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벨기에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기에의 국가는 '브라반트 행진곡'으로, 1830년 벨기에 혁명 당시 만들어졌다. 이 곡은 프랑스의 국가 '라 마르세예즈'를 참고하여 제작되었으며, 1860년에 공식적으로 국가로 채택되었다. 가사는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며, 현재는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왈롱어의 4개 언어로 불린다. 벨기에 국경일에는 세 가지 공용어를 혼합한 짧은 버전의 국가가 연주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 혁명 - 런던 조약 (1839년)
    1839년 런던 조약은 벨기에의 독립과 영세 중립국 지위를 국제적으로 승인하고 영토를 확정지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벨기에 침공으로 국제법적 중요성이 부각된 조약이다.
  • 벨기에 혁명 - 10일 전역
    10일 전역은 1831년 네덜란드 국왕 빌럼 1세가 벨기에 독립을 무력 진압하기 위해 감행한 군사 작전으로, 프랑스의 개입으로 12일 만에 휴전하고 벨기에의 취약성을 드러냈으며, 1839년 런던 조약으로 벨기에 독립이 승인되었다.
  • 벨기에의 상징 - 벨기에의 국기
    벨기에의 국기는 검정, 노랑, 빨강의 세로 줄무늬로 이루어져 있으며, 1830년 벨기에 혁명 이후 채택되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 벨기에의 상징 - 벨기에의 국장
    벨기에의 국장은 벨기에 연합주의 상징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벨기에 왕국의 상징으로, "단결은 힘이다"라는 표어를 담고 있으며 대형, 소형 국장과 왕실 문장 등 종류가 다양하다.
벨기에의 국가
국가 정보
1910년경 브라방소네 악보 표지
1910년경 브라방소네 악보 표지
명칭브라방소네
영어 명칭The Brabantian
프랑스어 명칭La Brabançonne
네덜란드어 명칭De Brabançonne
독일어 명칭Das Lied von Brabant
로마자 표기 - 프랑스어La Brabançonne
로마자 표기 - 네덜란드어De Brabançonne
로마자 표기 - 독일어Das Lied von Brabant
종류국가
국가벨기에
작사 정보
최초 작사알렉상드르 드셰와 콘스탄틴 로덴바흐 (1830년 원본)
현재 작사샤를 로지에 (1860년 버전)
작곡가프랑수아 반 캄페누트
작곡 시기1830년 9월
채택 시기1860년 (현재 가사는 1921년)
음원 정보

2. 역사

오른쪽


1830년 8월, 벨기에는 프랑스의 국가인 라 마르세예즈를 응용하여 다른 애국적인 노래를 만들기로 했다.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테너 가수들을 부르기도 했는데 그중 프랑수아 폰 캄펜후르와 리옹 출신의 프랑스 배우 제네발(Geneval)이 발령이 나와, 그들에게 각각 벨기에 국가로서 '브라반트(브라방) 행진곡'을 각각 작사·작곡해달라고 시켰다. 전설에 따르면 이 노래는 카페 라모 아이글레 디부 아니면 회의실에서 탄생했다고 한다. 음악과 노래는 1830년 9월 처음으로 연주되었다.

현재 브라반트 행진곡의 가사는 1860년 당시의 벨기에 혁명 중 아르 제네발이 작사하였을 뿐, 로지엘에 의해 작성되지 않았다. 1830년 8월, 알렉상드르 데쉬 제네발은 이 가사 중 원 가사의 어느 단어가 원래 벨기에의 약탈품을 모욕하는 네덜란드의 왕의 지혜를 예찬하기 위한 것일 뿐, 그것은 벨기에의 주장에 충족하지 않는 것이라며 "아버지"와 "왕의 예제"를 들기도 했다.

|thumb|left|upright|브뤼셀의 국가 기념비

전설에 따르면 벨기에 국가(國歌)는 1830년 9월 벨기에 혁명 당시 "젠느발"이라는 젊은 혁명가가 썼으며, 그는 Aigle d'Or 카페에서 열린 회의에서 가사를 낭독했다.

젠느발은 프랑스인으로 본명은 알렉상드르 데셰 (루이-알렉상드르 데셰라고도 함)이며, 브라반손을 썼다. 당시 그는 1830년 8월 혁명이 시작되어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하게 된 극장의 배우였다. 젠느발은 독립 전쟁에서 사망했다. 프랑수아 반 캄펜하우트는 프랑스 시인 외젠 드 프라델이 쓴 "L'Air des lanciers polonais" ("폴란드 창기병의 곡조")라는 프랑스 노래의 곡조를 기반으로 반주를 작곡했는데, 이 곡조는 인기 있는 술 노래 모음집인 ''La Clé du caveau''(지하실의 열쇠)에서 찾을 수 있는 "L'Air du magistrat irréprochable"라는 노래의 곡조를 각색한 것이다.[1][2] 1830년 9월에 처음 연주되었다.

1860년 벨기에는 이 노래와 음악을 국가로 공식 채택했지만, 당시 총리인 샤를 로지에는 루이 이망스가 쓴 버전을 보고 네덜란드의 오렌지 가문을 비난하는 가사를 삭제했다.[3]

브라반손은 또한 조각가 샤를 사무엘이 브뤼셀의 Surlet de Chokier 광장에 세운 기념비(1930)이기도 하다. 이 기념비에는 국가의 프랑스어 및 네덜란드어 버전의 가사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 벨기에 민속의 많은 요소와 마찬가지로, 이는 주로 프랑스 국가인 "라 마르세예즈"를 기반으로 하며, 이는 또한 국가이자 파리의 개선문 기저부에 있는 조각 그룹 ''1792년 의용병의 출정'', 일반적으로 ''라 마르세예즈''로 불리는 기념비의 이름이기도 하다.

2. 1. 벨기에 혁명과 브라반손



1830년 8월, 벨기에는 프랑스의 국가인 라 마르세예즈를 응용하여 다른 애국적인 노래를 만들기로 했다.[1][2] 프랑수아 폰 캄펜후르와 리옹 출신의 프랑스 배우 제네발(Geneval)이 벨기에 국가로서 '브라반트(브라방) 행진곡'을 각각 작사·작곡했다. 이 노래는 1830년 9월 처음으로 연주되었다.[3]

전설에 따르면 벨기에 국가는 1830년 9월 벨기에 혁명 당시 "젠느발"이라는 젊은 혁명가가 썼으며, 그는 Aigle d'Or 카페에서 열린 회의에서 가사를 낭독했다고 한다. 젠느발은 프랑스인으로 본명은 알렉상드르 데셰(루이-알렉상드르 데셰라고도 함)이며, 당시 극장의 배우였다. 프랑수아 반 캄펜하우트는 프랑스 노래의 곡조를 기반으로 반주를 작곡했다.

1860년 벨기에는 이 노래와 음악을 국가로 공식 채택했지만, 당시 총리인 샤를 로지에는 오렌지 가문을 비난하는 가사를 삭제했다.

브라반손은 또한 조각가 샤를 사무엘이 브뤼셀의 Surlet de Chokier 광장에 세운 기념비(1930)이기도 하다. 이 기념비에는 국가의 프랑스어 및 네덜란드어 버전의 가사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

2. 2. 가사의 변천

1830년 벨기에 독립 혁명 당시, 애국자 알렉상드르 데셰(예명 제네발)는 원래 가사 중 네덜란드 왕을 찬양하는 내용을 수정했다. 같은 해 9월, 제네발은 네덜란드 군의 공격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가사를 다시 수정했다. 1860년, 샤를 로지에 총리는 오라녜나사우 가문을 비난하는 가사를 삭제하고 현재 가사의 기틀을 마련했다.

현재 가사는 1921년 8월 개정된 것이다. 1921년 벨기에 정부는 현재의 가사를 공식 채택하고 네덜란드어, 독일어, 왈롱어 버전을 추가했다.

벨기에 국가 (프랑스어: La Brabançonne, 네덜란드어: De Brabançonne, 독일어: Das Lied von Brabant)
프랑스어네덜란드어독일어
{{llang|nl|O dierbaar België, O heilig land der Vaad'ren,{{llang|de|O liebes Land, o Belgiens Erde,


3. 가사

브라반손의 악보


제네발의 석판화


캄펜하우트가 브라반손을 부르는 석판화


; 1830년 8월 가사

초기에는 프랑스어 가사만 있었다.

살육과 약탈의 외침에, 악한 자들이 모여들었지만, 너희의 굳센 용기가, 그들을 멀리 물리쳤네. 이제, 이 도시를 시들게 했던, 이 오물에서 깨끗해졌으니, 친구여, 오렌지를 접붙여야 하네, 자유의 나무에./Aux cris de meurtre et de pillage, Des méchants s’étaient rassemblés, Mais votre énergique courage, Loin de vous les a refoulés. Maintenant, purs de cette fange, Qui flétrissait votre cité, Amis, il faut greffer l’Orange, Sur l’arbre de la Liberté.프랑스어

그리고 너, 너의 백성이 희망을 거는 자여, 나소, 마침내 우리의 권리를 확립하라. 벨기에인들의 아버지로 남아, 너는 왕들의 모범이 될 것이다. 외국 장관을 포기하고, 너무나 혐오스러운 이름을 거부하라. 그러면 너는 오렌지가 익어가는 것을 볼 것이다, 자유의 나무 위에서./Et toi, dans qui ton peuple espère, Nassau, consacre enfin nos droits ; Des Belges en restant le père, Tu seras l’exemple des rois. Abjure un ministre étrange, Rejette un nom trop détesté, Et tu verras mûrir l’Orange, Sur l’arbre de la Liberté.프랑스어

그러나 불행하게도, 만약 고의적으로, 끔찍한 계획을 추구하며, 우리를 향해, 피 묻은 대포의 불을 쏠 경우! 그렇다면 모든 것이 끝나고, 모든 것이 변하리라. 더 이상 협약도, 조약도 없으리니, 그리고 너는 오렌지가 떨어지는 것을 보리라, 자유의 나무에서./Mais malheur, si, de l’arbitraire, Protégeant les affreux projets, Sur nous du canon sanguinaire, Tu venais lancer les boulets ! Alors tout est fini, tout change, Plus de pacte, plus de traité, Et tu verras tomber l’Orange, De l’arbre de la Liberté.프랑스어

; 1830년 9월 가사

오른쪽


이 시절에는 프랑스어 가사만 있었다.

:뜻밖의 일이지... 자의적으로

:끔찍한 계획을 수행하며,

:우리에게, 대포의 쇠로,

:한 왕자가 포문을 열었네.

:다 끝났네! 그래, 벨기에인들아, 모든 것이 바뀌었네;

:나소와 더 이상 부당한 조약은 없네!

:산탄이 오렌지를 산산조각 냈네

:자유의 나무 위에.

:너무나 관대했던 분노 속에서,

:벨기에는, 그녀의 권리를 되찾으며,

:그녀가 아버지라 불렀던 왕에게서,

:단지 정당한 법을 원했을 뿐이었네.

:그러나 그는, 그의 예상치 못한 격노 속에서,

:그의 아들이 조준한 대포로

:벨기에인의 피에 오렌지를 잠기게 했네

:자유의 나무 아래에서.

:오, 자랑스럽고 용감한 브라반트 사람들,

:싸움 속에서도 움츠러들지 않는 것을 보네,

:바타비아인들의 부끄러운 홀에서

:너의 총알이 너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

:브뤼셀에서, 대천사성 미카엘 대천사, 브뤼셀의 수호 성인. 그 이미지는 브뤼셀 생 미셸과 생 퀴둘 대성당의 탑에서 펄럭이는 벨기에 국기를 나타내는 것 같다.

:너의 성스러운 깃발이 영원히 꽂혔네;

:그리고, 오렌지 없이 푸르게 자라는 것을 자랑스러워하며,

:자유의 나무는 더 높이 자란다.

:그리고 너희, 고귀한 눈물의 대상들,

:용감한 자들이여, 대포 사격으로 죽었네,

:무장한 조국이,

:적어도 너희의 이름을 알 수 있기 전에,

:너희가 누워있는 겸손한 땅 아래에서,

:자라거라, 순교자들이여, 꺾이지 않는 대대여!

:오렌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평화롭게 잠들라,

:자유의 나무 아래에서.

; 1860년 가사

현재의 가사가 개정되기 전에는 프랑스어 가사만 존재했다.

:오랜 세기의 노예제도 후에

:벨기에 사람들은 무덤에서 깨어나면서

:그의 힘과 용기로

:명성과, 권리와 그 깃발을 쟁취하였도다,

:그리고 당신의 주권과 자랑스러운 손에

:민중을 불굴하게 만들었다네.

:오래된 깃발 위에 새겼도다.

:군주, 법률, 자유 만세!

:오래된 깃발에 새겼도다.

:군주, 법률, 자유 만세!

:군주, 법률, 자유 만세!

:군주, 법률, 자유 만세!

수 세기 동안의 노예 생활 끝에, 벨기에인은 무덤에서 일어나 그의 힘과 용기로 그의 이름, 그의 권리, 그리고 그의 깃발을 되찾았다고 묘사한다. 그리고 이제, 불굴의 국민이 그대의 손, 주권적이고 자랑스럽게, 그대의 낡은 깃발에 국왕, 법, 자유를 새겼다고 묘사한다. 에너지 넘치는 발걸음으로 진보와 발전을 향해 행진하고 벨기에를 보호하시는 신께서, 그대의 씩씩한 성공에 미소짓는다고 한다. 그리고 노동은 밭에 비옥함을 주고 예술의 화려함이 왕관을 씌운다고 한다. 오랫동안 분열되었던 우리들의 옛 형제들에게 문을 열어주고, 벨기에인, 바타비아인, 더 이상 전쟁은 없고 자유로운 국민은 친구라고 한다. 영원히 함께 굳게 하고 우애의 유대를 그리고 하나의 외침이 우리를 결집하게 한다고 한다. 고귀한 벨기에, 사랑하는 어머니에게 마음과 팔과 피를 조국에 바치고, 모두 맹세하고 항상 위대하고 아름답게 살고, 무적의 단결은 불멸의 모토를 가진다고 한다.

; 현재 가사 (1921년)

Ô Belgique, ô mère chérie,\\

À toi nos cœurs, à toi nos bras,\\

À toi notre sang, ô Patrie !\\

Nous le jurons tous, tu vivras !\\

Tu vivras toujours grande et belle\\

Et ton invincible unité\\

Aura pour devise immortelle :\\

Le Roi, la Loi, la Liberté !\\

Aura pour devise immortelle :\\

Le Roi, la Loi, la Liberté !\\

Le Roi, la Loi, la Liberté !\\

Le Roi, la Loi, la Liberté !프랑스어

(오 벨기에, 사랑하는 어머니여,\\

그대에게 우리의 마음을, 그대에게 우리의 팔을,\\

그대에게 우리의 피를, 조국이여!\\

우리는 그대에게 맹세하노니, 그대는 살아남으리라!\\

그대는 살리라, 언제까지나 위대하고 아름답게,\\

그리고 그대의 불굴의 단결은\\

불멸의 표어를 가지게 되리라:\\

군주와 법률과 자유!\\

불멸의 표어를 가지게 되리라:\\

군주와 법률과 자유!\\

군주와 법률과 자유!\\

군주와 법률과 자유!)

O dierbaar België, O heilig land der Vaad'ren,\\

Onze ziel en ons hart zijn u gewijd.\\

Aanvaard ons hart en het bloed van onze adren,\\

Wees ons doel, in arbeid en in strijd.\\

Bloei, o land, in eendracht niet te breken;\\

Wees immer u zelf en ongeknecht,\\

Het woord getrouw, dat g' onbevreesd moogt spreken:\\

Voor Vorst, voor Vrijheid en voor Recht.\\

Het woord getrouw, dat g' onbevreesd moogt spreken:\\

Voor Vorst, voor Vrijheid en voor Recht.\\

Voor Vorst, voor Vrijheid en voor Recht.\\

Voor Vorst, voor Vrijheid en voor Recht.nl

(사랑스런 벨기에여, 우리 아버지의 거룩한 땅이여,\\

우리의 영혼과 마음을 그대에게 바치느니\\

우리의 힘과 우리의 끓는 피를 받아들여,\\

노동과 투쟁에 있어 우리의 목표가 될지라.\\

번영하라, 대지여, 깨뜨릴 수 없는 단결 속에서;\\

그대 자신으로 있으며, 예속되지 말라,\\

그대가 두려움없이 외쳤을 그 말 앞에 신의를 가지라:\\

"군주를 위하여, 자유를 위하여, 그리고 법률을 위하여."\\

그대가 두려움없이 외쳤을 그 말 앞에 신의를 가지라:\\

"군주를 위하여, 자유를 위하여, 그리고 법률을 위하여."\\

"군주를 위하여, 자유를 위하여, 그리고 법률을 위하여."\\

"군주를 위하여, 자유를 위하여, 그리고 법률을 위하여.")

O liebes Land, o Belgiens Erde,\\

Dir unser Herz, Dir unsere Hand,\\

Dir unser Blut, o Heimaterde,\\

wir schwören's Dir, o Vaterland.\\

So blühe froh in voller Schöne,\\

zu der die Freiheit Dich erzog,\\

und fortan singen Deine Söhne:\\

Gesetz und König und die Freiheit hoch!\\

und fortan singen Deine Söhne:\\

„Gesetz und König und die Freiheit hoch!”.\\

„Gesetz und König und die Freiheit hoch!”.\\

„Gesetz und König und die Freiheit hoch!”.de

(사랑스런 땅이여, 오 벨기에의 땅이여,\\

그대에게 우리의 마음을, 그대에게 우리의 손을,\\

그대에게 우리의 피를, 고향의 땅이여,\\

우리는 그대에게 맹세하노라, 조국이여!\\

아름다움으로 가득히 기쁘게 꽃이 피리라,\\

자유가 그대에게 알려준 대로,\\

그리고 장차 그대의 아들들은 노래하리라:\\

법률과 군주와 자유, 만세!\\

그리고 장차 그대의 아들들은 노래하리라:\\

법률과 군주와 자유, 만세!\\

법률과 군주와 자유, 만세!\\

법률과 군주와 자유, 만세!)

Po nosse Beldjike, nosse firté, nosse bele Patreye,\\

S' il est reki, ci djoû la, nos mourrans !\\

Li Liberté våt k' on sacrifeye si veye,\\

Po-z è leyî profiter nos efants !\\

Dins nozôtes, k' est vaici, i gn a pont d’ låtches,\\

So nos tertos, nosse payis pout conter !\\

Flaminds, Walons, tchantans, tchaeke e s’ lingaedje\\

Li Rwè, li Lwè et l’ Liberté !\\

Flaminds, Walons, tchantans, tchaeke e s’ lingaedje\\

Li Rwè, li Lwè et l’ Liberté !\\

Li Rwè, li Lwè et l’ Liberté !\\

Li Rwè, li Lwè et l’ Liberté !wa

(우리 벨기에에게, 우리의 자랑, 우리의 아름다운 조국이여,\\

만약 필요하다면, 우리는 그 날 죽으리라!\\

자유는 자신의 삶을 희생할 가치가 있나니,\\

우리 아이들에게 그 이익을 남겨주기 위해서!\\

여기 있는 우리 중에는 비겁한 자가 없으니,\\

우리 모두에게, 우리 나라는 의지할 수 있도다!\\

플랑드르인, 왈롱인, 각자의 언어로 노래하자\\

군주와 법률과 자유!\\

플랑드르인, 왈롱인, 각자의 언어로 노래하자\\

군주와 법률과 자유!\\

군주와 법률과 자유!\\

군주와 법률과 자유!)

; 다언어 혼합 가사

최근 몇 년 동안, 벨기에 국경일인 매년 7월 21일에 벨기에의 세 가지 공용어(프랑스어, 네덜란드어, 독일어)를 모두 섞어 만든 짧은 버전의 국가가 불리고 있다. 이는 "오 캐나다"의 이중 언어 버전과 유사하다.[4] 이 버전은 국가의 4절에서 가사를 가져왔다.

언어번호가사번역
네덜란드어1오 디르바르 벨기에, 오 헤일리흐 란트 데르 바드런/O dierbaar België, O heilig land der Vaad'ren,nl오, 사랑하는 벨기에, 오, 아버지들의 신성한 땅이여
2온저 질 언 온스 하르트 제인 위 허베이트/Onze ziel en ons hart zijn u gewijd.nl우리의 영혼과 마음은 당신께 헌신합니다!
프랑스어3아 투아 노트르 상, 오 파트리/À toi notre sang, ô Patrie !프랑스어당신을 위해 흘릴 피가 있네, 조국이여!
4누 르 쥐롱 투스, 튀 비브라/Nous le jurons tous, tu vivras !프랑스어우리 모두 맹세하노니, 당신은 영원하리라!
독일어5조 블뤼에 프로 인 폴러 쇠네/So blühe froh in voller Schöne,de기쁘게 만개하소서, 아름다움으로 가득 차
6추 데어 디 프라이하이트 디히 에어초크/zu der die Freiheit Dich erzog,de자유가 당신을 키운 그곳으로,
7운트 포르탄 징엔 다이네 죄네/und fortan singen Deine Söhne:de그리고 당신의 아들들은 영원히 노래하리라:
프랑스어8르 루아, 라 루아, 라 리베르테/Le Roi, la Loi, la Liberté !프랑스어국왕, 법, 자유!
네덜란드어9헛 보르트 허트라우, 닷 흐 온버프레이스트 모흐트 스프레이컨/Het woord getrouw, dat g' onbevreesd moogt spreken,nl당신이 용감하게 말할 수 있는 충실한 단어는,
10포르 보르스트, 포르 프레이헤이트 엔 포르 레흐트/Voor Vorst, voor Vrijheid en voor Recht!nl국왕을 위해, 자유를 위해, 그리고 법을 위해!
독일어11게제츠 운트 쾨니히 운트 디 프라이하이트 호흐/Gesetz und König und die Freiheit hoch!de법과 국왕과 자유에 만세!
프랑스어12르 루아, 라 루아, 라 리베르테/Le Roi, la Loi, la Liberté !프랑스어국왕, 법, 자유!


3. 1. 1830년 8월 가사

초기에는 프랑스어 가사만 있었다.

'''1절'''

:Dignes enfants de la Belgique

:Qu’un beau délire a soulevé,

:À votre élan patriotique

:De grand succès sont réservés.

:Restons armés que rien ne change !

:Gardons la même volonté,

:Et nous verrons refleurir l’Orange

:Sur l’arbre de la Liberté.

'''2절'''

:Aux cris de meurtre et de pillage,

:Des méchants s’étaient rassemblés,

:Mais votre énergique courage

:Loin de vous les a refoulés.

:Maintenant, purs de cette fange

:Qui flétrissait votre cité,

:Amis, il faut greffer l’Orange

:Sur l’arbre de la Liberté.

'''3절'''

:Et toi, dans qui ton peuple espère,

:Nassau, consacre enfin nos droits ;

:Des Belges en restant le père

:Tu seras l’exemple des rois.

:Abjure un ministre étrange,

:Rejette un nom trop détesté,

:Et tu verras mûrir l’Orange

:Sur l’arbre de la Liberté.

'''4절'''

:Mais malheur, si, de l’arbitraire

:Protégeant les affreux projets,

:Sur nous du canon sanguinaire,

:Tu venais lancer les boulets !

:Alors tout est fini, tout change,

:Plus de pacte, plus de traité,

:Et tu verras tomber l’Orange

:De l’arbre de la Liberté.

살육과 약탈의 외침에, 악한 자들이 모여들었지만, 너희의 굳센 용기가, 그들을 멀리 물리쳤네. 이제, 이 도시를 시들게 했던, 이 오물에서 깨끗해졌으니, 친구여, 오렌지를 접붙여야 하네, 자유의 나무에./Aux cris de meurtre et de pillage, Des méchants s’étaient rassemblés, Mais votre énergique courage, Loin de vous les a refoulés. Maintenant, purs de cette fange, Qui flétrissait votre cité, Amis, il faut greffer l’Orange, Sur l’arbre de la Liberté.프랑스어

그리고 너, 너의 백성이 희망을 거는 자여, 나소, 마침내 우리의 권리를 확립하라. 벨기에인들의 아버지로 남아, 너는 왕들의 모범이 될 것이다. 외국 장관을 포기하고, 너무나 혐오스러운 이름을 거부하라. 그러면 너는 오렌지가 익어가는 것을 볼 것이다, 자유의 나무 위에서./Et toi, dans qui ton peuple espère, Nassau, consacre enfin nos droits ; Des Belges en restant le père, Tu seras l’exemple des rois. Abjure un ministre étrange, Rejette un nom trop détesté, Et tu verras mûrir l’Orange, Sur l’arbre de la Liberté.프랑스어

그러나 불행하게도, 만약 고의적으로, 끔찍한 계획을 추구하며, 우리를 향해, 피 묻은 대포의 불을 쏠 경우! 그렇다면 모든 것이 끝나고, 모든 것이 변하리라. 더 이상 협약도, 조약도 없으리니, 그리고 너는 오렌지가 떨어지는 것을 보리라, 자유의 나무에서./Mais malheur, si, de l’arbitraire, Protégeant les affreux projets, Sur nous du canon sanguinaire, Tu venais lancer les boulets ! Alors tout est fini, tout change, Plus de pacte, plus de traité, Et tu verras tomber l’Orange, De l’arbre de la Liberté.프랑스어

3. 2. 1830년 9월 가사



이 시절에는 프랑스어 가사만 있었다.
1절:Qui l’aurait cru ? …de l’arbitraire

:Consacrant les affreux projets,

:Sur nous de l’airain militaire

:Un prince a lancé les boulets.

:C’en est fait ! Oui, Belges, tout change,

:Avec Nassau plus d’indigne traité !

:La mitraille a brisé l’Orange

:Sur l’arbre de la Liberté.
2절:Trop généreuse en sa colère,

:La Belgique, vengeant ses droits,

:D’un roi, qu’elle appelait son père,

:N’implorait que de justes lois.

:Mais lui dans sa fureur étrange,

:Par le canon que son fils a pointé,

:Au sang belge a noyé l’Orange

:Sous l’arbre de la Liberté.
3절:Fiers brabançons, peuples de braves,

:Qu’on voit combattre sans fléchir,

:Du sceptre honteux des Bataves,

:Tes balles sauront t’affranchir.

:Sur Bruxelles, au pied de l’archange,

:Ton saint drapeau pour jamais est planté,

:Et, fier de verdir sans l’Orange,

:Croît l’arbre de la Liberté.
4절:Et vous, objets de nobles larmes,

:Braves, morts au feu des cannons,

:Avant que la patrie en armes

:Ait pu connaître au moins vos noms,

:Sous l’humble terre où l’on vous range,

:Dormez, martyrs, bataillon indompté !

:Dormez en paix, loin de l’Orange,

:Sous l’arbre de la Liberté.

:뜻밖의 일이지... 자의적으로

:끔찍한 계획을 수행하며,

:우리에게, 대포의 쇠로,

:한 왕자가 포문을 열었네.

:다 끝났네! 그래, 벨기에인들아, 모든 것이 바뀌었네;

:나소와 더 이상 부당한 조약은 없네!

:산탄이 오렌지를 산산조각 냈네

:자유의 나무 위에.

:너무나 관대했던 분노 속에서,

:벨기에는, 그녀의 권리를 되찾으며,

:그녀가 아버지라 불렀던 왕에게서,

:단지 정당한 법을 원했을 뿐이었네.

:그러나 그는, 그의 예상치 못한 격노 속에서,

:그의 아들이 조준한 대포로

:벨기에인의 피에 오렌지를 잠기게 했네

:자유의 나무 아래에서.

:오, 자랑스럽고 용감한 브라반트 사람들,

:싸움 속에서도 움츠러들지 않는 것을 보네,

:바타비아인들의 부끄러운 홀에서

:너의 총알이 너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

:브뤼셀에서, 대천사성 미카엘 대천사, 브뤼셀의 수호 성인. 그 이미지는 브뤼셀 생 미셸과 생 퀴둘 대성당의 탑에서 펄럭이는 벨기에 국기를 나타내는 것 같다.

:너의 성스러운 깃발이 영원히 꽂혔네;

:그리고, 오렌지 없이 푸르게 자라는 것을 자랑스러워하며,

:자유의 나무는 더 높이 자란다.

:그리고 너희, 고귀한 눈물의 대상들,

:용감한 자들이여, 대포 사격으로 죽었네,

:무장한 조국이,

:적어도 너희의 이름을 알 수 있기 전에,

:너희가 누워있는 겸손한 땅 아래에서,

:자라거라, 순교자들이여, 꺾이지 않는 대대여!

:오렌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평화롭게 잠들라,

:자유의 나무 아래에서.

3. 3. 1860년 가사

현재의 가사가 개정되기 전에는 프랑스어 가사만 존재했다.

:Après des siècles et des siècles d'esclavage,

:Le Belge sortant du tombeau

:A reconquis par sa force et son courage

:Son nom, ses droits et son drapeau.

:Et ta main souveraine et fière,

:Désormais, peuple indompté,

:Grava sur ta vieille bannière :

:Le Roi, la Loi, la Liberté !

:Grava sur ta vieille bannière :

:Le Roi, la Loi, la Liberté !

:Le Roi, la Loi, la Liberté !

:Le Roi, la Loi, la Liberté !

:오랜 세기의 노예제도 후에

:벨기에 사람들은 무덤에서 깨어나면서

:그의 힘과 용기로

:명성과, 권리와 그 깃발을 쟁취하였도다,

:그리고 당신의 주권과 자랑스러운 손에

:민중을 불굴하게 만들었다네.

:오래된 깃발 위에 새겼도다.

:군주, 법률, 자유 만세!

:오래된 깃발에 새겼도다.

:군주, 법률, 자유 만세!

:군주, 법률, 자유 만세!

:군주, 법률, 자유 만세!

수 세기 동안의 노예 생활 끝에, 벨기에인은 무덤에서 일어나 그의 힘과 용기로 그의 이름, 그의 권리, 그리고 그의 깃발을 되찾았다고 묘사한다. 그리고 이제, 불굴의 국민이 그대의 손, 주권적이고 자랑스럽게, 그대의 낡은 깃발에 국왕, 법, 자유를 새겼다고 묘사한다. 에너지 넘치는 발걸음으로 진보와 발전을 향해 행진하고 벨기에를 보호하시는 신께서, 그대의 씩씩한 성공에 미소짓는다고 한다. 그리고 노동은 밭에 비옥함을 주고 예술의 화려함이 왕관을 씌운다고 한다. 오랫동안 분열되었던 우리들의 옛 형제들에게 문을 열어주고, 벨기에인, 바타비아인, 더 이상 전쟁은 없고 자유로운 국민은 친구라고 한다. 영원히 함께 굳게 하고 우애의 유대를 그리고 하나의 외침이 우리를 결집하게 한다고 한다. 고귀한 벨기에, 사랑하는 어머니에게 마음과 팔과 피를 조국에 바치고, 모두 맹세하고 항상 위대하고 아름답게 살고, 무적의 단결은 불멸의 모토를 가진다고 한다.

3. 4. 현재 가사 (1921년)

wikitext

Ô Belgique, ô mère chérie,\\

À toi nos cœurs, à toi nos bras,\\

À toi notre sang, ô Patrie !\\

Nous le jurons tous, tu vivras !\\

Tu vivras toujours grande et belle\\

Et ton invincible unité\\

Aura pour devise immortelle :\\

Le Roi, la Loi, la Liberté !\\

Aura pour devise immortelle :\\

Le Roi, la Loi, la Liberté !\\

Le Roi, la Loi, la Liberté !\\

Le Roi, la Loi, la Liberté !프랑스어

(오 벨기에, 사랑하는 어머니여,\\

그대에게 우리의 마음을, 그대에게 우리의 팔을,\\

그대에게 우리의 피를, 조국이여!\\

우리는 그대에게 맹세하노니, 그대는 살아남으리라!\\

그대는 살리라, 언제까지나 위대하고 아름답게,\\

그리고 그대의 불굴의 단결은\\

불멸의 표어를 가지게 되리라:\\

군주와 법률과 자유!\\

불멸의 표어를 가지게 되리라:\\

군주와 법률과 자유!\\

군주와 법률과 자유!\\

군주와 법률과 자유!)

O dierbaar België, O heilig land der Vaad'ren,\\

Onze ziel en ons hart zijn u gewijd.\\

Aanvaard ons hart en het bloed van onze adren,\\

Wees ons doel, in arbeid en in strijd.\\

Bloei, o land, in eendracht niet te breken;\\

Wees immer u zelf en ongeknecht,\\

Het woord getrouw, dat g' onbevreesd moogt spreken:\\

Voor Vorst, voor Vrijheid en voor Recht.\\

Het woord getrouw, dat g' onbevreesd moogt spreken:\\

Voor Vorst, voor Vrijheid en voor Recht.\\

Voor Vorst, voor Vrijheid en voor Recht.\\

Voor Vorst, voor Vrijheid en voor Recht.nl

(사랑스런 벨기에여, 우리 아버지의 거룩한 땅이여,\\

우리의 영혼과 마음을 그대에게 바치느니\\

우리의 힘과 우리의 끓는 피를 받아들여,\\

노동과 투쟁에 있어 우리의 목표가 될지라.\\

번영하라, 대지여, 깨뜨릴 수 없는 단결 속에서;\\

그대 자신으로 있으며, 예속되지 말라,\\

그대가 두려움없이 외쳤을 그 말 앞에 신의를 가지라:\\

"군주를 위하여, 자유를 위하여, 그리고 법률을 위하여."\\

그대가 두려움없이 외쳤을 그 말 앞에 신의를 가지라:\\

"군주를 위하여, 자유를 위하여, 그리고 법률을 위하여."\\

"군주를 위하여, 자유를 위하여, 그리고 법률을 위하여."\\

"군주를 위하여, 자유를 위하여, 그리고 법률을 위하여.")

O liebes Land, o Belgiens Erde,\\

Dir unser Herz, Dir unsere Hand,\\

Dir unser Blut, o Heimaterde,\\

wir schwören's Dir, o Vaterland.\\

So blühe froh in voller Schöne,\\

zu der die Freiheit Dich erzog,\\

und fortan singen Deine Söhne:\\

Gesetz und König und die Freiheit hoch!\\

und fortan singen Deine Söhne:\\

„Gesetz und König und die Freiheit hoch!”.\\

„Gesetz und König und die Freiheit hoch!”.\\

„Gesetz und König und die Freiheit hoch!”.de

(사랑스런 땅이여, 오 벨기에의 땅이여,\\

그대에게 우리의 마음을, 그대에게 우리의 손을,\\

그대에게 우리의 피를, 고향의 땅이여,\\

우리는 그대에게 맹세하노라, 조국이여!\\

아름다움으로 가득히 기쁘게 꽃이 피리라,\\

자유가 그대에게 알려준 대로,\\

그리고 장차 그대의 아들들은 노래하리라:\\

법률과 군주와 자유, 만세!\\

그리고 장차 그대의 아들들은 노래하리라:\\

법률과 군주와 자유, 만세!\\

법률과 군주와 자유, 만세!\\

법률과 군주와 자유, 만세!)

Po nosse Beldjike, nosse firté, nosse bele Patreye,\\

S' il est reki, ci djoû la, nos mourrans !\\

Li Liberté våt k' on sacrifeye si veye,\\

Po-z è leyî profiter nos efants !\\

Dins nozôtes, k' est vaici, i gn a pont d’ låtches,\\

So nos tertos, nosse payis pout conter !\\

Flaminds, Walons, tchantans, tchaeke e s’ lingaedje\\

Li Rwè, li Lwè et l’ Liberté !\\

Flaminds, Walons, tchantans, tchaeke e s’ lingaedje\\

Li Rwè, li Lwè et l’ Liberté !\\

Li Rwè, li Lwè et l’ Liberté !\\

Li Rwè, li Lwè et l’ Liberté !wa

(우리 벨기에에게, 우리의 자랑, 우리의 아름다운 조국이여,\\

만약 필요하다면, 우리는 그 날 죽으리라!\\

자유는 자신의 삶을 희생할 가치가 있나니,\\

우리 아이들에게 그 이익을 남겨주기 위해서!\\

여기 있는 우리 중에는 비겁한 자가 없으니,\\

우리 모두에게, 우리 나라는 의지할 수 있도다!\\

플랑드르인, 왈롱인, 각자의 언어로 노래하자\\

군주와 법률과 자유!\\

플랑드르인, 왈롱인, 각자의 언어로 노래하자\\

군주와 법률과 자유!\\

군주와 법률과 자유!\\

군주와 법률과 자유!)

최근 몇 년 동안, 벨기에 국경일인 매년 7월 21일에 벨기에의 세 가지 공용어(프랑스어, 네덜란드어, 독일어)를 모두 섞어 만든 짧은 버전의 국가가 불리고 있다. 이는 "오 캐나다"의 이중 언어 버전과 유사하다. 이 버전은 국가의 4절에서 가사를 가져왔다.

언어번호가사번역
네덜란드어1오 디르바르 벨기에, 오 헤일리흐 란트 데르 바드런/O dierbaar België, O heilig land der Vaad'ren,nl오, 사랑하는 벨기에, 오, 아버지들의 신성한 땅이여
2온저 질 언 온스 하르트 제인 위 허베이트/Onze ziel en ons hart zijn u gewijd.nl우리의 영혼과 마음은 당신께 헌신합니다!
프랑스어3아 투아 노트르 상, 오 파트리/À toi notre sang, ô Patrie !프랑스어당신을 위해 흘릴 피가 있네, 조국이여!
4누 르 쥐롱 투스, 튀 비브라/Nous le jurons tous, tu vivras !프랑스어우리 모두 맹세하노니, 당신은 영원하리라!
독일어5조 블뤼에 프로 인 폴러 쇠네/So blühe froh in voller Schöne,de기쁘게 만개하소서, 아름다움으로 가득 차
6추 데어 디 프라이하이트 디히 에어초크/zu der die Freiheit Dich erzog,de자유가 당신을 키운 그곳으로,
7운트 포르탄 징엔 다이네 죄네/und fortan singen Deine Söhne:de그리고 당신의 아들들은 영원히 노래하리라:
프랑스어8르 루아, 라 루아, 라 리베르테/Le Roi, la Loi, la Liberté !프랑스어국왕, 법, 자유!
네덜란드어9헛 보르트 허트라우, 닷 흐 온버프레이스트 모흐트 스프레이컨/Het woord getrouw, dat g' onbevreesd moogt spreken,nl당신이 용감하게 말할 수 있는 충실한 단어는,
10포르 보르스트, 포르 프레이헤이트 엔 포르 레흐트/Voor Vorst, voor Vrijheid en voor Recht!nl국왕을 위해, 자유를 위해, 그리고 법을 위해!
독일어11게제츠 운트 쾨니히 운트 디 프라이하이트 호흐/Gesetz und König und die Freiheit hoch!de법과 국왕과 자유에 만세!
프랑스어12르 루아, 라 루아, 라 리베르테/Le Roi, la Loi, la Liberté !프랑스어국왕, 법, 자유!


3. 4. 1. 다언어 혼합 가사

최근 몇 년 동안, 벨기에 국경일인 매년 7월 21일에 벨기에의 세 가지 공용어(프랑스어, 네덜란드어, 독일어)를 모두 섞어 만든 짧은 버전의 국가가 불리고 있다. 이는 "오 캐나다"의 이중 언어 버전과 유사하다.[4] 이 버전은 국가의 4절에서 가사를 가져왔다.

언어번호가사번역
네덜란드어1오 디르바르 벨기에, 오 헤일리흐 란트 데르 바드런/O dierbaar België, O heilig land der Vaad'ren,nl오, 사랑하는 벨기에, 오, 아버지들의 신성한 땅이여
2온저 질 언 온스 하르트 제인 위 허베이트/Onze ziel en ons hart zijn u gewijd.nl우리의 영혼과 마음은 당신께 헌신합니다!
프랑스어3아 투아 노트르 상, 오 파트리/À toi notre sang, ô Patrie !프랑스어당신을 위해 흘릴 피가 있네, 조국이여!
4누 르 쥐롱 투스, 튀 비브라/Nous le jurons tous, tu vivras !프랑스어우리 모두 맹세하노니, 당신은 영원하리라!
독일어5조 블뤼에 프로 인 폴러 쇠네/So blühe froh in voller Schöne,de기쁘게 만개하소서, 아름다움으로 가득 차
6추 데어 디 프라이하이트 디히 에어초크/zu der die Freiheit Dich erzog,de자유가 당신을 키운 그곳으로,
7운트 포르탄 징엔 다이네 죄네/und fortan singen Deine Söhne:de그리고 당신의 아들들은 영원히 노래하리라:
프랑스어8르 루아, 라 루아, 라 리베르테/Le Roi, la Loi, la Liberté !프랑스어국왕, 법, 자유!
네덜란드어9헛 보르트 허트라우, 닷 흐 온버프레이스트 모흐트 스프레이컨/Het woord getrouw, dat g' onbevreesd moogt spreken,nl당신이 용감하게 말할 수 있는 충실한 단어는,
10포르 보르스트, 포르 프레이헤이트 엔 포르 레흐트/Voor Vorst, voor Vrijheid en voor Recht!nl국왕을 위해, 자유를 위해, 그리고 법을 위해!
독일어11게제츠 운트 쾨니히 운트 디 프라이하이트 호흐/Gesetz und König und die Freiheit hoch!de법과 국왕과 자유에 만세!
프랑스어12르 루아, 라 루아, 라 리베르테/Le Roi, la Loi, la Liberté !프랑스어국왕, 법, 자유!


4. 상징과 의의

참조

[1] 웹사이트 Courrier des Pays-Bas: La Brabançonne. http://www.magasinpi[...] 2013-04-03
[2] 서적 La Belgique en chantant Éditions Complexe 1998
[3] 웹사이트 Salomon Louis Hymans et la Brabançonne https://www.iejudais[...] 2019-10-25
[4]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Belgium - Brabançonne [Trilingual] https://www.youtube.[...] 2022-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