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르노 모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르노 모형은 1838년 앙투안 오귀스탱 쿠르노가 제시한 과점 시장 경쟁 이론으로, 기업들이 상대 기업의 생산량을 고정하고 자신의 생산량을 결정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각 기업의 최적 반응 함수를 도출하고, 반응 곡선의 교차점에서 안정적인 균형, 즉 쿠르노 균형이 발생한다고 설명한다. 쿠르노 모형은 내쉬 균형의 부분 집합으로, 미시 경제학 및 산업 조직론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베르트랑 경쟁 등 다른 시장 구조 모델의 기반이 되었다. 쿠르노 모형은 기업 수의 증가에 따른 시장 가격 변화, 과점 시장 분석 등에 활용되며, 베르트랑의 비판과 경쟁 모형을 통해 발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점 - 베르트랑 모형
    베르트랑 모형은 동종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가격을 전략 변수로 사용하여 경쟁하는 과점 시장 모형으로, 경쟁사의 가격을 고려하여 자신의 가격을 결정하고 경쟁적인 가격을 형성하여 완전 경쟁 시장과 유사한 결과를 낳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 과점 - 슈타켈베르크 모형
    슈타켈베르크 모형은 선도 기업이 먼저 생산량이나 가격을 결정하고 후발 기업이 이에 대응하여 균형을 이루는, 하인리히 폰 슈타켈베르크가 제시한 과점 시장 분석 모형이다.
  • 경쟁 (경제학) - 완전 경쟁
    완전 경쟁은 다수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존재하고 개별 참여자가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제품의 동질성, 자유로운 진입과 퇴거, 완전한 정보 공유 등의 특징을 갖는 시장 형태이다.
  • 경쟁 (경제학) - 베르트랑 모형
    베르트랑 모형은 동종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가격을 전략 변수로 사용하여 경쟁하는 과점 시장 모형으로, 경쟁사의 가격을 고려하여 자신의 가격을 결정하고 경쟁적인 가격을 형성하여 완전 경쟁 시장과 유사한 결과를 낳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 불완전 경쟁 - 과점
    과점은 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는 시장 구조로, 높은 진입 장벽, 상호 의존성, 비가격 경쟁 등의 특징을 보이며, 경쟁법과 반경쟁적 행위 규제를 받는다.
  • 불완전 경쟁 - 진입 장벽
    진입 장벽은 신규 기업이 특정 산업이나 시장에 진입할 때 겪는 어려움으로, 규모의 경제, 네트워크 효과, 자본 요건, 기존 업체의 우위, 유통 채널 접근성, 정부 규제 등이 주요 원인이며 시장 구조와 한국 시장의 특성으로 인해 그 강도가 달라진다.
쿠르노 모형
쿠르노 경쟁
유형과점 시장 모형
특징기업들은 동질적인 상품을 생산함
기업들은 동시에 생산량을 결정함
기업들은 상대방의 생산량을 알고 있다고 가정함
시장 가격은 총 생산량에 의해 결정됨
기업들은 이윤 극대화를 추구함
주요 내용각 기업은 다른 기업의 생산량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자신의 최적 생산량을 결정함
각 기업의 최적 생산량은 다른 기업의 생산량에 대한 함수로 표현됨 (반응 함수)
쿠르노 균형은 모든 기업의 반응 함수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결정됨
쿠르노 균형에서는 모든 기업이 자신의 최적 생산량을 생산하고, 시장 가격은 총 생산량에 의해 결정됨
창시자앙투안 쿠르노
모형 가정
기업 수복수의 기업 (일반적으로 2개 이상)
상품동질적인 상품
생산량 결정 시점동시적 결정
정보상대방 생산량에 대한 완전 정보
목표이윤 극대화
균형 분석
반응 함수각 기업의 최적 생산량은 다른 기업의 생산량에 대한 함수로 표현됨
쿠르노 균형모든 기업의 반응 함수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결정됨
균형 생산량각 기업의 균형 생산량은 시장 수요와 기업의 비용 구조에 따라 결정됨
균형 가격시장 가격은 총 균형 생산량에 의해 결정됨
이윤각 기업의 이윤은 균형 가격과 균형 생산량에 따라 결정됨
모형의 시사점
경쟁 수준기업 수가 증가할수록 경쟁 수준은 증가하고, 시장 가격은 하락함
효율성쿠르노 균형은 완전 경쟁 시장에 비해 비효율적임 (생산량 부족, 가격 상승)
현실과의 괴리기업들이 생산량을 동시에 결정한다는 가정은 현실과 다소 거리가 있음
관련 개념
베르트랑 경쟁가격을 전략 변수로 사용하는 과점 모형
슈타켈베르크 경쟁선도 기업과 추종 기업이 존재하는 과점 모형
내시 균형게임 이론에서 각 경기자가 상대방의 전략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자신의 최적 전략을 선택할 때 형성되는 균형

2. 역사

앙투안 오귀스탱 쿠르노는 1838년 그의 저서 ''부의 수학적 원리에 대한 연구''(Recherches sur les Principes Mathématiques de la Théorie des Richesses)에서 과점 시장 경쟁 이론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3] 그는 두 기업이 지배하는 미네랄 워터 시장을 예시로 들어, 각 기업의 이윤 함수를 설정하고 편미분을 이용하여 시장 내 다른 기업의 생산량에 대한 기업의 최적 반응 함수를 도출했다.[4][23] 그리고 두 기업의 최적 반응 함수의 교점에서 안정적인 균형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였다.[4][23]

균형 상태는 안정적이며, 한 기업이 생산량을 변경하더라도 다시 균형점으로 돌아온다.[2] 이러한 안정성 개념은 내쉬 균형으로 발전되었으며, 쿠르노 균형은 내쉬 균형의 부분 집합이다.[1][4][20][23]

쿠르노의 경제 이론은 레옹 발라스가 그를 선구자로 칭송하기 전까지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5] 조제프 베르트랑은 쿠르노의 저서를 비판했고, 이는 다시 거센 비판을 받았다.[5] 어빙 피셔는 쿠르노의 과점 처리를 "훌륭하고 시사적이지만, 심각한 반론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평가했다.[5][24]

쿠르노의 과점 이론은 미시 경제학, 특히 산업 조직론 분야에 위치하며, 불완전 경쟁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그의 가정은 베르트랑 경쟁이나 슈타켈베르크 경쟁 등 다른 시장 구조 모델 고안의 기반이 되었다.

3. 기본 가정

쿠르노 모형에서 기업은 상대 기업이 현재의 산출량을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자신의 행동을 선택한다. 이는 쿠르노 모형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두 기업 모두 추종자(follower)로 행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orall_{i,j} CV_q = {\Delta Q_j \over \Delta Q_i} = 0

:(단, i \ne j, CV는 추측되는 산출량의 변화, Q는 산출량)

반응곡선

4. 반응곡선

4. 1. 의미

반응곡선이란 상대방의 행동에 대해 자신의 최적대응을 나타내는 곡선을 의미한다. 쿠르노 모형에서는 상대방의 산출량이 주어졌다는 가정 하에, 자신의 이윤이 극대화되는 대응점들을 이은 곡선을 의미한다.

4. 2. 도출

쿠르노 모형에서 각 기업은 시장 수요 곡선과 다른 기업의 생산량을 고려하여 자신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을 결정한다. 기업의 이윤 함수는 시장 가격과 생산량, 그리고 생산 비용에 의해 결정된다.

어떤 시장의 전체 수요곡선이 D_A로 주어져 있고, 기업 2가 아무것도 생산하지 않을 때, 기업 1은 독점자의 위치에서 D_A 곡선에 상응하는 한계수입곡선(MR_A)을 찾아 이윤극대화 산출량을 결정한다. 만약 기업 2가 \hat{Q_2}만큼 생산하면, 기업 1은 전체 시장수요에서 \hat{Q_2}를 뺀 만큼 시장수요곡선(D_A)을 이동시킨 D_B에 상응하는 한계수입곡선 MR_B를 도출하여 새로운 이윤극대화 산출량을 구한다. 이러한 기업 1의 최적 대응을 이어서 만든 곡선이 반응곡선이다. 기업 2의 반응곡선도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쿠르노 균형(E)


쿠르노의 '수요 또는 판매' 곡선


쿠르노는 수요를 특정 재화의 판매량으로 정의하고, 수요 D를 가격 F(p)의 함수로 간주했다. 생산자는 쿠르노의 수요 곡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의 수요 곡선은 현대적인 공급 곡선의 역할을 일부 수행한다. 쿠르노는 수요 곡선이 일반적으로 가격의 감소 함수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일반적으로 쿠르노 경쟁 모형은 듀오폴리 시장 구조에서 분석된다. 두 기업 1과 2가 동일한 한계 비용(\chi)을 가지는 경우, 각 기업의 이윤 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i_1(Q)=p(Q)q_1 - \chi q_1

:\Pi_2(Q)=p(Q)q_2 - \chi q_2

여기서 Q=q_1+q_2는 총 생산량이고, p(Q)는 시장 가격이다. 가격(역 수요 함수)이 선형(p=a-bQ)이라고 가정하면, 이윤 함수는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Pi_1(q_1,q_2)=(a-bq_1-bq_2- \chi)q_1

:\Pi_2(q_1,q_2)=(a-bq_1-bq_2- \chi)q_2

각 기업의 이윤 극대화 조건(1차 조건, F.O.C.)은 한계 비용(\text{MC})과 한계 수입(\text{MR})이 같아지는 점, 즉 \text{MC}-\text{MR}=0인 점에서 생산량이 결정됨을 의미한다. F.O.C.는 다음과 같다.

:\frac{\partial \Pi_1(q_1,q_2)}{\partial q_1}=a-2bq_1-bq_2-\chi=0

:\frac{\partial \Pi_2(q_1,q_2)}{\partial q_2}=a-bq_1-2bq_2-\chi=0

이 연립방정식을 풀면 각 기업의 반응곡선을 얻을 수 있다.

:q_1=\frac{a-\chi}{2b}-\frac{q_2}{2}

:q_2=\frac{a-\chi}{2b}-\dfrac{q_1}{2}

내쉬 균형은 두 기업의 반응곡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며, 이 때 각 기업은 상대방의 생산량에 대해 최적의 생산량을 선택한다. 두 기업이 대칭적인 경우(q_1=q_2=q^*), 균형 생산량은 다음과 같다.

:q^*=\frac{a-\chi}{3b}

따라서 균형에서 총 시장 생산량 QQ=q_1^*+q_2^*=\frac{2(a-\chi)}{3b}가 된다.

두 생산자의 수입은 pD_1pD_2이며, 각 생산자는 자신이 통제하는 생산량에 대해 이윤을 최대화한다. 이윤의 편미분이 0이 되는 조건을 통해 다음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f(D_1+D_2) + D_1 f'(D_1+D_2) = 0

:f(D_1+D_2) + D_2 f'(D_1+D_2) = 0

균형점은 이 두 방정식을 동시에 풀어 찾을 수 있으며, 두 생산자가 동일한 수량을 공급하고(D_1=D_2), 판매된 총 수량(D)은 단일 비선형 방정식의 근이다.

400px


쿠르노는 균형의 안정성을 연구했다. 생산자가 균형점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균형은 안정적이지만, 반응곡선의 위치가 바뀌면 불안정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5. 쿠르노 균형

쿠르노 균형은 두 기업의 반응곡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결정된다. 이 균형점에서 각 기업은 상대방의 생산량에 대해 최적의 생산량을 선택하고 있으며, 따라서 어느 기업도 생산량을 변화시킬 유인이 없다. 쿠르노 균형은 내쉬 균형의 특수한 경우에 해당한다.

오른쪽 그림()에서와 같이 두 기업의 반응곡선은 E점에서 교차하게 된다. 빨간색 화살표들은 균형이 아닌 상태에서 어떤 조정을 거쳐 균형에 도달하는 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쿠르노 경쟁 모형에서 각 기업의 이윤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Pi_1(Q)=p(Q)q_1 - \chi q_1

:\Pi_2(Q)=p(Q)q_2 - \chi q_2

여기서 p(Q)는 시장 가격, Q는 총 생산량 (Q=q_1+q_2), q_1q_2는 각 기업의 생산량, \chi는 한계 비용이다.

각 기업은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며, 1차 조건(F.O.C.)은 다음과 같다.

:\frac{\partial \Pi_1(q_1,q_2)}{\partial q_1}=a-2bq_1-bq_2-\chi=0

:\frac{\partial \Pi_2(q_1,q_2)}{\partial q_2}=a-bq_1-2bq_2-\chi=0

이는 한계 비용(\text{MC})이 한계 수입(\text{MR})과 같을 때 이윤이 극대화됨을 의미한다.

위 식을 풀면 각 기업의 최적 반응 함수를 얻을 수 있다.

:q_1=\frac{a-\chi}{2b}-\frac{q_2}{2}

:q_2=\frac{a-\chi}{2b}-\dfrac{q_1}{2}

두 기업이 동일한 비용 구조를 가질 경우, q_1=q_2=q^* 로 놓고 풀면 쿠르노 균형 생산량 q^*=\frac{a-\chi}{3b}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시장 전체의 생산량은 Q=q_1^*+q_2^*=\frac{2(a-\chi)}{3b}가 된다.

두 기업의 수입은 각각 pD_1pD_2이며, 각 기업은 자신의 생산량(D_1 또는 D_2)에 대해 최적화를 수행하여 이윤을 최대화한다. 균형점에서는 다음 방정식이 성립한다.

:f(D_1+D_2) + D_1 f'(D_1+D_2) = 0

:f(D_1+D_2) + D_2 f'(D_1+D_2) = 0

균형점은 이 두 방정식을 동시에 풀어 찾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두 생산자는 동일한 수량을 공급하게 된다.

만약 기업 1이 x_\textsf{l}만큼 시장에 공급했다면, 기업 2는 빨간 선을 기반으로 추론하여 수입을 최대화하기 위해 y_\textsf{l}만큼 공급할 것이다. 그러나 기업 1도 파란 선을 기반으로 동일하게 생각하여, 전략을 변경한다. 이것이 반복되어 (x,y) 좌표의 i 지점, 즉 균형에 도달한다.

5. 1. 균형의 안정성

6. 모델의 확장

칼 샤피로(Carl Shapiro)는 실제 경제를 관찰하면 쿠르노 생산량 경쟁 모델과 상반되는 기업 행동이 나타난다고 말했다.[25][26]

쿠르노 모형은 복점(기업이 두 개인 경우)뿐만 아니라 과점(기업이 세 개 이상) 시장에도 적용할 수 있다. 기업 수가 증가할수록 시장 가격은 하락하고 총 생산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쿠르노 과점 모형에서 기업 수에 따른 가격 변화


대칭 기업의 쿠르노 균형은 `2f(D) + Df'(D)=0` 의 식으로 기술될 수 있다. `D`는 함수 `f`와 `F`를 통해 가격 `p`와 관련되어 있다. 가격 `p`의 함수로 보면 `F(p)+2pF'(p)=0`이다. 이는 독점의 경우 `F(p)+pF'(p)=0`과 비교해 볼 수 있다.

`u=-F(p)/F'(p)`를 정의하고, 가로축에 가격 `p`를 두고 그 움직임을 보면, 독점 가격은 `u=p`가 이 곡선과 교차하는 점에서 얻을 수 있다. 기업이 2개 존재하는 복점의 경우 가격은 `u=2p`가 이 곡선과 교차하는 곳에서 얻을 수 있다. 곡선의 모양에 관계없이 `u=2p`와의 교차점은 `u=p`의 교차점의 왼쪽에 위치한다. 즉, 전자가 후자보다 가격이 낮다. 따라서 복점의 경우, 독점의 경우보다 가격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장 전체의 생산량(균형 수량)은 따라서 복점의 경우가 더 많아진다.

기업의 수를 `n`이라고 하면, 가격의 식은 `F(p)+npF'(p)=0`이 된다. 가격은 `u=np`와 곡선의 교차점에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수가 많아질수록 가격은 작아진다. 기업의 수 `n`이 무한대가 되면 가격은 0이 된다. 0이 아닌 한계 비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격은 한계 비용과 같아진다.

6. 1. 과점 (Oligopoly)

쿠르노 모형은 복점(기업이 두 개인 경우)뿐만 아니라 과점(기업이 세 개 이상) 시장에도 적용할 수 있다. 기업 수가 증가할수록 시장 가격은 하락하고 총 생산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대칭 기업의 쿠르노 균형은 `2f(D) + Df'(D)=0` 의 식으로 기술될 수 있다. `D`는 함수 `f`와 `F`를 통해 가격 `p`와 관련되어 있다. 가격 `p`의 함수로 보면 `F(p)+2pF'(p)=0`이다. 이는 독점의 경우 `F(p)+pF'(p)=0`과 비교해 볼 수 있다.

`u=-F(p)/F'(p)`를 정의하고, 가로축에 가격 `p`를 두고 그 움직임을 보면, 독점 가격은 `u=p`가 이 곡선과 교차하는 점에서 얻을 수 있다. 기업이 2개 존재하는 복점의 경우 가격은 `u=2p`가 이 곡선과 교차하는 곳에서 얻을 수 있다. 곡선의 모양에 관계없이 `u=2p`와의 교차점은 `u=p`의 교차점의 왼쪽에 위치한다. 즉, 전자가 후자보다 가격이 낮다. 따라서 복점의 경우, 독점의 경우보다 가격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장 전체의 생산량(균형 수량)은 따라서 복점의 경우가 더 많아진다.

기업의 수를 `n`이라고 하면, 가격의 식은 `F(p)+npF'(p)=0`이 된다. 가격은 `u=np`와 곡선의 교차점에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수가 많아질수록 가격은 작아진다. 기업의 수 `n`이 무한대가 되면 가격은 0이 된다. 0이 아닌 한계 비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격은 한계 비용과 같아진다.

6. 2. 이질적인 상품

6. 3. 동태적 모형

7. 베르트랑의 비판과 경쟁 모형

조제프 베르트랑은 레옹 발라스의 ''부의 사회적 수학 이론''을 검토하면서 쿠르노 모형의 가정을 비판했다. 베르트랑은 기업들이 생산량이 아닌 가격을 경쟁 변수로 사용하는 베르트랑 경쟁 모형을 제시했다.[17] 베르트랑은 쿠르노가 두 소유주의 생산량을 독립 변수로 간주하여, 한쪽 소유주가 생산량을 변경해도 다른 소유주의 생산량은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한 점을 비판했다.[17]

베르트랑 모형에서 동질적인 상품을 생산하는 두 기업이 가격 경쟁을 벌일 경우, 각 기업은 상대보다 낮은 가격을 제시하여 시장을 확보하려 한다. 이러한 경쟁은 가격이 한계 비용 수준까지 하락하는 결과로 이어진다.[19] 어빙 피셔는 베르트랑이 이러한 모델을 처음 제시했다고 평가했으며, 이후 이 모델은 베르트랑 경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9]

빌프레도 파레토는 베르트랑의 비판에 대해 그가 '비판한 책들을 참조하지 않고 기사를 썼다'고 평가했다.[18]

8. 비판 및 한계

쿠르노 모형에서 단일 가격은 두 소유자 모두에게 적용된다. 드 보르니에는 "주어진 순간에 단일 가격만 존재할 수 있다는 명백한 결론"은 "제품 동질성이라는 그의 모델에 관한 필수적인 가정"에서 따른다고 설명한다.[12]

이후 쿠르노는 소유자가 "가격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고 썼는데,[13] 두 공급자가 동시에 단일 가격을 통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단일 가격은 각 소유자의 개별 통제 하에 있는 문제에 대한 결정의 결과로 시장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쿠르노의 영어 번역가인 내서니얼 베이컨은 그의 단어를 "자신의 가격을 적절하게 조정"으로 수정했다.[14] 프랜시스 이시드로 에지워스는 쿠르노의 가격 평등을 "불완전 경쟁의 경우에 추상적으로 필요한 것이 아니라... 특수한 조건"으로 간주했다.[15] 장 마냥 드 보르니에는 쿠르노의 이론에서 "각 소유자는 가격을 수량 조절 변수로 사용할 것"이지만, 하나의 가격이 어떻게 두 개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A. J. 니콜은 "가격이 구매자에 의해 직접 결정되지 않는 한" 쿠르노의 이론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주장했다.[16] 칼 샤피로는 "쿠르노 이론에서 가격 형성의 실제 과정은 다소 신비롭다"고 언급했다.[9]

9. 한국 경제에의 시사점

참조

[1] 서적 Intermediate Microeconomics: A Modern Approach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 서적 Recherches sur les Principes Mathématiques de la Théorie des Richesses https://books.google[...] The Macmillan Company 2022-12-13
[3] 간행물 Dynamic Cournot duopoly with intertemporal capacity constraints https://cris.maastri[...] Elsevier 2023-01-22
[4] 간행물 Cournot, bertrand, and modern game theory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5] 간행물 Cournot and mathematical economics Oxford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The legacy of Augustin Cournot https://www.persee.f[...] 2022-12-13
[7] 서적 Le Petit Robert Dictionnaires Le Robert
[8] 문서 Cournot 1897
[9] 간행물 Theories of oligopoly behavior Elsevier
[10] 서적 Strategy and Market Structure: Competition, Oligopoly, and the Theory of Games John Wiley & Sons
[11] 문서 Cournot 1897
[12] 간행물 The "Cournot-Bertrand Debate":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s://competitiona[...] Duke University Press 2022-12-13
[13] 문서 Cournot 1897
[14] 문서 Cournot 1897
[15] 서적 Mathematical Psychics: An Essay on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s to the Moral Sciences https://socialscienc[...] C. Kegan Paul & Co. 2022-12-13
[16] 간행물 A Re-Appraisal of Cournot's Theory of Duopoly Pric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문서 de Bornier 1992
[18] 백과사전 Économie mathématique https://www.gabay-ed[...] Gauthier-Villars 2022-12-13
[19] 문서 Fisher 1898
[20] 서적 Intermediate Microeconomics: A Modern Approach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1] 서적 Recherches sur les Principes Mathématiques de la Théorie des Richesses https://books.google[...] The Macmillan Company 2022-12-13
[22] 간행물 Dynamic Cournot duopoly with intertemporal capacity constraints https://cris.maastri[...] Elsevier 2023-01-22
[23] 간행물 Cournot, bertrand, and modern game theory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4] 간행물 Cournot and mathematical economics Oxford University Press
[25] 간행물 Theories of oligopoly behavior Elsevier
[26] 서적 Strategy and Market Structure: Competition, Oligopoly, and the Theory of Games John Wiley & S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