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지프 애디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프 애디슨은 1672년 영국에서 태어나 18세기 영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 작가이자 정치가이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유럽 여행 후 정치에 입문하여 휘그당 의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리처드 스틸과 함께 잡지 《태틀러》와 《스펙테이터》를 창간하여 영국 수필 문학 발전에 기여했고, 비극 《카토》를 통해 미국 독립 혁명에 문학적 영감을 주기도 했다. 애디슨은 명료하고 우아한 문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지나치게 교훈적이라는 비판도 존재하며, 1719년 사망 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72년 출생 - 표트르 1세
    표트르 1세는 로마노프 왕조의 차르이자 러시아 제국의 초대 황제로, 서구화 정책과 부국강병책을 통해 러시아를 근대화하고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대북방 전쟁 승리 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했으나, 급진적인 개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1672년 출생 - 마쓰다이라 지카사다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가)
    마쓰다이라 지카사다는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 가문 출신으로, 마쓰다이라 노부카즈의 양자가 되어 가문을 상속받아 마쓰다이라 종가의 수장이 되었으며, 1713년 사망 후 아들 마쓰다이라 노부토시가 뒤를 이었다.
  • 해머스미스 풀럼구의 역사 - 1908년 하계 올림픽
    1908년 하계 올림픽은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로마에서 런던으로 개최지가 변경되었고, 22개국이 참가하여 22개 종목에서 경쟁을 펼쳤으며, 마라톤 경기 코스 확정 및 피겨 스케이팅 최초 정식 종목 채택, 심판 판정 논란 등 다양한 이슈가 있었다.
  • 해머스미스 풀럼구의 역사 - 첼시 FC
    첼시 FC는 1905년 창단되어 런던을 연고로 스탬퍼드 브리지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잉글랜드 축구와 유럽 클럽 대항전에서 다수의 우승을 차지한 주요 프로 축구 클럽이다.
  • 1719년 사망 - 파루크시야르
    파루크시야르는 1713년부터 1719년까지 무굴 제국의 황제였으며, 사이이드 형제의 지원으로 황제가 되었으나, 그의 통치 기간은 반란과 내부 갈등, 그리고 제국 쇠퇴를 가속화시킨 정책 결정으로 특징지어진다.
  • 1719년 사망 - 장 바티스트 드 라 살
    프랑스 사제이자 교육자인 장 바티스트 드 라 살은 가난한 아이들을 위한 교육에 헌신하며 현대 교육 시스템의 기초를 다졌고, 사범학교 설립, 학년별 교육과정 도입 등 혁신적인 교육 정책으로 교육자의 수호성인으로 추대되었다.
조지프 애디슨
기본 정보
조지프 애디슨의 초상화, 고드프리 넬러 경 작품
"키트캣 초상화" by 고드프리 넬러, 약 1703–1712년
이름조지프 애디슨
출생일1672년 5월 1일
출생지밀스턴, 윌트셔, 잉글랜드
사망일1719년 5월 17일
사망지켄싱턴, 미들섹스, 잉글랜드
직업작가
언론인
정치인
학력
모교옥스퍼드 대학교 퀸스 칼리지
정치 활동
소속 정당휘그당
의회 의원 (로스트위시얼 선거구)1708년 ~ 1709년
남부 담당 국무장관1717년 4월 12일 ~ 1718년 3월 14일
작가 정보
사용 언어영어
라틴어
활동 시기1693년부터
장르
극작가
대본
수필
사설
번역
사조고전주의
대표 작품카토, 비극
서명
조지프 애디슨 서명
조지프 애디슨 서명

2. 생애

조지프 애디슨은 1672년 5월 1일 윌트셔 주 밀스턴에서 성공회 성직자인 랜슬럿 애디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9][20] 훗날 마드라스 총독이 된 굴스턴 애디슨과 고전학자 랜슬롯 애디슨이 그의 동생이었다.[19]

애디슨은 에임즈베리와 솔즈베리의 문법학교를 다녔으며, 1683년 아버지가 리치필드 대성당 참사회장에 임명되자 리치필드의 학교로 전학했다.[20] 1686년에는 차터하우스 스쿨로 옮겨,[21] 그곳에서 평생의 친구이자 동료가 된 리처드 스틸을 만났다.[20]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고전학을 공부하며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고, 펠로우로 재임했다.[20] 1693년 존 드라이든에게 시를 헌정하고, 1694년 영국 시인들의 전기를 출판하는 등 문학적 재능을 보였다.[23][2]

1699년부터 그랜드 투어를 통해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 독일, 네덜란드 등 유럽 각지를 여행하며 견문을 넓혔다.[23][20] 1703년 말 영국으로 돌아와 정치에 입문, 블렌하임 전투를 기념하는 시 ''전투(The Campaign)''를 통해 항소위원으로 임명되었다.[3] 이후 차관보, 아일랜드 총독 비서, 국회의원 등을 역임하며 정치 경력을 쌓았다.[5]

1709년 친구 리처드 스틸이 창간한 태틀러(Tatler)에 기고하기 시작했다.[20][30] 이후 스틸과 함께 스펙테이터(The Spectator)를 창간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20]

1713년에는 비극 카토를 발표하여 극작가로서 명성을 얻었다. 1716년 워릭 백작 부인 샬럿과 결혼했고,[13] 1717년 남부 담당 국무장관에 임명되었으나, 1718년 건강 악화로 사임했다.[13] 1719년 47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다.[23]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조지프 애디슨은 1672년 5월 1일 윌트셔 주 밀스턴에서 성공회 성직자인 랜슬럿 애디슨과 그의 첫 번째 아내 제인 굴스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9][20] 동생으로는 훗날 마드라스 총독이 된 굴스턴 애디슨, 고전학자 랜슬롯 애디슨이 있었다.[19]

애디슨은 에임즈베리와 솔즈베리의 문법학교를 다녔다.[20] 1683년 아버지가 리치필드 대성당 참사회장에 임명되자 리치필드의 학교로 전학했다.[20] 1686년에는 차터하우스 스쿨로 옮겨,[21] 그곳에서 평생의 친구이자 동료가 된 리처드 스틸을 만났다.[20]

1687년 7월, 애디슨은 옥스퍼드 대학교 퀸스 칼리지에 입학했다.[22] 고전학에 뛰어났던 그는 윌리엄 랭커스터 박사의 도움으로 1689년부터 1697년까지 모들린 칼리지에서 데미십(장학금)을 받았다.[20][23][22] 1691년 학사 학위를, 1694년 2월 14일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20] 1697년 임시 채용으로 펠로우(Fellow)가 되었고,[23] 1698년 정식으로 펠로우가 되어 1711년까지 재임했다.[20]

1693년, 애디슨은 존 드라이든에게 시를 헌정하여 드라이든이 출판한 시집에 수록되었다.[23] 1694년에는 영국 시인들의 전기 책을 출판했다.[2] 1695년에는 *Poem to his Majesty*를 존 서머스에게, 1697년에는 라틴어 시 *Pax Gulielmi auspiciis Europeae reddita*를 찰스 몽태규에게 헌정했다.[23] 이러한 노력으로 몽태규와 서머스는 훗날 애디슨의 후원자가 되었다.[23]

2. 2. 그랜드 투어와 정치 입문

1699년 8월, 애디슨은 그랜드 투어를 위해 도버에서 출발하여 칼레를 거쳐 파리에 도착했다.[23] 파리에서는 프랑스어를 잘하지 못했기 때문에 12월에 블루아로 이동하여 프랑스어 공부를 시작했다.[23] 1700년 여름[23] 파리로 돌아왔을 때는 니콜라 드 말브랑슈나 니콜라 부아로와의 대화에도 문제가 없을 정도로 프랑스어가 능숙해졌다.[20] 이후 마르세이유에서 배를 타고 이탈리아로 향하려 했지만, 폭풍우를 만나 사보나에 상륙, 육로로 이탈리아의 여러 도시를 경유하여 나폴리에서 예수 고난주간을 보냈다.[20][23] 1702년에는 스위스, 티롤을 거쳐 에 도착했고, 연말에는 드레스덴, 함부르크에 도착했다.[23] 1703년에는 네덜란드의 라이덴암스테르담을 여행했다.[23]

1703년 말 영국으로 돌아온 애디슨은 1년 이상 실직 상태였으나, 1704년 블렌하임 전투를 기념하는 시 ''전투(The Campaign)''를 써서 재무장관 고돌핀 경으로부터 항소위원(Commissioner of Appeals)으로 임명되었다.[3] 1705년에는 휘그당이 집권하면서 차관보(Under-Secretary of State)가 되었고, 할리팩스 경과 함께 독일 하노버로 외교 사절단을 동행했다. 애디슨은 영국의 힘은 상업에, 상업은 바다의 자유와 프랑스스페인의 힘을 억제하는 데 달려 있다고 믿었다.[5]

1708년과 1709년에는 로스트위시엘의 국회의원이었다. 곧 아일랜드 총독(Lord Lieutenant of Ireland) 워튼 경의 비서로 임명되어 1709년부터 1713년까지 캐번 자치구의 아일랜드 하원(Irish House of Commons) 의원이었다. 1710년에는 윌트셔(Wiltshire) 말메스버리를 대표했고, 1719년 사망할 때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다.

2. 3. '태틀러'와 '스펙테이터'

1709년, 애디슨은 친구 리처드 스틸이 필명 아이작 비커스타프를 사용하여 창간한 에세이 신문 태틀러(Tatler)에 기고하기 시작했다.[20][30] 그는 '태틀러'에 단독으로 50편 이상, 스틸과 공동으로 20편 이상을 집필했다.[23] '태틀러'는 주 3회 발행되었으며,[23] 1년 후에는 매호 3,000부가 발행될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20] '태틀러'는 1711년 1월 2일에 폐간되었다.[20]

'태틀러'가 폐간된 지 불과 2개월 후인 1711년 3월 1일, 스틸과 애디슨은 스펙테이터(The Spectator)를 창간했다.[20] '스펙테이터'는 매일 발행되었으며, 애디슨은 창간 초기부터 참여하여 총 555호 중에서 274편의 글을 썼다.[20] '스펙테이터'는 큰 성공을 거두어 2만 부가 발행된 적도 있었지만,[20] 1712년 인지세로 인해 발행 부수가 줄어들었다.[20] '스펙테이터'는 정치적 주제를 피했지만, 미약하게나마 휘그당 성향을 보였다.[21]

1713년 스틸이 가디언(The Guardian)을 창간하자 애디슨은 52편의 기사를 기고했다.[23] 1714년 '스펙테이터'가 잠시 부활했을 때, 애디슨은 24편의 기사를 기고했다.[20]

2. 4. '카토'와 만년

1713년, 애디슨은 비극 카토를 발표하여 극작가로서도 명성을 얻었다. 이 작품은 공화주의적 이상과 자유의 가치를 옹호하여 당시 영국과 아메리카 식민지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특히 미국 독립 혁명에 사상적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1716년, 아들의 가정교사로 일한 후 워릭 백작 부인 샬럿과 결혼하여 빌턴 홀에 거주했다.[13] 1717년에는 남부 담당 국무장관으로 임명되었으나, 1718년 건강 악화로 사임했다.[13] 국무장관 재직 중에도 의원직은 유지했다.

1719년, 귀족법안을 두고 스틸과 불화를 겪었다. 같은 해 6월 17일, 런던의 홀랜드 하우스에서 47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다.[23]

3. 작품 활동

애디슨은 시, 산문, 희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1704년에는 그랜드 투어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시 『핼리팩스 경에게 보내는 이탈리아 서간』(A Letter from Italy|이탈리아 서간영어)과 블렌하임 전투 승전을 기념하는 시 『전쟁』(The Campaign|캠페인영어)을 발표하여 문단과 정계의 주목을 받았다.[20]

1705년에는 그랜드 투어 경험을 담은 산문 『이탈리아 관견』(Remarks on Several Parts of Italy영어)을 출판했다.[38][24] 1707년에는 오페라 『Rosamond|로자몬드영어』의 대본을 썼고,[25] 1713년에는 비극 『카토』(Cato|카토영어)를 발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23] 1716년에는 희극 『The Drummer|드러머영어』를 발표했다.[23]

그는 또한 『Tatler|타틀러영어』, 『스펙테이터』, 『The Guardian|가디언영어』, 『프리홀더』 등 정기 간행물에 기고하며 18세기 영국 수필 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20]

3. 1. 수필

애디슨은 18세기 영국 수필 문학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그는 친구인 리처드 스틸이 창간한 태틀러에 42편의 수필을 기고하며 이름을 알렸다.[14] 태틀러는 처음에는 신문 기사와 광고로 구성되었지만, 점차 사회 풍속, 문예, 정치 외교를 다루는 긴 수필 형식으로 바뀌었다.[23][30] 애디슨은 태틀러에 단독으로 50편 이상, 스틸과 공동으로 20편 이상을 기고했다.[23] 옥스퍼드 영국 인명 사전은 애디슨의 글이 스틸의 글보다 더 세련되고 품위 있었다고 평가한다.[23]

태틀러가 폐간된 후, 애디슨과 스틸은 스펙테이터를 창간했다.[20] 스펙테이터는 매일 발행되었으며, 픽션이나 가상의 투고 형식을 사용했다.[34] 정치적 주제는 피했지만, 휘그당 성향이 나타났다.[21] 애디슨은 창간호부터 참여하여 총 555호 중 274편을 기고하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20][23] 스펙테이터는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인지세로 인해 가격이 인상되고 발행 부수가 감소하기도 했다.[20]

애디슨은 "독서는 마음에 있어 운동이 몸에 하는 것과 같다"는 명언을 남겼다.[15] 그의 수필은 자연스럽고 대화적인 문체가 특징이며, 전치사로 문장을 끝맺는 문법적 구성을 사용하기도 했다.[16]

3. 2. 시

애디슨은 네오라틴시로 유명했으며, 존 드라이든에게 시를 바치기도 했다. 그의 첫 주요 작품은 1694년에 출판된 영국 시인들의 전기 책과 베르길리우스의 ''농경시'' 번역본이다. 1704년에는 블렌하임 전투 승전을 기념하는 시 ''전쟁 (The Campaign)''을 써서 문단과 정계에서 지위가 상승했다.[20] 이 시는 말버러 공작을 "천사"에 비유했지만, 새뮤얼 존슨은 평범한 형용이라고 평가했다.[20] 조셉 와튼은 "운을 밟는 관보"라고 비판했다.[20]

1712년 ''구경꾼(The Spectator)''에 인기 찬송가 "높은 곳의 광대한 궁창(The Spacious Firmament on High)"을 작사했다.[12] 이 찬송가는 존 쉴스(John Sheeles)의 "런던(애디슨)(London (Addison's))" 선율 또는 요제프 하이든의 "창조(Creation)" 선율에 맞춰 불린다.[12]

그의 작품으로는 『핼리팩스 경에게 보내는 이탈리아 서간』(A Letter from Italy|이탈리아 서간영어, 1704년), 『전쟁』(The Campaign|캠페인영어, 1704년 12월 14일[23]), 비극 『카토』(Cato|카토영어, 1713년 4월 14일 초연), 희극 『드러머』(The Drummer|드러머영어, 1716년 3월 10일 초연) 등이 있다.[23]

제목발표 연도장르비고
핼리팩스 경에게 보내는 이탈리아 서간 (A Letter from Italy|이탈리아 서간영어)1704년그랜드 투어 경험
전쟁 (The Campaign|캠페인영어)1704년 12월 14일[23]블렌하임 전투 승전 기념
카토 (Cato|카토영어)1713년 4월 14일 초연비극
드러머 (The Drummer|드러머영어)1716년 3월 10일 초연희극


3. 3. 희곡

애디슨은 토머스 클레이턴의 오페라 《로자먼드》(Rosamond)의 대본을 썼는데, 이 작품은 1707년 런던에서 초연되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7] 1713년에는 비극 《카토》(Cato)를 발표하여 휘그당과 토리당 모두에게 찬사를 받았다.[8] 이후 희극 《드러머》(The Drummer)(1716)를 발표했다.

1712년, 애디슨은 그의 대표작인 비극 ''카토''를 썼다. 이 작품은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 우티켄시스의 마지막 날들을 배경으로, 개인의 자유와 정부의 폭정, 공화주의군주제, 이성과 감정, 그리고 죽음 앞에서도 자신의 신념을 지키려는 카토의 개인적인 투쟁과 같은 갈등을 다룬다.[8] 알렉산더 포프가 서문을, 새뮤얼 가스가 후주를 썼다.[8]

이 연극은 영국과 미국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9] 특히 미국에서는 미국 독립 혁명에 문학적 영감을 준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조지 워싱턴을 비롯한 많은 건국의 아버지에게 영향을 주었다.[9] 조지 워싱턴 장군은 1777년에서 1778년의 혹독한 겨울 동안 밸리 포지에서 대륙군을 위해 카토 공연을 후원했다.[9]

''카토''는 패트릭 헨리의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10], 네이선 헤일의 "조국을 위해 바칠 목숨이 하나밖에 없다는 것이 유감이다."[10] 등 미국 혁명의 유명한 인용구에 영감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극은 튀니지 우티카에서 타프수스 전투 직후 카이사르의 공격을 기다리는 카토 군대의 이야기를 다룬다. 카토의 아들 포르티우스와 마르쿠스는 루시아를, 누미디아 왕자 주바는 카토의 딸 마르시아를 사랑한다. 상원의원 셈프로니우스와 누미디아 장군 시팍스는 카토를 배신하려 하고, 마지막 장면에서 카토는 자살한다.

4. 정치 활동

애디슨은 휘그당의 일원으로서 활발한 정치 활동을 펼쳤다. 1708년 로스트위시엘 선거구에서 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고, 1710년부터 1719년 사망할 때까지 윌트셔(Wiltshire)의 말메스버리 선거구를 대표했다.[31][32] 1710년 3월에는 조나단 스위프트가 "그가 왕이 되고 싶어한다면 거절당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묘사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23]

애디슨은 의회에서 연설한 기록은 거의 없지만,[33] 투표에서는 휘그당의 입장을 꾸준히 지지했다. 1711년 12월 "스페인 없는 강화는 없다"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졌고, 1713년 6월 프랑스 통상법안에는 반대표를 던졌다.[21]

1714년 앤 여왕 서거 후에는 사법경(Lords Justices)의 서기관을 지냈고, 1715년에는 무역위원회 차관에 임명되었다.[33] 1717년 휘그당 분열 시기에는 남부 담당 국무장관에 임명되었으며, 대영 추밀원의 추밀고문관으로도 활동했다.[33] 그러나 건강 악화로 1718년 국무장관직을 사임해야 했다.[20]

5. 평가와 유산

조지프 애디슨은 친절하고 관대한 성격으로 묘사되었지만, 다소 차갑고 감정이 없는 면과 사교적인 면도 있었다. 그의 매력적인 태도와 대화는 인기를 더했으며, 친구들에게는 호의를 베풀었지만 적들에게는 관용을 보였다.[18] 그의 수필은 명료하고 우아한 문체뿐만 아니라 쾌활하고 존중하는 유머로 유명하다.[18]

윌리엄 메이크피스 새커리는 소설 ''헨리 에즈먼드의 역사''에서 애디슨과 리처드 스틸을 등장인물로 묘사했다. 토머스 베이컨 매콜레이는 애디슨에 대해 칭송했다.

영국인명사전』에 따르면, 애디슨은 고결한 인품, 겸손한 성격, 온화한 기질로 많은 후원자에게 지지를 받았고, 문단에도 조너선 스위프트, 리처드 스틸, 토머스 티켈, 앰브로스 필립스, 유스테이스 버지얼, 사뮤얼 가스, 알렉산더 포프 등 많은 친구가 있었다. 애디슨은 친구들과 버튼즈 커피 하우스에서 모임을 가졌다.[23]

알렉산더 포프는 1735년 작품 《아부스노트 박사에게 보내는 서한》에서 애디슨을 "아티쿠스(Atticus)"라 칭하며 조롱하고, 유럽살모사에 비유하며 "상처 입히기를 원하면서도 치명타를 가하기를 두려워하는" 존재로 묘사했다. 리처드 허드 주교는 애디슨 수필의 자연스럽고 대화적인 문체가 전치사로 문장을 끝맺는 "에디슨식 종결" 또는 전치사 생략(preposition stranding)이라며 비난했다.[16]

애디슨의 작품은 18세기 이후에도 꾸준히 읽히고 연구되고 있으며, 그의 문학적, 정치적 유산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스펙테이터'는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번역되어 출판되었으며, 그의 수필은 여전히 많은 독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그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원제출판/초연 연도종류비고
『할리팩스 경에게 보내는 이탈리아 서한』A Letter from Italy영어1704년그랜드 투어 경험[38]
『전』The Campaign, a Poem, to His Grace the Duke of Marlborough영어1704년 12월 14일블렌하임 전투 승리 축하[20]. 한국어 명칭은 『캠페인』이라고도 한다.[25]
『이탈리아 관견』Remarks on Several Parts of Italy영어1705년 11월산문그랜드 투어 경험[38][24]. 초대 서머스 남작 존 서머스에게 헌정[23]
『로자몬드』Rosamond영어1707년 3월 4일 (초연)오페라 대본사라 제닝스에게 헌정[25]
The present state of the war and the necessity of an augmentation considered영어1707년팸플릿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목표 서술[23]
『카토』Cato영어1713년 4월 14일 (초연)비극[23]
The trial and conviction of Count Tariff영어1713년팸플릿[23]
『드러머』The Drummer영어1716년 3월 10일 (초연)희극[23]



그 외에도 『타틀러』, 『스펙테이터』, 『가디언』, 『프리홀더』에 기고했다.[20]

5. 1. 긍정적 평가

애디슨은 친절하고 관대한 성격으로 묘사되었지만, 다소 차갑고 감정이 없는 면과 사교적인 면도 있었다. 그의 매력적인 태도와 대화는 인기를 더했으며, 친구들에게는 호의를 베풀었지만 적들에게는 관용을 보였다.[18] 그의 수필은 명료하고 우아한 문체뿐만 아니라 쾌활하고 존중하는 유머로 유명하다.[18]

윌리엄 메이크피스 새커리는 그의 소설 ''헨리 에즈먼드의 역사''에서 애디슨과 리처드 스틸을 등장인물로 묘사했다.

토머스 베이컨 매콜레이는 1866년, 애디슨이 사망한 지 7년 후에 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칭송했다.

영국인명사전』에 따르면, 애디슨은 고결한 인품, 겸손한 성격, 온화한 기질로 많은 후원자에게 지지를 받았고, 문단에도 많은 친구가 있었다.[20] 조너선 스위프트, 리처드 스틸, 토머스 티켈, 앰브로스 필립스, 유스테이스 버지얼, 사뮤얼 가스, 알렉산더 포프 등이 그의 친구들이었으며, 애디슨은 친구들과의 모임 장소로 버튼즈 커피 하우스를 이용했다.[23]

5. 2. 비판적 평가

애디슨은 친절하고 관대한 성격으로 묘사되었지만, 다소 차갑고 감정이 없는 면과 사교적인 과잉 경향도 있었다. 그의 매력적인 태도와 대화는 인기를 더했으며, 친구들에게는 호의를 베풀었지만, 적은 수의 적들에게는 큰 관용을 보였다. 그의 수필은 명료하고 우아한 문체와 쾌활하고 존중하는 유머로 유명하다.[18]

알렉산더 포프는 1735년 작품 《아부스노트 박사에게 보내는 서한》에서 애디슨을 "아티쿠스(Atticus)"라 칭하며 조롱하고, 유럽살모사에 비유하며 "상처 입히기를 원하면서도 치명타를 가하기를 두려워하는" 존재로 묘사했다.

리처드 허드 주교는 애디슨 수필의 자연스럽고 대화적인 문체가 전치사로 문장을 끝맺는 "에디슨식 종결" 또는 전치사 생략(preposition stranding)이라며 비난했다.[16]

5. 3. 유산

애디슨의 작품은 18세기 이후에도 꾸준히 읽히고 연구되고 있으며, 그의 문학적, 정치적 유산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스펙테이터'는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번역되어 출판되었으며, 그의 수필은 여전히 많은 독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그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원제출판/초연 연도종류비고
『할리팩스 경에게 보내는 이탈리아 서한』A Letter from Italy영어1704년그랜드 투어 경험[38]
『전』The Campaign, a Poem, to His Grace the Duke of Marlborough영어1704년 12월 14일블렌하임 전투 승리 축하[20]. 한국어 명칭은 『캠페인』이라고도 한다.[25]
『이탈리아 관견』Remarks on Several Parts of Italy영어1705년 11월산문그랜드 투어 경험[38][24]. 초대 서머스 남작 존 서머스에게 헌정[23]
『로자몬드』Rosamond영어1707년 3월 4일 (초연)오페라 대본사라 제닝스에게 헌정[25]
The present state of the war and the necessity of an augmentation considered영어1707년팸플릿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목표 서술[23]
『카토』Cato영어1713년 4월 14일 (초연)비극[23]
The trial and conviction of Count Tariff영어1713년팸플릿[23]
『드러머』The Drummer영어1716년 3월 10일 (초연)희극[23]



그 외에도 『타틀러』, 『스펙테이터』, 『가디언』, 『프리홀더』에 기고했다.[20]

6. 연표

연도사건
1672년윌트셔주 밀스턴에서 출생.[2]
1687년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받음.[2]
1699년 ~ 1703년유럽 대륙 여행.[3]
1704년"전쟁 (The Campaign)" 발표.[3]
1705년이탈리아 여러 지역에 대한 고찰, 기타, 1701년, 1702년, 1703년(Remarks on several parts of Italy, &c., in the years 1701, 1702, 1703) 발표.[4]
1708년로스트위시엘의 국회의원으로 선출.[6]
1709년태틀러(Tatler) 발행 시작 (리처드 스틸과 협력).[6]
1709년 ~ 1713년캐번 자치구의 아일랜드 하원(Irish House of Commons) 의원.
1710년 ~ 1719년말메스버리 국회의원.
1711년스펙테이터(The Spectator) 창간 (리처드 스틸과 협력).[6]
1713년가디언(The Guardian) 발행.
1715년 ~ 1716년정치 신문 프리홀더(The Freeholder) 발행.
1716년워릭 백작 부인 샬럿과 결혼.[13]
1717년 ~ 1718년남부 담당 국무장관(Secretary of State for the Southern Department) 역임.[13]
1718년건강 악화로 국무장관직 사임.
1719년런던 홀랜드 하우스(Holland House)에서 사망, 웨스트민스터 사원(Westminster Abbey)에 안장.[23][37]
1808년뉴욕주 북부의 마을 미들타운이 애디슨(Addison)으로 개명됨.
1809년애디슨의 백대리석상(리처드 웨스트마코트(Richard Westmacott) 작)이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세워짐.[37]


참조

[1] 서적 Oxford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Ar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 DNB
[3] 서적 Coverley Papers from The Spectator Macmillan
[4] 서적 Remarks on Several Parts of Italy, &c. in The Years 1701, 1702, 1703 https://archive.org/[...] J. and R. Tonson 2013-04-23
[5] 서적 The Life of Joseph Addison Clarendon Press
[6] 논문 A Certain Design': The Partisan Strategy of Joseph Addison's The Free-Holder University of Sheffield
[7] 간행물 Thomas Clayton and the Introduction of Italian Opera to England https://www.questia.[...]
[8] 서적 Cato: A Tragedy, and Selected Essays Liberty Fund
[9] 뉴스 On Life, Liberty, and Other Quotable Matters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11-07-02
[10] 서적 Greeks & Romans Bearing Gifts: How the Ancients Inspired the Founding Father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1] 서적 Reflections on the revolution in France, and on the proceedings of certain societies in London relative to that event https://books.google[...] Seeley, Jackson, and Halliday
[12] 웹사이트 The Spacious Firmament on High https://web.archive.[...] 2015-11-29
[13] 웹사이트 Parishes: Bilton http://www.british-h[...] British History Online
[14] 서적 Memoirs of the Life and Writings of Sir Richard Steele https://books.google[...] Haskell House Publishers
[15] 간행물 No. 147 Saturday, March 18, 1710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1710-03-18
[16] 서적 The Reader's Encyclopedia
[17] 서적 The Secret Life of Things: Animals, Objects, and It-narratives in Eighteenth-century England https://books.google[...] Rosemont
[18] 서적 Essay on the Life and Writings of Addison Hurd and Houghton
[19] ODNB Addison, Lancelot 2004-09-23
[20] DNB
[21] 웹사이트 ADDISON, Joseph (1672-1719), of Sandy End, Fulham, Mdx.; St. Margaret’s, Westminster, and Bilton Hall, Warws. https://www.historyo[...] 2021-11-04
[22] 서적 Alumni Oxonienses 1500-1714 University of Oxford
[23] ODNB Addison, Joseph 2015-05-28
[24] 서적 Remarks on Several Parts of Italy, &c. in the Years 1701, 1702, 1703 J. and R. Tonson 1767
[25] 간행물 オペラは「ゴシック」か:『ロザモンド』における「古代」イングランド https://hdl.handle.n[...] 筑波大学比較・理論文学会 2009-02-28
[26] 간행물 オペラは「ゴシック」か:『ロザモンド』における「古代」イングランド https://hdl.handle.n[...] 筑波大学比較・理論文学会 2009-02-28
[27] 서적 Music and Culture in Eighteenth-Century Europe: A Source Book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28] 웹사이트 Lostwithiel https://www.historyo[...] 2021-11-03
[29] 웹사이트 Biographies of Members of the Irish Parliament 1692-1800 https://ulsterhistor[...] 2021-11-04
[30] Kotobank 2021-11-03
[31] 웹사이트 Malmesbury https://www.historyo[...] 2021-11-03
[32] 웹사이트 Malmesbury https://www.historyo[...] 2021-11-03
[33] 웹사이트 ADDISON, Joseph (1672-1719), of Bilton, Warws. and Holland House, Kensington https://www.historyo[...] 2021-11-04
[34] Kotobank 2021-11-04
[35] Kotobank 2021-11-04
[36] DNB
[37] 웹사이트 Joseph Addison https://www.westmins[...] 2021-11-03
[38] Kotobank 2021-11-03
[39] Kotobank 2021-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