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저민 프랭클린 메달 (프랭클린 협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은 프랭클린 연구소에서 수여하는 상으로, 1998년 제정되었다. 화학, 컴퓨터 및 인지 과학, 지구 및 환경 과학, 전기 공학, 생명 과학, 기계 공학, 물리학 등 7개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인물에게 수여되며, 수상자는 필라델피아 지역의 과학 및 예술 위원회에서 선정한다. 1998년부터 2023년까지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이 메달을 수상했으며, 한국과 관련된 수상자로는 2002년 공학 분야의 나카무라 슈지와 2023년 물리학 분야의 김필립 교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 (프랭클린 협회)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Franklin Institute Awards | |
![]() | |
수여 기관 | 프랭클린 협회 |
국가 | 미국 |
시작 연도 | 1824년 |
웹사이트 | 프랭클린 협회 어워드 |
상세 정보 | |
목적 | 과학 및 공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 인정 |
종류 | |
주요 상 |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 보워 과학 업적상 보워 비즈니스 리더십상 |
2.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은 1998년 프랭클린 연구소에서 수여하던 기존의 여러 메달들을 재편성하여 만들어졌다. 화학, 컴퓨터 및 인지 과학, 지구 및 환경 과학, 전기 공학, 생명 과학, 기계 공학, 물리학의 7개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인물에게 수여된다.[2]
바우어 과학 업적상 및 상금과 바우어 비즈니스 리더십상은 1988년 헨리 바우어가 남긴 7500000USD의 유증으로 제정된 가장 최근의 상이다.[2] 연간 바우어 상금은 각각 250000USD이다.
메달 수상자는 필라델피아 지역의 학계 및 전문가로 구성된 과학 및 예술 위원회(CS&A)에서 선정한다.[7]
3. 바우어상
4. 이전의 상
5. 수상자 명단
다음은 1998년 이후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바우어상 수상자 포함) 수상자 목록이다.[8]
연도 | 이름 | 분야 |
---|---|---|
2003 | 비슈누 S. 아탈 | 전기 공학 |
2003 | 존 N. 바콜 | 물리학 |
2003 | 레이먼드 데이비스 | 물리학 |
2003 | 고시바 마사토시 | 물리학 |
2003 | 제인 구달 | 생명과학 |
2003 | 로빈 M. 호흐스트라서 | 화학 |
2003 | 존 매카시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03 | 노먼 A. 필립스 | 지구과학 |
2003 | 조지프 스마고린스키 | 지구과학 |
2003 | 찰스 H. 손턴 | 공학 |
2004 | 로저 베이컨 | 기계 공학 |
2004 | 해리 그레이 | 화학 |
2004 | 리처드 카프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04 | 로버트 B. 마이어 | 물리학 |
2004 | 로버트 E. 뉴넘 | 전기 공학 |
2005 | 엘리자베스 H. 블랙번 | 생명과학 |
2005 | 아라빈드 K. 조시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05 | 난부 요이치로 | 물리학 |
2005 | 피터 R. 베일 | 지구과학 |
2005 | 앤드류 비터비 | 전기 공학 |
2006 | 레이 W. 클러프 | 공학 |
2006 | 사무엘 J. 다네셰프스키 | 화학 |
2006 | 나라인 G. 힌고라니 | 전기 공학 |
2006 | 루나 레오폴드 | 지구과학 |
2006 | 도널드 노먼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06 | 페르난도 노테봄 | 생명과학 |
2006 | 지아친토 스콜레스 | 물리학 |
2006 | J. 피터 토니에스 | 물리학 |
2006 | M. 고든 울먼 | 지구과학 |
2007 | 클라우스 비만 | 화학 |
2007 | 로버트 데나드 | 전기 공학 |
2007 | 머튼 C. 플레밍스 | 재료 과학 |
2007 | 아서 B. 맥도날드 | 물리학 |
2007 | 도츠카 요지 | 물리학 |
2007 | 스티븐 W. 스콰이어스 | 지구과학 |
2007 | 낸시 웩슬러 | 생명과학 |
2008 | 빅터 앰브로스 | 생명과학 |
2008 | 데이비드 볼컴 | 생명과학 |
2008 | 게리 러브킨 | 생명과학 |
2008 | 월리스 브로커 | 지구과학 |
2008 | 알베르트 에센모저 | 화학 |
2008 | 데보라 S. 진 | 물리학 |
2008 | 주디아 펄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08 | 아룬 파드케 | 전기 공학 |
2008 | 제임스 소프 | 전기 공학 |
2009 | 루제나 바지시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09 | 스티븐 J. 벤코비치 | 생명과학 |
2009 | J. 프레더릭 그래슬 | 지구과학 |
2009 | 리처드 J. 로빈스 | 공학 |
2009 | 조지 M. 화이트사이드 | 화학 |
2009 | 로트피 자데 | 전기 공학 |
2010 | J. 이그나시오 시락 | 물리학 |
2010 | 샤프리라 골드와서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10 | 피터 C. 노웰 | 생명과학 |
2010 | 게르하르트 M. 세슬러 | 전기 공학 |
2010 | 브라이언 스팔딩 | 기계 공학 |
2010 | 조안 스투베 | 화학 |
2010 | 제임스 웨스트 | 전기 공학 |
2010 | 데이비드 J. 와인랜드 | 물리학 |
2010 | 페터 촐러 | 물리학 |
2010 | W. 리처드 펠티어 | 지구 및 환경 과학 |
2011 | 존 로버트 앤더슨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11 | 질리언 F. 밴필드 | 지구 및 환경 과학 |
2011 | 니콜라 카비보 | 물리학 |
2011 | 잉그리드 도베시 | 전기 공학 |
2011 | 딘 케이먼 | 기계 공학 |
2011 | 키리아코스 코스타 니콜라우 | 화학 |
2011 | 조지 처치 | 생명과학 |
2012 | 블라디미르 바프닉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12 | 로니 톰슨 | 지구 및 환경 과학 |
2012 | 엘렌 스톤 모즐리-톰슨 | 지구 및 환경 과학 |
2012 | 션 B. 캐럴 | 생명과학 |
2012 | 제리 넬슨 | 전기 공학 |
2012 | 라시드 수냐예프 | 물리학 |
2012 | 즈비 해신 | 기계 공학 |
2012 | 루이스 E. 브루스 | 화학 |
2013 | 제롤드 마인왈드 | 화학 |
2013 | 윌리엄 래보프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13 | 로버트 버너 | 지구 및 환경 과학 |
2013 | 루돌프 예니슈 | 생명과학 |
2013 | 수브라 수레쉬 | 기계 공학 |
2013 | 알렉산더 달가노 | 물리학 |
2013 | 이가 케니치 | 전기 공학 |
2014 | 다니엘 클레프너 | 물리학 |
2014 | 크리스토퍼 T. 월시 | 화학 |
2014 | 리사 타우체 | 지구 및 환경 과학 |
2014 | 이와사키 슌이치 | 전기 공학 |
2014 | 마크 H. 크라이더 | 전기 공학 |
2014 | 요아힘 프랑크 | 생명과학 |
2014 | 알리 H. 네이페 | 기계 공학 |
2014 | 에드먼드 M. 클라크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15 | 스티븐 리파드 | 화학 |
2015 | 엘리사 뉴포트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15 | 마나베 슈쿠로 | 지구 및 환경 과학 |
2015 | 로저 F. 해링턴 | 전기 공학 |
2015 | 코넬리아 바르그만 | 생명과학 |
2015 | 찰스 L. 케인 | 물리학 |
2015 | 유진 밀리 | 물리학 |
2015 | 장 쇼우청 | 물리학 |
2015 | 장 피에르 쿠르트 | 기계 공학 |
2016 | 나드리안 C. 시만 | 화학 |
2016 | 예일 N. 패트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16 | 브라이언 앳워터 | 지구 및 환경 과학 |
2016 | 솔로몬 골롬 | 전기 공학 |
2016 | 로버트 S. 랭어 | 생명과학 |
2016 | 치엔 슈 | 기계 공학 |
2016 | 윌리엄 J. 보루키 | 물리학 |
2017 | 크지슈토프 마티야스제프스키 | 화학 |
2017 | 사와모토 미쓰오 | 화학 |
2017 | 마이클 I. 포스너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17 | 닉 홀로니악 | 전기 공학 |
2017 | 더글러스 C. 월러스 | 생명과학 |
2017 | 밀드레드 드레셀하우스 | 재료 과학 및 공학 |
2017 | 마빈 코헨 | 물리학 |
2017 | 클로드 로리우스 | 지구 및 환경 과학 |
2018 | 수잔 트럼보어 | 지구 및 환경 과학 |
2018 | 마니제 라제기 | 전기 공학 |
2018 | 아드리안 베잔 | 기계 공학 |
2018 | 헬렌 퀸 | 물리학 |
2018 | 존 B. 구디너프 | 화학 |
2018 | 빈턴 서프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18 | 로버트 칸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18 | 필립 호르바스 | 생명과학 |
2019 | 존 호프필드 | 물리학 |
2019 | 존 A. 로저스 | 재료 공학 |
2019 | 제임스 P. 앨리슨 | 생명과학 |
2019 | 엘리 야블로노비치 | 전기 공학 |
2019 | 진 라이켄스 | 지구 및 환경 과학 |
2019 | 마르시아 K. 존슨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19 | 프랜시스 아널드 | 화학 |
2021 | 로베르토 카 | 화학 |
2021 | 미셸 파리넬로 | 화학 |
2021 | 헨리 C. 캡틴 | 물리학 |
2021 | 마가렛 무네인 | 물리학 |
2021 | 제레미 네이선스 | 생명과학 |
2021 | C. 다니엘 모트 | 기계 공학 |
2021 | 모니카 터너 | 지구 및 환경 과학 |
2021 | 바바라 파티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21 | 후쿠시마 쿠니히코 | 바우어 과학 업적상 |
2022 | 샐리 W. 치즘 | 지구 및 환경 과학 |
2022 | 셸던 와인바움 | 생명 공학 |
2022 | 캐럴 V. 로빈슨 | 화학 |
2022 | 러셀 D. 듀피스 | 전기 공학 |
2022 | P. 다니엘 댑커스 | 전기 공학 |
2022 | 커털린 커리코 | 생명과학 |
2022 | 드루 와이즈먼 | 생명과학 |
2022 | 에드워드 C. 스톤 | 물리학 |
2023 | R. 로렌스 에드워즈 | 지구 및 환경 과학 |
2023 | 나데르 엥게타 | 전기 공학 |
2023 | 엘레인 푹스 | 생명과학 |
2023 | 김필립 | 물리학 |
2023 | 바바라 H. 리스코프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23 | 뎁 니마이어 | 토목 및 기계 공학 및 바우어 과학 업적상 |
2023 | 모니카 슐라이어-스미스 | 물리학 |
2023 | 리처드 자레 | 화학 |
각 연도별 수상자 및 분야는 다음과 같다.
- 1998년
- 존 디벨 (바우어 비즈니스 리더십상)
- 엠마누엘 데수르바이르 (공학)
- 로버트 B. 로플린 (물리학)
- 데이비드 페인 (공학)
- 스탠리 B. 프루시너 (생명과학)
- 마틴 리스 (물리학, 바우어 과학 업적상)
- 호르스트 루트비히 슈퇴르머 (물리학)
- 대니얼 추이 (물리학)
- 아메드 즈웨일 (화학)
- 1999년
- 랄프 J. 시세로 (지구과학, 바우어 과학 업적상)
- 노엄 촘스키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더글러스 엥겔바트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Walter Kaminsky|발터 카민스키영어 (화학)
- 배리 마셜 (생명과학)
- 존 C. 매더 (물리학)
- 리처드 W. 쇼트힐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토노무라 아키라 (물리학)
- P. 로이 바젤로스 (바우어 비즈니스 리더십상)
- 빅터 발리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00년
- 존 콕(컴퓨터 과학자)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에릭 코넬 (물리학)
- 볼프강 케테르레 (물리학)
- 칼 와이먼 (물리학)
- 고든 댄비 (기계 공학)
- 제임스 R. 파월(물리학자) (기계 공학)
- 에빌 고럼 (지구과학)
- 로버트 그럽스 (화학)
- 앙투안 라베리 (전기 공학)
- 알렉산더 리치 (생명과학, 바우어 과학 업적상)
- 윌리엄 J. 러터 (생명과학, 바우어 비즈니스 리더십상)
- 2001년
- 폴 바란 (전기 공학, 바우어 과학 업적상)
- 주다 포크만 (생명과학)
- 앨런 구스 (물리학)
- 어윈 마크 제이콥스 (바우어 비즈니스 리더십상)
- 마빈 민스키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칼 배리 샤플리스 (화학)
- 롭 반 데르 보 (지구과학)
- 버나드 위드로우 (전기 공학)
- 2002년
- 노먼 L. 앨링거 (화학)
- 메리-델 칠턴 (생명과학)
- 이지마 스미오 (물리학)
- 나카무라 슈지 (공학)
- 알렉산드라 나브로츠키 (지구과학)
- 루시 서치먼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존 W. 칸 (재료 과학, 바우어 과학 업적상)
- 고든 무어 (바우어 비즈니스 리더십상)
2003년부터 2023년까지의 수상자는 상위 표에 정리되어 있으며, 1998년부터 2002년까지의 수상자 정보는 하단에 별도로 분리되어 있다.
5. 1. 1998년
연도 | 이름 | 분야 |
---|---|---|
1998 | 존 디벨 | 바우어 비즈니스 리더십상 |
1998 | 엠마누엘 데수르바이르 | 공학 |
1998 | 로버트 B. 로플린 | 물리학 |
1998 | 데이비드 페인 | 공학 |
1998 | 스탠리 B. 프루시너 | 생명과학 |
1998 | 마틴 리스 | 물리학, 바우어 과학 업적상 |
1998 | 호르스트 루트비히 슈퇴르머 | 물리학 |
1998 | 대니얼 추이 | 물리학 |
1998 | 아메드 즈웨일 | 화학 |
5. 2. 1999년
이름 | 분야 | 비고 |
---|---|---|
랄프 J. 시세로 | 지구과학 | 바우어 과학 업적상 |
노엄 촘스키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
더글러스 엥겔바트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
Walter Kaminsky|발터 카민스키영어 | 화학 | |
배리 마셜 | 생명과학 | |
존 C. 매더 | 물리학 | |
리처드 W. 쇼트힐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
토노무라 아키라 | 물리학 | |
P. 로이 바젤로스 | 경영 지도자 상 | |
빅터 발리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5. 3. 2000년
연도 | 이름 | 분야 |
---|---|---|
2000 | 존 콕(컴퓨터 과학자)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00 | 에릭 코넬 | 물리학 |
2000 | 고든 댄비 | 기계 공학 |
2000 | 에빌 고럼 | 지구과학 |
2000 | 로버트 그럽스 | 화학 |
2000 | 볼프강 케테르레 | 물리학 |
2000 | 앙투안 라베리 | 전기 공학 |
2000 | 제임스 R. 파월(물리학자) | 기계 공학 |
2000 | 알렉산더 리치 | 생명과학, 바우어 과학 업적상 |
2000 | 윌리엄 J. 러터 | 생명과학, 바우어 비즈니스 리더십상 |
2000 | 칼 와이먼 | 물리학 |
5. 4. 2001년
연도 | 이름 | 분야 |
---|---|---|
2001 | 폴 바란 | 전기 공학, 바우어 과학 업적상 |
2001 | 주다 포크만 | 생명과학 |
2001 | 앨런 구스 | 물리학 |
2001 | 어윈 마크 제이콥스 | 바우어 비즈니스 리더십상 |
2001 | 마빈 민스키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2001 | 칼 배리 샤플리스 | 화학 |
2001 | 롭 반 더 부 | 지구과학 |
2001 | 버나드 위드로 | 전기 공학 |
5. 5. 2002년
이름 | 분야 |
---|---|
노먼 L. 앨링거 | 화학 |
존 W. 칸 | 재료 과학, 바우어 과학 업적상 |
메리 델 칠튼 | 생명과학 |
이지마 스미오 | 물리학 |
고든 무어 | 바우어 비즈니스 리더십상 |
나카무라 슈지 | 공학 |
알렉산드라 나브로츠키 | 지구과학 |
루시 서치먼 | 컴퓨터 및 인지 과학 |
6. 한국 관련 내용
나카무라 슈지는 2002년에 공학 분야에서 벤자민 프랭클린 메달을 수상했다.[8] 그는 청색 LED 개발로 2014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는데, 이는 한국의 광기술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으며, LED 산업 성장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김필립 교수는 2023년에 물리학 분야에서 벤자민 프랭클린 메달을 수상했다.[8] 그는 그래핀 연구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그의 연구는 한국의 나노과학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미래 전자소재 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7. 기타
더 자세한 수상자 명단은 한국어 위키백과의 분류:벤자민 프랭클린 메달 수상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Franklin Institute Awards
https://www.fi.edu/f[...]
2014-02-03
[2]
웹사이트
About The Franklin Institute Awards {{!}} The Franklin Institute
https://www.fi.edu/a[...]
2015-08-26
[3]
웹사이트
Bower Award and Prize for Achievement in Science
https://www.fi.edu/a[...]
2014-05-13
[4]
Youtube
William H. Gates - 2010 Winner of the Bower Award for Business Leadership
https://www.youtube.[...]
2016-06-17
[5]
Youtube
George Church - 2011 Winner of the Bower Award and Prize for Achievement in Science
https://www.youtube.[...]
2016-07-05
[6]
웹사이트
Laureates Search
https://www.fi.edu/l[...]
2023-01-18
[7]
웹사이트
Committee on Science & the Arts
https://www.fi.edu/c[...]
2014-02-22
[8]
웹사이트
Laureates Search
https://www.fi.edu/l[...]
Franklin Institute
2015-05-08
[9]
서적
1977 Yearbook of science and the future
https://archive.org/[...]
Encyclopaedia Britannica
1976
[10]
웹사이트
Martin Mohamed Atalla
https://www.fi.edu/l[...]
The Franklin Institute
2014-01-14
[11]
웹사이트
Stephen J. Lippard
https://www.fi.edu/l[...]
2014-10-27
[12]
웹사이트
Elissa L. Newport
https://www.fi.edu/l[...]
2014-10-27
[13]
웹사이트
Syukuro Manabe
https://www.fi.edu/l[...]
2014-10-27
[14]
웹사이트
Roger F. Harrington
https://www.fi.edu/l[...]
2014-10-27
[15]
웹사이트
Cornelia Bargmann
https://www.fi.edu/l[...]
2014-10-27
[16]
웹사이트
Charles L. Kane
https://www.fi.edu/l[...]
2014-10-27
[17]
웹사이트
Eugene J. Mele
https://www.fi.edu/l[...]
2014-10-27
[18]
웹사이트
Shoucheng Zhang
https://www.fi.edu/l[...]
2014-10-27
[19]
뉴스
Jon Huntsman Sr. wins Franklin Institute's Bower Award
http://articles.phil[...]
2015-03-14
[20]
웹사이트
Jean-Pierre Kruth
https://www.fi.edu/l[...]
2014-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