 진보와 경영 합리화가 필요하다.

생산능력 균형의 경제는 더 큰 규모의 생산이 생산 과정의 개별 단계의 생산 능력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서 비롯된다. 투입물이 불가분적이고 상호 보완적인 경우, 소규모 생산에서는 유휴 시간이 발생하거나 일부 하위 프로세스의 생산 능력이 과소 활용될 수 있다. 더 높은 생산 규모는 서로 다른 생산 능력을 호환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기계 유휴 시간 감소는 기계 비용이 높은 경우에 매우 중요하다.[4]

3. 5. 노동 분업 및 기술 활용

규모의 경제는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노동 분업 및 기술 활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규모 생산은 노동 분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든다. 노동 분업의 경제적 효과는 생산 속도 향상, 전문 인력 활용 가능성, 그리고 더 효율적인 기술 채택에서 비롯된다.[6] 노동 분업의 증가는 투입물과 산출물의 질적 변화를 가져온다.[6]

규모의 경제의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구매(장기 계약을 통한 자재의 대량 구매), 관리(관리자의 전문화 증대), 재무(은행으로부터 차입할 때 더 낮은 이자율을 얻고 더 광범위한 금융 상품에 접근할 수 있음), 마케팅(미디어 시장에서 더 광범위한 생산량에 걸쳐 광고 비용을 분산), 그리고 기술적 요인(규모에 대한 수익 체감을 생산 함수에서 활용)이 있다.[4]

3. 6. 경영 경제

규모의 이익은 생산비 분석에 관한 법칙 중 하나이다. 생산비는 일반비용(불변비용)과 특수비용(가변비용)으로 구성된다. 일반비용은 생산량과 관계없이 생산에 필요한 비용으로, 시설비, 일반 관리비, 기술 개발 연구비 등이 포함된다. 특수비용은 생산량에 따라 변하는 비용으로, 임금, 원료, 광열비 등이 해당된다. 총생산비를 총생산물로 나누면 평균비용이, 최후 1단위 생산에 필요한 비용을 한계비용이라 한다.

불변비용 때문에 평균비용은 생산량 증대에 따라 처음에는 감소하지만, 가변비용 증가로 인해 일정 수준 이상 생산량이 되면 상쇄되어 체증한다. 한계생산비도 처음에는 감소하지만 곧 증가하는데, 이는 '한계생산력체감의 법칙' 때문이다. 평균생산비와 한계생산비가 처음에 감소하는 이유는 생산량 증대에 따라 단위당 일반비용 부담이 경감되기 때문이며, 이를 대량생산의 이익이라 한다.

규모의 이익은 설비 증대에 의한 생산비 절감 효과를 의미한다.[4] 대량생산 이익은 일정 수준(최적 규모)을 넘으면 설비에 무리가 생겨 능률이 떨어지고 단위당 비용이 증가하지만, 설비 증대는 이를 저지할 수 있다. 설비 증대와 함께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면 비용 증가를 막을 뿐 아니라 비용을 줄일 수도 있다. 대량생산의 이익은 설비가 일정한 단기적인 것이지만, 대규모 생산의 이익은 설비 변화를 인정하므로 장기적인 비용 법칙이다. 이는 설비를 이동 파라미터로 하여 단기 평균비용곡선과 한계비용곡선의 관계를 합쳐 표시되며, 장기 공급곡선을 설명하는 근거가 된다. 설비가 abc로 변하면 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은 점차 작아지고, 최저점들을 이은 포락선은 체감한다.

규모의 증대로 인해 내부 통제 곤란 등 경영 관리 면에서 무리가 생겨 장기적으로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부단한 기술 진보와 경영 합리화가 필요하다.

마셜은 기업의 생산 규모 증대로 생기는 경제를 내부경제와 외부경제로 분류했다. 내부경제는 개별 기업의 자력, 내부 조직, 경영 능률 등 고유 요인에 따른 것이고, 외부경제는 산업의 일반적 발전에 생기는 것으로, 특히 유사 기업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발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마셜은 분석 주체가 되는 기업을 대표적 기업이라 불렀고, 이는 피구에 의해 균형기업 개념으로 발전되었다. 신고전파는 생산함수 분석에 이를 포함하여 신고전파 성장이론을 전개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규모의 경제는 크기가 커짐에 따라 일을 더 효율적으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구매(장기 계약을 통한 대량 구매), 관리(관리자 전문화 증대), 재무(은행 차입 시 낮은 이자율 및 다양한 금융 상품 접근), 마케팅(미디어 시장에서 더 광범위한 생산량에 걸쳐 광고 비용 분산), 기술적 요인(생산 함수에서 규모에 대한 수익 체감 활용)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모두 장기 평균 비용(LRAC)을 낮추어 단기 평균 총비용(SRATC) 곡선을 아래쪽,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생산 비용을 감소시킨다.

규모의 경제는 국제 무역 패턴이나 특정 시장의 기업 수 설명에 도움이 되는 개념이다. 규모의 경제 활용은 일부 산업에서 기업이 대규모로 성장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또한 자유 무역 정책을 정당화하는데,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려면 특정 국가 내에서 가능한 것보다 더 큰 시장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리히텐슈타인이 자국 시장에만 판매하는 경우 자체 자동차 제조업체를 보유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지만, 세계 시장에 수출하면 수익성이 높아질 수 있다. 규모의 경제는 "자연 독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규모의 경제에는 내부 규모의 경제와 외부 규모의 경제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내부 규모의 경제를 보이는 산업은 기업 수가 감소할 때 생산 비용이 감소하지만, 나머지 기업들이 이전 수준에 맞춰 생산량을 늘리는 산업이다. 반대로, 외부 규모의 경제를 보이는 산업은 더 많은 기업 도입으로 비용이 감소하여 전문 서비스 및 기계의 효율적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두 제품 X의 양을 생산하는 총비용이 두 별도 기업 대신 단일 기업이 생산할 때 더 낮을 때 규모의 경제가 존재한다.

많은 행정 및 조직 활동은 주로 인지적이며 생산 규모와 크게 무관하다.[7] 기업 규모와 노동 분업이 증가하면 조직 관리 효율성을 높이고 회계 및 통제 기법을 개선할 수 있어 여러 이점이 있다. 최고로 판명된 절차와 루틴은 관리자들에 의해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 재현될 수 있다.

3. 7. 학습 및 성장 경제

학습 경제는 누적 생산량에 정비례하며, 생산 과정에서의 경험 축적을 통해 효율성이 향상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Learning-by-doing (economics)|러닝 바이 두잉영어과 성장 경제는 규모 자체가 아닌 규모 성장의 과정과 관련된 동적인 규모의 경제를 기반으로 한다.[4] 학습을 통한 행위는 수행 능력의 향상을 의미하며, 이는 평균 비용의 점진적인 감소와 점진적인 혁신의 도입을 촉진한다.

성장 경제는 기업이 규모를 확장함으로써 추가적인 이익을 얻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경제는 완전히 활용되지 않은 특정 자원이나 역량의 존재, 또는 기업 규모 확장에 차별적인 이점을 제공하는 특정 시장 지위의 존재 때문에 나타난다. 성장 경제는 규모 확장 과정이 완료되면 사라진다. 예를 들어, 슈퍼마켓 체인을 소유한 회사는 새로운 슈퍼마켓을 열면서 그 주변 토지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성장 경제의 이점을 얻는다. 해당 회사는 슈퍼마켓 근처에 상점을 열고자 하는 경제 주체에게 이러한 토지를 매각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다.

3. 8. 자본 및 운영 비용

규모의 이익은 생산비 분석의 법칙 중 하나로, 생산비는 일반 비용(불변 비용)과 특수 비용(가변 비용)으로 구성된다. 일반 비용은 생산량과 관계없이 필요한 비용으로, 시설비, 관리비, 연구비 등이 포함된다. 특수 비용은 생산량에 따라 변하는 비용으로, 임금, 원료비, 광열비 등이 있다. 총생산비를 총생산물로 나눈 평균 비용은 불변 비용 때문에 생산량 증가에 따라 초기에 감소하지만, 가변 비용 증가로 인해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상쇄되어 증가한다. 한계 생산비 역시 초기에 감소하다가 증가하는데, 이는 '한계 생산력 체감의 법칙' 때문이다.

규모의 이익은 설비 증대에 따른 생산비 절감 효과를 의미한다. 대량 생산의 이익은 일정 규모를 초과하면 설비 무리로 인해 효율이 떨어지고 단위당 비용이 증가하지만, 설비 증대는 이를 저지할 수 있다. 새로운 기술 도입은 비용 증가를 막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대량 생산의 이익은 설비가 일정한 단기적인 것이지만, 대규모 생산의 이익은 설비 변화를 고려하므로 장기적인 비용 법칙이다.

규모의 이익은 마셜의 내부 경제와 외부 경제 이론으로 설명된다. 내부 경제는 개별 기업의 자력, 조직, 경영 능률 등 고유한 요인에 따른 것이고, 외부 경제는 산업의 일반적인 발전, 특히 유사 기업의 집중으로 인해 발생한다.

공학에서는 정육면체 법칙과 같이 물리적 기반을 가진 규모의 경제가 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용기의 표면적은 크기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지만 부피는 세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이는 건물, 공장, 파이프라인, 선박, 항공기 등의 자본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8] 구조 공학에서 보의 강도는 두께의 세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차량의 항력 손실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화물 부피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으며, 크기를 키우면 주어진 속도에서 톤당 연료 소비량이 감소한다. 산업 공정의 열 손실은 파이프, 탱크 등의 단위 부피당 정육면체 법칙과 유사하게 변화한다.

자본 프로젝트의 총 비용은 규모의 경제에 영향을 받는다. 특정 크기의 장비에 대한 자본 비용이 알려진 경우, 크기를 변경하면 용량 비율의 0.6승(0.6 제곱 규칙)만큼 자본 비용이 변한다.[9] 용량이 큰 전선이나 파이프 설치에는 노동력과 재료가 크게 추가되지 않는다.[10] 전기 모터, 원심 펌프, 디젤 및 가솔린 엔진 등의 장비는 단위 용량 비용이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효율성은 증가한다.

3. 9. 부산물 활용

칼 마르크스는 대규모 제조업이 그렇지 않으면 폐기물이 될 제품을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을 지적했다. 마르크스는 화학 산업을 예로 들었는데, 오늘날 화학 산업은 석유화학 산업과 함께 다양한 잔류 반응물 흐름을 판매 가능한 제품으로 전환하는 데 크게 의존하고 있다. 펄프 및 제지 산업에서는 공정 증기를 생산하고 사용한 펄핑 화학 물질을 회수하여 다시 사용 가능한 형태로 전환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4. 규모의 경제와 수출

규모의 경제는 국제 무역 패턴이나 특정 시장의 기업 수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개념이다. 규모의 경제 활용은 일부 산업에서 기업이 대규모로 성장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자유 무역 정책의 정당성을 제공하는데,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려면 특정 국가 내에서 가능한 것보다 더 큰 시장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리히텐슈타인이 자국 시장에만 판매하는 경우 자체 자동차 제조업체를 보유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을 것이다. 독자적인 자동차 제조업체는 수익성이 있을 수 있지만, 현지 시장에 판매하는 것 외에도 자동차를 세계 시장에 수출하는 경우 더욱 수익성이 높아진다.[4]

규모가 크고 생산성이 높은 기업은 일반적으로 수출과 관련된 고정 비용을 충당할 만큼 해외에서 충분한 순수익을 창출한다.[11] 무역 자유화가 이루어질 경우, 자원은 생산성이 더 높은 기업으로 재분배되어 산업 내 평균 생산성을 높인다.[12]

기업들은 노동 생산성과 제품 품질이 다르기 때문에, 효율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해외에서 더 많은 순이익을 창출하고 따라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수출업체가 될 가능성이 높다. 기업의 총 매출액과 기본적인 효율성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다. 생산성이 높은 기업은 항상 생산성이 낮은 기업보다 성과가 우수하여 매출이 낮아진다. 무역 자유화를 통해 기업들은 수출 증가로 인해 무역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무역 자유화는 관세 인하나 물류 개선을 고려하지 않는다. 총 규모의 경제는 수출업체의 개별 빈도와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대규모 기업은 소규모 기업에 비해 단위당 비용이 낮을 가능성이 높다. 마찬가지로 무역 빈도가 높은 기업은 무역 빈도가 낮은 기업에 비해 단위당 총 비용을 줄일 수 있다.[13]

5. 규모의 경제와 규모 수익률

규모의 경제는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토지, 건물, 설비, 일반 관리비, 기술 개발 연구비 등 생산량과 관계없이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비용(불변 비용)의 부담이 단위당 생산비에 분산되기 때문이다.

규모의 경제는 규모 수익률과 관련이 있지만,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규모 수익률은 투입 요소와 산출량 간의 관계를 물리적인 용어로 설명하는 반면, 규모의 경제는 평균 생산 비용과 생산 규모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규모의 경제와 규모 수익률의 관계


  • 규모 수익률 체증: 투입량을 늘렸을 때 산출량이 그보다 더 큰 비율로 증가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규모의 경제가 발생한다.
  • 규모 수익률 체감: 투입량을 늘렸을 때 산출량이 그보다 더 작은 비율로 증가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규모의 불경제가 발생한다.
  • 규모 수익률 불변: 투입량을 늘렸을 때 산출량도 같은 비율로 증가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경우, 규모의 경제나 불경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기업이 투입 요소 시장에서 완전 경쟁자가 아닌 경우, 즉 투입 요소의 가격이 기업의 구매량에 따라 변동하는 경우에는 위 관계가 항상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이 대량 구매 할인을 받을 수 있다면, 규모 수익률이 체감하더라도 규모의 경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규모의 경제의 원인규모의 경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구매: 대량 구매를 통해 원자재 가격을 할인받을 수 있다.
  • 관리: 관리자의 전문화를 통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재무: 은행에서 더 낮은 이자율로 자금을 조달하거나 더 다양한 금융 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
  • 마케팅: 광고 비용을 더 넓은 생산량에 분산시켜 단위당 마케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기술적 요인: 생산 과정에서 규모에 대한 수익 체증을 활용할 수 있다.

규모의 경제의 유형

  • 내부 규모의 경제: 기업 자체의 생산 규모 확대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 절감 효과를 의미한다.
  • 외부 규모의 경제: 특정 산업이 한 지역에 집중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 절감 효과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관련 기업들이 모여 있으면 전문 인력이나 서비스를 더 쉽게 확보할 수 있다.


규모의 경제는 국제 무역 패턴, 특정 시장의 기업 수, 자연 독점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작은 국가에서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정 산업에서 대규모 기업이 성장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자유 무역을 통해 더 큰 시장을 확보해야 규모의 경제를 활용할 수 있다.

6. 규모의 경제와 독점 경향

규모의 경제는 국제 무역 패턴이나 특정 시장의 기업 수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개념이다. 규모의 경제 활용은 일부 산업에서 기업이 대규모로 성장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자유 무역 정책을 정당화하는데,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려면 특정 국가 내에서 가능한 것보다 더 큰 시장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리히텐슈타인이 자국 시장에만 판매하는 경우 자체 자동차 제조업체를 보유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을 것이다. 독자적인 자동차 제조업체는 수익성이 있을 수 있지만, 현지 시장에 판매하는 것 외에도 자동차를 세계 시장에 수출하는 경우 더욱 수익성이 높아진다.[4] 규모의 경제는 "자연 독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칼 마르크스는 '''자본론'''(1867)에서 찰스 배비지를 언급하며 규모의 경제를 광범위하게 분석하고, 이것이 자본의 지속적인 집중을 뒷받침하는 요인 중 하나라고 결론짓는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체제에서 노동 과정의 기술적 조건이 노동 생산력 향상을 통해 잉여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혁신된다고 지적한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많은 노동자들의 협력은 생산 수단의 사용에 있어 경제성을 가져오고, 노동 분업의 증가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된다. 더 나아가, 기계의 규모가 커짐으로써 건설, 설치 및 운영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려는 경향은 생산량의 지속적인 증가를 수반하며, 이는 다시 시장 규모의 지속적인 확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시장이 생산량 증가와 같은 비율로 확장되지 않으면 과잉생산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체제가 규모의 경제와 관련된 두 가지 경향, 즉 성장하는 집중 경향과 과잉생산으로 인한 경제 위기 경향으로 특징지어진다고 주장한다.

1844년 저술인 '''1844년 경제학 및 철학적 수고'''에서 칼 마르크스는 규모의 경제가 역사적으로 사유 재산의 집중 증가와 관련되어 있으며, 그러한 집중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고 지적한다. 마르크스는 대규모 경제 기업의 집중적인 사유 소유가 역사적으로 우연한 사실이며, 그러한 기업의 본질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고 강조한다. 예를 들어 농업의 경우, 마르크스는 토지의 집중 소유 제도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는 주장의 궤변적인 성격에 주목하며, 대토지 소유 옹호자들이 대규모 농업이 제공하는 경제적 이점을 대규모 토지 소유와 동일시하는 것은 궤변이라고 비판한다. 마르크스는 토지의 집중적인 사유 소유 대신 규모의 경제가 협동조합에 의해 실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8]

많은 산업 부문에서 규모의 경제가 상당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크기와 조직 구조가 다른 수많은 기업들이 공존하는 현상이 관찰되어 왔다. 이는 경험적 증거와 규모의 경제와 경쟁의 논리적 불일치 사이의 모순으로, '쿠르노의 딜레마'라고 불린다. 규모의 경제가 규모에 미치는 영향만 고려한다면 쿠르노의 딜레마는 해결 불가능해 보인다. 반면, 지식 개발 및 거래 조직화와 관련된 측면을 포함하여 분석을 확장한다면 규모의 경제가 항상 독점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사실, 기업 역량 개발과 공급업체 및 고객과의 거래 관리에서 비롯되는 경쟁 우위는 규모가 제공하는 우위를 상쇄하여 규모의 경제에 내재된 독점 경향을 무력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 활동 부문에서 운영되는 기업의 조직 형태와 규모의 이질성은 제품 품질, 생산 유연성, 계약 방법, 학습 기회, 제품 품질에 대한 차별화된 수요를 표현하는 고객의 선호도 이질성, 판매 전후 지원 등의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대규모 유연 생산, 소규모 유연 생산, 대량 생산, 유연한 조직 시스템과 관련된 경직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 생산, 그리고 전통적인 수공업 생산과 같이,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더라도 매우 다른 조직 형태가 동일한 활동 부문에 공존할 수 있다. 규모의 경제에 대한 고려 사항은 중요하지만 기업 규모와 시장 구조를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역량 개발과 거래 비용 관리에 관련된 요인들도 고려해야 한다.

7. 외부 규모의 경제

마셜은 기업이 특정 종류의 재화를 만드는 생산 규모가 커지면서 발생하는 경제를 두 가지로 나누었다. 그 중 하나가 외부 경제인데, 기업을 포함하여 산업의 일반적인 발전에 따라 생기는 것이다. 특히 유사한 기업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발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 경우 분석의 주체가 되는 기업을 마셜은 대표적 기업이라 불렀고, 이는 피구에 의해 균형기업이라는 개념으로 발전되었다. 즉, 여러 기업으로 이루어진 산업에서 한 기업의 장기적 생산비는 그 기업 자체의 생산 규모뿐만 아니라, 그 기업이 속한 산업 전체의 생산 규모에 의해서도 결정된다고 보았다.

외부 규모의 경제는 내부 규모의 경제보다 더 흔하게 나타난다.[25] 외부 규모의 경제에서는 새로운 기업이 진입하면 경쟁이 심화되고 모든 기업의 평균 비용이 감소하여 기존 경쟁업체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 반면 내부 규모의 경제는 개별 기업에게만 이익을 가져다준다.[26] 외부 규모의 경제로 인해 발생하는 이점은 다음과 같다.


  • 산업의 확장
  • 산업 내 대부분 또는 모든 기업에 이익
  • 지방 정부의 급속한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음


외부 규모의 경제를 나타내는 그래프

8. 관련 사항

애덤 스미스국부론에서 노동 분업의 장점과 규모의 경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고, 존 스튜어트 밀찰스 배비지의 저서를 참고하여 생산 단위 내에서 수확 체증과 생산 규모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1]

이와 관련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Economies of Scale: What Are They and How Are They Used? https://www.investop[...] 2024-04-12
[2] 서적 Economics: Principles in Action https://archive.org/[...] Pearson Prentice Hall 2024-02-20
[3] 서적 The Unbound Prometheus: Technological Change and Industrial Development in Western Europe from 1750 to the Present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1969
[4] 서적 The Visible Hand: The Management Revolution in American Business https://archive.org/[...]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93
[5] 웹사이트 Economies of Scale - Definition, Types, Effects of Economies of Scale https://corporatefin[...] Corporate Finance Institute 2022-05-19
[6] 간행물
[7] 간행물
[8] 학술지 Economies of Scale: Some Statistical Evidence http://msuweb.montcl[...] 1959-05
[9] 기타
[10] 기타
[11] 학술지 The Impact of Trade on Intra-industry Reallocations and Aggregate Industry Productivity https://scholar.harv[...] 2020-10-22
[12] 학술지 Economies of Scale and the Size of Exporters https://papers.ssrn.[...] 2020-10-23
[13] 학술지 Supply chain design considering economies of scale and transport frequencies 2012
[14] 학술지 Returns to Scale and Economies of Scale: Further Observations 1996
[15] 서적 Theory of Production https://archive.org/[...] D. Reidel 1965
[16] 서적 The Neoclassical Theory of Production & Distrib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17] 학술지 Electronic Reverse Auctions and the Public Sector – Factors of Success 2010
[18] 서적 Economic and Philosophic Manuscripts of 1844 1988
[19] 간행물
[20] 학술지 "Six-Tenths Factor" Aids in Approximating Costs https://archive.org/[...] Access Intelligence LLC 2024-10-01
[21] 학술지 Scale economies and the "0.6 rule" 1986-12-01
[22] 학술지 Seawater desalination concentrate—a new frontier for sustainable mining of valuable minerals 2022-03-25
[23] 학술지 Theory and evidence for using the economy-of-scale law in power plant economics 1987-05-01
[24] 학술지 Economies of scale, learning effects and offshore wind development costs 2015-11-01
[25] 학술지 External economies of scale in the Lancashire cotton industry, 1900–1950 https://www.jstor.or[...] 2020-10-21
[26] 학술지 External Economies of Scale and Insufficient Entry https://link.springe[...] 2020-10-29
[27] 학술지 Computational Experiment Approach to Controlled Evolution of Procurement Pattern in Cluster Supply Chain 2015
[28] 서적 Innovations, Technology, and Economies of Scale Palgrave Macmillan 2014
[29] 서적 Guide to Management Ideas and Gurus The Economist/Profile Books 20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