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벨레비트산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레비트산맥은 크로아티아에 위치한 산맥으로, 파클레니차 국립공원과 시예베르니 벨레비트 국립공원을 포함한 자연 공원이다. 산맥은 지리적으로 북부, 중앙, 남부의 세 지역으로 나뉘며, 바간스키 브르흐(1,757m)가 최고봉이다. 시예베르니 벨레비트에는 인간 활동이 제한된 특별 보호 구역인 하이두츠키 이 로잔스키 쿠코비가 있다. 1930년부터 1933년 사이에 건설된 프레무지체바 스타자라는 길은 산맥의 북부와 중앙 부분을 연결한다. 벨레비트산맥은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깊은 동굴들이 있는 곳으로, 루키나 야마는 깊이 1392m로 동남 유럽에서 가장 깊은 동굴이다. 또한, 십자화과 식물인 데게니아 벨레비티카의 서식지이며, 크로아티아 민속에서 중요한 문화적 상징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카센주의 지형 - 파그섬
    파그섬은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제도에 속하는 섬으로, 암석 지대가 많고 포도, 채소, 과일 재배와 파그 치즈, 파그 레이스가 유명하며, 소금 생산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크로아티아의 산맥 - 디나르알프스산맥
    디나르알프스산맥은 발칸 반도에 위치한 석회암 산맥으로 카르스트 지형이 특징이며 임업, 광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고 역사적으로 요새 역할을 했으며 여러 국가에 걸쳐 뻗어 있다.
  • 크로아티아의 산맥 - 비오코보산맥
    비오코보산맥은 카르스트 지형의 석회암 산맥으로 다양한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제공하며 동굴학적 지형이 400개 이상 존재한다.
  • 자다르주의 지형 - 파그섬
    파그섬은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제도에 속하는 섬으로, 암석 지대가 많고 포도, 채소, 과일 재배와 파그 치즈, 파그 레이스가 유명하며, 소금 생산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자다르주의 지형 - 우글랸섬
    우글랸섬은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해안에 위치한 섬으로, 신석기 시대부터 로마 시대,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를 거쳐 16~17세기 오스만 제국 난민들의 영향을 받아 현재는 관광, 어업, 농업을 주요 산업으로 하며, 석회암 지형과 다양한 만, 성 미카엘 요새 등의 유적지를 보유하고 있다.
벨레비트산맥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벨레비트산맥의 중부 (2003년 8월 촬영)
벨레비트산맥의 중부 (2003년 8월 촬영)
위치크로아티아
산맥디나르알프스산맥
최고봉바간스키 브르흐
해발고도1,757 m
길이145 km
10-30 km
지리 및 지질
위치크로아티아의 달마티아 북부에서 리카까지 뻗어 있음
경계북서쪽의 브라트니크 고개부터 남동쪽의 즈르마냐강 계곡까지
특징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이 특징적임
주요 봉우리바간스키 브르흐
벨리키 알란
바슈케 오슈타리예
샤토리나
스베토 브르도
츠르노파츠
자연 보호
국립공원파클레니차 국립공원
셰베르니 벨레비트 국립공원
특별 보호 구역하이드ゥチュ키 및 로잔스키 쿠코비
유네스코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됨
하이킹 및 등반
주요 경로프렘지체바 스타자 (Premužićeva staza)
동굴 탐험루키나 야마 (Lukina jama)
슬로바츠카 야마 (Slovačka jama)
문화
민속빌라 벨레비타 (Vila Velebita)라는 요정이 산에 산다고 전해짐
식물
주요 식물세이요우하마나츠메 (Paliurus spina-christi)
오리엔탈시데 (Carpinus orientalis)
데게니아 벨레비티카 (Degenia velebitica)

2. 지리적 구분

파그섬에서 바라본 벨레비트 산맥


벨레비트는 일반적으로 세 지역으로 나뉜다.[3]

  • 브라트니크와 벨리키 알란 사이의 북부 지역
  • * 말리 라이나치 (1699m)
  • * 벨리키 자비잔 (1676m)
  • * 벨리키 (자비잔스키) 피브체바츠 (1676m)
  • * 그로모바차 (1676m)
  • 벨리키 알란과 바슈케 오슈타리에 사이의 중앙 지역
  • * 샤토리나 (1622m)
  • * 제치약 (1622m)
  • * 락틴 브르흐 (1504m)
  • 오슈타리에와 말리 알란 사이의 남부 지역
  • * 바간스키 브르흐 (1757m)
  • * 스베토 브르도 (1751m)
  • * 비소치차 (1615m)
  • * 크르노파츠 (1402m) (가장 남동쪽 부분)


벨레비트 산의 뒷면


벨레비트 전체는 자연 공원이며, 여기에서 두 개의 국립 공원인 파클레니차와 시예베르니 벨레비트 (북부 벨레비트)가 분할되었다.

시예베르니 벨레비트 내에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자연 보호를 받는 특별 보호 구역인 하이두츠키 이 로잔스키 쿠코비가 존재한다. 공식적으로는 인간의 활동이 허용되지 않는다(연구 제외). 이곳은 대부분 아직 탐험되지 않은 야생 지역이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프레무지체바 스타자"(프레무지체바 스타자/Premužićeva stazahr)라는 길은 벨레비트의 북부와 중앙 부분을 통과한다. 이 길은 1930년에서 1933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북부와 남부 벨레비트를 연결한다. 길이는 57km이다.[4] 이 길이 없었다면 벨레비트의 많은 지역에 접근할 수 없었을 것이다. 벨레비트 산맥은 A1 고속도로가 스베티 로크 터널을 통과한다.

2. 1. 북부 벨레비트

벨레비트는 일반적으로 세 지역으로 나뉜다.[3]

  • 브라트니크와 벨리키 알란 사이의 북부 지역으로, 말리 라이나치 (1699m), 벨리키 자비잔 (1676m), 벨리키 (자비잔스키) 피브체바츠 (1676m), 그로모바차 (1676m) 등의 최고봉을 포함한다.


|200px|섬네일|오른쪽|벨레비트 산의 뒷면]]

시예베르니 벨레비트 내에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자연 보호를 받는 특별 보호 구역인 하이두츠키 이 로잔스키 쿠코비가 존재한다. 공식적으로는 인간의 활동이 허용되지 않는다(연구 제외). 이곳은 대부분 아직 탐험되지 않은 야생 지역이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프레무지체바 스타자"(Premužić's pathway)라는 길은 벨레비트의 북부와 중앙 부분을 통과한다. 이 길은 1930년에서 1933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북부와 남부 벨레비트를 연결한다. 길이는 57km이다.[4]

2. 2. 중부 벨레비트

벨레비트는 브라트니크와 벨리키 알란 사이의 북부 지역, 벨리키 알란과 바슈케 오슈타리에 사이의 중앙 지역, 오슈타리에와 말리 알란 사이의 남부 지역으로 나뉜다.[3] 중부 벨레비트는 벨리키 알란과 바슈케 오슈타리에 사이에 위치하며, 샤토리나 (1622m), 제치약 (1622m), 락틴 브르흐 (1504m) 등의 최고봉을 포함한다.[3]

"프레무지체바 스타자"(Premužić's pathway)라는 길은 벨레비트의 북부와 중앙 부분을 통과하며, 1930년에서 1933년 사이에 건설되어 북부와 남부 벨레비트를 연결한다. 길이는 57km이다.[4] 벨레비트 산맥은 A1 고속도로가 스베티 로크 터널을 통과한다.

2. 3. 남부 벨레비트

오슈타리에와 말리 알란 사이의 남부 지역으로, 다음과 같은 최고봉을 포함한다.[3]

  • * 바간스키 브르흐 (1757m)
  • * 스베토 브르도 (1751m)
  • * 비소치차 (1615m)
  • * 크르노파츠 (1402m) (가장 남동쪽 부분)

2. 4. 남동부 벨레비트

벨레비트 산맥은 A1 고속도로가 스베티 로크 터널을 통과한다.[3]

3. 자연 보호

3. 1. 시예베르니 벨레비트 국립공원

4. 프레무지체바 스타자 (Premužić's pathway)

5. 주요 봉우리

벨레비트산맥에는 해발 1,600m가 넘는 봉우리가 약 45개 있다. 1990년에 처음 출판되고 2015년에 개정된 블라디미르 볼레네츠 교수의 크로아티아 최고 지점 113곳 분류에는 벨레비트산맥의 봉우리 76개가 포함되어 있다.

파클레니차 국립공원


벨레비트산맥의 주요 봉우리는 다음과 같다.

  • 북부 벨레비트산맥:
  • 자비잔 지역: 말리 라이나츠 (1,699m)
  • 로잔스키 쿠코비 그룹: 그로모바차 (1,676m), 브라타르스키 쿠크 (1,676m)
  • 알란치치, 로잔스키 브르흐, 세라브스키 브르흐: 골리 브르흐 (1,670m)
  • 벨리키 코자크 (1,629m)
  • 플례시비차 또는 벨레비츠카 플례시비차 (1,654m, 통신탑과 이전 군사 시설이 있음), 플리시비차의 작은 봉우리(1560m)
  • 중부 벨레비트산맥: 샤토리나 (1,624m)
  • 남부 벨레비트산맥:
  • 스탑 지역: 데벨리 쿠크 (1,269m)
  • 비소치차 (1,619m)
  • 보인 쿠크 (1,110m)
  • 비세루이냐, 루이노: 비세루이냐 (1,632m)
  • 파클레니차 지역: 바간스키 브르흐 (1,757m, 벨레비트산맥 최고봉), 리부르니야 (1,710m), 스베토 브르도 (1,751m)
  • 남동부 벨레비트산맥: 툴로베 그레데 (1,120m), 크르노파츠 (1,404m)

6. 동굴

벨레비트산맥에는 수백 개의 "구멍"이 있으며,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크고 깊은 동굴들이 있다.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루키나 야마" 동굴은 깊이가 1392m로 세계에서 가장 깊은 동굴 중 하나이며, 동남 유럽에서 가장 깊은 동굴이다.[2] "슬로바츠카 야마"는 깊이가 1320m이다. 이 동굴들은 완전히 수직이며 세계에서 가장 가파르다는 특징이 있다. 동굴 바닥에는 아직 탐험되지 않은 지류가 있는 수로 또는 사이펀이 존재한다. 이 구멍에서 새로운 종, 속, 과를 대표하는 것으로 확인된 일종의 거머리가 발견되었으며, ''Erpobdella mestrovi''로 명명되었다.[2]

깊이가 500m가 넘는 벨레비트산맥의 포트홀에는 루키나 야마(1392m), 슬로바츠카 야마(1320m), 벨레비타(941m), 메두자(679m), 파트코브 구슈트(553m), 레데나 야마(536m), 포노르 나 부노브추(534m), 야마 올림프(531m), 루부슈카 야마(521m) 등이 있다.[2]

6. 1. 기타 동굴

벨레비트산맥에는 수백 개의 "구멍"이 있으며,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크고 깊은 동굴들이 있다.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루키나 야마" 동굴은 깊이가 1392m로 세계에서 가장 깊은 동굴 중 하나이며, 동남 유럽에서 가장 깊은 동굴이다.[2] "슬로바츠카 야마"는 깊이가 1320m이다. 이 동굴들은 완전히 수직이며 세계에서 가장 가파르다는 특징이 있다. 동굴 바닥에는 아직 탐험되지 않은 지류가 있는 수로 또는 사이펀이 존재한다. 이 구멍에서 새로운 종, 속, 과를 대표하는 것으로 확인된 일종의 거머리가 발견되었으며, ''Erpobdella mestrovi''로 명명되었다.[2]

깊이가 500m가 넘는 벨레비트산맥의 포트홀 목록은 다음과 같다:[2]

  • 루키나 야마: 1392 m, 하이두치키 쿠코비 – 북부 벨레비트산맥
  • 슬로바츠카 야마: 1320 m, 로잔스키 쿠코비 – 북부 벨레비트산맥
  • 벨레비타: 941 m, 로잔스키 쿠코비 – 북부 벨레비트산맥
  • 메두자: 679 m, 로잔스키 쿠코비 – 북부 벨레비트산맥
  • 파트코브 구슈트: 553 m, 하이두치키 쿠코비 – 북부 벨레비트산맥
  • 레데나 야마: 536 m, 롬스카 둘리바 – 북부 벨레비트산맥
  • 포노르 나 부노브추: 534 m, 부노바츠 – 남부 벨레비트산맥
  • 야마 올림프: 531 m, 하이두치키 쿠코비 – 북부 벨레비트산맥
  • 루부슈카 야마: 521 m, 하이두치키 쿠코비 – 북부 벨레비트산맥


또한 1907년 헝가리의 식물학자 아르파드 폰 데겐에 의해 발견된 십자화과에 속하는 특산종이자 보호종인 식물 ''데게니아 벨레비티카''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벨레비트산맥의 웅장한 자연은 크로아티아 민속에서 국가적 상징이 되었으며, 벨레비트산맥의 요정을 의인화한 애국적인 민요 "빌라 벨레비타"가 있다.

7. 생물 다양성

8. 기후

벨레비트산맥의 기후는 자비잔 지역의 기상 정보(1971-2000년 평균, 1951-2021년 극한값)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7][8] 연중 평균 기온은 3.8°C이며, 가장 더운 달은 7월로 평균 기온이 12.5°C, 가장 추운 달은 2월로 평균 기온이 -4.0°C이다. 연간 강수량은 1983.4mm로, 11월에 245.6mm로 가장 많고 7월에 86.5mm로 가장 적다. 연간 강수일수는 161.3일이며, 12월에 15.4일로 가장 많고 8월에 9.4일로 가장 적다. 연간 평균 습도는 78.9%이며, 11월에 82.6%로 가장 높고 7월에 72.6%로 가장 낮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0.7-0.91.44.410.113.616.616.912.68.43.20.57.2
평균 기온 (°C)-3.5-4.0-1.71.26.59.912.512.48.95.00.2-2.43.8
평균 최저 기온 (°C)-6.1-6.5-4.3-1.23.87.09.49.56.22.4-2.3-5.01.1
강수량 (mm)144.7147.2147.0179.3154.7156.486.5121.8180.4215.9245.6204.01983.4
평균 강수일수 (≥ 0.1 mm)14.714.114.416.113.613.69.69.411.713.715.015.4161.3
평균 상대 습도 (%)80.679.880.481.178.677.172.673.577.980.882.681.478.9


9. 문화적 중요성

베네치아 공화국에서 벨레비트는 '''몬타냐 델라 몰라카'''("몰라크의 산")로 알려졌으며, 이는 원래 로망스족이었지만 결국 현지 크로아티아인에게 동화된 몰라크족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몰라크족은 로망스어를 사용하는 민족이라기보다는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인구의 일반적인 사회 문화적, 전문적인 계층이었다.

페타르 조라니치가 쓴 최초의 크로아티아 소설인 ''플라니네''는 벨레비트 산에서 영감을 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Geographical and meteorological data http://www.dzs.hr/Hr[...]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2011-09-19
[2] 서적 The Croatian Adriatic Tourist Guide Naklada Naprijed
[3] 웹사이트 Hrvatski vrhovi https://www.hps.hr/i[...] Croatian Mountaineering Association 2024-10-16
[4] 웹사이트 Premužićeva staza http://www.np-sjever[...] National Park Sjeverni Velebit 2015-05-06
[5] 웹사이트 190 Velebitska Plješivica https://geopp.planin[...] 2024-10-15
[6] 웹사이트 Najviši vrhovi https://www.hps.hr/i[...] Croatian Mountaineering Association 2024-10-16
[7] 웹사이트 Zavižan Climate Normals http://klima.hr/k1/k[...]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3
[8] 웹사이트 Monthly values and extremes https://meteo.hr/kli[...]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23-01-29
[9] 웹사이트 Velebit Mountain Biosphere Reserve, Croatia https://en.unesco.or[...] 2023-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