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통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킹은 베트남 북부 지역을 가리키는 지명으로, 하노이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동경'에서 유래되었으며, 베트남어로는 '박끼' 또는 '미엔 박'으로 불린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기에는 프랑스 보호령으로 존재했으며, 홍하 삼각주를 포함한 비옥한 토지를 바탕으로 쌀 생산이 이루어졌다. 역사적으로는 찐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겪으며 독립 투쟁의 무대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베트남 - 제네바 회담 (1954년)
    1954년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회담은 한국 전쟁 종결 및 한반도 통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평화적 해결을 목표로 주요 강대국과 관련국들이 참여했으나 한국 문제 합의에는 실패하고, 인도차이나 문제에서는 베트남 분할을 내용으로 하는 제네바 협정을 체결하여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종식시켰다.
  • 북베트남 - 베트남 민주공화국
    1945년 호찌민이 독립을 선언하며 수립된 베트남 민주공화국은 프랑스와의 전쟁, 남북 분단, 베트남 전쟁을 거쳐 1976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재편되기까지 북베트남을 통치한 사회주의 국가였다.
  • 홍강 삼각주 - 하노이
    하노이는 베트남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 중 하나로, 오랜 역사 동안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기원전부터 정치적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해왔고, 프랑스 식민지 시대와 베트남 전쟁을 거쳐 통일 베트남의 수도가 되었으며, 현재는 현대적인 도시 개발과 함께 중요한 관광 명소이다.
  • 홍강 삼각주 - 하이퐁
    하이퐁은 베트남 북동부 해안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산업 중심지로, 고대 어촌에서 국제 무역 중심지로 성장하여 프랑스 식민지 시대 극동 최대 기지를 거쳐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관광 산업을 통해 베트남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베트남의 지리 - 안남산맥
    안남산맥은 베트남, 라오스 등에서 불리는 산맥으로, 안남 산맥 습윤림 생태지역을 형성하며 안남 토끼 등 희귀 생물들의 서식지이다.
  • 베트남의 지리 - 메콩강 삼각주
    메콩강 삼각주는 베트남 남부에 위치한 비옥한 충적 평야 지대로서 껀터 직할시와 12개 성을 포함하며, 복잡한 수로망을 통해 쌀 생산과 어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명과 외세의 영향을 받았으나, 현재는 기후 변화로 인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통킹
지도 정보
일반 정보
국가베트남
위치북부
프랑스어 명칭Le Tonkin
베트남어 명칭Bắc Bộ
수도 (추정)하노이
기타 명칭Đông Kinh (東京)
역사
시기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
언어
공용어베트남어
기타 사용 언어프랑스어

2. 명칭

통킹이라는 이름은 레 왕조 시기에 하노이를 일컫던 '동낀'(동낀/Đông Kinhvi, 東京)에서 유래되었으며, 서구식 표기이다.[8] 현지에서는 통킹을 '박끼'(박끼/Bắc Kỳvi, 北圻)로 부르는데, '북쪽 수도'를 의미한다. 또한, '미엔 박'(미엔 박/miền Bắcvi) 또는 '박 보'(박 보/Bắc Bộvi)라고도 불리며, '북부 지방'을 의미한다.

이 명칭은 1883년부터 1945년까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영토인 프랑스령 통킹 보호령(박끼/Bắc Kỳvi)에서 사용되었다.

3. 지리

통킹은 베트남 북부 지방으로 중국 운남(Vân Nam)과 광서(Quảng Tây)성의 남쪽, 라오스 북부의 동쪽, 그리고 통킹만의 서쪽에 위치한다.

홍하 삼각주 지역의 비옥한 홍하 유역을 갖춘 통킹은 쌀 생산이 풍부하다.

열대성 기후인 베트남 중부와 남부와는 달리 통킹은 아열대 기후를 갖는다.

4. 역사

1873년 톤킨 지역(베트남 북부)의 삼각주 평원 지도


하노이는 역사적으로 ‘동낀성’(東京城)이라고 표기했으며, 후 레 왕조 시대에 호족이었던 찐 왕조의 지배 지역이었다. 당시 유럽 사람들은 이곳을 통킹(東京國의 발음)으로 불렀다.[1]

이 지역은 기원전 2000년~기원전 200년경 문랑이라고 불렸다. 베트남 북부에서 가장 초기의 정착 사회의 증거와 함께 동선 문화는 현재 베트남 수도인 하노이 근처에 위치한 고려성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베트남 신화에 따르면 최초의 베트남 민족은 용왕 락롱균과 선녀 어 cơ에서 비롯되었다. 락롱균과 어 cơ는 헤어지기로 결정하기 전에 100명의 아들을 두었다. 50명의 아이들은 어머니와 함께 산으로 갔고, 나머지 50명은 아버지와 함께 바다로 갔다. 장남은 흥 왕으로 총칭되는 초기 베트남 왕들의 계보에서 첫 번째 왕이 되었다. 이 왕조는 홍방 왕조로 알려져 있다. 이 나라는 문랑이라고 불렸고, 그 주민들은 락월이라고 불렸다.[1]

기원전 3세기경, 다른 베트남 계통인 어월이 붉은 강 삼각주로 이주하여 토착민과 혼합되었다. 어월과 락월의 연합으로 새로운 왕국인 어락이 등장했고, 툭 판(Thục Phán)이 안양왕을 자칭했다.[1]

어락은 남월 왕국( 조도 )에 병합되었다. 조 왕조 이후, 이 지역은 공식적으로 중국 지배하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당나라 이전 시대에 톤킨은 남중국해를 항해하는 배들의 기항지였지만, 상업 중심지는 나중에 북쪽의 광둥으로 이동했다.[1]

938년 응오꾸옌의 박당 전투 승리는 베트남의 새로운 독립 시대를 열었다. 응오 왕조는 딘 왕조, 전 레 왕조, 리 왕조, 쩐 왕조, 그리고 호 왕조가 뒤를 이었다.[1]

1873년, 프랑스는 프랑시스 가르니에가 이끄는 부대를 통킹에 파견하여 하노이를 공략했지만, 이 때는 갑술조약 (제2차 사이공 조약)에 의해 철군했다. 그러나 프랑스는 풍부한 자원과 많은 인구, 중국과 접경하는 통킹이 탐나지 않을 수 없었다. 1882년, 앙리 리비에르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다시 통킹을 침공하여 통킹 전쟁이 일어났다.[1]

4. 1. 고대

4. 2. 중세 및 근세

응오꾸옌(吳權)이 938년 박당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베트남의 독립 시대를 열었다. 이후 응오 왕조(吳朝), 딘 왕조(丁朝), 전 레 왕조(前期黎朝), 리 왕조(李朝), 쩐 왕조(陳朝), 호 왕조(胡朝)가 차례로 통치했다.

15세기, 레 로이(Lê Lợi)는 람선 지역의 유력한 지주로서, 중국 명나라의 지배에 맞서 1,000명이 넘는 추종자들을 거느리고 봉기했다. 승리 후 왕위에 오른 그는 현재 하노이(Hà Nội)인 승룡(Thăng Long, '승천하는 용')에 도읍을 정했다.[2] 승룡은 또한 '동경'(Đông Kinh, 東京)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동쪽 수도'를 의미한다(東京은 중국어 한자로 도쿄와 의미와 표기가 동일하다).[3]

17세기와 18세기 동안 서구인들은 북부의 정씨(鄭氏) 정권이 지배하던 당외(Đàng Ngoài)를 가리켜 일반적으로 똥킨(Tonkin, 東京에서 유래)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당외 또는 북하(Bắc Hà)는 붉은 강(Red River) 삼각주뿐만 아니라 마 강(Mã River)과 까 강(Cả River) 삼각주도 포함했다.[4] 한편, 코친차이나(Cochinchina) 또는 뀌닌(Quinan)은 남부의 원씨(阮氏) 정권이 지배하던 당내(Đàng Trong)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고, 안남(Annam)은 과거 중국의 안남(Annam)이라는 지방의 이름에서 유래하여 베트남 전체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4]

하노이는 역사적으로 '''탕롱성(東京城)'''이라 불렸으며, 중흥레 왕조 시기에 존재했던 정씨 정권의 지배 지역(북하)은 당시 일본인 및 유럽 사람들에 의해 '''東京国(통킹)'''이라 불렸다.

4. 3. 프랑스 식민 통치

1873년, 프랑스는 프랑시스 가르니에가 이끄는 부대를 통킹에 파견하여 하노이를 공략했으나, 이때는 갑술조약에 의해 철군했다.[5] 그러나 프랑스는 풍부한 자원과 많은 인구, 중국과 접경하는 통킹이 탐나지 않을 수 없었다. 1882년, 앙리 리비에르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다시 통킹을 침공하여 통킹 전쟁이 일어났다.[5]

응우옌 왕조 조정은 1883년에 계미조약(아르망 조약)을 체결하여 본래 안남에 속하는 타인호아, 응에안, 하띤 3성을 통킹에 편입하고 통킹 지방을 프랑스 보호령으로 인정했다.[5] 1884년의 갑신조약(파트노트르 조약)에서 성급 행정은 실질적으로 프랑스인이 통제하게 되었다.[5] 이러한 프랑스의 침략은 청나라의 군사 개입을 초래하여 청불 전쟁(1884년1885년)이 발발하고, 통킹 지방은 전쟁에 휘말리게 된다.[5]

1887년프랑스령 인도차이나가 성립되면서 인도차이나 총독부가 하노이에 설치되었고, 총독은 하노이와 호찌민시을 왕복하게 된다. 프랑스가 통킹을 중시하고 있었다는 것은 이후 인도차이나 대학이 하노이에 설립되었다는 것에도 나타나고 있다. 양질의 무연탄을 생산하는 홍게이 탄광도 프랑스의 중요한 수입원이었다.

1894년 홍강 삼각주의 프랑스 보호령 통킹 지도

4. 4. 독립 투쟁과 베트남 전쟁

5. 현대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The Golden Peaches of Samarkand: A Study of Tang Exo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3
[2] 서적 Wandering through Vietnamese Culture Thế giới publishers 2004
[3] 서적 Vietnam Past and Present: The North Cognoscenti Books 2012
[4] 서적 The A to Z of Viêt Nam Scarecrow Press 2010
[5] 서적 Indochine : la colonisation ambiguë 1858-1954 La Découverte 2004
[6] 웹사이트 L'Indochine française pendant la Seconde Guerre mondiale http://www.net4war.c[...]
[7] 학술지 The Legacy of the Gulf of Tonkin Incident https://core.ac.uk/r[...] 2014
[8] 문서 畿(경기 기)의 이체자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