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타캠은 1982년 소니가 출시한 아날로그 컴포넌트 비디오 포맷으로, 방송 품질 녹화를 가능하게 했다. 이후 베타캠 SP, 디지털 베타캠, 베타캠 SX, MPEG IMX, HDCAM, HDCAM SR 등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었다. 각 형식은 비디오 압축 방식, 해상도, 비트 전송률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뉴스 취재, 텔레비전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베타캠 | |
---|---|
개요 | |
![]() | |
종류 | 자기 카세트 테이프, ½인치 |
인코딩 | NTSC, PAL, 디지털 비디오, 고화질 비디오 |
출시 | 1982년 8월 7일 |
수명 | 1982년 8월 - 2016년 3월 |
기술 지원 | 1982년 - 2023년 |
용량 | 해당 없음 |
읽기 | 헬리컬 스캔 |
쓰기 | 헬리컬 스캔 |
표준 | 인터레이스 비디오, 프로그레시브 비디오 |
소유자 | 소니 |
용도 | 비디오 제작 |
확장 이전 | 해당 없음 |
확장 이후 | 해당 없음 |
설명 | |
관련 포맷 | |
![]() |
2. 종류
베타캠은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출시되었다.
- 베타캠 / 베타캠 SP: 1982년 캠코더 형태로 출시되어 카메라맨의 기동성을 높였다. U 규격 대신 컴포넌트 방식의 Y-C 듀얼 트랙을 사용해 고화질을 실현했다. 1986년 메탈 테이프를 사용한 베타캠 SP는 화질과 기능을 더욱 향상시켜 1990년대 후반까지 방송 및 고급 제작 분야에서 표준으로 사용되었다.
- 디지털 베타캠: 1993년 출시된 '디지베타'는 베타캠 SP의 저렴한 대체 포맷이었다. YUV 4:2:2 샘플링과 DCT 압축, SDI 연결을 사용했다.
- 베타캠 SX: 1996년 출시된 베타캠 SP의 디지털 버전으로, MPEG-2 압축을 사용해 뉴스 취재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 MPEG IMX: 2000년 개발된 디지털 베타캠 포맷으로, H.262/MPEG-2 파트 2 인코딩과 인트라 프레임 압축을 사용했다.
- HDCAM / HDCAM SR: 1997년 출시된 최초의 HD 베타캠 포맷이다. HDCAM SR (2003년)은 HDCAM보다 높은 비트 전송률과 향상된 화질을 제공했다.
각 포맷은 화질, 녹화 시간, 기능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방송 및 영상 제작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2. 1. 베타캠 (Betacam)
1982년 8월 7일에 출시된 최초의 베타캠 포맷이다. 아날로그 컴포넌트 비디오 방식으로, 휘도(Y) 신호와 색차 신호를 분리하여 기록한다.[3] 휘도 신호는 한 트랙에 저장하고, 색차 신호는 R-Y와 B-Y 성분을 교대로 분할하여 압축 시분할 다중화(CTDM) 방식으로 다른 트랙에 저장한다.[3] 이러한 방식은 300개의 수평 휘도 해상도 라인과 120개의 색차 해상도 라인을 가진 방송 품질 녹화를 가능하게 했다.[3] 이는 가정용 베타맥스 및 전문가용 U-매틱 포맷보다 우수한 화질이었다.베타캠 카세트는 산화철 테이프를 사용하며, 소비자용 베타맥스 카세트와 동일한 크기(15.1 × 9.5 × 2.5 cm)를 사용한다.[5] 베타캠 카세트는 베타맥스 VCR에서 사용할 수 있었고, 빈 베타맥스 테이프도 베타캠 데크에서 작동했다. 그러나 소니는 베타맥스 카세트의 내부 테이프 구동 장치가 베타캠의 빠른 테이프 구동에 적합하지 않다고 언급하며 이러한 관행을 권장하지 않았다.
베타맥스와 베타캠은 동일한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매우 다른 포맷이다. 베타맥스는 이종 색상 기록 시스템과 두 개의 기록 헤드를 사용하여 저해상도 비디오를 기록하는 반면, 베타캠은 4개의 헤드를 사용하여 컴포넌트 형식으로 기록하며, 훨씬 더 높은 선형 테이프 속도(10.15cm)를 사용하여 더 높은 비디오 및 오디오 품질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L-750 길이의 베타맥스 카세트는 베타맥스 VCR에서 약 3시간의 녹화 시간을 제공하지만, 베타캠 VCR 또는 캠코더에서는 30분의 녹화 시간만 제공했다.
베타캠은 처음에는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와 함께 카메라 라인으로 도입되었다. 최초의 카메라는 세 개의 사티콘 튜브를 사용하는 BVP-3, 세 개의 플럼비콘 튜브를 사용하는 BVP-30, 단일 트라이 스트라이프 SMF(사티콘 혼합 필드) 트리니콘 튜브를 사용하는 BVP-1이었다. 이 카메라들은 BVW-1(BVW-1A) 통합 캠코더를 형성하기 위해 도킹 컴패니언 VTR과 함께 사용될 수 있었다.
ENG 취재에 사용되는 장비는 비디오 카메라부와 U 규격 등의 VTR부가 분리되어 있어 기동성이 부족했다. 1982년에 베타캠 방식의 카메라 일체형 VTR "BVW-1"이 등장하면서, 비디오 카메라와 VTR이 일체화(캠코더)되어 카메라맨의 기동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U 규격의 컬러 저역 변환 방식 대신 컴포넌트 방식의 Y-C 별 듀얼 트랙을 사용한 직접 기록을 채용하여 고화질을 실현했다.
1983년에는 편집 기능이 있는 레코더 "BVW-40"이 출시되어, 수록부터 편집, 송출에 이르기까지 베타캠을 이용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해졌다.
산화 테이프를 사용하는 오리지널 베타캠의 주요 기술적 사양은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
기록 방식 | 휘도: FM 방식, 크로마: 시분할·시간 압축 크로마 FM 방식 |
기록 대역 | 휘도: 30Hz ~ 4.1MHz, R-Y, B-Y: 30Hz ~ 1.5MHz |
SN비 | 48dB 이상 |
테이프 속도 | 118.6mm |
2. 2. 베타캠 SP (Betacam SP)
1986년에 출시된 베타캠 SP는 "Superior Performance"의 약자로, 기존 베타캠 포맷을 개선하여 화질과 기능을 향상시켰다.[7] 수평 해상도를 340라인으로 높였으며, 특히 VTR의 품질과 기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기존 카세트 외에 더 큰 카세트(25.3 × 14.4 × 2.5 cm)를 도입하여 최대 90분(L 카세트)까지 녹화할 수 있게 되었다.[5] 베타캠 SP는 1990년대 후반까지 대부분의 방송국과 고급 제작 회사에서 업계 표준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2001년에 단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대까지 표준 화질 비디오 후반 작업의 표준으로 남아 있었다.베타캠 SP는 산화철 테이프를 사용한 기존 베타캠과 달리 금속 테이프를 사용하여 "Superior Performance"라는 이름을 얻었다. 소니는 베타캠 SP 데크에서 녹화된 베타캠 SP 테이프를 산화형 베타캠 VTR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상위 호환성을 부분적으로 제공했지만, 재생만 가능했다. 베타캠 SP 브랜드 테이프는 베타맥스 데크의 비디오 헤드를 조기에 마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용 베타맥스 VCR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지만, ED 베타 VCR에서는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었다.
새로운 베타캠 SP 스튜디오 데크로는 플레이어인 BVW-60 및 BVW-65 (BVW-65는 다이나믹 트래킹 기능 포함), 편집 레코더인 BVW-70 및 다이나믹 트래킹 모델인 BVW-75가 있었다. BVV-5는 베타캠 SP 도킹 카메라 백으로, 해당 재생 어댑터를 사용하면 컬러로 재생할 수 있었다. 새로운 SP 현장 레코더인 BVW-35는 편집 피더 데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 RS422 시리얼 제어 포트를 추가했다. 새로운 스튜디오 데크는 90분 베타캠 SP 카세트를 모두 사용할 수 있었지만, BVW-35는 기존 베타캠 소형 30분 카세트로 제한되었다. 소니는 또한 저렴한 데스크탑 모델인 BVW-22를 출시하여 베타캠 SP와 산화형 유형 모두의 90분 카세트를 보고 로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소니는 대형 90분 카세트를 녹화하고 재생할 수 있는 SP 현장 레코더 BVW-50을 출시했다. 그 후, 이 데크 라인은 디지털 오디오를 녹음할 수 있는 일부 특수 모델 외에는 10년 동안 비교적 정체되었지만 큰 인기를 누렸다.
BVW-200 카메라가 도입되기 전까지, 카메라와 레코더 구성은 도킹 시스템이었다. BVW-200은 통합 카메라 레코더 시스템이었지만, 무게를 줄이기 위해 도킹 카메라의 유연성을 희생했다. 1990년대 중반까지 도킹하지 않는 캠코더가 가장 인기 있는 디자인이 되었다.
최종 베타캠 SP 캠코더는 BVW-D600으로, 디지털 전문 비디오 카메라 전면부(DigiBeta DVW-700과 유사)와 통합된 베타캠 SP 레코더를 결합했다. 다른 모든 베타캠 카메라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DigiBeta DVW-700과 달리 이 카메라는 외부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컬러로 재생할 수 없었다.
1991년에는 보다 저렴한 "Professional" PV 라인의 베타캠 SP 데크가 도입되었다. PV 라인은 PVW-2600 (VTP), PVW-2650 (다이나믹 트래킹 포함), PVW-2800 (VTR) 편집 데크, 그리고 PVV-3 카메라 도킹 가능한 VTR의 4개 모델로 구성되었다. 이 기계들은 원래 BV 시리즈 기계와 유사했지만 세 번째 및 네 번째 오디오 채널이 없었다. 1993년에는 훨씬 저렴한 UVW 시리즈가 출시되었다. 이 기계들은 상당히 단순하고 다소 품질이 낮았으며, 주로 컴퓨터 시스템, 산업용 비디오 및 기타 저비용, 고품질 용도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UVW 데크는 매우 제한적인 전면 패널 컨트롤, 조그 및 셔틀이 없었으며 (DSRM-10 케이블 리모컨 사용 제외), 타임 베이스 정정기 (TBC) 제어는 선택 사양인 리모컨 TBC 컨트롤러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UVW-1800 (편집 VTR), UVW-1600 (편집 VTP), UVW-1400 (VTR), UVW-1200 (VTP), UVW-100 (원피스 캠코더) 등이 UVW 시리즈에 포함되었다.
ENG 취재에 사용되는 장비는 비디오 카메라부와 U 규격 등의 VTR부가 분리되어 있어 기동성이 부족했다. 1982년에 베타캠 방식의 카메라 일체형 VTR "BVW-1"이 등장하면서 캠코더 형태로 발전했고, 카메라맨의 기동력이 향상되었다. U 규격의 컬러 저역 변환 방식 대신 컴포넌트 방식의 Y-C 별 듀얼 트랙을 사용한 직접 기록을 채용하여 고화질을 실현했다. 소니는 다른 카메라 제조사와 제휴하여 BETACAM 녹화기와 일체형으로 만들 수 있는 카메라를 출시하여 이 포맷을 확산시켰다.
같은 시기에 파나소닉(구 마쓰시타 전기 산업)은 VHS테이프에 컴포넌트 기록을 수행하는 M 규격(M 비전)을 개발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1986년에는 BETACAM-SP를 따라 메탈 테이프화한 MII 방식을 출시했지만, 재생 호환성을 확보한 BETACAM 그룹이 계속해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유지했다. 베타맥스와 같은 1/2인치 폭의 테이프를 사용하지만, 주행 속도가 달라 테이프 재질이 약간 다르다.
1983년에는 편집 기능이 있는 레코더 "BVW-40"이 출시되어, 수록부터 편집, 송출에 이르기까지 BETACAM에 의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해졌다. 프레임 단위의 편집 정밀도가 향상되어 보도 부문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는 프로그램이나 CM 송출에 D2-VTR이 표준으로 사용되었지만, 케이블 TV국의 프로그램 송출용이나, 비용을 중시하는 구미의 방송국에서는 프로그램 및 CM 송출용으로도 널리 사용되었다. 카세트 방식을 활용하여 카트 시스템(오토 체인저)이 아사카 등에서 제공되었고, SONY 자체도 D2용 카트인 LMS의 저가 버전으로 베타 카트를 출시했다.
1990년대 후반, 마쓰시타 전기의 "MII 프로마인드" 시리즈에 대항하여 "2000PRO 시리즈"(PVW-xxxx)를 출시했다. 방송용 BVW 시리즈에 비해 기능을 줄여 저비용으로 BETACAM 도입이 가능해졌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문교·의료 분야용도 의식하여 투입된 "UVW 시리즈"에서는 AFM 음성 2ch에 더해, VITC(수직 귀선 기간 내 타임 코드)가 생략되었다.
BETACAM-SP에서 도입된 "라지 카세트"가 후에 오리지널 BETACAM으로도 계승되었으며, 카세트 사이즈는 "스몰 카세트"(최대 30분)와 "라지 카세트"(최대 90분)의 2종류가 존재한다.
방송·업무용으로 널리 보급되어, 후속 디지털 기록 버전인 Digital BETACAM·BETACAM-SX·MPEG IMX 및 HDCAM 등에서도 BETACAM-SP의 재생만 가능하도록 한 모델도 설정되었다.
금속 테이프 규격
항목 | PVW 시리즈 | UVW 시리즈 |
---|---|---|
기록 대역 (휘도) | 30Hz~4.5MHz | 30Hz~4.0MHz |
색차 신호 | 베타캠과 동등 | 베타캠과 동등 |
S/N비 | 51dB 이상 | 49dB 이상 |
2. 3. 디지털 베타캠 (Digital Betacam)
1993년 6월 10일 몽트뢰에서 열린 제18회 국제 텔레비전 심포지엄에서 처음 소개된 디지털 베타캠은[8] 일반적으로 '디지베타', 'D-베타', 'DBC' 또는 단순히 '디지'로 불린다. 이 포맷은 베타캠과 베타캠 SP를 대체하는 저렴한 형식이었으나,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이유로 두 형식은 함께 사용되었다. 디지털 베타캠은 S 테이프에서 최대 40분, L 테이프에서 최대 124분까지 녹화할 수 있다.디지털 베타캠 형식은 90Mbit/s의 비트 전송률로 10비트 YUV 4:2:2 샘플링의 2.34:1 DCT-압축된 디지털 컴포넌트 비디오 신호[9]를 NTSC (720×486) 또는 PAL (720×576) 해상도로 기록하며, 비압축 48kHz / 20비트 PCM 인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4채널을 함께 제공한다. 큐잉을 위한 다섯 번째 아날로그 오디오 트랙과 선형 타임 코드 트랙도 테이프에 사용된다. 이 형식은 방송 텔레비전에서 널리 사용되는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형식이였다. NTSC 비디오의 경우 지름 81mm의 헤드 드럼이 사용되며, 이 드럼은 5400RPM으로 회전한다. 드럼의 비디오 헤드는 24미크론 폭의 헬리컬 트랙을 읽으며, 오디오 역시 헬리컬 트랙에 기록된다. 디지털 베타캠에서 사용되는 압축 알고리즘은 독점적이다.[10]
소니가 디지털 베타캠 데크에 SDI 동축 디지털 연결을 구현한 것은 이 포맷의 채택을 도운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SDI 덕분에 시설에서는 고가의 재설치 없이 기존 동축 배선에서 디지털 신호를 사용할 수 있었다.[11]


2. 4. 베타캠 SX (Betacam SX)
'''베타캠 SX'''는 1996년에 도입된 베타캠 SP의 디지털 버전으로, 디지털 베타캠보다 저렴하여 뉴스 취재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MPEG-2 4:2:2 프로파일@ML 압축을 사용하여 비디오를 저장하며, 4개의 48kHz 16비트 PCM 오디오 채널을 지원한다.[10] 모든 베타캠 SX 장비는 베타캠 SP 테이프와 호환된다. S 테이프는 최대 62분, L 테이프는 최대 194분까지 녹화할 수 있다.베타캠 SX 시스템은 베타캠 및 베타캠 SP 테이프를 사용했던 뉴스 수집 작업에 매우 성공적으로 도입되었다. DNW-A75 또는 DNW-A50과 같은 일부 베타캠 SX 데크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재생 헤드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아날로그 테이프에서 기본적으로 재생하고 작업할 수 있다.
베타캠 SX는 CCIR 601을 준수하는 MPEG-2 4:2:2P@ML 압축을 사용하며,[10] 다른 유사 시스템이 코딩에 4:1:1 또는 4:2:0 크로마 서브샘플링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더 나은 크로마 해상도를 제공하여 크로마키와 같은 특정 후반 작업 처리에 유리하다.
이 형식은 비디오 신호를 약 180Mbit/s에서 18Mbit/s로 압축한다. 이는 약 10:1의 압축률을 의미하며,[10] 대체 프레임을 MPEG I-프레임과 B-프레임으로 저장하여 테이프에 IBIB 시퀀스를 생성하는 완만한 시간 압축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낮은 비트 전송률로 인해 이 형식은 어떤 표준 기구에서도 표준화되지 않았다.[10]
소니는 베타캠 SX와 함께 동일한 데크에서 테이프와 디스크 녹화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고속 더빙을 허용하는 하이브리드 레코더를 도입했다. 이는 텔레비전 스튜디오 응용 분야에서 비디오 녹화 헤드의 마모를 줄이고 온라인 편집 속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
베타캠 SX는 또한 각 장면을 편집 과정에서 활용하기 위해 카메라에서 내린 질적 결정에 대한 표시를 할 수 있는 '굿 샷 마크'(good shot mark)[12] 기능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테이프를 빠르게 스캔하고 각 카세트에 기록된 마크를 보고 운영자에게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음향 기록자들은 카메라 자체의 작동 소음이 상당히 크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컴퓨터 처리 능력의 양과 그에 따른 열 발생으로 인해 카메라를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냉각 팬이 사용되기 때문일 수 있다.
베타캠 SX 테이프 쉘은 밝은 노란색이지만, SX 녹화는 아날로그 베타캠 SP 카세트에도 기록될 수 있다. 물론 SX 녹화가 있는 베타캠 SP 테이프를 베타캠 SP 플레이어에 삽입하면 그림이나 소리가 나타나지 않는다.
헬리컬 스캔 헤드 드럼의 직경은 81mm이다. 드럼의 비디오 헤드가 읽는 비디오 트랙은 32미크론 너비이며, 드럼은 NTSC 비디오의 경우 5400RPM으로 회전한다. 비디오 헤드는 15.25도의 방위각을 갖는다.[10]
베타캠 SX 기기는 2008년부터 생산이 중단되었지만, CTV 텔레비전 네트워크(CTV Television Network), WSB-TV, KFMB-TV, KNTV, KSTS를 포함한 많은 뉴스 수집 작업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많은 뉴스 아카이브에 여전히 SX 테이프가 보관되어 있다. 2011년 8월, 무아마르 카다피의 트리폴리 지하 스튜디오에서 베타캠 SX 테이프가 발견되었다. CNN 기자 사라 시드너는 CNN이 여전히 동일한 유형의 테이프를 사용한다고 방송에서 언급했다.[13]



2. 5. MPEG IMX

'''MPEG IMX'''는 2000년에 개발된 디지털 베타캠 형식이다. 영상 압축은 베타캠 SX보다 높은 비트 전송률로 H.262/MPEG-2 파트 2 인코딩을 사용한다: 30Mbit/s (6:1 압축), 40Mbit/s (4:1 압축) 또는 50Mbit/s (3.3:1 압축). 다른 대부분의 MPEG-2 구현과 달리, IMX는 인트라 프레임 압축을 사용한다. 또한 IMX는 각 프레임이 비디오 테이프에 쉽게 기록할 수 있도록 바이트 단위로 정확히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보장한다. IMX 형식으로 녹화된 비디오는 CCIR 601 사양을 준수하며, 8개의 오디오 채널과 타임코드 트랙을 갖추고 있다. 디지털 베타캠과 같은 아날로그 오디오(큐) 트랙이 없지만, 재생용으로 사용하면 채널 7로 읽어들인다. 이 형식은 SMPTE 365M 및 SMPTE 356M에서 "MPEG D10 스트리밍"으로 표준화되었다.[14]
소니는 IMX VTR을 통해 SDTI와 e-VTR을 포함한 몇 가지 새로운 기술을 도입했다. SDTI를 사용하면 오디오, 비디오, 타임코드 및 원격 제어 기능을 단일 동축 케이블로 전송할 수 있으며, e-VTR 기술은 VTR 자체의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IP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확장한다.
모든 IMX VTR은 기본적으로 베타캠 SX 테이프를 재생할 수 있으며, MSW-M2000P/1과 같은 일부는 디지털 베타캠 카세트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베타캠 및 베타캠 SP 카세트도 재생할 수 있지만, 네이티브 IMX 카세트에만 기록할 수 있다. S 테이프는 최대 60분 용량으로 제공되며, L 테이프는 최대 184분을 담을 수 있다. 이 값은 525/60 데크에 대한 것이지만 625/50에서는 연장된다. 184분 테이프는 라벨 자체에 지정된 대로 220분 동안 기록한다.
IMX 기기는 베타캠 SX와 동일한 "굿 샷 마크" 기능을 특징으로 한다.
MPEG IMX 카세트는 톤 다운된 녹색이다.
이 형식은 직경 80mm의 헬리컬 스캔 헤드 드럼을 사용한다. 드럼의 비디오 헤드가 읽는 비디오 트랙은 22micron 너비이다. 비디오 헤드는 15.25도 방위각을 갖는다. 4:2:2 크로마 서브샘플링을 사용하며, 드럼은 NTSC 비디오의 경우 5400 RPM으로 회전한다. MPEG 형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디오는 8비트 샘플(8비트 색상)로 기록된다.[10]
2003년에 공개된 XDCAM 형식은 프로페셔널 디스크에 MXF 컨테이너에 MPEG IMX 비디오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2. 6. HDCAM / HDCAM SR
HDCAM은 1997년에 출시된 최초의 HD 베타캠 포맷이다. HDCAM SR은 2003년에 출시되었으며, HDCAM보다 높은 비트 전송률과 향상된 화질을 제공한다. HDTV 방송 제작에 널리 사용되었다. 일부 HDCAM VTR은 이전 베타캠 포맷을 재생할 수 있다.3. 기술적 특징
베타캠은 아날로그 컴포넌트 비디오 포맷으로, 휘도 신호("Y")는 한 트랙에, 색차 신호는 R-Y와 B-Y 성분을 교대로 분할하여 압축 시분할 다중화(CTDM)하는 방식으로 다른 트랙에 저장한다.[3] 이러한 채널 분리 덕분에 300개의 수평 휘도 해상도 라인과 120개의 색차 해상도 라인을 가진 방송 품질 녹화가 가능했다. 이는 가정용 베타맥스 및 전문가용 U-매틱 포맷에 비해 저렴한 카세트 기반 포맷에서 우수한 품질을 제공했다.
원래 베타캠 카세트는 1975년 소니가 출시한 소비자용 베타맥스와 디자인 및 크기(15.1 × 9.5 × 2.5 cm)가 동일했다.[5] 베타캠 카세트는 베타맥스 VCR에서 사용할 수 있었고, 빈 베타맥스 테이프도 베타캠 데크에서 작동했다. 그러나 소니는 베타맥스 카세트의 내부 테이프 구동 장치가 베타캠의 빠른 테이프 구동에 적합하지 않다고 언급하며 이러한 관행을 권장하지 않았다.
베타맥스와 베타캠은 동일한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매우 다른 포맷이다. 베타맥스는 이종 색상 기록 시스템과 두 개의 기록 헤드를 사용하여 저해상도 비디오를 기록하는 반면, 베타캠은 4개의 헤드를 사용하여 컴포넌트 형식으로 기록하며, 훨씬 더 높은 선형 테이프 속도(10.15 cm/s)를 사용하여 베타맥스(1.87 cm/s)보다 훨씬 높은 비디오 및 오디오 품질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L-750 길이의 베타맥스 카세트는 베타맥스 VCR에서 약 3시간의 녹화 시간을 제공하지만, 베타캠 VCR 또는 캠코더에서는 30분의 녹화 시간만 제공했다.
1987년, 베타캠 SP(일반적으로 베타 SP로 불림)가 출시되어[7] 수평 해상도를 340라인으로 증가시켰다. 더 큰 카세트(25.3 × 14.4 × 2.5 cm)[5]가 도입되어 90분 녹화가 가능했다. 베타캠 SP는 1990년대 후반까지 대부분의 방송국과 고급 제작 회사의 업계 표준이 되었다.
디지털 베타캠(일반적으로 디지베타, D-베타, DBC 또는 단순히 디지로 불림)는 1993년에 출시되었다.[8] 이 형식은 베타캠과 베타캠 SP를 대체하며, 최초의 100% 비압축 D1 형식보다 훨씬 저렴했다. S 테이프는 최대 40분, L 테이프는 최대 124분까지 사용 가능하다. 디지털 베타캠은 90Mbit/s의 비트 전송률로 10비트 YUV 4:2:2 샘플링의 2.34:1 DCT-압축된 디지털 컴포넌트 비디오 신호[9]를 NTSC (720×486) 또는 PAL (720×576) 해상도로 기록하며, 비압축 48kHz / 20비트 PCM 인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4채널을 함께 제공한다.
베타캠 SX는 1996년에 도입된 베타캠 SP의 디지털 버전으로, MPEG-2 4:2:2 프로파일@ML 압축을 사용하여 비디오를 저장한다.
MPEG IMX는 2000년에 개발된 디지털 베타캠 형식으로, 베타캠 SX보다 높은 비트 전송률로 H.262/MPEG-2 파트 2 인코딩을 사용한다.
3. 1. 기록 방식
베타캠은 휘도(Y) 신호는 FM 방식으로, 색차(R-Y, B-Y) 신호는 시분할·시간 압축 크로마 FM 방식으로 기록한다.[3]1987년에 출시된 베타캠 SP는 금속 테이프를 사용하여 화질을 개선하고, 기록 대역을 확장했다.[7] 휘도 기록 대역은 30Hz~4.5MHz (PVW 시리즈) 또는 30Hz~4.0MHz (UVW 시리즈)이며, 색차 신호는 베타캠과 동일하다. 신호 대 잡음비(S/N비)는 51dB 이상 (PVW 시리즈 금속 테이프) 또는 49dB 이상 (UVW 시리즈)이다.
구분 | 산화 테이프 | 금속 테이프 (PVW 시리즈) | 금속 테이프 (UVW 시리즈) |
---|---|---|---|
기록 방식 | 휘도: FM 방식, 크로마: 시분할·시간 압축 크로마 FM 방식 | (베타캠 SP와 동일) | |
기록 대역 | 휘도: 30Hz ~ 4.1MHz, R-Y, B-Y: 30Hz ~ 1.5MHz | 휘도: 30Hz ~ 4.5MHz | 휘도: 30Hz ~ 4.0MHz |
S/N비 | 48dB 이상 | 51dB 이상 | 49dB 이상 |
디지털 베타캠은 10비트 YUV 4:2:2 샘플링의 2.34:1 DCT 압축된 디지털 컴포넌트 비디오 신호를 기록한다.[9] NTSC (720×486) 또는 PAL (720×576) 해상도로 기록하며, 비압축 48kHz / 20비트 PCM 인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4채널을 함께 제공한다.
베타캠 SX는 MPEG-2 4:2:2 프로파일@ML 압축을 사용하여 비디오를 저장한다.
MPEG IMX는 인트라 프레임 압축을 사용하며, 각 프레임이 바이트 단위로 정확히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보장한다.
HDCAM은 8비트 DCT 압축 3:1:1 레코딩을 사용하며, 1440x1080의 다운샘플링 해상도를 지원한다. HDCAM SR은 10비트 4:2:2 또는 4:4:4 RGB로 440 Mbit/s의 비트 전송률로 녹화할 수 있다.
3. 2. 인터페이스
베타캠은 일반적인 컴포지트 비디오 신호 외에 자체 컴포넌트 신호 인터페이스나 CTDM 신호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는 BNC 커넥터 3개 또는 12핀 커넥터를 사용하여 연결한다.4. 한국 방송 환경에 미친 영향
베타캠은 1980년대 중반부터 한국 방송 제작 환경에 도입되어 뉴스 취재 및 프로그램 제작의 효율성을 높였다. KBS와 MBC 등 주요 방송사에서 베타캠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방송 제작 시스템의 현대화를 이끌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베타캠 시스템이 널리 보급되었으며, 이는 한국 방송 기술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1]
하지만 베타캠 장비의 높은 가격과 외산 장비 의존도는 한국 방송 산업의 과제로 남아있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송 장비 국산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다.[1]
5. 주요 장비
베타캠은 다양한 종류의 장비를 제공했다. 일체형 카메라인 캠코더, 스튜디오 및 휴대용 VTR, 그리고 카메라와 도킹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커블 VTR 등이 출시되었다.
캠코더
모델명 | 명칭 및 개요 | 가격 (세금 별도) |
---|---|---|
BVW-1 | 카메라부 BVP-1과 VTR부 BVV-1의 조합 | |
BVW-2N | NHK(일본방송협회) 전용 특수 장비. 베타무비와 마찬가지로 고속 읽기 간헐 기록 수행 [15] | |
BVW-3 | 카메라부 BVP-3과 VTR부 BVV-1의 조합 | |
BVW-200 | 2/3인치 27만 화소 IT형 CCD 2000LUX/F5.6 (BVP-5 동등) | |
BVW-200N | 2/3인치 27만 화소 IT형 CCD 2000LUX/F5.6 (BVP-5 동등, NHK 사양) | |
BVW-300 | 2/3인치 38만 화소 IT형 CCD 2000LUX/F5.6 (BVP-7 동등) | |
BVW-300A | 2/3인치 38만 화소 IT형 CCD 2000LUX/F8 (BVP-7A 동등) | 460만 엔 |
BVW-400 | 2/3인치 38만 화소 FIT형 CCD 2000LUX/F5.6 (BVP-70 동등) | 750만 엔 |
BVW-400A | 2/3인치 38만 화소 FIT형 CCD 2000LUX/F8 (BVP-70IS 동등) | 570만 엔 |
BVW-D600 | 2/3인치 52만 화소 FIT형 CCD 2000LUX/F8 (카메라부 DVW-700 동등) | 650만 엔 |
UVW-100 | 1/2인치 42만 화소 IT형 CCD (업무용 모델) | 170만 엔 |
BVW 시리즈의 카메라부는 괄호 안에 기재된 카메라와 성능이 같지만, 리니어 매트릭스 회로가 없어 표현력은 다소 떨어진다.
스튜디오/휴대용 VTR
모델명 | 명칭 및 개요 | 가격 (세금 별도) |
---|---|---|
BVW-10 | 베타캠 S 카세트 스튜디오 플레이어 | |
BVW-11 | 베타캠 S 카세트 베타카트 탑재용 플레이어 | |
BVW-15 | 베타캠 S 카세트 DT 재생 기능 탑재 스튜디오 플레이어 | |
BVW-20 BVW-21 | 베타캠 S 카세트 휴대용 플레이어 | |
BVW-22 | 베타캠-SP S/L 카세트 거치형 오피스 뷰어 | |
BVW-25 | 베타캠 S 카세트 휴대용 레코더 | |
BVW-35 | 베타캠-SP S 카세트 휴대용 레코더 | |
BVW-40 | 베타캠 S 카세트 스튜디오 레코더 | |
BVW-50 | 베타캠-SP S/L 카세트 휴대용 레코더 | 245만 엔 |
BVW-60 | 베타캠-SP S/L 카세트 스튜디오 플레이어 | |
BVW-65 | 베타캠-SP S/L 카세트 DT 재생 기능 탑재 스튜디오 플레이어 | |
BVW-D265 | 베타캠-SP S/L 카세트 DT 재생 기능 탑재 스튜디오 플레이어 (D2-SDI 출력) | |
BVW-70 | 베타캠-SP S/L 카세트 스튜디오 레코더 | 530만 엔 |
BVW-75 | 베타캠-SP S/L 카세트 DT 재생 기능 탑재 스튜디오 레코더 | 595만 엔 |
BVW-D75 | 베타캠-SP S/L 카세트 DT 재생 기능 탑재 스튜디오 레코더 (D1-SDI 입출력) | 595만 엔 |
BVW-85 | 베타캠-SP S/L 카세트 DT 재생 기능 탑재 스튜디오 레코더 (가드 밴드 이용 2chPCM 음성 녹음/재생 대응 기기) | |
BVW-95 BVW-96 | 베타캠-SP S/L 카세트 베타카트 탑재용 플레이어 | |
BVW-9000 | 베타캠-SP S/L 카세트 슈퍼 모션 (3배속) 기록 대응 DT 재생 기능 탑재 스튜디오 레코더 | |
PVW-2600 | 베타캠 S/L 카세트 스튜디오 플레이어 (업무용 모델) | 150만 엔 |
PVW-2650 | 베타캠 S/L 카세트 DT 재생 기능 탑재 스튜디오 플레이어 (업무용 모델) | 220만 엔 |
PVW-2800 | 베타캠 S/L 카세트 스튜디오 레코더 (업무용 모델) | 220만 엔 |
UVW-1200 | 베타캠 S/L 카세트 스튜디오 플레이어 (업무용 모델, TBC 없음) | 58만 엔 |
UVW-1400 | 베타캠 S/L 카세트 RGB 입출력 대응 스튜디오 레코더 (업무용 모델, TBC 없음) | 78만 엔 |
UVW-1600 | 베타캠 S/L 카세트 스튜디오 플레이어 (업무용 모델) | 100만 엔 |
UVW-1700 | 베타캠 S/L 카세트 RGB 입출력 대응 스튜디오 레코더 (업무용 모델) | |
UVW-1800 | 베타캠 S/L 카세트 스튜디오 레코더 (업무용 모델) | 130만 엔 |
도커블 VTR
형식 | 명칭・개요 | 가격 (세금 별도) |
---|---|---|
BVV-1 | 베타캠 S 카세트 도커블 레코더 | |
BVV-1A | 베타캠 S 카세트 도커블 레코더, 타임 코드 단자 포함 | |
BVV-5 | 베타캠-SP S 카세트 도커블 레코더 | 167만 엔 |
PVV-1 PVV-1A PVV-3 | 베타캠-SP S 카세트 도커블 레코더 (업무용 모델) | 105만 엔 |
참조
[1]
웹사이트
Digital Betacam (1993 – 2016)
https://obsoletemedi[...]
2023-05-13
[2]
웹사이트
The Death of Videotape
https://www.scenesav[...]
2023-05-13
[3]
간행물
2001
[4]
웹사이트
Greentree Audio Visual
https://greentreeav.[...]
[5]
웹사이트
Automated industrial digitization of Betacam tapes
https://tech.ebu.ch/[...]
[6]
문서
[7]
웹사이트
BME 1987
https://www.worldrad[...]
[8]
웹사이트
Historia de los medios técnicos de la televisión. Grabación y reproducción de contenidos II: magnetoscopios digitales
https://tmbroadcast.[...]
2023-07-29
[9]
서적
Portable Video: ENG & EFP
CRC Press
2012-09-10
[10]
서적
Broadcast Engineer's Reference Book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2-11-12
[11]
웹사이트
Thameside TV | Broadcast Equipment For Sale And Wanted
https://www.thamesid[...]
[12]
웹사이트
The Digital Video Cassette Player—DNW-65
http://www.broadcast[...]
[13]
뉴스
CNN.com Video
https://www.cnn.com/[...]
CNN
2020-11-28
[14]
웹사이트
Material Exchange Format FAQ, by Pinnacle Systems
http://www.media-mat[...]
[15]
학술논문
取材用小形VTR一体形カメラの開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