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엄 촘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엄 촘스키는 1928년 미국에서 태어난 언어학자이자 철학자, 정치 평론가이다. 촘스키는 생성 문법 이론을 발전시켜 언어학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구조적 언어학》, 《통사론 이론의 여러 측면》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언어학 및 철학 분야에 기여했다. 또한, 그는 미국의 대외 정책, 자본주의, 언론의 역할 등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를 피력하며, 아나키즘에 기반한 정치적 입장을 펼쳐왔다. 촘스키는 《동의의 제조》, 《패권 또는 생존》 등의 저서를 통해 정치적 견해를 밝혔으며, 현재까지 활발한 저술 및 강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달심리언어학자 - 스티븐 핑커
    스티븐 핑커는 캐나다 출신의 인지심리학자, 언어학자, 과학 저술가로서 언어 본능, 마음의 작동 방식, 폭력의 감소 등 다양한 저서를 통해 과학적 지식을 대중에게 전달하고 인간 본성과 사회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며 이성, 과학, 휴머니즘, 진보라는 계몽주의 이념을 옹호하는 인물이다.
  • 발달심리언어학자 - 에드워드 클리마
    에드워드 클리마는 미국의 언어학자로,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노엄 촘스키의 지도 아래 언어학 연구를 시작하여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언어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 알터몬디알리스트 - 조제 보베
    조제 보베는 프랑스의 농민, 환경, 반세계화 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맥도날드 매장 해체 사건과 유전자변형생물 반대 등의 활동을 통해 반세계화 운동의 상징이 되었으며, 농민연맹 공동 설립 및 유럽 의회 의원 역임, 대통령 선거 출마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알터몬디알리스트 - 아룬다티 로이
    인도의 작가이자 사회 운동가인 아룬다티 로이는 소설 《작은 것들의 신》으로 맨부커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후,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은 논픽션 작품과 사회 운동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으며, 인도의 핵 정책, 환경 문제, 카슈미르 분쟁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고 반세계화 운동의 주요 인물로 활동하고 있다.
  • 통사론자 - 오토 예스페르센
    오토 예스페르센은 언어 교육 개혁과 음성학 연구에 기여하고, 통사론과 언어 발달 연구로 명성을 얻었으며, 이도와 노비알 국제어 창안에 참여한 덴마크의 언어학자이다.
  • 통사론자 - 앤드루 카니
    앤드루 카니는 통사론, 형태론, 음운론을 연구하며 켈트어파 언어를 주로 연구하는 언어학자이다.
노엄 촘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노엄 촘스키의 사진
2017년 촘스키
본명아브람 노엄 촘스키
출생일1928년 12월 7일
출생지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아버지윌리엄 촘스키
서명Noam Chomsky signature.svg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배우자캐럴 샤츠 (1949년 결혼, 2008년 12월 19일 사망)
발레리아 와서먼 (2014년 결혼)
자녀3명 (딸 아비바 촘스키 포함)
학문 분야언어학
분석철학
인지과학
정치 비평
소속 기관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1955년–현재)
고등연구소 (1958년–1959년)
애리조나 대학교 (2017년–현재)
학력펜실베이니아 대학교 (BA, MA, PhD)
박사 학위 논문 제목변형 분석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박사 학위 논문 연도1955년
박사 지도 교수젤리그 해리스
주요 사상 및 영향
주요 업적무색의 초록색 생각이 격렬하게 잠든다
범주성의 공리
구매된 사제 계급
데카르트 언어학
촘스키 표준형
촘스키 계층
촘스키-슈첸베르거 정리
인지적 폐쇄
문맥 자유 문법
문맥 의존 문법
기업 미디어
심층 구조와 표면 구조
결정적 문맥 자유 문법
디지털 무한성
E-언어
엘리트 미디어
공범주 원칙
확장된 투영 원리
형식적 민주주의
형식 문법
생성 문법
정부 및 결속 이론
I-언어
직접 구성 요소 분석
생득 가설
지적 책임
언어 습득 장치
적합성 수준
언어 능력
언어 수행
논리적 형식
m-명령
유표성
미디어 조작
정신주의
합병
미니멀리스트 프로그램
비계층적 언어
기생 간극
음운론
구 구조 문법
구조 규칙
플라톤의 문제
자극의 빈곤
원칙과 매개변수
투영 원칙
선전 모델
생득론
언어의 재귀성
운율 분석
제2외국어 습득
자기 검열
지정 주체 조건
언어 공동체
통계적 언어 습득
구조 보존 원칙
하위 접속
기호
시제-S 조건
종단 기호 및 비종단 기호
흔적 삭제 원칙
변형 문법
변형 통사론
보편 문법
X-바 이론
영향을 준 인물존 오스틴
미하일 바쿠닌
알렉스 캐리
C. 웨스트 처치먼
윌리엄 촘스키
르네 데카르트
존 듀이
넬슨 굿맨
모리스 할레
젤리그 해리스
빌헬름 폰 훔볼트
데이비드 흄
로만 야콥슨
이마누엘 칸트
카를 코르쉬
표트르 크로포트킨
카를 리프크네히트
존 로크
로자 룩셈부르크
드와이트 맥도널드
존 스튜어트 밀
조지 밀러
조지 오웰
W.V.O. 콰인
파니니
안톤 판네쿠크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힐러리 퍼트넘
루돌프 로커
버트런드 러셀
디에고 아바드 데 산티얀
페르디낭 드 소쉬르
마르셀-폴 슈첸베르거
애덤 스미스
앨런 튜링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영향을 받은 인물마이클 앨버트
줄리언 어산지
존 배커스
데릭 비커튼
보노
줄리언 C. 보이드
장 브리크몽
우고 차베스
대니얼 데닛
대니얼 에버렛
클린턴 페르난데스
노먼 핑켈스타인
로버트 피스크
제리 포더
에이미 굿먼
스티븐 제이 굴드
글렌 그린월드
길버트 하먼
마크 하우저
크리스토퍼 히친스
노버트 혼스타인
닐스 카이 예르네
나오미 클라인
도널드 크누스
피터 루드로우
콜린 맥긴
마이클 무어
존 니컬스
앤 노센티
존 필저
스티븐 핑커
해럴드 핀터
타냐 라인하트
아룬다티 로이
에드워드 사이드
존 설
닐 스미스
에런 스워츠
크리스핀 라이트
학문적 배경 및 철학
학파아나키즘-생디칼리즘,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철학 학파분석철학
학문적 전통20세기 철학
21세기 철학
주요 관심사언어학
심리철학
언어철학
과학철학
인지과학
정치철학
수상 경력
수상구겐하임 펠로십 (1971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1972년)
미국 심리학회 과학적 공헌상 (1984년)
오웰상 (1987년, 1989년)
교토상 기초과학 부문 (1988년)
헬름홀츠 메달 (1996년)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 (1999년)
시드니 평화상 (2011년)
핵 시대 평화 재단 (2014년)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법에이브럼 노엄 촘스키
IPA 표기/ˌnoʊm ˈtʃɒmski/

2. 생애

노엄 촘스키는 1928년 12월 7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부근 이스트 오크 레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1913년에 미국으로 이민 온 우크라이나 출신의 히브리어 언어학자 윌리엄 촘스키(1896년 ~ 1977년)였고,[94] 어머니는 벨라루스 태생으로 그라츠 대학(Gratz College)의 교수였던 엘시 시모노프스키(Elsie Simonofsky)였다. 촘스키는 1930년대 아일랜드계 및 독일계 천주교인들과의 반유대주의 갈등을 경험하며 성장했다.

1945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철학과 언어학을 공부했으며, 젤리그 해리스, C. 웨스트 처치맨, 넬슨 굿맨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특히 해리스는 촘스키에게 언어 구조의 수학적 분석을 통한 변형을 가르쳤고, 이는 촘스키가 문맥에서 분리된 문법 형성에 대한 해석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해리스는 촘스키의 정치적 견해 형성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1951년 촘스키는 석사 논문 《현대 히브리어의 형태소론(The Morphophonemics of Modern Hebrew)》을 발표했다.

1949년 언어학자 캐럴 샤츠와 결혼하여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다. 1955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대학교에서 4년간 박사 학위 과정 일부를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준비한 언어학에 대한 새로운 생각들을 정리하여 변형생성문법의 이론(1957)을 펴냈다.

1955년 MIT에 합류, 1961년 언어학과 현대 언어과의 전임교수가 되었다. 《통어이론의 제상》(1965), 《영어의 음성체계》(1968, 모리스 할레와 공저) 등을 통해 생성문법 이론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켰다. 이후 50여 년간 MIT 교수로 재직하며 80여 권의 저서와 10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98][99]

1967년 "지성인의 의무"라는 에세이를 통해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다.

2008년 대한민국 국방부는 촘스키의 저서 《미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507년 정복은 계속된다》를 불온서적으로 지정했다. 촘스키는 이를 "자유를 두려워하고 사상과 표현을 통제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하며, "국방부를 '자유민주주의에 반대하는 국방부'로 개명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100][101]

촘스키는 미국 대외 정책 비판으로 인해 여러 차례 살해 협박을 받았으며,[99] 유나버머 테오도르 카진스키의 타겟 리스트에 오르기도 했다. MIT 캠퍼스에 있을 때는 경찰 보호를 받기도 했지만, 촘스키는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2. 1. 유년 시절 (1928-1945)

노엄 촘스키는 1928년 12월 7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근처의 이스트 오크 레인에서 태어났다.[42] 그의 부모는 유대인 이민자였다.[43] 아버지 윌리엄 촘스키(William Chomsky)는 1913년에 우크라이나에서 미국으로 이민 온 히브리어 언어학자였다.[94] 중세 히브리어 문법 전문가였던 윌리엄 촘스키는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95] 윌리엄 촘스키는 아들이 언어학자가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97]

어머니 엘시 시모노프스키(Elsie Simonofsky)는 벨라루스 태생으로 1906년에 미국으로 이주하여 뉴욕에서 성장했으며, 그라츠 대학(Gratz College)의 교수였다. 촘스키는 1930년대 아일랜드계 천주교인과 독일계 천주교인들의 반유대주의와 갈등을 경험하며 성장했다고 한다.

5년 후 태어난 남동생 데이비드 엘리 촘스키(David Eli Chomsky)와는 사이가 좋았지만, 온화한 동생과 달리 형 노엄은 승부욕이 강한 성격이었다.[46] 형제는 유대교 신앙으로 자라면서 히브리어를 배우고, 아하드 하암(Ahad Ha'am)의 저서 등 노동 시오니즘(Labor Zionism)의 영향을 받은 가정에서 시오니즘의 정치 이론에 대해 자주 이야기했다.[46]

촘스키는 독립적인 듀이파(Deweyite) 학교인 오크 레인 컨트리 데이 스쿨(Oak Lane Country Day School)과 필라델피아의 센트럴 고등학교(Central High School)에 다녔다. 학업에서 뛰어났고 여러 클럽과 단체에 가입했지만, 학교의 계층적이고 지배적인 교육 방식에 어려움을 겪었다.[55] 그는 또한 그의 아버지가 가르쳤던 그랫츠 칼리지(Gratz College)의 히브리 고등학교에 다녔다.

촘스키는 그의 부모를 중도좌파 성향의 "보통 루즈벨트 민주당원"으로 묘사했지만, 국제 여성 의류 노동 조합에 종사하는 친척들로부터 사회주의와 극좌파 정치에 노출되었다. 그는 그의 삼촌과 뉴욕시의 신문 가판대에서 시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자주 찾아오는 유대인 좌파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촘스키 자신도 도시에 있는 삼촌을 방문할 때 좌익과 아나키스트 서점을 자주 찾아 정치 서적을 탐독했다.[50] 그는 1939년 바르셀로나 함락과 스페인 아나코-신디칼리즘 운동의 탄압 이야기에 매료되어 10세 때 이 주제에 관한 첫 번째 기사를 썼다.[53] 그가 다른 좌파 운동이 아니라 아나키즘과 먼저 동일시하게 된 것은 "행운의 사고"라고 그는 설명했다.[52] 촘스키는 10대 초반에 확고한 반볼셰비키(Anti-Stalinist)였다.

2. 2. 대학 시절 (1945-1955)

1945년, 16세의 나이에 촘스키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철학, 논리학, 언어학을 공부하는 일반 과정을 시작했으며, 특히 아랍어 학습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67] 집에서 생활하며 히브리어를 가르쳐 학부 과정 학비를 충당했다.[67] 대학 생활에 좌절한 그는 의무 팔레스타인의 키부츠로 떠날 생각까지 했지만,[67] 1947년 정치 모임에서 만난 언어학자 젤리그 해리스와의 대화를 통해 지적 호기심이 다시 살아났다. 해리스는 촘스키에게 이론 언어학 분야를 소개하고 그 분야를 전공하도록 설득했다.[67] 촘스키의 학사 학위 논문인 "현대 히브리어의 형태음운론"은 해리스의 방법론을 해당 언어에 적용한 것이었다.[67] 촘스키는 이 논문을 개정하여 1951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이후 이 논문은 책으로 출판되었다.[67] 그는 대학 재학 중 특히 넬슨 굿맨의 지도 아래 철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67]

1951년부터 1955년까지 촘스키는 하버드 대학교의 펠로우 학회 회원으로서 박사 학위 논문이 된 연구를 수행했다.[67] 굿맨의 권유로 지원하게 된 촘스키는[67] 철학자 윌러드 반 오먼 콰인이 재직 중이었던 점 때문에 하버드 대학교에 매력을 느꼈다. 콰인과 옥스퍼드 대학교의 방문 철학자 J. L. 오스틴은 촘스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67] 1952년 촘스키는 ''기호 논리학 저널''에 그의 첫 번째 학술 논문을 발표했다.[67] 언어학의 기존 행동주의 경향을 강하게 비판한 그는 1954년 시카고 대학교예일 대학교에서 강연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제시했다.[67] 그는 4년 동안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등록하지 않았지만, 1955년 변형 생성 문법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은 논문을 제출하여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논문은 마이크로필름으로 전문가들에게 비공개 배포된 후 1975년 ''언어 이론의 논리적 구조''의 일부로 출판되었다.[67] 하버드 대학교 교수 조지 아미티지 밀러는 촘스키의 논문에 감명을 받아 수리 언어학 분야에서 여러 편의 기술 논문을 공동으로 발표했다.[67] 촘스키의 박사 학위는 그가 1955년에 시작될 예정이었던 미국의 징병을 면제받게 해주었다.[67]

1949년 촘스키와 결혼한 캐롤 샤츠


1947년 촘스키는 어린 시절부터 알고 지낸 캐롤 도리스 샤츠와 연애를 시작하여 1949년 결혼했다.[67] 촘스키가 하버드 대학교 펠로우가 된 후, 부부는 보스턴의 올스턴 지역으로 이사하여 1965년 매사추세츠주 렉싱턴 교외로 이주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67] 부부는 1953년 하버드 대학교의 여행 지원금을 받아 유럽을 여행했다.[67] 그는 이스라엘에서 하쇼메르 하차이르의 하조레아 키부츠에서 생활하는 것을 즐겼지만, 유대 민족주의, 반 아랍 인종차별주의 그리고 키부츠 좌파 공동체 내의 스탈린주의와의 상호 작용에 경악했다.[67] 뉴욕시를 방문했을 때, 촘스키는 계속해서 이디시 무정부주의 저널 ''프라예 아르베터 슈티메'' 사무실을 자주 드나들었고, 그의 작품을 통해 촘스키에게 무정부주의와 고전적 자유주의의 연관성을 소개한 기고가 루돌프 로커의 사상에 매료되었다.[67] 촘스키는 또한 무정부주의자 미하일 바쿠닌과 디에고 아바드 데 산티야 그리고 민주 사회주의자 조지 오웰, 버트런드 러셀, 드와이트 맥도널드 그리고 마르크스주의자 칼 리프크네히트, 칼 코르슈, 로자 룩셈부르크의 저서들을 읽었다.[67] 그의 정치적 신념은 오웰이 ''카탈루냐 찬가''(1938)에서 묘사한 바르셀로나의 기능적인 무정부주의 사회에 대한 묘사를 통해 더욱 확고해졌다.[67] 촘스키는 좌파 저널 ''폴리틱스''를 읽었는데, 이는 그의 무정부주의에 대한 관심을 더욱 심화시켰고,[67] 리빙 마르크시즘이라는 평의회 공산주의 정기 간행물도 읽었지만, 편집자 폴 매틱의 마르크스주의 정통성은 거부했다.[67]

2. 3. 초기 경력 (1955-1966)

촘스키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언어학자 모리스 할레로만 야콥슨과 친분을 맺었다. 야콥슨은 1955년 촘스키에게 조교수직을 마련해 주었다. 촘스키는 MIT에서 시간의 절반을 기계 번역 프로젝트에, 나머지 절반을 언어학과 철학 강의에 할애했다.[82] 그는 MIT를 자신의 독특한 관심사를 자유롭게 추구할 수 있는 실험적인 분위기의 곳으로 묘사했다.[82] 1957년 MIT는 그를 부교수로 승진시켰고, 이듬해 그는 컬럼비아 대학교 방문 교수를 역임했다.[82] 같은 해 촘스키 부부는 첫 아이인 아비바 촘스키를 낳았다.[82]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그레이트 돔(Great Dome); 촘스키는 1955년에 MIT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그는 또한 언어학에 관한 그의 첫 저서인 『구문구조』를 출판했는데, 이 책은 당시 학계의 지배적인 해리스-블룸필드 경향에 급진적으로 반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82] 촘스키의 아이디어에 대한 반응은 무관심에서 적대감까지 다양했으며, 그의 연구는 학계를 분열시키고 "상당한 격변"을 야기했다.[82] 언어학자 존 라이온스는 나중에 『구문구조』가 "언어의 과학적 연구에 혁명을 일으켰다"고 주장했다.[82] 1958년부터 1959년까지 촘스키는 뉴저지주 프린스턴에 있는 고등연구소에서 국립과학재단 연구원으로 활동했다.[82]

촘스키는 B. F. 스키너의 언어를 학습된 행동으로 보는 관점에 대한 도발적인 비판과 지배적인 행동주의 패러다임에 대한 도전을 통해 주목받는 인물이 되었다. 촘스키는 행동주의가 언어 학습에서 인간의 창의성의 역할을 과소평가하고 언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조건의 역할을 과대평가한다고 주장했다.[82] 그는 할레와 함께 MIT 대학원 언어학 프로그램을 설립했다. 1961년 촘스키는 종신 재직권을 얻었고 현대어 및 언어학과의 정교수가 되었다.[82] 그는 1962년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열린 제9회 국제 언어학회에서 전체 강연자로 임명되어 미국 언어학계의 사실상 대변인으로 자리매김했다.[82] 1963년부터 1965년까지 그는 군부가 후원하는 프로젝트에 자문을 제공하여 컴퓨터가 군 장성의 자연어 명령을 이해하도록 하는 연구를 했다.[82]

촘스키는 1960년대 내내 그의 언어학적 아이디어를 계속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통사론의 여러 측면』(1965), 『생성 문법 이론의 주제』(1966), 『카르테지안 언어학: 합리주의 사상사의 한 장』(1966)이 포함된다.[82] 그는 할레와 함께 하퍼 앤 로우를 위해 "언어 연구" 시리즈를 편집하기도 했다.[82] 그는 자신의 연구로 상당한 학문적 인정과 영예를 얻기 시작하면서 1966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강의를 했다.[82] 이 강의들은 1968년 『언어와 마음』으로 출판되었다.[82]

2. 4. 반전 운동과 정치 참여 (1967-1975)

1970년대 초, 촘스키는 에드워드 S. 허먼과 협력하여 미국의 베트남 전쟁 비판을 발표했다.[1] 두 사람은 ''반혁명 폭력: 사실과 선전 속의 학살''을 통해 미국이 동남아시아에 군사적으로 개입하고 주류 언론이 이를 보도하지 않은 사실을 비판했다.[1] 이 책은 1973년 워너 모듈러(Warner Modular)에서 출판되었으나, 모회사인 워너는 책 내용을 승인하지 않고 모든 사본을 폐기하도록 명령했다.[2]

주류 출판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던 촘스키는 마이클 알버트의 사우스 엔드 프레스의 지원을 받았다.[3] 1979년, 사우스 엔드는 촘스키와 허먼의 ''반혁명 폭력''을 개정하여 ''인권의 정치경제''라는 두 권의 책으로 출판했다.[4] 이 책은 미국 언론이 캄보디아 대량학살과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점령에 대해 보인 반응을 비교하며, 미국 언론이 동맹국인 인도네시아의 상황은 무시하고 적국인 캄보디아 사건에만 집중했다고 주장한다.[5] 촘스키는 유엔 탈식민화 특별위원회에서 두 차례 증언하고, 미국 언론의 점령 보도를 독려했으며, 리스본의 난민들과 회합을 갖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했다.[6]

촘스키는 나치즘전체주의를 비판해 왔지만, 언론의 자유를 옹호하며 프랑스 역사학자 로베르 포리송이 홀로코스트 부정으로 여겨지는 견해를 옹호할 권리를 주장했다. 촘스키의 동의 없이 포리송의 언론 자유에 대한 그의 글은 1980년 포리송의 책(Mémoire en défense contre ceux qui m'accusent de falsifier l'histoire|역사를 왜곡했다고 나를 비난하는 사람들에 대한 반론프랑스어) 서문으로 출판되었다.[7] 이로 인해 촘스키는 포리송을 옹호했다는 비난을 받았고,[8] 프랑스 주류 언론은 촘스키를 홀로코스트 부정론자라고 비난하며 그의 반박 게재를 거부했다.[9]

2. 5. 허먼과의 공동 연구와 포리송 사건 (1976-1980)

1970년대 초, 촘스키는 에드워드 S. 허먼과 협력하여 ''반혁명 폭력: 사실과 선전 속의 학살''을 저술했다. 이 책은 미국의 동남아시아 군사 개입과 주류 언론의 보도 행태를 비판했다. 1973년 워너 모듈러(Warner Modular)에서 출판되었으나, 모회사 워너는 책 내용에 불만을 품고 전량 폐기했다.

주류 출판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던 촘스키는 마이클 알버트의 사우스 엔드 프레스에서 지원을 받았다.[1] 1979년, 사우스 엔드는 촘스키와 허먼의 ''반혁명 폭력'' 개정판을 ''인권의 정치경제''라는 두 권의 책으로 출판했다. 이 책은 미국 언론이 캄보디아 대량학살과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점령에 대해 상반된 반응을 보인 것을 비교하며, 미국 언론이 적국 캄보디아 사건에 집중하고 동맹국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상황은 외면했다고 주장했다. 촘스키는 유엔 탈식민화 특별위원회에서 두 차례 증언하고, 미국 언론에 점령 보도를 촉구했으며, 리스본에서 난민들과 만났다.[2] 마르크스주의 학자 스티븐 루크스는 촘스키가 무정부주의 이상을 저버리고 폴 포트의 변호인 역할을 한다고 비난했다.[3] 허먼은 이 논란으로 촘스키가 "심각한 개인적 피해"를 입었다고 말했다. 촘스키는 개인적 비판보다 "주류 지식인들이 자국 정부의 범죄를 은폐하거나 정당화했다"는 증거를 더 중요시했다.

촘스키는 나치즘전체주의를 공개 비판해왔으나, 언론 자유 신념 때문에 프랑스 역사학자 로베르 포리송이 홀로코스트 부정으로 간주되는 견해를 옹호할 권리를 옹호했다. 촘스키도 모르게 포리송의 언론 자유 옹호 주장이 담긴 그의 글은 1980년 포리송의 책 Mémoire en défense contre ceux qui m'accusent de falsifier l'histoire프랑스어 서문으로 출판되었다. 촘스키는 포리송 옹호로 널리 비난받았고, 프랑스 주류 언론은 촘스키를 홀로코스트 부정론자라고 비난하며 반박 게재를 거부했다. 사회학자 베르너 콘은 촘스키를 비판하며 ''증오의 동반자: 노엄 촘스키와 홀로코스트 부정론자들''이라는 책을 냈다. 포리송 사건은 특히 프랑스에서 촘스키의 경력에 지속적이고 큰 타격을 주었다.

2. 6. 선전 모델과 국제 문제 비판 (1980년대 이후)

1985년, 미국의 콘트라 반군을 지원하는 니카라과 콘트라 전쟁 당시 촘스키는 노동자 단체 및 분쟁 지역 난민들을 만나기 위해 마나과를 방문하여 정치와 언어학에 관한 공개 강연을 했다. 이 강연 내용은 1987년 ''권력과 이데올로기: 마나과 강연''으로 출판되었다. 1983년, 촘스키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미국이 자국의 목적을 위해 지속적으로 이용해 왔다고 주장하는 ''운명의 삼각형''을 출판했다.[1] 1988년에는 이스라엘 점령의 영향을 직접 보기 위해 팔레스타인 지역을 방문했다.[2]

1988년, 촘스키와 허먼은 주류 언론을 이해하기 위한 선전 모델을 제시하는 ''제조된 동의: 대중 매체의 정치 경제''를 출판했다. 이들은 공식적인 검열이 없는 국가에서도 뉴스가 내용과 방식 모두에 큰 영향을 미치는 5가지 필터를 통해 검열된다고 주장했다.[3] 이 책은 1992년 영화로 각색되었다.[4] 1989년, 촘스키는 ''필요한 환상: 민주 사회의 사고 통제''를 통해 통제받는 언론과 엘리트 지식인 문화에 맞서 지적인 자기 방어를 해야만 의미 있는 민주주의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5]

2011년 오큐파이 운동을 지지하는 촘스키


1990년대에 촘스키는 이전보다 더 적극적으로 정치 활동에 참여했다.[6] 동티모르 독립을 꾸준히 지지해 온 그는 1995년 동티모르 구호 협회와 동티모르 저항 국가 위원회의 요청으로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호주를 방문했다.[7] 이 강연 내용은 1996년 ''권력과 전망''으로 출판되었다.[7] 촘스키의 국제적인 홍보 활동으로 인해, 전기 작가 볼프강 슈페를리히는 촘스키가 조사 저널리스트 존 필거를 제외하고 동티모르 독립 운동에 가장 큰 공헌을 했다고 평가했다.[8] 1999년 동티모르가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한 후, 호주 주도의 동티모르 국제군이 평화 유지군으로 도착했다. 촘스키는 이것이 티모르 갭 조약에 따라 동티모르의 석유 및 가스 매장량에 대한 호주의 접근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비판했다.[9]

2001년 9.11 테러 이후, 촘스키는 미국 대중이 테러를 이해하려는 과정에서 광범위하게 인터뷰되었다.[10] 그는 테러와의 전쟁이 새로운 것이 아니라, 적어도 레이건 시대 이후 미국의 외교 정책과 그에 따른 수사의 연속이라고 주장했다.[11] 2001년 뉴델리에서 D.T. 락다왈라 기념 강연을 했고,[12] 2003년에는 라틴 아메리카 사회 과학자 협회의 초청으로 쿠바를 방문했다.[13] 2003년 저서 ''패권 또는 생존''에서 촘스키는 미국의 "제국적 대전략"을 설명하고, 이라크 전쟁과 테러와의 전쟁의 다른 측면들을 비판했다.[14] 이 기간 동안 촘스키는 더욱 정기적으로 국제 순회 강연을 했다.[13]

2014년 스코틀랜드 독립 투표에서 촘스키는 스코틀랜드 독립을 지지했다.[15]

2. 7. 은퇴 이후 (2002년 ~ 현재)

촘스키는 2002년 MIT에서 은퇴했지만, 명예교수로서 캠퍼스에서 연구와 세미나를 계속 진행했다. 같은 해, 그는 터키를 방문하여 자신의 책을 출판했다는 이유로 반역죄로 기소된 출판사의 재판에 참석했다. 촘스키는 공동 피고인이 되기를 고집했고, 국제 언론의 주목 속에서 터키 국가안전재판소는 첫날 혐의를 기각했다.[5] 그는 터키의 쿠르드 지역을 방문하여 쿠르드족의 인권을 옹호하는 연설을 하기도 했다.[5] 촘스키는 세계사회포럼 지지자로, 2002년과 2003년 브라질에서 열린 회의와 인도에서 열린 포럼 행사에도 참석했다.

2014년 생태학, 윤리학, 무정부주의에 대해 논하는 촘스키


촘스키는 2011년 Occupy 운동을 지지하며, 캠프에서 연설하고, 이 운동을 30년간의 계급 투쟁에 대한 반응이라고 칭하며 관련 글을 발표했다.[5] 2015년 다큐멘터리 영화 ''Requiem for the American Dream''은 75분짜리 강연을 통해 자본주의와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그의 견해를 요약한다.

2015년 촘스키와 그의 아내는 브라질 상파울루에 거주지를 마련하고 브라질과 미국에서 시간을 나눠 생활하기 시작했다.[6]

촘스키는 2017년 애리조나 대학교에서 단기 정치학 강좌를 가르쳤고, 이후 그곳 언어학과의 시간제 교수로 채용되어 강의와 공개 세미나를 포함한 업무를 수행했다. 그의 급여는 자선 기부금으로 충당되었다.

2023년 6월 뇌졸중을 겪은 후 촘스키는 브라질로 완전히 이주했으며,[6] 이 사실은 2024년 6월까지 공개되지 않았다.[6]

3. 언어학에 대한 기여

촘스키는 언어학, 특히 변형생성문법 이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55년 《언어학 이론의 논리적 구조》를 통해 구조주의 언어학에 도전하며 변형생성문법 이론을 제시했다.[102]

촘스키는 아이들이 제한적인 언어적 자극에도 불구하고 모국어를 빠르게 습득하는 현상("자극의 빈곤")을 설명하기 위해, 인간이 선천적으로 언어 습득 장치(LAD)를 가지고 태어나며 이 장치가 보편 문법을 구성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생물언어학적 관점은 언어 구조의 기본 원리가 인간 마음에 생물학적으로 내재되어 유전적으로 전달된다는 것이다. 그는 모든 인간이 사회문화적 차이와 관계없이 동일한 기본 언어 구조를 공유한다고 주장하며, B. F. 스키너의 급진적 행동주의 심리학을 거부했다.

촘스키는 자신의 언어관이 합리론 철학과 일치하며, 경험론 철학과 대조된다고 주장했다.[7] 그러나 그의 주장은 명제적 지식을 배제하고 타고난 학습 능력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비판받기도 한다.[7]

마이클 토마셀로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은 언어의 유전적 기반, 언어 간 보편성 부족, 선천적 구조와 특정 언어 구조 사이의 연관성 부족 등을 지적하며 촘스키 이론에 이의를 제기했다.

3. 1. 변형생성문법

촘스키 언어학은 《변형생성문법의 론》에서 시작하여, 1955년 정리한 《언어학 이론의 논리적 구조(Logical Structure of Linguistic Theory)》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구조주의 언어학에 도전을 했으며, 변형생성문법의 이론을 소개하였다.

1960년대부터 촘스키는 통사적 지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타고난 것이라고 주장해 왔으며, 이는 아이들이 모국어의 특정 언어만을 배우면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는 인간의 언어 습득에 관한 관찰에 근거해, 「자극의 빈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즉, 아이들이 경험하는 언어적 자극과 그들이 획득하는 풍부한 언어 능력의 큰 차이다. 예를 들어, 아이들은 그들의 모국어 내에서 허용되는 통사적 변이체의 매우 작고 유한한 부분집합에 노출되어 있지만, 그들은 그 언어에서 한 번도 발음된 적이 없는 문장들을 포함하여 무한히 많은 문장들을 이해하고 생산하는 고도로 체계적이고 체계적인 능력을 어느 정도 습득한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촘스키는 일차 언어 데이터가 타고난 언어 능력으로 보충되어야 한다고 추론했다.[102]

또한, 인간 아기와 아기 고양이는 귀납적 추론을 할 수 있지만, 정확히 같은 언어에 노출될 경우에 인간은 항상 언어를 이해하고 생산하는 능력을 얻게 되는 반면 고양이는 결코 어떤 능력도 얻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능력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인간이 태생적으로 '언어 습득 장치(LAD, Language Acquisition Device)'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102] 그래서 언어학자들은 이 장치가 무엇이고 가능한 인간 언어의 범위에 어떤 제약을 가하는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러한 제약으로부터 생기는 보편적인 특징은 "보편문법"을 구성한다. 언어에 대한 유전적 기초의 진화적 실현 불가능성, 언어 간의 보편적 특징의 결여, 그리고 선천적/범용 구조와 특정 언어의 구조 사이의 입증되지 않은 연관성을 근거로 여러 학자들이 보편문법에 도전했다. 마이클 토마셀로는 행동관찰이 아닌 이론에 기초한 촘스키의 선천적 통사지식에 이의를 제기했다.

변환 생성 문법은 원어민의 언어 능력을 모델링, 인코딩 및 추론하는 데 사용되는 광범위한 이론이다. 이러한 모델 또는 "형식 문법"은 특정 언어의 추상적 구조를 다른 언어의 구조와 관련지어 보여준다. 촘스키는 1950년대 중반에 변형 문법을 개발했고, 그 결과 20년 동안 언어학에서 지배적인 통사 이론이 되었다. "변형"은 언어 내의 구문 관계를 말한다. 예를 들어, 두 문장 사이의 주어가 동일 인물임을 추론할 수 있다. 촘스키의 이론은 언어가 심층 구조와 표면 구조 둘 다로 구성된다고 본다. 변형생성문법은 의미와 소리(각각 깊은 구조와 표면 구조) 사이의 관계를 지배하는 규칙을 표현하기 위해 수학적 표기법을 사용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언어 원리는 수학적으로 언어의 잠재적인 문장 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촘스키는 일반적으로 변환 생성 문법을 발명한 사람으로 인정받지만, 그가 처음 이 이론을 발표했을 때 그의 기여는 미미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는 1955년 박사 논문과 1957년 교과서인 ''구문 구조''에서 촘스키의 박사 지도 교수였던 젤리그 해리스와 찰스 F. 호켓이 공식화한 분석의 최근 발전을 제시했다. 그들의 방법은 덴마크 구조주의 언어학자 루이 엘름슬레프의 연구에서 유래되었는데, 그는 일반 언어학에 알고리즘 문법을 도입했다. 문법의 이러한 규칙 기반 표기법을 기반으로, 촘스키는 논리적으로 가능한 구조 문법 유형을 일련의 네 개의 중첩된 하위 집합과 점점 더 복잡한 유형으로 분류했는데, 이는 촘스키 계층으로 알려져 있다.

서로 안에 겹쳐있는 4개의 타원형 집합. 각 타원형에는 용어가 적혀있고, 크기 순서대로 정규, 문맥 자유, 문맥 의존, 재귀 열거 가능이라고 쓰여있다.
촘스키 계층에 의해 설명되는 집합 포함 관계


이 분류는 형식 언어 이론과 이론 컴퓨터 과학, 특히 프로그래밍 언어 이론, 컴파일러 구성 및 오토마타 이론과 관련이 있다. 촘스키의 ''구문 구조''는 생성 언어학 자체를 넘어 엘름슬레프와 예스퍼센 시대에 구조주의 언어학의 시작이었던 것을 연결하는 촉매제가 되었고, 이는 인지 언어학이 되었다.[11]

변환 생성 문법은 1970년대 중반까지 지배적인 연구 패러다임이었다. 파생된 정부 결합 이론이 그것을 대체했고 1990년대 초까지 영향력을 유지했다. 언어학자들이 문법에 대한 "최소주의" 접근 방식으로 전환했을 때이다. 이 연구는 원리와 매개변수 프레임워크에 중점을 두었는데, 이는 아동이 언어 데이터를 접하면서 적응하는 열린 매개변수(보편 문법 원리 집합)를 채움으로써 어떤 언어든지 배울 수 있는 아동의 능력을 설명했다. 촘스키가 시작한 최소주의 프로그램은 어떤 최소한의 원리와 매개변수 이론이 가장 우아하고, 자연스럽고, 간단하게 적합한지 묻는다. 의미와 소리를 최소한의 기능을 사용하여 관련시키는 시스템으로 언어를 단순화하려는 시도에서 촘스키는 "심층 구조"와 "표면 구조"와 같은 개념을 없애고 대신 무한한 개념 또는 "논리 형식"이 있는 뇌의 신경 회로의 가소성을 강조한다. 언어 데이터에 노출되면 듣는 사람-말하는 사람의 뇌는 소리와 의미를 연관시키고, 우리가 관찰하는 문법 규칙은 실제로 언어가 작동하는 방식의 결과 또는 부작용일 뿐이다. 따라서 촘스키의 이전 연구의 대부분은 언어 규칙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이제 그는 뇌가 이러한 규칙을 생성하고 말을 조절하는 데 사용하는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촘스키가 '''"가설로서"''' 주장한 보편 문법 가설은 모든 인간의 언어에 "보편적인 특성이 있다"고 하며, 그 보편적 특성은 인간이 타고난, 즉 생득적인 그리고 생물학적인 특징이라는 '''언어 생득설'''에 따른, 언어를 인간의 생물학적 가설상의 (심리적) 기관에 의한 것으로 본 가설이다(언어 획득 장치).

그리고 그러한 가설을 일단 제쳐두고, 그 연구를 위해 그가 도입한 것이 '''「생성 문법」'''이었다. 생성 문법에 사용한 연역적인 방법론에 의해, 촘스키 이전의 언어학에 비해 언어학은 비약적으로 질과 정밀도를 높였다.

촘스키 이전의 언어학에서는 페르디낭 드 소쉬르를 대표로 하는 유럽 구조주의 언어학이나, 레너드 블룸필드 등의 미국 구조주의 언어학의 언어의 형태를 관찰·기술하는 구조주의적 접근이 우세했지만, 이에 대해 촘스키는 언어를 만들어내는 인간의 능력에 주목한 점(즉, 보편 문법 가설)과 그 메커니즘을 공식적으로 (형식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 생성 문법이라는 접근을 취한 점이 획기적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적절한 언어 형식을 산출하는 능력(linguistic competence|언어 능력영어)과 실제로 산출된 언어 형식(linguistic performance|언어 사용영어)을 구별하고, 전자를 연구의 중점으로 하고 있다. 촘스키 자신은 소쉬르의 열렬한 팬이자 열심히 읽는 독자이기도 하다.

그 이후, 언어학은 인지 과학컴퓨터 과학과 강한 친밀성을 획득했다. 인지 과학과의 친밀성은, 보편 문법 가설처럼 "뇌와 마음"에 관한 과학적 가설과 관련지어 인간과 언어에 대해 다룬 것에 따른다고 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듯이, 어떤 의미에서는 아이러니하게도, 더 인지 과학에 가깝다고 자처하는 인지 언어학은 촘스키의, 특히 보편 문법 가설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3. 2. 보편 문법

촘스키 언어 이론의 기반은 생물언어학(biolinguistics)에 있다. 생물언어학은 언어 구조의 기초가 되는 원리가 인간의 마음속에 생물학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고 유전적으로 계승된다는 견해를 가지는 언어학 학파이다.[102] 그는 사회문화적 차이와 상관없이 모든 인간은 동일한 기본적인 언어 구조를 공유한다고 주장한다.[102]

촘스키는 1960년대부터 통사적 지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타고난 것이라고 주장해 왔으며, 이는 아이들이 모국어의 특정 언어만을 배우면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는 인간의 언어 습득에 관한 관찰에 근거해 「자극의 빈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즉, 아이들이 경험하는 언어적 자극과 그들이 획득하는 풍부한 언어 능력의 큰 차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아이들은 그들의 모국어 내에서 허용되는 통사적 변이체의 매우 작고 유한한 부분집합에 노출되어 있지만, 그들은 그 언어에서 한 번도 발음된 적이 없는 문장들을 포함하여 무한히 많은 문장들을 이해하고 생산하는 고도로 체계적이고 체계적인 능력을 어느 정도 습득한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촘스키는 일차 언어 데이터가 타고난 언어 능력으로 보충되어야 한다고 추론했다.

또한, 인간 아기와 아기 고양이는 귀납적 추론을 할 수 있지만, 정확히 같은 언어에 노출될 경우에 인간은 항상 언어를 이해하고 생산하는 능력을 얻게 되는 반면 고양이는 결코 어떤 능력도 얻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능력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인간이 태생적으로 '언어 습득 장치(LAD, Language Acquisition Device)'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102] 그래서 언어학자들은 이 장치가 무엇이고 가능한 인간 언어의 범위에 어떤 제약을 가하는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러한 제약으로부터 생기는 보편적인 특징은 "보편문법"을 구성한다. 언어에 대한 유전적 기초의 진화적 실현 불가능성, 언어 간의 보편적 특징의 결여, 그리고 선천적/범용 구조와 특정 언어의 구조 사이의 입증되지 않은 연관성을 근거로 여러 학자들이 보편문법에 도전했다. 마이클 토마셀로는 행동 관찰이 아닌 이론에 기초한 촘스키의 선천적 통사 지식에 이의를 제기했다.

촘스키가 '''"가설로서"''' 주장한 보편 문법 가설은 모든 인간의 언어에 "보편적인 특성이 있다"고 하며, 그 보편적 특성은 인간이 타고난, 즉 생득적인 그리고 생물학적인 특징이라는 '''언어 생득설'''에 따른, 언어를 인간의 생물학적 가설상의 (심리적) 기관에 의한 것으로 본 가설이다(언어 획득 장치).

그리고 그러한 가설을 일단 제쳐두고, 그 연구를 위해 그가 도입한 것이 '''「생성 문법」'''이었다. 생성 문법에 사용한 연역적인 방법론에 의해, 촘스키 이전의 언어학에 비해 언어학은 비약적으로 질과 정밀도를 높였다.

촘스키 이전의 언어학에서는 페르디낭 드 소쉬르를 대표로 하는 유럽 구조주의 언어학이나, 레너드 블룸필드 등의 미국 구조주의 언어학의 언어의 형태를 관찰·기술하는 구조주의적 접근이 우세했지만, 이에 대해 촘스키는 언어를 만들어내는 인간의 능력에 주목한 점(즉, 보편 문법 가설)과 그 메커니즘을 공식적으로 (형식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 생성 문법이라는 접근을 취한 점이 획기적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적절한 언어 형식을 산출하는 능력(linguistic competence|영어 '''언어 능력''')과 실제로 산출된 언어 형식(linguistic performance|영어 '''언어 사용''')을 구별하고, 전자를 연구의 중점으로 하고 있다. 촘스키 자신은 소쉬르의 열렬한 팬이자 열심히 읽는 독자이기도 하다.

그 이후, 언어학은 인지 과학컴퓨터 과학과 강한 친밀성을 획득했다. 인지 과학과의 친밀성은, 보편 문법 가설처럼 "뇌와 마음"에 관한 과학적 가설과 관련지어 인간과 언어에 대해 다룬 것에 따른다고 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듯이, 어떤 의미에서는 아이러니하게도, 더 인지 과학에 가깝다고 자처하는 인지 언어학은 촘스키의, 특히 보편 문법 가설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컴퓨터 과학과의 친밀성은, 역사적으로 보면 동시대에 계산 언어학과 자연어 처리가 흥기했다는 행운도 있지만, 보편 문법 가설은 차치하고, 생성 문법이 언어를 공식적인 (형식적인) 것으로 다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에 따른다. 촘스키 자신은 그 후에도 인간의 자연어 연구에 매진하지만, 형식 언어의 이론인 촘스키 계층은 (자연어 처리를 전문으로 하는 사람을 제외하면) 많은 컴퓨터 과학자가 가장 잘 알고 있는 촘스키의 업적이다.

또한, 통사론의 자율성을 주장함으로써, 오히려 의미론이나 화용론 등의 인접 분야도 부각시키는 형태가 되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촘스키가 하버드 대학교에서 주니어 펠로우로 지낸 시절의 고찰에 기인한다. 파를 묻지 않고 모든 언어학자에게 "통사적으로는 grammatical하지만, 의미적으로는 nonsense인", "통사론과 의미론의 경계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듯한" 문장 "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을 보여준 것이 바로 그이다.

한편 촘스키적인 언어학에는 언어학 내외의 비판도 있다. 특히 언어학 내의 다른 파로부터의 비판은 "촘스키안"이라는 말의 존재에서도 알 수 있는 것으로, 촘스키 이전의 파벌로는 앞서 언급한 유럽 또는 미국의 구조주의에 의한 언어학에서, 또는 이후의 파벌로는 인지 언어학에서 온 것이 있다. 인지 언어학은 인간의 언어 능력에 대해, 언어에 특화된 것이 아니라 다른 능력을 포함하는 인지 체계의 일부로 보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보편 문법 가설이 언어만을 특별한 능력이라고 가정하고 있는 것에 특히 비판적이다.

3. 3. 촘스키 계층

노엄 촘스키는 1950년대 중반에 변형생성문법을 개발했고, 그 결과 20년 동안 언어학에서 지배적인 통사 이론이 되었다. "변형"은 언어 내의 구문 관계를 말한다. 예를 들어, 두 문장 사이의 주어가 동일 인물임을 추론할 수 있다. 촘스키의 이론은 언어가 깊은 구조와 표면 구조 둘 다로 구성된다고 본다. 변형생성문법은 의미와 소리(각각 깊은 구조와 표면 구조) 사이의 관계를 지배하는 규칙을 표현하기 위해 수학적 표기법을 사용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언어 원리는 수학적으로 언어의 잠재적인 문장 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다.[102]

3. 4. 최소주의 프로그램

촘스키는 1950년대 중반에 변형 문법을 개발했고, 그 결과 20년 동안 언어학에서 지배적인 통사 이론이 되었다. "변형"은 언어 내의 구문 관계를 말한다. 예를 들어, 두 문장 사이의 주어가 동일 인물임을 추론할 수 있다. 촘스키의 이론은 언어가 깊은 구조와 표면 구조 둘 다로 구성된다고 본다. 변형생성문법은 의미와 소리(각각 깊은 구조와 표면 구조) 사이의 관계를 지배하는 규칙을 표현하기 위해 수학적 표기법을 사용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언어 원리는 수학적으로 언어의 잠재적인 문장 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다.[102]

1960년대부터 촘스키는 통사적 지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타고난 것이라고 주장해 왔으며, 이는 아이들이 모국어의 특정 언어만을 배우면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는 인간의 언어 습득에 관한 관찰에 근거해, 「자극의 빈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즉, 아이들이 경험하는 언어적 자극과 그들이 획득하는 풍부한 언어 능력의 큰 차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아이들은 그들의 모국어 내에서 허용되는 통사적 변이체의 매우 작고 유한한 부분집합에 노출되어 있지만, 그들은 그 언어에서 한 번도 발음된 적이 없는 문장들을 포함하여 무한히 많은 문장들을 이해하고 생산하는 고도로 체계적이고 체계적인 능력을 어느 정도 습득한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촘스키는 일차 언어 데이터가 타고난 언어 능력으로 보충되어야 한다고 추론했다.

또한, 인간 아기와 아기 고양이는 귀납적 추론을 할 수 있지만, 정확히 같은 언어에 노출될 경우에 인간은 항상 언어를 이해하고 생산하는 능력을 얻게 되는 반면 고양이는 결코 어떤 능력도 얻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능력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인간이 태생적으로 '언어 습득 장치(LAD, Language Acquisition Device)'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102] 그래서 언어학자들은 이 장치가 무엇이고 가능한 인간 언어의 범위에 어떤 제약을 가하는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러한 제약으로부터 생기는 보편적인 특징은 "보편문법"을 구성한다. 언어에 대한 유전적 기초의 진화적 실현 불가능성, 언어 간의 보편적 특징의 결여, 그리고 선천적/범용 구조와 특정 언어의 구조 사이의 입증되지 않은 연관성을 근거로 여러 학자들이 보편문법에 도전했다. 마이클 토마셀로는 행동 관찰이 아닌 이론에 기초한 촘스키의 선천적 통사 지식에 이의를 제기했다.

4. 철학에 대한 기여

촘스키의 언어학 연구는 현대 철학에 심오한 영향을 주었다. 촘스키에게 언어학은 인지심리학의 한 분야였으며, 언어학적 통찰은 정신 과정과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를 수반한다.

촘스키는 마음철학, 언어철학, 과학철학 등 다양한 철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그는 당시 지배적인 철학적 방법론이었던 논리적 실증주의를 거부하고 철학자들이 언어마음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재구성한 중요한 패러다임 전환인 "인지혁명"을 이끌었다고 평가받는다. 촘스키는 인지 혁명이 17세기 합리주의적 이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본다. 마음에는 언어, 지각, 사고를 이해하는 고유한 구조가 있다는 그의 견해는 행동주의보다는 합리주의와 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는 자신의 주요 저술 중 하나인 『카르테지언 언어학: 합리주의 사상사의 한 장』(1966)에서 이를 언급했다. 이는 고전적인 자료에 대한 촘스키의 해석과 철학적 용어 사용에 동의하지 않는 역사가들과 철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언어철학에서 촘스키는 인간 언어에서 참조와 의미 개념에 대한 그의 비판과 정신적 표상의 본질과 기능에 대한 그의 관점으로 특히 잘 알려져 있다.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와의 유명한 1971년 논쟁은 분석철학과 대륙철학 전통의 상징적인 충돌이었는데, 각각 촘스키와 푸코가 대표했다. 이것은 20세기의 두 도덕적, 지적 거장 사이의 해결 불가능해 보이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푸코는 인간 본성에 대한 어떤 정의도 우리의 현재 자신에 대한 개념과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한 반면, 촘스키는 이성을 통해 추론된 공통된 도덕적 정의의 기준과 같은 보편적인 것을 포함하는 인간 본성을 주장했다. 촘스키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프랑스 철학 전반을 비판하며, 포스트모더니즘 좌파 철학자들의 모호한 언어가 노동 계급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타일러 버지, 도널드 데이비슨, 마이클 덤멧, 솔 크립키, 토마스 네이글, 힐러리 퍼트넘, 윌러드 반 오먼 콰인, 존 설을 포함한 분석 철학자들과도 논쟁을 벌였다.

5. 정치적 견해

촘스키는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아나키즘과 아나코 생디칼리즘으로 명확히 밝히고 있다. 그는 10대 시절부터 아나키즘에 매료되었으며, 삶의 모든 측면에서 권위, 계층, 지배 구조에 도전하고 이를 정당화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29] 이러한 신념은 인간의 자유 영역을 넓히기 위해 부당한 권력 구조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촘스키는 특히 아나르코-생디칼리즘을 자신의 핵심 정치 사상으로 삼고, 이를 고도로 발전된 산업 사회에 적합한 합리적인 조직화 방식으로 평가한다. 그는 산업화와 기술 발전이 노동자 자치 관리의 가능성을 열어주며, 노동자들이 공장 운영, 경제 체제, 사회 제도, 지역 및 광범위한 계획 수립 등 중요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지위를 얻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기계화를 통해 필요 노동을 기계에 맡기고 인간은 자유롭게 창조적인 노동에 종사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촘스키는 스페인 내전 당시 카탈루냐 지방과 바르셀로나에서 나타났던 민주적 노동자 자치에 의한 무정부주의 혁명에서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 권위주의적인 국가를 비판한다. 그는 미국 주도의 신자유주의와 네오콘 세력의 군사적 행동을 비판하며, 특히 9·11 테러 이후 미국의 대외 정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강화했다.[103]

2006년 베네수엘라차베스 대통령유엔 총회 연설에서 촘스키의 저서 《패권인가, 생존인가》를 언급하며 미국 국민들에게 일독을 권유한 사건은 그의 비판적 관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책은 연설 다음 날 아마존닷컴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다.

세계적인 신자유주의에 대해서도 촘스키는 “독재, 전체주의, 제도의 폭력도 인간성을 파괴하나 대기업이 더 위험한 이유는 돈에는 국경이 없기 때문이다."라고 비판한다.[103] 그는 "사기업은 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적 이익을 추구할 뿐 인권, 평등 같은 단어들이 끼어들 틈이 없다”고 지적하며, 언론 또한 사기업화되어 광고주인 대기업의 이익을 대변하고, 이로 인해 잘못된 이익의 먹이사슬이 형성되었다고 비판한다.[103]

하지만 촘스키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피터 콜리어와 데이비드 호로위츠 (David Horowitz)는 촘스키가 자신의 이론에 맞춰 사실을 선택적으로 취사선택했다고 비난했고,[26] 호로위츠는 촘스키의 반미주의를 비판했다.[27] 후버 연구소 (Hoover Institution)의 피터 슈바이처는 촘스키가 상속세와 소득 재분배를 옹호하면서도 정작 자신의 소득 재분배에는 반대한다고 비판했다.

촘스키는 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 정권에 대해서는 관대하고 자본주의 정권에 대해서는 더 엄격하다는 비판도 받는다.[28] 조지 몬비엇 (George Monbiot)은 촘스키와 존 필거 (John Pilger) 주변에 일종의 추종자 집단이 형성되어 그들이 틀릴 수 없다고 믿고, 그들의 실수를 정당화하기 위해 더욱 정교한 음모론을 만들어낸다고 주장했다.[28]

반면, 촘스키의 옹호자들은 그가 검열당하거나 공개 토론에서 배제되었다고 반박하며, 그의 통찰력이 정책 논쟁에서 배제되는 것은 건전하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5. 1. 미국 외교 정책 비판

촘스키는 미국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와 네오콘 세력의 군사적 행동을 비판하며, 특히 9·11 테러 이후 미국의 대외 정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강화했다.[103] 2006년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유엔 총회 연설에서 촘스키의 저서 《패권인가, 생존인가》를 언급하며 미국 국민들에게 일독을 권유한 사건은 그의 비판적 관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촘스키는 신자유주의에 대해서도 비판적인데, “독재, 전체주의, 제도의 폭력도 인간성을 파괴하나 대기업이 더 위험한 이유는 '''돈'''에는 국경이 없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한다. 그는 "사기업은 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적 이익을 추구할뿐 인권, 평등 같은 단어들이 끼어들 틈이 없다”고 비판한다.[103] 또한, 언론이 사기업화되어 광고주인 대기업의 이익을 대변하고, 이로 인해 잘못된 이익의 먹이사슬이 형성되었다고 지적한다.[103]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 대해 촘스키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 정책과 서안 지구 정착촌 건설을 비판하며, 이를 식민주의에 비유했다.[18] 1947년 유엔의 팔레스타인 분할 계획은 잘못된 결정이라고 평가했지만, 당시 상황을 고려하여 2국가 해결책을 고려하기도 했다.[18]

촘스키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정책을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파르트헤이트와 비교하며, 점령 지역의 상황이 더 심각하다고 주장한다.[19][20] 그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인들의 삶을 견딜 수 없게 만들고 있으며, 매일 "잔혹 행위"가 자행되고 있다고 비판한다.[19] 또한 이스라엘은 국제 사회의 승인 대신 미국의 지원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19] 촘스키는 가자 지구 봉쇄로 인해 가자 지구가 "강제 수용소"로 변했다고 비판하며, 팔레스타인 지역 점령이 지속되면 이스라엘 유대인들이 "유대 나치"가 될 수 있다는 예샤야후 라이보위츠의 경고를 언급했다.[21] 그는 미국이 이스라엘의 "잔혹 행위"를 지원함으로써 폭력을 수출하는 국가라고 비판하며, 미국 주류 언론은 "이스라엘 선전 기관"과 같다고 말했다.[22]

2010년, 촘스키는 이스라엘에 대한 비판으로 인해 서안 지구 입국이 거부되기도 했다. 당시 그는 비르자이트 대학교 강연과 살람 파야드 팔레스타인 총리 면담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이스라엘 외무부는 그의 입국 거부가 실수였다고 해명했다.[22]

촘스키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자멸적"이고 "자살적인 성격"과 "무장 투쟁", "불규칙적인 폭력" 프로그램을 비판했고, 아랍 정부들을 "제대로 된" 정부가 아니라고 비판했다.[23][24] 그의 견해는 키부츠 운동과 사회주의적 양국 협력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25] 2014년 인터뷰에서 촘스키는 하마스 헌장이 "실질적으로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말하며, 리쿠드당의 선거 프로그램과 비교하며 리쿠드당 역시 팔레스타인 국가 존재를 명시적으로 반대한다고 주장했다.[20]

촘스키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피터 콜리어와 데이비드 호로위츠 (David Horowitz)는 촘스키가 자신의 이론에 맞춰 사실을 선택적으로 취사선택했다고 비난했고,[26] 호로위츠는 촘스키의 반미주의를 비판했다.[27] 후버 연구소 (Hoover Institution)의 피터 슈바이처는 촘스키가 상속세와 소득 재분배를 옹호하면서도 정작 자신의 소득 재분배에는 반대한다고 비판했다.

촘스키는 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 정권에 대해서는 관대하고 자본주의 정권에 대해서는 더 엄격하다는 비판도 받는다.[28] 조지 몬비엇 (George Monbiot)은 촘스키와 존 필거 (John Pilger) 주변에 일종의 추종자 집단이 형성되어 그들이 틀릴 수 없다고 믿고, 그들의 실수를 정당화하기 위해 더욱 정교한 음모론을 만들어낸다고 주장했다.[28]

반면, 촘스키의 옹호자들은 그가 검열당하거나 공개 토론에서 배제되었다고 반박하며, 그의 통찰력이 정책 논쟁에서 배제되는 것은 건전하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5. 2.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Noam Chomsky영어는 젊은 시절 자본주의와 물질적 부의 추구에 대한 반감을 키웠다.[103] 동시에 그는 소련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정책에서 나타나는 권위주의적 사회주의에 대한 혐오감을 키웠다. 그는 미국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제의 완전한 국가 소유와 완전한 사유 소유 사이에 스펙트럼이 존재한다는 견해 대신, 경제의 완전한 민주적 통제와 완전한 독재적 통제(국가 또는 사유 모두) 사이에 스펙트럼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서구 자본주의 국가들이 진정한 민주주의 국가가 아니라고 주장하는데, 그의 견해에 따르면 진정한 민주주의 사회란 모든 사람이 공공 경제 정책에 대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그는 IMF, 세계은행, GATT( WTO의 전신)와 같은 기관들을 포함한 지배 엘리트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촘스키는 1970년대 이후 여러 금융 규제의 폐지와 미국이 브레턴우즈 금융 통제 협정을 일방적으로 파기한 결과로 미국이 경제적으로 점점 더 불평등해졌다고 강조한다. 그는 미국을 사실상의 일당 독재 국가로 규정하고, 공화당과 민주당 모두 기업과 금융 세력이 통제하는 단일 "기업 정당"의 표현으로 본다. 촘스키는 서구 자본주의 자유 민주주의 국가 내에서 인구의 최소 80%가 경제적 결정에 대한 통제력이 없으며, 그 대신 경영층의 손에 달려 있고 궁극적으로는 소수의 부유한 엘리트에 의해 통제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경제 시스템의 고착화를 지적하면서, 촘스키는 문제를 이해하고 경제를 더 공정하게 재편성하는 방법을 아는 다수의 사람들의 조직적인 협력을 통해 변화가 가능하다고 믿는다. 기업의 미디어 및 정부 지배가 이 시스템에 대한 어떠한 중요한 변화도 억압한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그는 노예 제도에 대한 사회적 거부, 여성 권익의 신장, 정부의 침략 정당화 강요와 같은 역사적 사례에서 낙관할 이유를 본다. 그는 정부를 전복하기 위한 폭력 혁명을 가능하다면 피해야 할 최후의 수단으로 보고, 혼란으로 인해 인구의 복지가 악화된 역사적 혁명의 예를 인용한다.

촘스키는 자유지상 사회주의와 아나코-신디칼리즘 사상을 계몽주의 시대의 고전적 자유주의 사상의 후예로 본다. 그는 자신의 이념적 입장이 "인간 존재의 자유롭고 창조적인 특성을 키우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생산 수단에 대한 직접적인 노동자 통제와 노동자 평의회에 의한 정부가 있는 아나코-신디칼리스트 미래를 구상하는데, 노동자 평의회는 총회에서 함께 모일 임시적이고 취소 가능한 대표자를 선출할 것이다. 이러한 자치의 목적은 토머스 제퍼슨의 말처럼 각 시민을 "사회 문제의 정부에 직접 참여하는 사람"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는 정당이 필요 없다고 믿는다. 그는 생산적인 삶을 통제함으로써 개인이 직업 만족감과 성취감, 목적 의식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그는 불쾌하고 인기 없는 일은 완전히 자동화하거나 특별히 보상하거나 공동으로 분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의 전반적인 주장은 아나코 생디칼리즘으로 분류된다. 사회 철학적으로는 빌헬름 폰 훔볼트존 듀이로부터 영향을 받았고, 사상적으로는 스페인 내전 때 카탈루냐 지방과 바르셀로나에서 대두되었던 민주적 노동자 자치에 의한 무정부주의 혁명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아 권위주의적인 국가를 비판하였다.

2006년 베네수엘라차베스 대통령유엔 총회에서 미국 부시 대통령을 ‘악마’라고 비판한 유명한 연설을 했을 때에 촘스키의 저서 《패권인가, 생존인가―미국의 세계 전략과 인류 미래》를 보이며, “미국 국민은 꼭 이 책을 읽어야 한다”라고 말을 하였다. 그 다음날의 그의 저서는 아마존닷컴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다.

세계적 신자유주의에 대해서도 분명한 반대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독재, 전체주의, 제도의 폭력도 인간성을 파괴하나 대기업이 더 위험한 이유는 '''돈'''에는 국경이 없기 때문이다. 사기업은 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적 이익을 추구할뿐 인권, 평등 같은 단어들이 끼어들 틈이 없다”고 했고 “신문, 언론도 사기업화되어 광고주인 사기업의 이익을 대변해 주고 사기업들은 광고로 언론의 이익을 보장함으로써 잘못된 이익의 먹이사슬을 형성했다”고 일침을 놓았다.[103]

5. 3. 언론과 선전

촘스키의 정치적 저술은 주로 이데올로기, 사회 및 정치적 권력, 대중 매체, 그리고 국가 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저서 중 하나인 ''동의의 제조''는 정치적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국가 정책을 강화하고 묵인하는 동시에 상반되는 관점을 소외시키는 데 있어 매체의 역할을 분석한다. 촘스키는 정부 주도의 "자유 시장" 세력에 의한 이러한 형태의 검열이 소련의 선전 체제보다 더 미묘하고 파괴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103] 그는 주류 언론은 기업 소유이며 따라서 기업의 우선 순위와 이익을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많은 미국 언론인들이 헌신적이고 선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그는 대중 매체의 주제와 이슈 선택, 그 보도가 기반하는 의심의 여지가 없는 전제, 그리고 표현되는 의견의 범위가 모두 국가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도록 제약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대중 매체는 개별 정치인과 정당을 비판할 수 있지만, 자신이 속한 더 광범위한 국가-기업 연합을 훼손하지는 않을 것이다. 증거로 그는 미국 대중 매체가 사회주의 언론인이나 정치 논평가를 고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는 또한 미국 주류 언론이 보도하면 국가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무시해 온 중요한 뉴스 보도 사례들을 지적한다. 여기에는 FBI의 개입 가능성이 있는 흑표당 프레드 햄프턴의 살해, 미국이 자금을 지원한 콘트라스가 저지른 니카라과 학살, 그리고 팔레스타인인 사망자 수에 대한 동등한 보도 없이 이스라엘인 사망에 대한 지속적인 보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촘스키는 풀뿌리 민주적 통제와 매체 참여를 촉구한다.

촘스키는 대부분의 음모론을 개인적 조작이 광범위한 사회적 명령보다 부차적인 제도적 틀에서 정책 형성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방해하는 무익한 대체물로 간주한다. 그는 자신의 선전 모델을 음모와 구분하는데, 그는 비밀 통제를 가진 공모 세력이 아니라 제도가 자연스러운 명령을 따르는 것을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해독제로서 교육 시스템을 지지하는 대신 대부분의 교육이 역효과를 낸다고 믿는다. 촘스키는 대중 교육을 독립적인 생산자였던 농민들을 무분별한 산업 노동자로 전환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묘사한다.

6. 논쟁

촘스키는 철학과 언어학, 정치학에서 자신의 의견과 견해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토론하는 인물로 알려져 왔다. 그가 토론과 논쟁을 벌인 유명한 석학 및 인사들은 다음과 같다.


  • 최재천 (1954년~) (동물행동학자)
  • 장 피아제 (철학자, 자연과학자, 발달심리학자)
  • 미셀 푸코 (사학자, 철학자)
  • 윌리엄 버클리 주니어 (1925년-2008년) (지적 보수주의 운동)
  • 크리스토퍼 히친스 (신은 위대하지 않다, 2008)
  • 힐러리 퍼트넘 (Hilary Putnam, 1926년~) (미국 분석철학자)
  • 윌라드 반 오만 콰인 (철학자, 논리학자)
  • 앨런 더쇼비츠 (하버드 대학 교수, 변호사) (미래의 법률가에게, 2008)


촘스키는 서구 지성계를 대표하는 인물이며, 언어학 분야의 중심 인물이자 인지과학, 컴퓨터 과학, 철학, 심리학 분야에서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 그는 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지식인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2] 언어학과 정치적 반대 영역 모두에서 선구자이자 거장으로서 이중적인 유산을 남겼다.[3] 학문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그의 정치적 견해와 활동으로 인해 주류 언론의 불신을 받았으며, "수용 가능성의 바깥 경계에 있는" 인물로 여겨진다.[4] 촘스키의 대중적 이미지와 사회적 평판은 종종 그의 연구에 대한 대중적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5]

7. 저서

촘스키는 언어학, 정치, 인지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그의 언어학 연구는 "인지 혁명"을 촉발하고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벗어나 언어학을 자연과학으로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9][30] 일부에서는 촘스키를 "현대 언어학의 아버지"라고 부르기도 한다.[31]

촘스키의 저작은 언어학뿐만 아니라 컴퓨터 과학, 심리학, 음악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도널드 크누스와 존 배커스 같은 ACM 튜링상 수상자들은 촘스키의 연구가 포트란 개발 등 컴퓨터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고 언급했다.[45][46] 그는 살아있거나 죽은 저자를 통틀어 가장 많이 인용되는 학자 중 한 명으로, 그의 영향력은 학계를 넘어 광범위하게 퍼져있다.[50]

촘스키의 주요 언어학 저서는 다음과 같다.


  • ''The Logical Structure of Linguistic Theory'' (1955년 저술, 1975년 출판); 미번역, 부분 번역 있음
  • ''Syntactic Structures'' (1957)
  • ''Current Issues in Linguistic Theory'' (1964)
  •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1965)
  • 촘스키(저), 후쿠이 나오키와 츠지이 미호코(역), 「통사이론의 양상 - 방법론 서설」, 이와나미문고, 2017년 2월 16일.
  • ''Cartesian Linguistics'' (1965)
  • ''Language and Mind'' (1968)
  •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모리스 할레 공저) (1968)
  • ''Reflections on Language'' (1975)
  •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1981)
  • ''The Minimalist Program'' (1995)

7. 1. 정치

촘스키는 언어학뿐만 아니라 정치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며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는 "가장 많이 인용되는 현존 작가"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그의 정치 관련 저술 덕분이다.[104] 촘스키는 민중을 옹호하고, 전 세계의 자유를 위한 투쟁에 영감을 주는 인물로 묘사된다. 그는 반자본주의 및 반제국주의 운동의 "구루"로 여겨지며, 그가 개발한 미디어 비판의 선전 모델은 대안 미디어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촘스키의 주요 정치 관련 저작은 다음과 같다.

제목출판 연도원제비고
《지식인의 책무》1967년The Responsibility of Intellectuals
American Power and the New Mandarins1969년
《세계를 해석하는 것에 대하여 /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에 대하여》1972년Problems of Knowledge and Freedom: The Russell Lectures《촘스키, 러셀을 말하다》로도 출간
《숙명의 트라이앵글》1983년, 1999년The Fateful Triangle: The United States, Israel, and the Palestinians
《해적과 제왕》1986년Pirates and Emperors: International Terrorism and the Real World
The Soviet Union Versus Socialism1986년
《여론조작》1988년Manufacturing Consent: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Mass Media[104]
《테러리즘의 문화》1988년The Culture of Terrorism
《환상을 만드는 언론》1989년Necessary Illusions
《507년, 정복은 계속된다》1993년Year 501: The Conquest Continues
《촘스키 세상의 권력을 말하다》1993년, 2003년The Prosperous Few and the Restless Many
Deterring Democracy1992년
《미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1992년What Uncle Sam Really Wants
《노암 촘스키의 미디어컨트롤》1997년, 2002년Media Control: The Spectacular Achievements of Propaganda
《냉전과 대학》1997년The Cold War and the University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1999년Profit over People: Neoliberalism and Global Order
《불량국가》2000년Rogue States: The Rule of Force in World Affairs
《실패한 교육과 거짓말》2000년Chomsky on Mis-Education
《촘스키 9-11》2001년9-11
《촘스키 사상의 향연》2002년Chomsky on Democracy and Education
《패권인가 생존인가》2003년'Hegemony or Survival: Americas Quest for Global Dominance''
Objectivity and Liberal Scholarship2003년
《권력과 테러》2003년Power and Terror: Post-9/11 Talks and Interviews
《중동의 평화에 중동은 없다》2003년Middle East Illusions: Including Peace in the Middle East? Reflections on Justice and Nationhood
《촘스키, 미래의 정부를 말하다》2005년Government in the Future
《촘스키의 아나키즘》2005년Chomsky on Anarchism
《촘스키, 우리의 미래를 말하다》2005년Imperial Ambitions: Conversations on the Post-9/11 World
《촘스키 실패한 국가 미국을 말하다》2006년Failed States: The Abuse of Power and the Assault on Democracy
《촘스키, 세상의 물음에 답하다》2005년
《촘스키와 아슈카르 중동을 이야기하다》2006년Perilous Power. The Middle East and US Foreign Policy. Dialogues on Terror, Democracy, War, and Justice
《촘스키, 우리가 모르는 미국 그리고 세계》2007년Interventions
《촘스키 변화의 길목에서 미국을 말하다》2007년What We Say Goes: Conversations on US Power in a Changing World
《미국의 이라크 전쟁》Iraq under siege
《프리바토피아를 넘어서》Penser le XXI siècle par le monde diplomatique 2000 par le monde diplomatique
《전쟁과 평화》
《노엄 촘스키와의 대담(한국과 국제정세)》
《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Deux heures de lucidité : entretiens avec Noam Chomsky
《야만의 주식회사 G8을 말하다》Arguments against G8
《시대의 양심20인 세상의 진실을 말하다》Louder than bombs : the progressive interview



촘스키는 미국 외교 정책, 이스라엘 문제, 보스니아 전쟁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해왔다. 이로 인해 그는 "반미주의자", "유대인 민족의 배신자", 반유대주의자와 같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특히 스레브레니차 학살을 "집단 학살"이라고 부르지 않은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았는데,[33] 그는 학살 사실 자체는 인정하지만, 그 학살이 집단 학살의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34]

7. 2. 언어학

맥길브레이는 촘스키가 언어학에서 "인지 혁명"을 시작했으며[29], 20세기 중반에 지배적이었던 구조주의 언어학의 절차적 형태에서 벗어나 이 분야를 형식적인 자연과학으로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말한다.[30] 따라서 일부 사람들은 촘스키를 "현대 언어학의 아버지"라고 부른다.[31] 언어학자 존 라이언스는 촘스키 언어학이 출판 후 수십 년 만에 언어학 분야에서 "가장 역동적이고 영향력 있는" 사상 학파가 되었다고 말했다.[32] 1970년대까지 그의 연구는 철학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33] 무어헤드 주립대학교 여론 조사에서 ''구조적 통사론''이 인지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단일 연구로 선정되었다.[34] 또한, 그의 오토마타 이론과 촘스키 계층 구조에 대한 연구는 컴퓨터 과학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전산 언어학에서도 많이 인용된다.[37][38][39]

촘스키의 행동주의 비판은 행동주의 심리학의 쇠퇴에 상당히 기여했다.[40] 또한, 그는 일반적으로 인지 과학 분야의 주요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41][42] 진화 심리학의 일부 주장은 그의 연구 결과에서 비롯된다.[43] 콜롬비아 대학교에서 동물 언어 습득 연구의 주제였던 침팬지 님 침프스키는 언어 습득을 인간 고유의 능력으로 보는 그의 견해를 참고하여 촘스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4]

ACM 튜링상 수상자인 도널드 크누스는 수학, 언어학, 컴퓨터 과학에 대한 그의 관심을 결합하는 데 촘스키의 연구가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45] 또 다른 튜링상 수상자인 IBM 컴퓨터 과학자 존 배커스는 촘스키의 개념 중 일부를 사용하여 최초로 널리 사용된 고급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인 포트란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46] 촘스키의 생성 문법 이론은 음악 이론과 음악 분석에서도 영향을 미쳤는데, 예를 들어 프레드 렐달과 레이 재켄도프의 생성적 조성 음악 이론이 있다.[47][48][49]

촘스키는 살아 있거나 죽은 저자 중 가장 많이 인용되는 저자 중 한 명이다.[50] 그는 1980년부터 1992년까지 예술 및 인문학 인용 색인에서 다른 어떤 살아있는 학자보다 더 많이 인용되었다.[51] 촘스키는 같은 기간 동안 사회 과학 인용 색인과 과학 인용 색인에서도 광범위하게 인용되었다. 연구를 수행한 사서에 따르면 통계는 "그가 여러 학문 분야에서 매우 널리 읽히고 있으며 그의 연구가 여러 학문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놈 촘스키를 인용하지 않고 논문을 쓸 수 없는 것 같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52] 그의 영향으로 인해 촘스키주의와 비촘스키주의 언어학의 두 진영이 있다. 그들의 논쟁은 종종 매서운 편이다.[53] 또한, 저널리스트 마야 자기에 따르면, 촘스키는 칼 마르크스, 셰익스피어 및 성경과 함께 인문학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출처 중 하나이다.[54]

촘스키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굵은 글씨체로 표기[92]).

  • `The Logical Structure of Linguistic Theory` (1955년 저술, 1975년 출판); 미번역, 부분 번역 있음(아래 참조)
  • `Syntactic Structures` (1957)
  • `Current Issues in Linguistic Theory` (1964)
  •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1965)
  • 촘스키(저), 후쿠이 나오키와 츠지이 미호코(역), 「통사이론의 양상 - 방법론 서설」, 이와나미문고, 2017년 2월 16일.
  • `Cartesian Linguistics` (1965)
  • `Language and Mind` (1968)
  •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모리스 할레 공저 (1968)
  • `Reflections on Language` (1975)
  •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1981)
  • `The Minimalist Program` (1995)

8. 기타

그의 어록 중에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유명한 말이 있다. '부패한 정부는 모든 것을 민영화한다.'인데 원문은 이와 조금 차이가 있다. 《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에 실린 글은 다음과 같다.

This shameless corrupt government wants to privatize anything and everything including our highways, education, health care system, water supply and probably the air we breathe.영어

이 뻔뻔하고 부패한 정부는 우리의 고속도로, 교육, 보건 의료 시스템, 급수 시설 그리고 어쩌면 우리가 호흡하는 공기를 포함하여 어떤 것이든지 그리고 모든 것을 민영화하길 원한다.한국어

2014년 워서먼과 촘스키


촘스키는 가정 생활, 언어학 연구, 정치 활동을 서로 분리하려고 노력한다.[1] 매우 사적인 사람인 그는 외모나 자신의 연구가 가져온 명성에는 관심이 없다.[2] 맥길브레이는 촘스키가 명성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말하고 다른 사람들이 그렇게 하는 것을 돕고자 하는 열망에 이끌린다고 제안한다.[3] 촘스키는 자신의 수입이 세계 대다수 인구에 비해 특권적인 삶을 제공한다는 것을 인정한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을 "노동자"라고 묘사하는데, 비록 자신의 지능을 고용 가능한 기술로 사용하는 노동자이지만 말이다.[5] 그는 매일 4~5개의 신문을 읽는데, 미국에서는 ''보스턴 글로브(The Boston Globe)'', ''뉴욕 타임즈(The New York Times)'', ''월스트리트 저널(The Wall Street Journal)'', ''파이낸셜 타임즈(Financial Times)'', 그리고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The Christian Science Monitor)''를 구독한다.[6] 촘스키는 종교인이 아니지만 해방 신학과 같은 종교 형태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견해를 표명했다.[7]

촘스키는 기존의 정치 및 학계 인물들을 묘사할 때 ("부패한", "파시스트", "사기적인" 등의) 강한 어조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그의 청중을 양극화시킬 수 있지만 많은 학문이 자기만족적이라는 그의 믿음과 일치한다.[8] 그의 동료인 스티븐 핑커(Steven Pinker)는 촘스키가 "자신과 의견이 다른 사람들을 멍청하거나 악하다고 묘사하며, 그의 수사법에 냉소적인 경멸을 사용한다"라고 말했고, 이것이 그가 받는 극단적인 반응에 기여한다고 말했다.[9] 촘스키는 사회주의 학자 회의와 같은 좌파 성향의 회의를 포함한 학술회의를 피하고, 활동가 그룹에 연설하거나 대중을 위한 대학 세미나를 개최하는 것을 선호한다.[10] 그의 학문적 자유에 대한 접근 방식은 그가 혐오하는 행동을 하는 MIT 학자들을 지지하게 만들었다. 1969년 촘스키는 베트남 전쟁의 주요 설계자인 월트 로스토우(Walt Rostow)가 MIT로 돌아오려 한다는 소식을 듣고 로스토우가 MIT에서 직위를 얻지 못하게 된다면 "공개적으로 항의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1989년 펜타곤 고문인 존 도이치(John Deutch)가 MIT 총장에 지원했을 때 촘스키는 그의 후보자를 지지했다. 나중에 도이치가 CIA 국장이 되었을 때, ''뉴욕 타임즈''는 촘스키의 말을 인용하여 "그는 제가 만난 사람 중 가장 정직하고 고결합니다. … 누군가가 CIA를 운영해야 한다면, 제가 보기엔 그가 적임자입니다."라고 보도했다.[11]

촘스키는 1949년부터 2008년 사망할 때까지 캐롤 도리스 샤츠와 결혼했다.[12] 그들은 세 자녀를 두었다: 아비바(1957년생), 다이앤(1960년생), 해리(1967년생).[13] 2014년 촘스키는 발레리아 워서먼과 결혼했다.[14] 그들은 2015년부터 워서먼의 고향인 브라질에 집을 소유하고 있다.[15]

2023년 촘스키는 심각한 뇌졸중을 겪었고 회복을 위해 브라질 상파울루의 병원으로 이송되었다.[16] 그는 더 이상 걷거나 의사소통을 할 수 없어 공적인 삶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같은 현재의 사건들을 계속 주시하고 있다.[31] 그는 2024년 6월 퇴원하여 가정에서 회복을 계속했다.[15] 같은 달, 촘스키는 사망 소식에 대한 허위 보도 속에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가 되었다. 정기 간행물들은 조기 부고 기사들을 삭제했다.[32]

참조

[1] 웹사이트 Kyle Kulinski Speaks, the Bernie Bros Listen https://jacobinmag.c[...] 2022-02-09
[2] 웹사이트 Noam Chomsky: Israel's Actions in Palestine are "Much Worse Than Apartheid" in South Africa http://www.democracy[...]
[3] 뉴스 Dr. David Chomsky, a cardiologist who made house calls, dies at 86 https://www.inquirer[...] 2021-07-12
[4] 웹사이트 Scottish independence: Noam Chomsky backing Yes https://www.scotsman[...] 2014-04-24
[5] 웹사이트 Review: Noam Chomsky's 'Occupy' https://fpif.org/rev[...] 2012-04-06
[6] 웹사이트 Linguist and activist Noam Chomsky hospitalized in his wife's native country of Brazil after stroke https://apnews.com/a[...] 2024-06-11
[7] 백과사전 Rationalism vs. Empiricism https://plato.stanfo[...] Stanford University 2017
[8] 학술지 Empirical assessment of stimulus poverty arguments 2002
[9] 학술지 Empirical re-assessment of stimulus poverty arguments https://www.ling.upe[...] 2002
[10] 학술지 Revisiting the poverty of the stimulus: hierarchical generalization without a hierarchical bias in recurrent neural networks https://tallinzen.ne[...]
[11] 웹사이트 Strukturelle Grammatik, semantische Universalien und Arbitrarität – Ein Gespräch mit Manfred Bierwisch http://www.gespraech[...] 2019
[12] 서적 Noam Chomsk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
[13] 백과사전 Chomsky, Noam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
[14] 서적 The 9/11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6-02
[15] 웹사이트 Noam Chomsky and Jeremy Scahill on the Russia-Ukraine War, the Media, Propaganda, and Accountability https://theintercept[...] 2022-04-14
[16] 뉴스 Noam Chomsky Says Ukraine Desire for Heavy Weapons Is 'Western Propaganda' https://www.newsweek[...] 2022-05-13
[17] 웹사이트 Noam Chomsky: Russia is fighting more humanely than the US did in Iraq https://www.newstate[...] 2023-04-29
[18] 서적 A New World in Our Hearts: In Conversation with Michael Albert https://books.google[...] PM Press
[19] 웹사이트 Chomsky on Israeli apartheid, celebrity activists, BDS and the one-state solution https://www.middleea[...] Middle East Monitor 2022-06-27
[20] 웹사이트 Noam Chomsky: Israel's Actions in Palestine are "Much Worse Than Apartheid" in South Africa https://www.democrac[...] 2014-08-08
[21] 웹사이트 Chomsky to i24NEWS: 'Judeo-Nazi tendencies in Israel a product of occupation' https://www.i24news.[...] 2018-11-14
[22] 웹사이트 Noam Chomsky: Israeli Apartheid 'Much Worse' Than South Africa https://imemc.org/ar[...] 2015-08-20
[23] 학술지 Permission to narrate https://www.lrb.co.u[...] 1984-02-16
[24] 학술지 Permission to Narrate https://www.jstor.or[...] 1984
[25] 서적 Jews in Psychology and the Psychology of Judaism https://www.degruyte[...] Gorgias Press 2008-12-16
[26] 학술지 A Cold Eye Assessment of US Foreign Policy: It's the Policies, Stupid 2009
[27] 웹사이트 The sick mind of Noam Chomsky https://www.salon.co[...] 2001-09-26
[28] 웹사이트 The West's Leftist 'Intellectuals' Who Traffic in Genocide Denial, From Srebrenica to Syria https://www.haaretz.[...] 2017-11-24
[29] 웹사이트 Who is Chomsky? http://www.primitivi[...]
[30] 뉴스 Noam Chomsky, 95, 'no longer able to talk' after famed intellectual suffered 'medical event' https://www.independ[...] 2024-06-10
[31] 뉴스 Linguist and activist Noam Chomsky hospitalized in his wife's native country of Brazil after stroke https://apnews.com/a[...] 2024-06-11
[32] 뉴스 Noam Chomsky's wife says reports of famed linguist's death are false https://apnews.com/a[...] 2024-06-18
[33] 뉴스 Corrections and clarifications https://www.theguard[...] 2005-11-17
[34] 웹사이트 Chomsky's Genocidal Denial https://bosniak.org/[...] 2009-08-28
[35]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36] 웹사이트 Small-Body Database Lookup https://ssd.jpl.nasa[...] 2024-08-17
[37] 서적 Noam Chomsky http://chomsky.info/[...] Ernest Lepore
[38] 서적 The Cambridge Dictionary of Philosophy ケンブリッジ大学出版局
[39] 서적 Milestones in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2-07-15
[40] 서적 Readings in Machine Translation マサチューセッツ工科大学出版局 2012-07-15
[41] 웹사이트 MIT Department of Linguistics: People: Faculty: Noam Chomsky http://web.mit.edu/l[...] Web.mit.edu 2011-08-16
[42] 논문
[43] 웹사이트 The Life and Times of Noam Chomsky, Noam Chomsky interviewed by Amy Goodman http://www.chomsky.i[...] www.chomsky.info 2008-12-21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웹사이트 Conversation with Noam Chomsky, p. 1 of 5 http://globetrotter.[...] Globetrotter.berkeley.edu 2011-08-16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서적 Noam Chomsky: a life of dissent https://books.google[...] ECW Press 2011-08-16
[57] 논문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논문
[64] 논문
[65] 뉴스 Carol Chomsky; at 78; Harvard language professor was wife of MIT linguist http://www.boston.co[...] Boston Globe 2008-12-20
[66] 웹사이트 Noam Chomsky interviewed by Shira Hadad http://www.chomsky.i[...] Chomsky.info 2011-08-16
[67] 웹사이트 Books http://www.chomsky.i[...] chomsky.info 2011-08-30
[68] 웹사이트 Noam Chomsky http://www.mnsu.edu/[...] Web.archive.org 2010-05-28
[69] 뉴스 Chomsky is Citation Champ http://web.mit.edu/n[...] マサチューセッツ工科大学 News Office 1992-04-15
[70] 뉴스 Speech! http://www.chomsky.i[...] The Pennsylvania Gazette 2001-07
[71] 뉴스 The Chomsky Problem 뉴욕・타임즈 1979-02-25
[72] 뉴스 Chomsky is voted world's top public intellectual https://www.theguard[...] 2005-10-18
[73] 웹사이트 Noam Chomsky https://www.newyorke[...] The New Yorker 2019-03-30
[74] 뉴스 A Changed Noam Chomsky Simplifies http://select.nytime[...] New York Times 2008-08-02
[75] 서적 Sweet Reason: A Field Guide to Modern Logic Birkhäuser
[76] 서적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Computation PWS Publishing
[77] 웹사이트 The Cognitive Science Millennium Project http://www.cogsci.um[...] Cogsci.umn.edu
[78] 웹사이트 The Accidental Bestseller http://www.publisher[...] PWxyz, LLC.
[79] 웹사이트 On Capitalism http://www.chomsky.i[...]
[80] 학술지 In Perspective: Noam Chomsky http://pubs.socialis[...]
[81] Harvnb
[82] 뉴스 Noam Chomsky Is Leaving MIT for the University of Arizona https://www.bostonma[...] 2017-08-29
[83] 서적 科学者という仕事 中公新書
[84] 웹사이트 Noam Chomsky - Extremist of the Left and Right http://www.jochnowit[...]
[85] 웹사이트 Cambodian Refugee Sophal Ear vs. Noam Chomsky Arguments Worth Having https://web.archive.[...] 2015-08-12
[86] 웹사이트 The Treachery of the Intelligentsia: A French Travesty http://www.chomsky.i[...]
[87] 웹사이트 Hot Type on the Middle East http://www.chomsky.i[...]
[88] 웹사이트 On the Future of Israel and Palestine http://www.chomsky.i[...]
[89] 뉴스 Questions for Noam Chomsky: The Professorial Provocateur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2003-11-02
[90] 웹사이트 The Faurisson Affair https://chomsky.info[...]
[91] 뉴스 Noam Chomsky and Jeremy Scahill on the Russia-Ukraine War, the Media, Propaganda, and Accountability https://theintercept[...] 2022-04-14
[92] 웹사이트 Selected bibliography :en:Noam Chomsky#Sel[...] 2024-02-18
[93] 서적 세계지식인 지도
[94] 뉴스 William Chomsky Dead at 81 http://pdfs.jta.org/[...] Jewish Telegraphic Agency 1977-07-26
[95] 서적 Noam Chomsky: A Life of Dissent https://archive.org/[...] The MIT Press
[96] 뉴스 Dr. William Chomsky, 81, Hebrew Grammarian, Dies https://www.nytimes.[...] 1977-07-22
[97] 웹사이트 노암 촘스키 [Avram Noam Chomsky]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98] 웹사이트 노암 촘스키 [Avram Noam Chomsky]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99] 웹사이트 노암 촘스키 https://terms.naver.[...] 시사상식사전
[100] 뉴스 촘스키, 국방부 불온서적 지정 정면비판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8-10-25
[101] 뉴스 국방부 불온서적 지정된 촘스키 “생각과 표현통제는 불행한 일” http://media.daum.ne[...] 한겨레 2008-10-25
[102] 서적 아동발달론 공동체
[103] 서적 세계지식인 지도 산처럼
[104] 서적 여론조작 http://www.yes24.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