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조약 (183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런던 조약 (1839년)은 1830년 벨기에 혁명 이후 벨기에의 독립을 최종적으로 승인한 조약이다. 네덜란드 남부 지방을 벨기에 왕국으로 국제적으로 인정하고, 림뷔르흐를 분할했으며, 유럽 열강들이 벨기에의 중립을 보장했다. 룩셈부르크 대공국은 분할되어 영토의 일부를 벨기에에 할양하고 네덜란드와의 개인 연합을 유지했다. 이 조약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과 관련하여 중요성을 가지며, 독일의 벨기에 침공으로 인해 영국이 독일에 선전포고하는 근거가 되었다. 조약은 또한 벨기에가 독일 루르로 가는 철도 통과 권리를 보장했으며, 2005년 상설중재재판소 판결로 재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런던 조약 (1839년) | |
---|---|
조약 정보 | |
이름 | 런던 조약 |
원어 이름 | Treaty of London |
별칭 | 제1차 런던 조약 |
종류 | 다자 조약 |
서명일 | 1839년 4월 19일 |
서명 장소 | 런던, 영국 |
당사국 | |
원 서명국 |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독일 연방 네덜란드 러시아 영국 |
비준국 | |
내용 | |
주요 내용 | 벨기에의 독립과 중립 보장 |
관련 정보 | |
관련 조약 | 런던 조약 |
2. 역사적 배경
1815년 이후 벨기에는 네덜란드 연합 왕국의 일부였다.[4] 1830년, 벨기에인들은 독립하여 벨기에 왕국을 세웠다. 가톨릭 신자가 대다수인 벨기에 국민들은 네덜란드 국왕이 개신교를 편애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었고, 프랑스어 사용자는 국왕이 프랑스어를 경멸하는 것에 분노했으며, 중산층은 네덜란드가 공직을 독점하는 것에 반대했다.[5] 자유주의자들은 빌럼 1세 국왕의 통치를 전제적이라고 여겼으며, 노동자 계급 사이에는 높은 수준의 실업과 산업 불안이 있었다.
1830년 벨기에 혁명으로 벨기에는 사실상 독립했고 레오폴 1세가 즉위했지만, 네덜란드 국왕 빌럼 1세는 벨기에의 독립을 승인하지 않았다. 벨기에 정부 또한 룩셈부르크 문제와 네덜란드 국채 분담 문제로 반발하면서 양측은 팽팽하게 대립했다.[11]
순교자 광장 (브뤼셀)에서 소규모 교전이 벌어진 후[6] 1831년에 국제적 합의가 이루어졌다.[7] 그러나 네덜란드는 이 합의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1831년 가을에 벨기에를 침공했다.[8] 1832년 프랑스 군대가 앤트워프를 재탈환한 후에야 벨기에와 네덜란드는 휴전에 합의할 수 있었다.[9] 몇 년 후, 네덜란드는 1831년 합의를 받아들이는 것이 휴전을 지속하는 것보다 더 많은 영토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10] 벨기에 정부는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합의 조건의 늦은 이행에 항의했지만, 영국은 네덜란드의 주장을 수용했다. 1839년, 네덜란드는 런던 조약을 통해 벨기에의 독립을 인정하고 (분쟁 지역을 되찾았으며) 주요 열강들은 벨기에의 네덜란드로부터의 독립을 보장했다.[11][12]
1830년의 벨기에 혁명으로 벨기에는 실질적으로 독립하여 레오폴 1세가 즉위했다. 유럽의 열강은 런던 회의에서 의정서를 채택하여 이를 인정했지만, 네덜란드 국왕 빌럼 1세는 벨기에 독립 승인을 거부했다. 벨기에 정부 또한 룩셈부르크가 제외된 자국 영토의 범위 및 네덜란드 국채 분담 문제로 반발하는 등 양측은 팽팽히 맞섰다.
벨기에 독립을 저지하기 위한 네덜란드군의 침공이 프랑스의 개입으로 실패하면서 1833년에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지만, 빌럼 1세는 그 후에도 끈질기게 버티며 사태는 진전되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빌럼 1세도 열강의 의정서를 받아들이는 것이 더 많은 영토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마침내 1838년에 재개된 국제 회의를 통해 독립을 승인했다.
3. 조약의 주요 내용
네덜란드군의 침공이 프랑스의 개입으로 실패하고 1833년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지만, 빌럼 1세는 계속해서 벨기에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빌럼 1세도 열강의 의정서를 받아들이는 것이 더 많은 영토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마침내 1838년 재개된 국제 회의를 통해 독립을 승인했다.[10]
조약에 따라 1830년부터 사실상 독립 상태였던 네덜란드 남부 지방은 국제적으로 벨기에 왕국으로 인정받았고, 림뷔르흐는 벨기에 림뷔르흐와 네덜란드로 분할되었다.[11]
룩셈부르크 대공국은 네덜란드와 개인 연합을 이루고 있었으며, 동시에 독일 연방의 회원국이기도 했다. 조약은 대공국을 분할하여 벨기에의 새로운 룩셈부르크 주에 영토의 3분의 2를 할양했다. 분할 후 남은 대공국은 원래 영토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원래 인구의 절반이 거주했으며,[13] 국왕 겸 대공 빌럼 1세 (그리고 이후 빌럼 2세와 빌럼 3세) 아래에서 네덜란드와의 개인 연합을 유지했다. 이러한 조치는 1839년 조약을 언급하여 '제2차 런던 조약'으로 알려진 1867년 런던 조약[14]에 의해 확정되었으며, 1890년 11월 23일 국왕 겸 대공 빌럼 3세가 사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15]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4. 영토 변화
림뷔르흐는 벨기에 림뷔르흐와 네덜란드 림뷔르흐로 분할되었다.[13] 룩셈부르크 대공국은 서부 지역(현재 벨기에의 룩셈부르크 주)을 벨기에에 할양했고, 나머지 지역은 빌럼 1세 (이후 빌럼 2세, 빌럼 3세) 아래에서 네덜란드와 동군 연합을 유지했다.[14] 이 분할로 룩셈부르크 대공국은 원래 영토의 3분의 1과 원래 인구의 절반만을 유지하게 되었다.[13] 이러한 조치는 1867년 제2차 런던 조약[14]에 의해 확정되었으며, 1890년 11월 23일 빌럼 3세가 사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15]
5. 벨기에의 중립성 보장과 제1차 세계 대전
런던 조약으로 유럽의 5개 열강(오스트리아, 프랑스, 프로이센, 러시아, 영국)은 벨기에 왕국의 중립을 보장했다.[16] 이 조약은 유럽 국제법의 초석이 된 근본적인 조약이었으며, 특히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에서 중요했다.[17]
1914년 7월 31일, 벨기에군의 동원이 명령되었고 벨기에 국왕은 독일, 영국, 프랑스가 자국의 중립을 법적으로 방어해야 한다는 사실에 유럽의 주의를 공개적으로 환기시켰다.[18] 그러나 1914년 8월 독일 제국이 벨기에를 침공하자, 영국은 최후통첩 이후 8월 4일 독일에 선전포고했다.[19][20] 영국 대사는 영국이 벨기에의 중립 침해 문제로 독일에 전쟁을 걸 것이라고 알렸고, 독일 재상 테오발트 폰 베트만 홀베크는 영국과 독일이 단지 "폐지 조각" 때문에 전쟁을 벌일 것이라고는 믿을 수 없다고 외쳤다.[21]
'''"종이 조각"'''
이 "종이 조각" - 1839년에 서명된 벨기에의 독립과 중립을 보장하는 조약 - 에는 6개 강대국의 대표 서명과 증인이 있다.
「Palmerston」은 영국을 위해 서명했고, 「Bülow」는 프로이센을 위해 서명했다.
독일은 굳게 맹세한 말을 어기고 벨기에를 유린했다. 벨기에의 자유를 회복시키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명예를 계속 빛내기 위해 도와달라.
오늘 입대하라
하지만 영국 내각은 1914년 7월 29일에 이미 1839년 조약의 서명국으로서 벨기에의 국경을 보장하는 것이 벨기에에 대한 독일의 침공에 군사력으로 반대할 의무는 없다고 결정했다.[22] 이사벨 V. 헐에 따르면, 안니카 몸바우어는 "오늘날 '벨기에 강간'이 영국이 독일에 전쟁을 선포한 실제 동기였다고 주장하는 역사가들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라고 썼다. 대신 벨기에의 중립은 여론을 동원하고, 내각의 당황한 급진파에게 평화주의 원칙을 포기하고 자리에 머물 수 있는 정당성을 제공하거나, 더 음모론적인 버전에서는 노골적인 제국적 이익을 위한 은폐로 해석된다.[23]
6. 아이언 라인
런던 조약은 벨기에가 독일 루르로 가는 철도 또는 운하를 통해 네덜란드 영토를 통과할 권리를 보장했다. 이 권리는 2005년 5월 24일 벨기에와 네덜란드 간의 철도 노선 분쟁에 대한 상설중재재판소 판결에서 재확인되었다.[24]
2004년 벨기에는 아이언 라인 철도의 재개통을 요청했다. 이는 안트베르펜 항구와 독일 루르 지방 간의 물동량 증가에 따른 것이었다. 증가하는 물동량에 대한 유럽의 교통 수단 전환 정책의 일환으로, 철도 및 수로를 통한 운송이 도로 운송보다 우선시되었다. 벨기에의 요청은 1839년 조약과 1873년 아이언 라인 조약에 근거했다.[25] 협상이 실패하자, 벨기에와 네덜란드 정부는 이 문제를 상설중재재판소에 회부하고 판결을 존중하기로 합의했다.
2005년 5월 24일 판결에서 법원은 1839년 양도 조약에 따른 벨기에의 권리와 메인베흐 국립공원 자연 보호 구역 일부에 대한 네덜란드의 우려를 모두 인정했다. 법원은 1839년 조약이 여전히 유효하며, 벨기에에게 아이언 라인을 사용하고 현대화할 권리를 부여한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벨기에는 노선 현대화 비용을, 네덜란드는 노선의 수리 및 유지 보수 비용을 부담해야 했다. 두 국가는 자연 보호 구역 아래 터널 건설 비용을 분담하기로 했다.[26]
7. 미디어
패티 아버클의 코미디 단편 영화 A Scrap of Paper는 런던 조약을 소재로 다루고 있다.
참조
[1]
문서
also called the '''First Treaty of London''', the '''Convention of 1839''', the '''Treaty of Separation''', the '''Quintuple Treaty of 1839''', or the '''Treaty of the {{Roman|24}} articles'''
[2]
서적
Places of Refuge: The Belgian Experience
Martinus Nijhoff
2012-05-30
[3]
서적
Places of Refuge: The Belgian Experience
Martinus Nijhoff
2012-05-30
[4]
문서
Wellington at Waterloo
London
[5]
문서
Modern Europe
London
[6]
문서
A History of Europe
London
[7]
문서
The Triumph of Reform
London
[8]
문서
British History in the 19th Century
London
[9]
문서
Modern Europe
London
[10]
문서
The Triumph of Reform
London
[11]
문서
The Low Countries, 1780–1940
[12]
문서
The Transformation of European Politics, 1763–1848
[13]
문서
Calmes
[14]
문서
Kreins
[15]
문서
Kriens
[16]
간행물
A Most Useful Tool for Diplomacy and Statecraft: Neutrality and Europe in the 'Long' Nineteenth Century, 1815–1914
https://www.tandfonl[...]
2013
[17]
서적
A Scrap of Paper: Breaking and Making International Law during the Great War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6-02-24
[18]
서적
The Agony of Belgium The Invasion of Belgium in WWI August–December 1914
http://sirfrankfox.c[...]
Beaumont Fox
[19]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European history since 176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
[20]
웹사이트
Why did Britain go to War?
http://www.nationala[...]
The National Archives
2016-04-30
[21]
서적
The Rape of Belgium: The Untold Story of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2]
문서
The Sleepwalkers
[23]
문서
A Scrap of Paper: Breaking and Making International Law during the Great War
Cornell UP
[24]
웹사이트
Iron Rhine Arbitration (Belgium/Netherlands)
http://www.haguejust[...]
The Hague Justice Portal.
2005-05-24
[25]
간행물
Iron Rhine Arbitration, Belgium v Netherlands, Award, ICGJ 373 (PCA 2005), 24th May 2005,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 [PCA]
http://opil.ouplaw.c[...]
Oxford Public Law International
2005-05-24
[26]
뉴스
Iron rhine Arbitral Tribunal Renders Awards
http://archive.pca-c[...]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
2005-05-24
[27]
문서
Calmes
[28]
문서
Kreins
[29]
문서
Krie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