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지하철 DKZ4형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징 지하철 DKZ4형 전동차는 1998년에 6량 186량이 제작되어 베이징 지하철 1호선에 투입된 전동차이다. 이 차량은 베이징 지하철 최초의 VVVF 인버터 제어 방식 차량이며, 2007년부터 개조를 통해 외부 도색 변경, 냉방 장치 설치, 신호 시스템 개량을 거쳤다. 현재 쓰후이 차량기지와 구청 차량기지에 배치되어 운행 중이며, 2009년과 2013년에 차량 고장으로 운행이 중단된 사례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징 지하철의 철도 차량 - 베이징 지하철 DK1형 전동차
베이징 지하철 DK1형 전동차는 1967년 베이징 지하철 1호선 개통을 위해 제작된 2량의 전동차이며, 모스크바 지하철 D형 전동차를 참고하여 만들어졌지만, 터널 제한으로 본선 운행은 불가능했고, 2015년에 복원되었다. - 베이징 지하철의 철도 차량 - 베이징 지하철 DKZ6형 전동차
베이징 지하철 DKZ6형 전동차는 승객 편의를 위한 내구성 강한 의자, LED 조명, 노선도 및 안내 정보 LED 디스플레이와 안전 설비를 갖춘 베이징 지하철 운행 전동차이다.
베이징 지하철 DKZ4형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차량 정보 | |
차량 이름 | 베이징 지하철 DKZ4형 전동차 |
회사 색상 | #A12830 |
제조 년도 | 1998~2001년 |
제조 수량 | 186량 |
설계 최고 속도 | 80km/h |
영업 최고 속도 | 70km/h |
기동 가속도 | 3.0km/h/s |
상용 감속도 | 3.6km/h/s |
비상 감속도 | 4.3km/h/s |
전체 길이 | 19,000mm |
전체 폭 | 2,800mm |
전체 높이 | 3,510mm |
차량 무게 | 본문 참조 |
편성 무게 | 177.2t |
대차 | 볼스터리스 대차 |
차체 재질 | 내후성강 |
차량 정원 | 선두차: 230명 (좌석 36명) 중간차: 245명 (좌석 46명) |
편성 정원 | 1410명 (좌석 256명) |
궤간 | 1,435mm |
전기 방식 | 직류 750V (제3궤조 방식) |
주 전동기 | 도요 전기제조 TDK-6175-A 농형 삼상 유도 전동기 |
기어비 | 100/13 (7.69) |
구동 장치 | TD 평행 카르단 구동 방식 |
제어 방식 | VVVF 인버터 제어 기기 갱신 전: GTO반도체 소자 기기 갱신 후: IGBT반도체 소자 |
제어 장치 | 도요 전기제조 원 설계 기기 갱신 전: RG644-A-Mhttp://www.doc88.com/p-00024955888.html(徐惠林), 机车电传动, 2002년, 3호, 44~47쪽 도요 전기제조 제 기기 갱신 후: RG6023-A-Mhttp://file.finance.sina.com.cn/211.154.219.97:9494/MRGG/CNSESH_STOCK/2020/2020-9/2020-09-10/6599883.PDF(湖南湘电东洋电气有限公司), 2020년, 4쪽 후난샹뎬동양전기 제 |
제동 방식 | 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제동 |
제작사 | 창춘 궤도객차 |
운행 노선 | 베이징 지하철 1호선 |
2. 역사
베이징 지하철은 푸바선 개통에 대비하여 1996년 DKZ4형 전동차를 주문했다. 1998년에 총 186량(31개 편성)이 생산되었는데, 창춘 궤도객차에서 114량(S401~S419호), 베이징 지하철 차량공장에서 72량(S420~S431호)을 제작했다.[1]
1999년 푸바선에서 운행을 시작했고, 2000년부터 1호선에서 운행되었다. DKZ4형 전동차는 베이징 지하철 최초로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을 채택한 열차이다. 현재 쓰후이 차량기지와 구청 차량기지에 배치되어 있다.[1]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2007년부터 베이징 지하철 차량창에서 개조가 시작되었다.[4] 외부는 흰색에서 은회색으로 도색을 변경하고, 전기 계통에 대한 개조를 진행했다. 초기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에어컨은 설치되지 못하고 선풍기가 설치되었다.[5] 2010년에는 베이징 지하철 차량 장비 유한회사에서 칸당 12kW의 냉방 용량을 가진 마쓰시바(松芝) KLDL12AA 에어컨 4대를 추가하고,[6] 점멸 조명과 LED 디스플레이를 설치, 대부분 차량의 창문을 폐쇄식으로 변경하는 내부 개조를 진행했다. 이후 차량명을 DKZ4G로 변경하여(최초 시험 열차 S423과 S405)[7] 2012년까지 완료하였다.
1호선 새로운 CBTC 신호시스템과의 호환 시험을 위해 기존 DKZ4 차량은 조작대 변경, 차량 전면에 CBTC 신호 수신기 추가, 제어 BT 회로 변경을 포함하여, 기존 GTO-VVVF에서 도요 전기(東洋電機)IGBT-VVVF로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기존 ATP 캐비닛을 객실에 배치했다가, 1호선 CBTC 시스템이 투입됐을 때 기존 ATP 캐비닛을 모두 해체했다. 첫 번째 개조 차량은 S402였다. 현재 모든 차량을 완전히 개조하였다.
2. 1. 개발 및 도입
1996년, 베이징 지하철은 푸바선 개통에 대비하여 DKZ4형 전동차를 주문했다. DKZ4형 전동차는 DK28, DK29, DK30, DK31로 구성되어 있다. 1998년에 총 186량(31개 편성)이 생산되었는데, 이 중 114량(S401~S419호)은 창춘 궤도객차에서, 72량(S420~S431호)은 베이징 지하철 차량공장에서 제작되었다.[1]1999년 푸바선에서 운행을 시작했고, 2000년부터 1호선에서 운행되었다. DKZ4형 전동차는 베이징 지하철 최초로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을 채택한 열차이다. 현재 이 열차는 쓰후이 차량기지와 구청 차량기지에 배치되어 있다.[1]
2. 2. 개량 사업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2007년부터 베이징 지하철 차량창에서 개조가 시작되었다.[4] 외부는 흰색 도색에서 은회색 도색으로 변경하고, 전기 계통은 일련의 개조를 진행했다. 초기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열차 내부에는 에어컨이 설치되지 못했고, 대신 선풍기가 설치되었다.[5] 열차의 냉방화를 가속화하기 위해, 2010년에 DKZ4형 열차는 베이징 지하철 차량 장비 유한회사에서 칸당 냉매가 12kW인 마쓰시바(松芝) KLDL12AA 에어컨 4대를 추가하고,[6] 점멸 조명과 LED 디스플레이를 설치하고 대부분 차량의 창문을 폐쇄식으로 변경하는 내부 개조를 진행했다. 이후 차량명을 DKZ4G로 변경(최초 시험 열차 S423과 S405)하여[7] 2012년까지 완료하였다.1호선 새로운 CBTC 신호시스템과의 호환 시험을 위해 기존 DKZ4 차량은 조작대 변경, 차량 전면에 CBTC 신호 수신기 추가, 제어 BT 회로 변경을 포함하여, 기존 GTO-VVVF에서 도요 전기(東洋電機)IGBT-VVVF로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기존 ATP 캐비닛을 객실에 배치했다가, 1호선 CBTC 시스템이 투입됐을 때 기존 ATP 캐비닛을 모두 해체했다. 첫 번째 개조 차량은 S402였다. 현재 모든 차량을 완전히 개조하였다.
3. 구조 및 특징
DKZ4형 전동차는 드럼형 차체를 사용하며, 출입문은 공압 내장형 미닫이 방식이다. 객차마다 4쌍의 출입문이 있고, 객실 간 통로문은 자동으로 닫힌다. 차량에는 LED 전자 노선도와 LCD 모니터가 장착되어 있다.
열차의 제어 장치는 원래 도요 전기 제조에서 제작한 GTO-VVVF(출력 1200KVA, GTO 4500V/4000A)이다. 주간제어기는 핸들식이며, 가속 4단 + 제동 7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 전원 장치는 40KVA 출력의 정지형 인버터로, 직류 750V를 교류 220V·직류 110V·직류 24V로 변환한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2007년부터 베이징 지하철 차량창에서 개조가 시작되었으며,[4] 2010년에는 베이징 지하철 차량 장비 유한회사에서 칸당 12kW의 마쓰시바(松芝) KLDL12AA 에어컨 4대를 객차에 추가 설치하였다.[6]
1호선의 새로운 CBTC 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운전대 콘솔 변경, CBTC용 보안 장치 설치, 제어 장치 교체가 이루어졌다. 제어 장치는 도요 전기 제조가 설계하고 후난 샹뎬 동양 전기에서 제작한 IGBT 소자 VVVF 인버터로 변경되었다.[2]
DKZ4형 전동차는 6량 편성으로 구성되며, Mc칸은 동력차, T칸은 무동력차, M칸은 동력 객차를 의미한다. 편성표와 개조 후 주요 기기 상세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객차번호 | 1 | 2 | 3 | 4 | 5 | 6 |
---|---|---|---|---|---|---|
집전장치 | 있음 | 있음 | 있음 | |||
객차 유형 | DK28 | DK30 | DK29 | DK31 | DK31 | DK28 |
형태 구분 | S4XX1 (Mc) | S4XX2 (T) | S4XX3 (M) | S4XX4 (T) | S4XX5 (T) | S4XX6 (Mc) |
동력장치 | 장치1 | 장치2 | 장치3 | |||
기계 설치 | SIV | SIV | ||||
차량 중량 | 33.5ton | 26.9ton | 32.1ton | 24.3ton | 26.9ton | 33.5ton |
승객적재량 | 230명 | 245명 | 245명 | 245명 | 245명 | 230명 |
- SIV: 보조 전원 장치 (정지형 인버터)
- SIV: 보조 전원 장치 (정지형 인버터)
3. 1. 차체
열차는 드럼형 차체를 사용하며, 출입문은 공압 내장형 미닫이 방식이다. 객차마다 4쌍의 출입문이 있고, 객실 간 통로문은 자동으로 닫힌다. 차량에는 LED 전자 노선도와 LCD 모니터가 장착되어 있다.3. 2. 주요 기기
열차의 제어 장치는 원래 도요 전기 제조에서 제작한 GTO-VVVF(출력 1200KVA, GTO 4500V/4000A)이다.[1] 주간제어기는 핸들식이며, 가속 4단 + 제동 7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 전원 장치는 40KVA 출력의 정지형 인버터로, 직류 750V를 교류 220V·직류 110V·직류 24V로 변환한다.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2007년부터 베이징 지하철 차량창에서 개조가 시작되었으며,[4] 2010년에는 베이징 지하철 차량 장비 유한회사에서 칸당 12kW의 마쓰시바(松芝) KLDL12AA 에어컨 4대를 객차에 추가 설치하였다.[6]
1호선의 새로운 CBTC 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운전대 콘솔 변경, CBTC용 보안 장치 설치, 제어 장치 교체가 이루어졌다. 제어 장치는 동양 전기 제조가 설계하고 후난 샹뎬 동양 전기에서 제작한 IGBT 소자 VVVF 인버터로 변경되었다.[2]
3. 3. 편성
(Mc)(T)
(M)
(T)
(T)
(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