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은 벤저민 프랭클린이 자신의 삶을 기록한 자서전으로, 그의 생애와 사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자서전은 1771년, 1784년, 1788년, 1789-1790년에 걸쳐 집필되었으며, 어린 시절, 인쇄업자로서의 성장, 도덕적 완성을 위한 노력, 과학적 업적과 정치 활동, 영국과의 갈등과 독립 등 다양한 시기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은 프랭클린이 살아있을 때는 출판되지 않았으며, 여러 판본과 번역을 거쳐 오늘날까지 널리 읽히며, 자수성가한 사람의 전형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 |
|---|
2. 제1부: 어린 시절과 인쇄업자로서의 성장 (1771년 집필)
벤저민 프랭클린은 1771년 잉글랜드 트와이포드에서 65세의 나이에 자서전의 첫 부분을 쓰기 시작했다. 당시 뉴저지의 왕립 총독이었던 아들 윌리엄 프랭클린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자신의 가문과 어린 시절, 독서에 대한 열정, 그리고 형 제임스 프랭클린의 인쇄소에서의 도제 생활에 대해 간략히 언급한다.
프랭클린은 뉴욕을 거쳐 필라델피아에 도착하여 인쇄업자 새뮤얼 케이머 밑에서 일자리를 찾았다. 펜실베이니아 주지사 윌리엄 키스 (식민지 총독) 경의 사업 제안을 받고 런던으로 갔으나, 키스는 추천서를 써주지 않았다. 프랭클린은 런던에서 일하다가 퀘이커 상인 토마스 데넘의 조수로 필라델피아로 돌아왔다. 데넘의 죽음 이후 케이머의 가게로 돌아갔으나, 임금 문제로 그만둔 후 전 동료였던 휴 메러디스와 인쇄 파트너십을 시작했다.
케이머가 펜실베이니아 가제트를 창간했지만 실패하자, 프랭클린은 이를 인수하여 매우 수익성이 높은 신문으로 만들었다. (''새터데이 이브닝 포스트''는 프랭클린의 ''펜실베이니아 가제트''에서 유래되었다.)[1] 이들은 펜실베이니아 의회의 인쇄업자로 임명되었다.[1] 재정적 어려움으로 메러디스의 아버지가 지원을 철회하자, 친구들의 도움으로 프랭클린은 운영을 계속했고, 메러디스가 노스캐롤라이나로 이주하면서 동업 관계는 원만하게 해체되었다.[1] 1730년 프랭클린은 데보라 리드와 결혼했고, 준토 (클럽)의 도움을 받아 필라델피아 도서관 협회를 위한 제안서를 작성했다.
1부는 "혁명 사건이 중단을 초래했다"는 프랭클린의 메모로 끝난다.[1]
2. 1. 보스턴에서의 어린 시절
프랭클린은 1771년 잉글랜드 트와이포드에서 65세의 나이에 자서전의 첫 부분을 쓰기 시작했다. 당시 뉴저지의 왕립 총독이었던 아들 윌리엄 프랭클린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자신의 가문과 어린 시절, 독서에 대한 열정, 그리고 형 제임스 프랭클린의 인쇄소에서의 도제 생활에 대해 이야기한다.프랭클린 가문은 300년 이상 노샘프턴셔주 엑턴에서 대장장이를 가업으로 이어왔다. 그의 아버지 조시아 프랭클린은 염색업을 하다가 종교적 박해를 피해 1682년 보스턴으로 이주했다. 프랭클린은 어린 시절부터 책 읽는 것을 좋아했으며, 존 버니언의 책과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을 즐겨 읽었다.
프랭클린은 8세에 보스턴 라틴 학교에 입학했으나, 아버지의 재정적 어려움으로 1년 만에 중퇴하고 조지 브라운웰의 학교로 옮겼다. 그 후 아버지의 양초와 비누 제조 사업을 도왔으나, 이 일에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12세 때 형 제임스가 운영하는 인쇄소에서 도제 생활을 시작했다.
제임스는 뉴잉글랜드 쿠란트라는 신문을 발행했는데, 프랭클린은 조지프 애디슨과 리처드 스틸 경의 스펙테이터 지를 읽고 글쓰기 실력을 향상시켰다. 그는 '사일런스 도구드(Silence Dogood)'라는 필명으로 익명의 글을 써서 형의 인쇄소 문 밑으로 밀어 넣었고, 이 글들은 신문에 게재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프랭클린이 자신이 저자임을 밝히자 제임스는 분노했고, 이로 인해 형제간의 갈등이 잦아졌다.
제임스는 당국에 의해 투옥된 후 신문 발행을 금지당하자, 동생 벤저민의 이름으로 신문을 계속 발행하도록 조작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자신이 모든 것을 통제했다. 제임스는 프랭클린의 도제 계약을 해지하면서도, 비밀리에 새로운 도제 계약서를 작성하여 프랭클린을 계속 붙잡아두려 했다. 그러나 형제 사이에 새로운 불화가 생기자 프랭클린은 형을 떠났고, 제임스가 비밀 계약서를 공개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것은 나에게 공정하지 않았고, 나는 이것을 내 인생의 첫 번째 실수 중 하나로 여긴다"라고 프랭클린은 회고한다.)[1] 제임스는 프랭클린이 보스턴의 다른 인쇄소에서 일자리를 얻지 못하도록 방해했다.
2. 2. 필라델피아로의 이주와 초기 경력
보스턴에서 태어난 프랭클린은 형 제임스 프랭클린의 인쇄소에서 도제 생활을 하였다. 형은 ''뉴잉글랜드 쿠란트''라는 신문을 발행했는데, 프랭클린은 '사일런스 두굿(Silence Dogood)'이라는 필명으로 익명의 글을 써서 신문사에 기고했다. 이 글들은 '사일런스 두굿' 에세이로 묶여 출판되기도 했다. 그러나 형은 프랭클린이 이 글의 저자임을 알고 분노했고, 결국 프랭클린은 도제 생활을 그만두게 되었다.형과의 갈등 이후, 프랭클린은 뉴욕으로 가서 인쇄업자 윌리엄 브래드포드에게 일자리를 구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대신 브래드포드의 아들 앤드류 브래드포드가 필라델피아에서 인쇄업자를 구한다는 소식을 듣고 필라델피아로 향했다. 필라델피아에서 프랭클린은 인쇄업자 새뮤얼 케이머 밑에서 일자리를 찾게 되었다.
2. 3. 인쇄업자로서의 성공
프랭클린은 휴 메러디스와 인쇄업 동업을 시작했지만, 대부분의 일은 프랭클린이 도맡아 했다. 케이머가 ''펜실베이니아 가제트''를 창간했지만 실패하자, 프랭클린은 이를 인수하여 매우 수익성이 높은 신문으로 만들었다.[1] ''새터데이 이브닝 포스트''는 프랭클린의 ''펜실베이니아 가제트''에서 유래되었다.[1] 이 동업자들은 펜실베이니아 의회의 인쇄업자로 임명되기도 했다.[1] 재정적 어려움으로 메러디스의 아버지가 지원을 철회했지만, 친구들의 도움으로 프랭클린은 운영을 계속했고, 메러디스가 노스캐롤라이나로 이주하면서 동업 관계는 원만하게 해체되었다.[1]3. 제2부: 도덕적 완성을 위한 노력과 공공 활동 (1784년 집필)
1784년, 프랑스 파리에서 프랭클린은 친구들의 권유로 자서전 집필을 재개한다. 그는 도덕적 완성을 위한 13가지 덕목을 제시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노력을 상세히 기록했다. 또한, 필라델피아 도서관 설립 등 공공 활동에 참여한 경험을 간략하게 언급한다.[9]
3. 1. 13가지 덕목과 자기 계발
벤저민 프랭클린은 도덕적으로 완벽해지기 위해 13가지 덕목을 제시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했다. 13가지 덕목은 다음과 같다.[9]| 번호 | 덕목 | 내용 |
|---|---|---|
| 1 | 절제 | 둔해질 정도로 먹지 말고, 흥분할 정도로 마시지 말 것. |
| 2 | 침묵 | 다른 사람이나 자신에게 유익한 말만 하고, 하찮은 대화는 피할 것. |
| 3 | 정돈 | 모든 물건은 제자리에 두고, 모든 업무는 정해진 시간에 할 것. |
| 4 | 결단 | 마땅히 해야 할 일을 결심하고, 결심한 것은 반드시 실행할 것. |
| 5 | 검소 | 다른 사람이나 자신에게 좋은 일을 하는 데에만 돈을 쓰고, 낭비하지 말 것. |
| 6 | 근면 |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항상 유용한 일에 종사하며, 불필요한 행동은 모두 잘라낼 것. |
| 7 | 성실 | 해로운 속임수를 쓰지 말고, 순수하고 공정하게 생각하며, 말할 때는 그에 맞게 할 것. |
| 8 | 정의 | 해를 끼치거나, 자신의 의무인 혜택을 생략하여 누구에게도 잘못을 저지르지 말 것. |
| 9 | 중용 | 극단을 피하고, 부당한 대우에 분개하지 말 것. |
| 10 | 청결 | 몸, 옷, 거처에 불결한 것을 용납하지 말 것. |
| 11 | 평정 | 사소한 일이나 흔하고 불가피한 사고에 동요하지 말 것. |
| 12 | 순결 | 건강이나 자녀를 위해서만 성관계를 맺고, 둔함, 쇠약, 자신이나 타인의 평화나 명성에 해를 끼치는 일은 절대 하지 말 것. |
| 13 | 겸손 | 예수와 소크라테스를 본받을 것. |
3. 2. 필라델피아 도서관 설립과 공공 활동
Benjamin Franklin영어은 필라델피아에서 공공 도서관 설립을 주도했다. Benjamin Franklin영어의 주도로 만들어진 필라델피아 도서관은 역사상 최초의 풀 랭스 오디오북이 되었으며, 배우 마이클 라이가 낭독하여 1969년에 출시되었다.[1]4. 제3부: 과학적 업적과 정치 활동 (1788년 집필)
1788년, 필라델피아로 돌아온 벤저민 프랭클린은 독립 전쟁으로 인해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집필을 이어갔다.[1] [2] [3] 이 시기 프랭클린은 개인적인 경험, 과학적 업적, 공직 진출 및 사회 개혁 활동, 프렌치-인디언 전쟁과 관련된 경험 등을 자서전에 기록했다.
프랭클린은 Poor Richard's Almanack영어 (가난한 리처드의 연감) 출판과 외국어 학습 경험, 형과의 화해 등 개인적인 이야기를 간략하게 언급했다. 또한 전기 실험을 통해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는 등 국제적인 인정을 받은 과학적 업적에 대해서도 짧게 기술했다. 펜실베이니아 의회 서기, 우체국장 등의 공직을 맡아 도시 방화 및 가로 정비 등 사회 개혁 활동에 참여한 경험과 프렌치-인디언 전쟁 발발, 브래독 장군의 패배 등 군사적, 정치적 사건에 대한 자신의 역할도 간략하게 서술했다.
4. 1. 개인적인 경험과 성취
Poor Richard's Almanack영어 (가난한 리처드의 연감)을 출판하여 유명해졌으며, 외국어 학습에 능통했다.[1] 형 제임스 프랭클린과의 불화로 갈등을 겪었지만, 화해했다.[1] 아들 윌리엄 프랭클린의 죽음으로 큰 슬픔을 겪었다.[1]4. 2. 과학적 업적과 국제적 인정
주어진 자료는 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의 한국어 번역본 목록으로, 마쓰모토 신이치・니시카와 마사미 역(이와나미 문고, 2010년 개정판), 와타나베 토시오 역(신판・주오코론 신서, 2004년), 시바 미즈키 역(선마크 출판, 2023년)이 있다. 이 자료들에는 벤저민 프랭클린의 과학적 업적이나 국제적 인정에 대한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4. 3. 공직 진출과 사회 개혁 활동
Benjamin Franklin영어의 자서전에는 공직 진출과 사회 개혁 활동에 대한 내용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섹션에서는 자서전 원본이 아닌 번역본 출판 정보를 참고하여 내용을 구성하기 어렵다.4. 4. 프렌치-인디언 전쟁과 정치적 사건
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에는 프렌치-인디언 전쟁과 관련된 내용이 기술되어 있으며, 다음 번역본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마쓰모토 신이치・니시카와 마사미 역, 『프랭클린 자서전』, 이와나미 문고, 개정판 2010년[1]
- 와타나베 토시오 역, 『프랭클린 자서전』, 신판・주오코론 신서, 2004년[2]
- 시바 미즈키 역, 『술술 읽히는 신역 프랭클린 자서전』, 선마크 출판, 2023년[3]
5. 제4부: 영국과의 갈등과 독립 (1789-1790년 집필)
Benjamin Franklin영어은 영국과의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서도 펜실베이니아 식민지를 대표하여 영국 의회에서 식민지의 권익을 옹호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영국 정부와의 협상은 난항을 거듭하였고, Franklin영어은 법정 투쟁을 포함한 다양한 정치적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Franklin영어이 사망하기 직전인 1790년까지 상세히 기록되었으나, 영국과의 갈등은 해결되지 않은 채 미완성으로 남게 되었다.
6. 출판 역사와 평가
벤저민 프랭클린의 ''자서전''은 프랭클린 사후 1791년 프랑스어 번역본으로 처음 출판된 이후,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읽히고 있다. 1818년에는 그의 손자 윌리엄 템플 프랭클린에 의해 영어판(처음 세 부분)이 출판되었고, 1868년 존 비글로우가 완전판(네 부분 모두 포함)을 출판하였다.
프랭클린의 자서전은 자수성가의 모범적인 사례이자 미국의 건국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료이며, 계몽주의 사상을 보여주는 문학 작품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프랭크 우드워스 파인(Frank Woodworth Pine)은 프랭클린의 ''자서전''을 "자수성가한 사람들" 역사 중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프랭클린을 "자수성가"의 가장 위대한 본보기로 꼽았다.[6] 윌리엄 딘 하웰스(William Dean Howells)는 "프랭클린의 자서전은 문학에서 가장 위대한 자서전 중 하나"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프랭클린의 자서전이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이며, 성공을 과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그의 도덕적 완성을 위한 노력이 형식적이고 위선적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마크 트웨인(Mark Twain)은 프랭클린의 자서전이 젊은이들에게 해로운 영향을 준다고 비판했으며,[7] D. H. 로렌스(D. H. Lawrence)는 프랭클린의 덕목 원칙에 결함이 있다고 지적했다.
6. 1. 다양한 판본과 번역
벤저민 프랭클린의 ''자서전''은 그의 생전에 출판되지 않았다. 1791년, 프랑스어 초판이 파리에서 Mémoires de la vie privée de Benjamin Franklin|벤저민 프랭클린의 사생활에 대한 회고록프랑스어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이 판본은 프랭클린이 수정하기 전의 원고를 바탕으로 부정확하게 필사된 것이었다.[2] 이 프랑스어 번역본은 1793년 런던에서 두 차례 영어로 재번역되었고, 이 중 하나는 1798년 프랑스어 재번역에 사용되기도 했다.[2]1818년, 프랭클린의 손자 윌리엄 템플 프랭클린은 ''벤저민 프랭클린의 생애와 저작에 대한 회고록'' 제1권에 처음으로 ''자서전''의 처음 세 부분을 함께 출판했다. 그러나 윌리엄 템플 프랭클린은 4부를 포함하지 않았고, 원본 원고 대신 번역본을 사용하는 등 원문을 수정하기도 했다.[2]
존 비글로우는 1868년에 원본 원고를 바탕으로 4부를 포함한 신뢰할 수 있는 텍스트를 출판했다.[2] 20세기에는 맥스 페런드와 레너드 W. 라바리 등이 비글로우의 판본을 개선한 중요한 판본을 출판했다.[2] 1981년, J. A. 레오 르메이와 P. M. 잘은 원고의 모든 수정 및 취소를 보여주는 ''벤저민 프랭클린의 자서전: 유전자 텍스트''를 제작하여 가장 정확한 판본으로 평가받고 있다.[2]
''벤저민 프랭클린의 자서전''은 1969년에 역사상 최초의 장편 오디오북으로도 제작되었다.[5]
필사본
| 제목 | 발견 및 기증 | 보관 장소 |
|---|---|---|
| 분실된 초고 | 1771년 | 분실 |
| 에이블 제임스(Abel James) 사본 | 1782년 발견, 존 비글로우 기증 | 피어폰트 모건 도서관(Pierpont Morgan Library), MA 723 |
| 르 빌라르 사본(Le Veillard Copy) | 1786년 5월 토머스 제퍼슨 반환 후 분실, 1908년 르 빌라르 번역본 입수 | 국회도서관 원고부 |
| 윌리엄 쇼트 사본(William Short Copy) | 1786년 토머스 제퍼슨 주문 | 제퍼슨 문서(Jefferson Papers), 국회도서관 원고부 |
| 윌리엄 템플 프랭클린 사본(William Temple Franklin Copies) | 1882년 헨리 스티븐스(Henry Stevens) 문서와 함께 구입 | 프랭클린 문서(Franklin Papers), 시리즈 II, 국회도서관 원고부 |
| 자필 원고 | 헨리 헌팅턴(Henry Huntington)이 처치(Church)에게서 구입 | 캘리포니아주 샌마리노의 헨리 헌팅턴 도서관(Henry Huntington Library) |
주요 인쇄본 (1790-1901)
| 연도 | 저자/편집자 | 제목 | 번역자/출판사 | 비고 |
|---|---|---|---|---|
| 1791 | 벤저민 프랭클린 | Mémoires de la vie privée de Benjamin Franklin|벤저민 프랭클린의 사생활에 관한 회고록프랑스어 | 자크 지벨린(Jacques Gibelin) / F. 부이송 리브레(F. Buisson Libraire) | 프랑스어 초판 |
| 1793 | 벤저민 프랭클린 | 고 벤저민 프랭클린 박사의 저작 | 벤저민 본(Benjamin Vaughan)과 리처드 프라이스(Richard Price) / G.G.J.와 J. 로빈슨(J. Robinson) | |
| 1793 | 벤저민 프랭클린 | 고 벤저민 프랭클린의 사생활(The private life of the late Benjamin Franklin) | / J. 파슨스(J. Parsons) | |
| 1794 | 벤저민 프랭클린 | 벤저민 프랭클린 박사의 생애(The life of Dr. Benjamin Franklin) | / 벤자민 존슨(Benjamin Johnson) | |
| 1798 | 벤저민 프랭클린 | 벤저민 프랭클린 박사의 생애(The life of Doctor Benjamin Franklin) | 리처드 프라이스 / 찰스 홀트(Charles Holt) | |
| 1818 | 벤저민 프랭클린 | 벤저민 프랭클린의 생애와 저작에 대한 회고록 | 윌리엄 프랭클린 / T.S. 매닝(T.S. Manning) | |
| 1868 | 벤저민 프랭클린 | 벤저민 프랭클린의 자서전 | 존 비글로우 / J.B. 립핀코트 & Co.(J.B. Lippincott & Co.) | |
| 1887–1888 | 벤저민 프랭클린 | 벤저민 프랭클린의 완전한 저작 | 존 비글로우와 헨리 브라이언 홀(Henry Bryan Hall) / G. P. 퍼트넘의 아들(G. P. Putnam's Sons) |
6. 2. 문학적, 역사적 가치와 영향
프랭크 우드워스 파인(Frank Woodworth Pine)은 1916년 헨리 홀트 앤 컴퍼니(Henry Holt and Company) 판본 서문에서 프랭클린의 《자서전》을 "자수성가한 사람들" 역사 중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프랭클린을 "자수성가"의 가장 위대한 본보기로 꼽았다.[6]프랭클린은 우리 미국 남성의 훌륭한 유형이다. 비록 가장 부유하거나 가장 강력하지는 않지만, 그는 의심할 여지 없이 그의 재능과 업적의 다재다능함에서 자수성가한 사람들 중 가장 위대하다. 자서전에서 묘사된, 양초 가게에서 보낸 어린 시절부터 근면, 절약, 그리고 자기 계발에 대한 끈기를 통해 저명한 인물이 되기까지의 꾸준한 성장은 자수성가한 사람들의 역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하다. 그것은 프랭클린의 격언을 따름으로써 비교할 수 없는 기회의 땅에서 달성할 수 있는 결과의 놀라운 예시 그 자체이다.영어
프랭클린의 《자서전》은 중요한 초기 미국인의 기록으로서 역사적 가치를 지니며, 문학적 스타일 또한 널리 찬사를 받았다. 유럽인들이 문학으로 진지하게 받아들인 최초의 미국 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윌리엄 딘 하웰스(William Dean Howells)는 1905년에 "프랭클린의 자서전은 문학에서 가장 위대한 자서전 중 하나이며, 프랭클린이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났던 것처럼 다른 자서전보다 우월하다."라고 주장했다. 1860년대에는 《자서전》과 프랭클린의 근면함, 끊임없는 자기 계발 묘사가 젊은이들에게 교훈적인 모델로 널리 퍼졌다. 마크 트웨인(Mark Twain)은 "프랭클린의 해로운 자서전을 읽은 아버지들을 둔 수백만 명의 소년들에게 고통을 안겨준" 프랭클린을 유머러스하게 비난하는 에세이를 쓰기도 했다.[7] D. H. 로렌스(D. H. Lawrence)는 1923년에 "중간 키의 튼튼하고, 코담배 색깔의 의사 프랭클린"에 대한 비난을 쓰기도 했는데, 프랭클린이 덕목의 원칙을 만들고 자신을 완벽하게 만들려는 시도에 결점을 발견했다.
많은 독자들은 프랭클린이 삶의 거의 모든 시공간에서 누린다고 주장하는 보편적인 존경에 대한 잦은 언급 때문에 이 작품의 어조가 자만심이 강하다고 생각했다. 프랭클린이 돈을 추구하는 것에 대해 반복적이고 매우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 또한 많은 독자들을 실망시켰다.[8]
참조
[1]
웹사이트
"Project for Moral Perfection" Study Guide
http://www.whatsopro[...]
2012-01-24
[2]
서적
Benjamin Franklin's autobiography : an authoritative text, backgrounds, criticism
Norton
[3]
웹사이트
Abel James Persuades Franklin to Write His Autobiography
https://www.foundero[...]
2021-05-19
[4]
웹사이트
Benjamin Franklin's Autobiography: Finding Franklin, A Resource Guide (Virtual Programs & Services,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2021-05-19
[5]
뉴스
Voiceover actor Michael Rye dies at 94, Bridged the generations from radio to videogame work
https://variety.com/[...]
2012-09-25
[6]
웹사이트
Autobiography of Benjamin Franklin
https://www.gutenber[...]
Henry Holt and Company via Gutenberg Press
[7]
서적
Essays and Sketches of Mark Twain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Inc.
[8]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Autobiography of Benjamin Franklin."
https://www.gutenber[...]
2021-09-11
[10]
웹사이트
"Project for Moral Pefection" Study Guide
http://www.whatsopro[...]
2012-01-24
[11]
뉴스
Voiceover actor Michael Rye dies at 94, Bridged the generations from radio to videogame work
https://www.variety.[...]
2012-09-25
[12]
서적
Essays and Sketches of Mark Twain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Inc.
[1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