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트남인민군총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인민군총사령부는 베트남 인민군의 최고 사령부였다. 1946년 베트남 국가군 총지휘부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54년 9월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975년 베트남 전쟁 종결과 함께 활동을 종료했다. 보응우옌잡 대장이 일관되게 총사령부의 지도자였으며, 초기에는 총지휘관, 1949년부터는 총사령관으로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령부 - 서부해군사령부
    서부해군사령부는 인도 해군의 주요 사령부로서 인도 서부 해안의 해상 안보를 책임지며 1968년 승격되어 뭄바이에 본부를 두고 아라비아 해 방어와 주요 해군 기지를 통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 베트남 인민군 - 베트남 해안경비대
    베트남 해안경비대는 1998년 창설되어 베트남 해양 주권과 안보 수호, 법 집행, 해상 범죄 대응, 해양 환경 보호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국방부 소속 해안 경비 조직이다.
  • 베트남 인민군 - 베트남 국경 경비대
    베트남 국경 경비대는 베트남 국방부 소속으로 국경을 관리하고 보호하며 안보와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핵심 전력으로, 1959년 인민무장경찰로 창설되어 명칭 변경과 소속 이관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 북베트남 - 통킹
    통킹은 베트남 북부 지방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역사적으로 하노이를 일컫던 '동낀'에서 유래했으며, 프랑스 식민 시대에는 프랑스 보호령 통킹으로 불리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였고, 홍강 삼각주를 중심으로 쌀 생산이 풍부한 아열대 기후 지역이다.
  • 북베트남 - 제네바 회담 (1954년)
    1954년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회담은 한국 전쟁 종결 및 한반도 통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평화적 해결을 목표로 주요 강대국과 관련국들이 참여했으나 한국 문제 합의에는 실패하고, 인도차이나 문제에서는 베트남 분할을 내용으로 하는 제네바 협정을 체결하여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종식시켰다.
베트남인민군총사령부
개요
명칭베트남 인민군 총사령부
원어 명칭Bộ Tổng Tư lệnh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위치베트남 하노이
역할 및 기능
역할베트남 인민군의 최고 사령부
기능군사 전략 및 작전 계획 수립
군대 조직, 훈련, 장비 관리
국가 방위 정책 실행
조직
구성총참모부
총정치국
총후근국
총기술국
국방정보총국
지휘부
총사령관현재 공석 (국방부 장관이 겸임)
총참모장응우옌떤끄엉 상장
총정치국 주임르엉끄엉 상장
역사
설립1945년
주요 활동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베트남 전쟁
중월 전쟁
기타
관련 기관베트남 국방부

2. 역사

1946년 11월, 베트남 국방부와 군사위원회의 통합 결정에 따라 '''베트남 국가군 총지휘부'''(Bộ Tổng Chỉ huy Quân đội Quốc gia Việt Namvie)가 창설되었고, 보응우옌잡 국방장관이 총지휘관을 겸임하게 되었다.[10]

이후 조직의 명칭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47년 4월에는 게릴라전과 운동전으로의 전환 및 민병 조직 참여 통지에 따라 '''국가군·자위 민병 총지휘부'''(Bộ Tổng Chỉ huy Quân đội Quốc gia và dân quân tự vệvie)로 개명되었다.[11] 1948년 4월에는 '''베트남 국가군·민병 총지휘부'''(Bộ Tổng Chỉ huy Quân đội Quốc gia và dân quân Việt Namvie)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12]

1949년 3월 12일, 국가주석령 제14호에 따라 '''베트남 국가군·민병 총사령부'''(Bộ Tổng Tư lệnh Quân đội Quốc gia và dân quân Việt Namvie)로 개명되었으며[13], 이때부터 보응우옌잡의 직함도 '총지휘관'에서 '총사령관'으로 변경되었다.

1954년 9월, 베트남 국가군·민병 총사령부는 최종적으로 '''베트남인민군총사령부'''(Bộ Tổng Tư lệnh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vie)로 개명되었다. 이 총사령부는 1975년 베트남 전쟁이 종결될 때까지 활동했으며, 전 기간 동안 보응우옌잡 대장이 유일한 총사령관이었다.

2. 1. 조직 전신

독립 직후 베트남 정부는 구 종주국 프랑스와의 전쟁을 예상하여 1946년 3월 2일에 '''전국항전위원회'''(Ủy ban Kháng chiến toàn quốcvie[1])를 창설하고, 주석에 보응우옌잡, 부주석에 부 홍 콰잉을 선출했다.

위원회는 1946년 5월 6일, 호찌민 정부 주석의 주석령[2] 제60호에 의해 '''군사위원회'''(Quân sự Ủy viên Hộivie)[3]로 개명되었으며, 줄여서 '''군위회'''(Quân ủy hộivie)라고 불렸다. 군사위원회는 총무국, 참모국, 정치국, 총지휘국, 월불군사연락검사위원회(장제스 군의 철수로 임무를 인계받음)로 구성되었다.

1946년 10월 28일부터 11월 9일까지 열린 제1기 국회 제2차 회의에서는 국방부와 군사위원회를 통합하여 국방부 및 총지휘직을 창설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보응우옌잡 국방장관은 전국군 총지휘관을 겸직하게 되었다.[4][10]

이 결정에 따라 1946년 11월 '''베트남 국가군 총지휘부'''(Bộ Tổng Chỉ huy Quân đội Quốc gia Việt Namvie)가 탄생했다.

1947년 4월, 당 중앙 간부회의에서 게릴라전과 운동전으로의 전환을 결정하고 국방부가 18세부터 45세까지의 국민에게 자위 조직(민병) 참가를 통지함에 따라, 조직 명칭은 '''국가군·자위 민병 총지휘부'''(Bộ Tổng Chỉ huy Quân đội Quốc gia và dân quân tự vệvie)로 변경되었다. 주석령 제47호에 따르면, 당시 총지휘부는 총참모부(1945년 9월 7일 설립), 정치국(1945년 9월 설립), 정보국(1947년 3월 20일 설립), 관방, 군훈국(1946년 3월 25일 설립), 감사국, 민병국(1947년 2월 12일 민병방으로 설립, 1948년 1월 개조)으로 구성되었다.[11]

1948년 4월, 국가군·자위 민병 총지휘부는 '''베트남 국가군·민병 총지휘부'''(Bộ Tổng Chỉ huy Quân đội Quốc gia và dân quân Việt Namvie)로 다시 개명되었다.[12]

1949년 3월 12일 국가주석령 제14호에 의해, 베트남 국가군·민병 총지휘부는 '''베트남 국가군·민병 총사령부'''(Bộ Tổng Tư lệnh Quân đội Quốc gia và dân quân Việt Namvie)로 개명되었다. 1950년 7월 시점에서 총사령부는 총참모부, 정치총국, 공급총국, 감사단 및 관방으로 구성되었다.[13]

1954년 9월, 베트남 국가군·민병 총사령부는 최종적으로 '''베트남인민군총사령부'''(Bộ Tổng Tư lệnh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vie)로 개명되었다. 이 총사령부는 1975년 베트남 전쟁이 종결되면서 활동을 종료했다.

이 기간 동안 보응우옌잡 대장은 일관되게 총사령부의 유일한 지도자였으며, 처음에는 「'''총지휘관'''」(Tổng Chỉ huyvie)으로 불리다가 1949년부터는 「'''총사령관'''」(Tổng Tư lệnhvie)으로 불렸다.

2. 2. 발전 과정

독립 직후 베트남 정부는 구 종주국 프랑스와의 전쟁을 예상하여 1946년 3월 2일에 '''전국항전위원회''' (Ủy ban Kháng chiến toàn quốcvie[1])를 창설했다. 위원회 주석에는 보응우옌잡, 부주석에는 부 홍 콰잉이 선출되었다.

이 위원회는 1946년 5월 6일, 호찌민 정부 주석의 주석령[2] 제60호에 따라 '''군사위원회''' (Quân sự Ủy viên Hộivie)[3]로 개명되었으며, 줄여서 '''군위회'''(Quân ủy hộivie)라고 불렸다. 군사위원회는 총무국, 참모국, 정치국, 총지휘국, 월불군사연락검사위원회(장제스 군의 철수로 임무를 인계받음)로 구성되었다.

1946년 10월 28일부터 11월 9일까지 열린 제1기 국회 제2차 회의에서는 국방부와 군사위원회를 통합하여 국방부 및 총지휘직을 창설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보응우옌잡 국방장관이 전국군 총지휘관을 겸임하게 되었다.[4][10]

그 결과 1946년 11월, '''베트남 국가군 총지휘부'''(Bộ Tổng Chỉ huy Quân đội Quốc gia Việt Namvie)가 탄생했다.

1947년 4월, 당 중앙 간부 회의에서 게릴라전과 운동전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하고, 국방성이 18세부터 45세까지의 국민에게 자위 조직(민병) 참여를 통지함에 따라, 총지휘부는 '''국가군·자위 민병 총지휘부'''(Bộ Tổng Chỉ huy Quân đội Quốc gia và dân quân tự vệvie)로 개명되었다.[5] 주석령 제47호에 따르면, 당시 총지휘부는 총참모부(1945년 9월 7일 설립), 정치국(1945년 9월 설립), 정보국(1947년 3월 20일 설립), 관방, 군훈국(1946년 3월 25일 설립), 감사국, 민병국(1947년 2월 12일 민병방으로 설립, 1948년 1월 개편)으로 구성되었다.[6][11]

1948년 4월, 국가군·자위 민병 총지휘부는 '''베트남 국가군·민병 총지휘부'''(Bộ Tổng Chỉ huy Quân đội Quốc gia và dân quân Việt Namvie)로 다시 개명되었다.[7][12]

1949년 3월 12일, 국가 주석령 제14호[8]에 따라 베트남 국가군·민병 총지휘부는 '''베트남 국가군·민병 총사령부'''(Bộ Tổng Tư lệnh Quân đội Quốc gia và dân quân Việt Namvie)로 개명했다. 1950년 7월 기준으로 총사령부는 총참모부, 정치총국, 공급총국, 감사단 및 관방으로 구성되었다.[9][13]

1954년 9월, 베트남 국가군·민병 총사령부는 '''베트남인민군총사령부'''(Bộ Tổng Tư lệnh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vie)로 최종 개명되었다. 이후 1975년 베트남 전쟁이 종결되면서 베트남인민군총사령부도 활동을 종료했다.

이 기간 동안 보응우옌잡 대장은 일관되게 총사령부의 유일한 지도자였으며, 처음에는 '''총지휘관'''(Tổng Chỉ huyvie)으로 불리다가 1949년부터는 '''총사령관'''(Tổng Tư lệnhvie)으로 불렸다.

3. 주요 인물

보응우옌잡 대장은 베트남인민군총사령부의 전신인 베트남 국가군 총지휘부가 창설된 1946년 11월부터 총사령부가 활동을 종료한 1975년까지 일관되게 유일한 지도자였다.[10] 처음에는 '''Tổng Chỉ huy|총지휘관vie'''으로 불렸으며, 1949년부터는 '''Tổng Tư lệnh|총사령관vie'''으로 불렸다.[13]

참조

[1] 문서 漢字表記では委班抗戰全國。また、Toàn quốc Kháng chiến Ủy viên Hội(全國抗戰委員會)とも呼ばれた
[2] 문서 原語はSắc lệnh、逐語訳をすると「勅令」。
[3] 법령 1946年5月6日ベトナム民主共和国政府主席令第60号 http://moj.gov.vn/vb[...] 1946-05-06
[4] 법령 1946年11月30日ベトナム民主共和国政府主席令第230号 http://moj.gov.vn/vb[...] 1946-11-30
[5] 서적 2006
[6] 법령 1947年5月1日ベトナム民主共和国政府主席令第47号 http://moj.gov.vn/vb[...] 1947-05-01
[7] 법령 1948年4月14日ベトナム民主共和国政府主席令第165号 http://moj.gov.vn/vb[...] 1948-04-14
[8] 법령 1949年3月12日ベトナム民主共和国主席令第14号 http://moj.gov.vn/vb[...] 1949-03-12
[9] 법령 1950年7月11日ベトナム民主共和国主席令第121号 http://moj.gov.vn/vb[...] 1950-07-11
[10] 법령 1946년 11월 30일 베트남 민주공화국정부 주석령 제230호 http://moj.gov.vn/vb[...] 1946-11-30
[11] 법령 1947년 5월 1일 베트남 민주공화국정부 주석령 제47호 http://moj.gov.vn/vb[...] 1947-05-01
[12] 법령 1948년 4월 14일 베트남 민주공화국정부 주석령 제165호 http://moj.gov.vn/vb[...] 1948-04-14
[13] 법령 1949년 3월 12일 베트남 민주공화국정부 주석령 제14호 http://moj.gov.vn/vb[...] 1949-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