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네치아 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네치아 공화국은 697년 최초의 도제가 선출된 이래 1797년 나폴레옹 군대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존속한 국가이다. 초기에는 동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800년 샤를마뉴의 공격을 격퇴하고 독립적인 지위를 확보했다. 11세기에는 아드리아 해의 제해권을 장악하고, 1204년 제4차 십자군에 참여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며 동지중해 무역을 장악했다. 15세기에는 전성기를 맞이하여 키프로스 등을 복속하며 '아드리아 해의 여왕'으로 불렸다. 이후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캉브레 동맹 전쟁 등을 거치며 쇠퇴하다가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 이후 나폴레옹의 침공으로 멸망했다. 정치 체제는 도제가 국가 원수였으며, 대평의회, 십인 위원회 등 다양한 기구가 권력을 분담하는 형태였다. 무역과 상업을 통해 번영을 이루었고, 유리, 조선, 금융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양공화국 - 라구사 공화국
    라구사 공화국은 14세기부터 1808년까지 두브로브니크를 중심으로 아드리아해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1667년 대지진과 무역 쇠퇴 후 나폴레옹에 의해 멸망하고 오스트리아 제국에 합병되었으며, 현재 두브로브니크에 유적이 남아있다.
  • 해양공화국 - 피사 공화국
    피사 공화국은 중세 시대 이탈리아 피사를 중심으로 지중해 무역을 주도하며 강력한 해군력을 떨쳤으나 제노바와의 경쟁에서 패배하고 피렌체 공화국에 합병되었으며, 현재 피사에는 당시 번영을 보여주는 피사 로마네스크 양식 건축물들이 남아있다.
  • 달마티아 - 스플리트
    스플리트는 아드리아 해안의 크로아티아 도시이자 스플리트-달마티아 주의 주도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로마 시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 유적과 활발한 경제, 스포츠 문화를 지닌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 달마티아 - 두브로브니크
    두브로브니크는 아드리아해에 있는 크로아티아의 도시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었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관광, 교육, 교통의 중심지이다.
  • 베네치아 공화국 - 두칼레 궁전
    두칼레 궁전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정치 중심지이자 도제의 관저로, 화재와 반란으로 여러 양식이 혼재된 건축물로 재탄생했으며 현재는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베네치아 공화국 - 베네치아 공화국의 역사
    베네치아 공화국은 697년부터 1797년까지 존속한 이탈리아 북동부의 해상 공화국으로, 난민들의 피신에서 시작하여 무역으로 번성하고 십자군 전쟁과 동방 무역으로 전성기를 맞았으나,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등으로 쇠퇴하여 나폴레옹의 침공으로 멸망했다.
베네치아 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베네치아 공화국 국기 (1659-1675)
국기 (1659년)
베네치아 공화국의 변형 전쟁 깃발
전쟁 깃발
베네치아 공화국 문장
문장 (16-18세기)
베네치아 공화국의 대형 문장, 1706년
대형 문장 (1706년)
베네치아 해외 영토 지도
베네치아 해외 영토 (Stato da Màr) 지도
존속 기간697년 – 1797년
이전 국가라벤나 총독부
계승 국가베네치아 임시 자치체
공용어이탈리아어
베네치아어
라틴어
소수 언어크로아티아어
그리스어
이스트리아어
프리울리어
롬바르드어
침브리아어
달마티아어
알바니아어
세르비아어
슬로베니아어
수도에라클레아 (697년–742년)
말라모코 (742년–810년)
베네치아 (810년–1797년)
국가승리의 유디트
통화베네치아 두카트
베네치아 리라
정부 형태단일, 혼합 의회 고전 공화국, 상업 과두제
지도자 칭호도제
초대 도제파올로 루치오 아나페스토 (697년–717년)
마지막 도제루도비코 마닌 (1789년–1797년)
입법부베네치아 대평의회 (1172년부터)
상원베네치아 원로원
하원10인 위원회 (1310년부터)
통칭베네치아인
역사
건립697년, 첫 번째 도제 하에 동로마 제국의 지방으로 설립됨
Pactum Lotharii840년, 사실상 독립 인정 ("지방" 명칭 삭제)
알렉시오스 1세 금인 칙서1082년
베네치아 조약1177년
콘스탄티노플 약탈1204년
모타 전투1412년
레판토 해전1571년
파사로비츠 조약1718년
해체캄포 포르미오 조약으로 해체
면적70,000 km² (15세기 말 추정)
인구124,000명 (1581년 추정)
2,100,000명 (15세기 말 추정)
종교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국교)

2. 역사

베네치아 공화국의 역사는 여러 시기로 구분될 수 있다.

2. 1. 성립과 발전 (5세기 ~ 14세기)

5세기게르만족의 일파가 북이탈리아를 침입하면서 베네치아의 역사가 시작된다. 고트족과 롬바르드족 등 야만족의 침입을 피해 아드리아해 해안가 척박한 석호에 일부 주민들이 집을 짓고 마을을 형성했고, 이것이 점차 도시로 발전했다. 7세기경 주민들은 자체적으로 지도자를 뽑았고 비잔티움 황제로부터 자치를 인정받았다. 이 지도자를 도제라고 하며, 697년 최초의 도제 파올로 루치오 아나페스토가 선출되었다고 전해진다.

11세기 경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의 수호성인성 마르코이며 상징동물은 사자이다. 828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두 명의 베네치아 상인이 성 마르코의 유해를 베네치아로 몰래 가져왔다고 전해진다.

중세 동안 베네치아는 프랑크 왕국과 비잔티움 제국 사이에서 세력을 확장했다. 소금과 생선뿐인 척박한 환경에서 베네치아는 무역 중개와 상업으로 성장했다. 당시 주요 교역물품은 목재와 노예였다. 뛰어난 상술과 항해술로 베네치아는 비잔티움 제국으로부터 특혜를 얻었고, 제4차 십자군 원정을 통해 세력이 강대해졌다.

1000년경부터 베네치아가 아드리아해 연안을 통제하자,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달마티아1102년 헝가리 왕을 군주로 받아들였다. 베네치아는 비잔티움 제국의 간섭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1204년 제4차 십자군 때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침공하여 함락시키기도 하였다. 이를 계기로 베네치아는 라틴 제국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얻었고, 아드리아해와 동지중해에 무역거점을 건설하여 무역강국으로 발전했다. 로마 교황청의 권위에도 굴복하지 않았고 신성로마제국의 세력권에도 들어가지 않았다. 또한 제노바 공화국과 120여 년에 걸쳐 네 번의 전쟁을 벌여 승리했다.

1450년경 동지중해의 판도


베네치아 공화국은 오랜 역사 동안 다양한 이름을 사용했는데, 이는 모두 도제에게 부여된 칭호와 관련이 깊다. 8세기 동안 도제는 라틴어로 Dux Venetiarum Provinciaela('베네치아 지방의 도제')라고 불렸으며, 840년부터는 Dux Veneticorumla('베네치아인의 도제')로 불렸다. 이는 파크툼 로타리la 조약의 서명을 따른 것이다. 베네치아 공국(Ducatum Venetiaela)과 카롤링거 제국 간의 상업 협정은 베네치아의 독립을 비준했다.

다음 세기에는 베네치아가 비잔틴의 지배를 받는다는 언급이 사라졌고, 976년의 문서에는 Domino Venetiarumla('베네치아의 군주')에 대한 언급이 있다. 독립 후 베네치아는 아드리아 해 연안으로 확장했으며, 1109년부터 달마티아와 크로아티아 해안을 정복한 후 도제는 공식적으로 Venetiae Dalmatiae atque Chroatiae Duxla('베네치아, 달마티아 및 크로아티아의 도제')라는 칭호를 받았다.

2. 2. 전성기와 쇠퇴 (15세기 ~ 18세기)

15세기에 베네치아 공화국은 전성기를 맞이한다. 키프로스와 에게 해의 여러 섬들을 복속하고 이탈리아 본토에 속주를 차지했으며 달마티아알바니아 연안에 베네치아 귀족이 통치하는 속국을 만들었다. 숙적 제노바와의 네 번의 전쟁 끝에 승리한 베네치아는 아드리아 해의 여왕이라 불리며 동지중해 무역을 독점하다시피 하여 엄청난 부를 거둬들였다.[3] 1453년 동로마 제국이 멸망하자 베네치아는 르네상스의 주역으로 떠오른 한편, 동로마 제국을 멸망시킨 오스만 제국과 경쟁하며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다.

16세기에 이르러 베네치아에 대항하는 교황령 주도의 이탈리아 동맹인 캉브레 동맹이 결성되었고 1508년 캉브레 동맹 전쟁에서 승리하지만 이후로는 더 이상 베네치아 공화국의 영토를 넓힐 수 없었다. 제4차 십자군 전쟁 이후로 동지중해는 사실상 베네치아의 바다라 보아도 무리없을 정도로 경쟁자가 없었지만 1499~1503년에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 패하면서 동지중해에 대한 독점적인 지배권을 상실한다.

캉브레 동맹을 주도한 교황 율리우스 2세는 여러 강국(서유럽의 대부분)들을 끌어들여 당시 이탈리아에서 가장 강력한 공화국이었던 베네치아의 지위에 철퇴를 내리고 교황령 주도의 이탈리아 통일을 꿈꾸었다. 하지만 캉브레 동맹의 전쟁중에 개신교의 세가 강해졌던 신성 로마 제국의 군대는 로마를 '부패의 상징'이라 생각해 약탈했고 사실상 이 전쟁을 기점으로 대부분의 도시 국가들은 스페인이나 프랑스와 같은 강국의 허수아비로 전락한다. 베네치아는 그나마 이 전쟁에서 승리한 덕분에 당분간 자신들의 세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 뒤 에스파냐와 포르투갈이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여 부와 무역의 주도권은 대서양으로 넘어가자 지중해 무역의 중요성은 점차 떨어졌다. 동방과의 교역은 지중해가 아니라 대서양을 통해서 이루어졌고 무역에 의존하는 베네치아는 점차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1571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레판토 해전에서 승리하지만 베네치아는 오히려 키프로스를 상실했다. 이 때문에 공화국의 날개가 꺾임과 동시에 같은 시기에 흑사병으로 인하여 도시 인구가 반으로 줄었기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이를 공화국의 전성기의 끝이라고 본다. (다른 의견은 1669년 크레타의 상실을 기준으로 삼지만 아무래도 전자가 좀 더 다수인 듯 하다.) 1606년 교황 바오로 5세개신교와 로마 가톨릭간의 분쟁을 중재하면서 개신교에 유리하게 중재한 베네치아에게 선전 포고를 하고 베네치아를 파문해 버렸다.

이후 무역에서 주도권을 상실한 베네치아는 이후 18세기에는 무라노 섬의 유리 공예와 뛰어났던 가공 기술들, 관광업 그리고 포 강 유역의 비옥한 토지와 공화국치고는 상당히 컸던 영토를 이용한 농업을 통해 그럭저럭 먹고 살 수 있었다.

2. 3. 몰락 (18세기 말 ~ 19세기)

1669년 크레타오스만 제국에 빼앗긴 후, 베네치아 공화국은 아드리아 해에 고립되는 형국이 되었다. 1714년 오스만 제국이 모레아 영유권을 주장하며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일으켰을 때, 오스트리아와 연합하여 오스만 제국을 격퇴했지만, 오스트리아가 많은 영토를 얻은 반면 베네치아는 모레아를 잃었다. 이후 베네치아는 아드리아 해에 오스만 세력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데 주력했다. 1716년 코르푸 섬 방어에 성공하여, 코르푸 섬은 현재 그리스 지역에서 유일하게 이슬람 세력의 지배를 받지 않은 곳이 되었다. 18세기 말, 베네치아 공화국은 달마티아 내륙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프랑스 혁명 이후, 1792년 베네치아 공화국은 비무장 중립을 선언했지만, 1797년 나폴레옹 군대가 오스트리아군을 추격하며 베네치아를 침공했다. 결국 약 1200년 역사를 가진 베네치아 공화국은 나폴레옹에게 멸망했다.

베네치아 공화국의 멸망(1797)을 묘사한 초상화: 마지막 도제루도비코 마닌의 퇴위


1796년, 베네치아 공화국은 자체 방어가 불가능한 상태였다. 전쟁 함대는 4척의 갤리선과 7척의 갈리옷뿐이었다. 그해 봄, 피에몬테(사보이 공국)가 프랑스군에 함락되고, 오스트리아군은 몬테노테에서 로디까지 패퇴했다. 나폴레옹 군대는 적을 추격하며 중립국 베네치아의 국경을 넘었고, 프랑스군은 아디제 강까지 베네치아 영토를 점령했다. 비첸차, 카도레, 프리울리는 오스트리아군이 점령했다. 이듬해 나폴레옹은 알프스 산맥 너머 오스트리아 영토를 목표로 삼았다. 레오벤 평화 조약 예비 협상에서 오스트리아는 평화의 대가로 발칸 반도의 베네치아 영토를 차지하고(1797년 4월 18일), 프랑스는 롬바르디아를 획득하기로 비밀리에 합의했다.

나폴레옹의 최후통첩 이후, 루도비코 마닌은 5월 12일 무조건 항복하고 퇴위했으며, 대의회는 공화국의 종말을 선언했다. 보나파르트의 명령에 따라 공공 권력은 프랑스 군정 총독 산하 임시 자치 단체로 넘어갔다. 10월 17일, 프랑스와 오스트리아는 캄포 포르미오 조약을 체결하여 아디제 강 서쪽을 새로운 경계선으로 정하고 공화국 영토를 분할했다. 이 조약은 이탈리아 민주주의자들에게 배신으로 여겨졌다. 해체된 공화국의 수도권은 오스트리아 영토가 되었고, 베네치아 주(이탈리아어: Provincia Veneta|프로빈차 베네타it, 독일어: Provinz Venedig|프로빈츠 베네디히de)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베네치아 공화국의 경제는 16세기부터 국제 무역 중심지가 대서양으로 이동하면서 쇠퇴했지만, 18세기에도 그 정치 체제는 계몽주의 철학자들에게 모범으로 여겨졌다.

장 자크 루소는 1743년 7월 프랑스 베네치아 대사 비서로 고용되어 정책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 불평등 기원론''(1755), ''사회 계약론''(1762)을 출판했다.[12]

3. 정치

베네치아 공화국의 정부 수반은 도제(원수)였다. 도제는 선출직이자 종신직으로 베네치아 공화국의 상징적인 존재였으나, 그 권력은 미약하여 법안 하나를 발의할 때도 6인의 원수 보좌관 중 절반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만 했다.[31]

1175년 리알토의 유력 귀족들이 6명으로 구성된 도제의 고문인 소평의회를 설립했다. 1179년에는 3명으로 구성된 최고 재판소 콰란티아(Quarantia)가 설치되었다. 이들은 1223년에 시뇨리아(Signoria)로 통합되었다. 시뇨리아는 도제를 포함하여 1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정부의 중추였다. 도제가 사망했을 때, 그 장례식에서 "도제는 죽었다. 그러나 시뇨리아는 건재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2명으로 구성된 사피엔테스(sapientes)도 설립되었고, 후에 6명으로 확장되었다. 이것은 다른 집단과 함께 콜레지오(collegio)를 구성하여, 정부의 실행 부서가 되었다. 1229년에 설립된 콘실리오 데이 프레가디(Consiglio dei Pregadi)는 귀족원과 같은 것으로, 대평의회에 의해 선출된 60명의 의원이 구성했다.[31] 이러한 기관 때문에, 도제의 실권은 제한적인 것이 되었고, 실제 직권은 주로 대평의회에 위임되었다.

1454년 3명의 조사관으로 구성된 정보 기관이 설립되어, 첩보, 방첩 및 국내 감시를 위한 정보망을 충실하게 했다. 이는 비합법적인 정체 변혁 시도 등을 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조사관 중 한 명은 붉은 외투를 착용했기 때문에 일 로소(Il Rosso, 붉은 남자)라고 불렸고, 도제의 고문에 의해 임명되었다. 다른 2명은 이 네그리(I Negri, 검은 남자)라고 불리는 검은 외투의 인물이었으며, 십인 위원회에 의해 임명된다. 이 정보 기관은 점차 십인 위원회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되었다.[31]

1556년 provveditori ai beni inculti가 설립되어, 농업 기술 및 농업 기술 개발에 대한 개인 투자가 촉진되었다. 이것은 16세기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것이다.

1335년 십인 위원회가 상설화되어 정부의 중추로서 비공개 활동을 했다. 원래 공식 업무는 공화국의 치안 유지, 정부 전복 방지, 부패 방지였으나 조직이 작아 빠른 결정이 가능했기 때문에 업무는 점점 확대되어 1457년 경에는 정부의 전반적인 업무를 취급하게 되었다. 10인이란 명칭과는 달리 정원은 도제와 6인의 도제 보좌관, 10명의 원로회 대표 등 17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제와 도제 보좌관을 제외한 인원의 임기는 1년이었다. 1600년경에는 십인 위원회의 영향력이 대평의회를 능가하게 되었고, 그 권한은 축소되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정체는 공화제와 도제에 의한 군주제, 그리고 귀족원에 의한 귀족 정치와 대평의회에 의한 민주 정치의 복합 정체라고 생각했다.[32]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베네치아를 공화제 국가로 분류했다.[33]

롬바르드족 점령과 로마인들의 점진적인 이주 이후, 현지 의회인 ''코미티움''(comitia)이 지역 행정을 관리할 호민관을 선출하는 새로운 해안 정착지가 생겨났으며, 이는 서로마 제국 말기에 시작된 로마 관습을 영속화한 것이었다. 7세기 말과 8세기 초 사이에 새로운 정치 개혁이 해상 베네치아에 영향을 미쳤다. 이탈리아의 다른 비잔틴 속주와 마찬가지로 공국으로 바뀌었고, 그 수장은 도제였다. ''마기스터 밀리툼''(magistri militum)의 짧은 통치 이후, 742년에 도제 선출은 비잔틴 제국에서 지역 의회로 이전되었고, 이는 기복은 있었지만 11세기까지 지속된 도제 군주의 시작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베네치아 귀족이 권력 관리에 처음으로 안정적으로 참여한 것은 ''쿠리아 공작''(ducis) 제도가 생기면서였고, 1141년부터 중세 코뮌 시대가 시작되면서 대평의회에 모인 신생 상업 귀족에게서 도제 권력 제한 및 제거 과정이 시작되었다. 13세기 ''콘치오''(concio) 민중 의회는 권한을 박탈당했고, 베네치아 권력은 소수 가문에 집중되었다. 군주 탄생 방지 및 옛 가문 권력 분산을 위해 1297년 대평의회 폐쇄로 대평의회 구성원 수는 늘리고 가문 수는 유지하여 신규 귀족 진입을 막았다.

13, 14세기 도제 권력은 형식화되고 민중 의회 권력은 무효화되었으나, 1423년 공식 폐지되었다. 이는 공화국 붕괴까지 존속했던 과두, 귀족적 공화국 탄생을 선언했다. 국가 조직은 1년 미만 재임, 도제의 궁전에서 회의하는 다수 의회로 나뉜 귀족에게 위임되었다.

;원로원

: '프레가디' 평의회로도 불린 원로원은 주로 입법 권한을 가졌다. 35세 이상 약 300명 구성, 대의회 선출 120명 원로원(60명, 60명 'de 존타'), 10인 평의회, 40인 평의회, 현자 회의, 법안 투표, 제안 독점 권한 가진 다수 행정 기관 추가. 원로원은 재정, 상업, 외교 정책 입법 담당.

;40인 평의회

: 최대 사법 권한 기구. 형사 재판 Quarantia Criminale, 'Dogado', 본토 지배령 민사 재판 Quarantia Civil Vecchia, Quarantia Civil Nuova, 중요 사건 15명, 25명 패널 분리. 각 Quarantie 40명 구성, 대학 구성원 합 160명. 판사 대학 시작, Quarantia Criminale 도착, 교대 근무, 회의 8개월 근무, 2년 8개월 재임.

;아보가도리아 데 코문

: 오늘날 검찰 유사, 공동체, 국가 이익 대표. 변호사 16개월 재임, 대의회 자격 등록 'Libro d'Oro' 작성.

;10인 평의회

: 티에폴로 음모 후 설치 특별 국가 안보 기관, 수단 불문 공화국, 정부 안보 보장 목표 10명 구성. 국가 안보 문제 관할 법정 역할. 권한 광범위, 1355년 도제 마리노 팔리에로 사형 선고. 광범위 권한, 직위 1년 지속, 10명 타 공직 수행 불가, 가족 관계 불가. 행동 비밀 보장, 독립 관리 자금 위탁. 일반 판사 대체, 비밀 진행 국가 심문관 3명 기구 내 권한 강화.

베네치아 시 질서: 주야 범죄자 체포 권한 6명 밤의 군주 조정 경찰력 관리. 밤의 군주 외 지역 지도자 거리 순찰. 질서 다수 감독관 관리. 강간, 신성 모독 범죄 신성 모독 행위자 규제, 사창가 관리, 펌프 감독관 귀족 과도함 통제, 치안 판사 공공 장소 건강, 위생 관리. 신 정의 사기 통제, 검열관 공직자 부패 통제. 정치, 내부 문제 공화국 청부업자 이용, 현대 비밀 첩보기관 필적 첩보망 보유.

3. 1. 정부 형태

베네치아 공화국의 정부 구조


정부 수반은 도제(원수)로, 선출직이자 종신직인 베네치아 공화국의 상징적 존재였다. 그러나 도제의 권력은 미약하여 법안 발의 시 6인 원수 보좌관 중 과반의 동의가 필요했다.[34] 외교, 첩보, 전쟁 등 정책을 비밀리에 결정하는 10인 위원회는 도제와 6인 도제 보좌관, 10명 원로회 대표 등 17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도제와 도제 보좌관을 제외한 인원의 임기는 1년이었다. 10인 위원회는 본래 공화국 치안 유지, 정부 전복 및 부패 방지가 공식 업무였으나, 작은 조직으로 신속한 결정이 가능해 1457년경 정부 업무 전반을 취급하게 되었다.[34] 도제 선출을 위한 40인 위원회는 1229년 20:20으로 도제 선출 불발 상황 발생 후 41명으로 인원이 늘었다.[34] 12세기 말 설치된 최고 의사 결정 기관 대회의는 13세기부터 300~500명, 이후 900~1200명 의원으로 구성되었으나, 1297년 폐쇄 후 특정 귀족 가문 출신으로 제한되었다. 대회의는 도제 권한 제한 기구로 소의회와 함께 입법, 행정, 사법 권한을 가졌으나 비대한 조직으로 점차 권력을 잃었고, 원로원이 입법기관인 과두체제 공화정부였다.

베네치아 귀족의 권력 관리 참여는 ''쿠리아 공작''(ducis) 제도와 함께 시작되었고, 1141년 중세 코뮌 시대 개막과 함께 대평의회에 모인 신생 상업 귀족으로부터 도제 권력 제한 및 제거 과정이 시작되었다. 이는 베네치아 코뮌의 최대 의회였다. 13세기 ''콘치오''(concio) 민중 의회는 모든 권한을 박탈당했고, 이탈리아 시뇨리아처럼 베네치아 권력은 소수 가문에 집중되기 시작했다. 군주 탄생 방지 및 옛 가문 권력 분산을 위해 1297년 대평의회 폐쇄가 이루어져 대평의회 구성원 수는 늘리고 가문 수는 유지하여 신규 귀족 진입을 막았다.

13세기와 14세기 사이 도제 권력은 형식화되고 민중 의회 권력은 무효화되었으나, 1423년에야 공식 폐지되었다. 이는 공화국 붕괴까지 존속했던 과두적, 귀족적 공화국 탄생을 선언했다. 국가 조직은 1년 미만 재임, 도제의 궁전에서 회의하는 다수 의회로 나뉜 많은 귀족에게 위임되었다.

도제(라틴어 ''dux'', 사령관 유래)는 베네치아 공화국 국가 원수로 임기 종신, 이름은 동전, 공작 칙서, 사법 판결, 외국 정부 서신에 나타났다. 최대 권한은 법률 공포였고, 전쟁 시 군대 지휘, 소프라가스탈도의 사법 판결 집행 권한이 있었다. 도제 선출은 선거와 추첨을 거친 41명 선거인단이 결정했으며, 부정 행위 방지를 위해 도제 선출 후 공화국 충성 서약 및 권한 제한을 인정한 ''promissione ducale'' 선언 의무가 있었다.

시뇨리아는 베네치아 정부 최고 회의로 도제, 소평의회, 콰란티아 크리미날레 세 지도자로 구성되었다. 시뇨리아는 현인 회의, 대평의회, 원로원, 10인 평의회 주재가 기본 임무였다. 시뇨리아 구성원은 주재 회의 법률 제안 및 투표, 대평의회 소집 권한을 가졌다. 소평의회는 대평의회 선출, 8개월마다 3명씩 선출된 6명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1년 재임, 퇴임 3명 의원은 4개월간 하위 의원 역할, 시뇨리아 대표 콰란티아 크리미날레 주재를 했다. 소평의회 내 국가 심문관 1명 선출, 도제 사망 후 부도제 선출, 시뇨리아와 공화국 주재를 했다.

수 세기 동안 120명 도제가 베네치아에서 배출되었다.

스페인 대사 베네치아 방문 중 열린 풀 칼리지 회의


현자 대학은 의회 현자, 본토 현자, 기사단 현자 세 하위 위원회("손")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행정부 정점으로, 원로원 선출, 시뇨리아 주재 시 풀 칼리지 명칭을 사용했다. 의회 현자는 6명으로 원로원 업무 의제 설정, 기사단 현자는 초기 무역, 해군 관리 담당, 점차 중요성 감소, 본토 현자는 5명으로 의례 현자, 법령 처리 담당, 3명 정식 장관이었다.

  • 재무 현자: 재무부 장관, ''camerlenghi'' 상급자 및 협력자.
  • 서기관 현자: 국방부 장관, 군대 및 군사 재판 경제 관리.
  • 조례 현자: 지역 방위 민병대 Cernida 관리.


풀 칼리지 주요 기능은 외국, 교회 관계 유지, 대사, 피지배 도시 교황 사절, 성직자 접견이었다.

대의회 회의


대의회는 ''황금의 서(Libro d'Oro)'' 등록 25세 이상 모든 귀족 남성으로 구성, 입법 및 선거 권한을 가졌다. 초기 약 400명, 대의회 폐쇄 후 규모 증가, 16세기 2,095명 귀족 회의 참여, 1527년 참석 자격 2,746명이었다. 대의회 구성원 각자 투표, 법률 제안, 대의회 승인 필요, 법률 개정 및 폐지 책임이 있었다. 입법 권한은 원로원이 주로 가졌지만, 선거 권한은 대의회 독점, 소의회, 원로원, 40인 위원회, 10인 위원회, 대재상, 아보가도리아 데 코문(Avogadoria de Comùn), 민중대장, 포데스타(podestà), ''provveditori'', 카메를렌기 디 코문(Camerlenghi di Comun), 간접적 도제(Doge) 등 84개 행정관 선출했다.

;원로원

:'프레가디' 평의회로도 불린 원로원은 주로 입법 권한 보유, 35세 이상 약 300명 구성, 대의회 선출 120명 원로원(60명, 60명 'de 존타'), 10인 평의회, 40인 평의회, 현자 회의, 법안 투표, 제안 독점 권한 가진 다수 행정 기관 추가. 원로원은 재정, 상업, 외교 정책 입법 담당.

;40인 평의회

:최대 사법 권한 기구. 형사 재판 Quarantia Criminale, 'Dogado', 본토 지배령 민사 재판 Quarantia Civil Vecchia, Quarantia Civil Nuova, 중요 사건 15명, 25명 패널 분리. 각 Quarantie 40명 구성, 대학 구성원 합 160명. 판사 대학 시작, Quarantia Criminale 도착, 교대 근무, 회의 8개월 근무, 2년 8개월 재임.

;아보가도리아 데 코문

:오늘날 검찰청 유사, 공동체, 국가 이익 대표. 변호사 16개월 재임, 대의회 자격 등록 'Libro d'Oro' 작성 역할.

;10인 평의회

:티에폴로 음모 후 설치 특별 국가 안보 기관, 수단 불문 공화국, 정부 안보 보장 목표 10명 구성. 국가 안보 문제 관할 법정 역할. 권한 광범위, 1355년 도제 마리노 팔리에로 사형 선고. 광범위 권한, 직위 1년 지속, 10명 타 공직 수행 불가, 가족 관계 불가. 행동 비밀 보장, 독립 관리 자금 위탁. 일반 판사 대체, 비밀 진행 국가 심문관 3명 기구 내 권한 강화.

베네치아 시 질서: 주야 범죄자 체포 권한 6명 밤의 군주 조정 경찰력 관리. 밤의 군주 외 지역 지도자 거리 순찰. 질서 다수 감독관 관리. 강간, 신성 모독 범죄 신성 모독 행위자 규제, 사창가 관리, 펌프 감독관 귀족 과도함 통제, 치안 판사 공공 장소 건강, 위생 관리. 신 정의 사기 통제, 검열관 공직자 부패 통제. 정치, 내부 문제 공화국 청부업자 이용, 현대 비밀 첩보기관 필적 첩보망 보유.

'Corno Ducale'(도제 관) 쓴 레오나르도 로레단 초상화. 조반니 벨리니, 1501년 이후, 내셔널 갤러리 (런던) 소장.


베네치아 공화국 원수 '''도제'''(Doxevec, Dogeit), 어원 ''Dux''la, 군 지휘관, 공작. 귀족 선거 결정, 종신제. 고령자 선출 다수. 한국어 '''통령''', '''총독''' 번역.

도제 금화. 도제 베네치아 수호성인마르코 앞 무릎.


초기 베네치아 공화국 도제 선임 방법 불명확, 유력 가문 선출 관례. 초기 베네치아 도제 혈족 자리 승계 경향. 도제 세습제, 공화제 붕괴 위기감, 도제 후계자 지명 금지법 제정. 1172년 도제 40명 위원 구성 선거 선출. 위원 대평의회 선출 4명 선임, 대평의회 12명 위원회 매년 임명. 1229년 찬반 투표 20:20 동률, 위원 수 41명 증가.

1268년 제정 선거 방법: 제비뽑기 대평의회 30명 위원 선출. 30명 제비뽑기 9명, 9명 40명 선출, 40명 제비뽑기 12명, 12명 25명 위원 선출. 25명 제비뽑기 9명, 9명 45명 결정. 45명 11명, 11명 실제 도제 결정 41명 선임.[34] 복잡 제도, 유력 가문 도제 자리 독점 불가. 제도 1797년 공화국 멸망까지 유지.

신임 도제 취임 선서 전 베네치아 시민 승인 필요. 실제 선거 통해 도제 지위 확정, 형식적 베네치아 시민 도제 결정.

공화국 초기 도제(Doge) 독재 권력, 1268년 권한 감시 법률 제정. 외국 공문서 개봉 시 타 관료 입회 요구, 국외 사유 재산 보유 금지.

도제 임기, 중도 해임 예외 존재, 통상 종신. 도제 사망 후 생전 직무 조사. 부정 증거, 사유지 조사. 도제 보수 고액 아님, 재임 중 무역 등 수입 필요. 수입 조사 대상.

1268년 7월 7일, 도제 공석 시 참사관 도제 직무 대행.

대평의회 베네치아 공화국 최고 결정 기관, 1300년경 제정 세라타 법적 조치, 대평의회 의원 귀족 계급 세습제.[35] 국가 원수 도제(Doge) 포함 중요 국가 관직 대평의회 의원 중 선출.[35]

대평의회 십인 위원회, 사십인 위원회, 시뇨리아, 산 마르코 재무관, 사법 장관 소속.

십인 위원회 (Consejo de i Diexevec, Consiglio dei Dieciit) 1310년 설립, 1797년 공화국 멸망까지 존속 정부 중추 기관. 활동 비밀, 시민 효율, 공정 기관 인식. 1310년 7월 10일 공화국 대항 반란 진압 임시 직책 설치. 초기 2개월 임시 기관, 기한 연장 반복, 1335년 상설화.

십인 위원회 공식 임무 공화국 치안 유지, 정부 전복, 부패 방지. 조직 소규모, 신속 결정 가능, 직무 범위 확대, 1457년 시점 정부 업무 전반 처리. 특히, 공화국 외교, 첩보 활동 감독, 군대 관리, 사치 금지령 등 법률 집행 관장. 부도덕 행위, 도박 단속 시도, 성과 미흡.

3. 2. 정치 체제의 특징

베네치아 공화국의 정부 수반은 도제 (원수)였다. 도제는 선출직이자 종신직으로 베네치아 공화국의 상징적인 존재였으나, 그 권력은 미약하여 법안 하나를 발의할 때도 6인의 원수 보좌관 중 절반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만 했다.[31]

1175년 리알토의 유력 귀족들이 6명으로 구성된 도제의 고문인 소평의회를 설립했다. 1179년에는 3명으로 구성된 최고 재판소 콰란티아(Quarantia)가 설치되었다. 이들은 1223년에 시뇨리아(Signoria)로 통합되었다. 시뇨리아는 도제를 포함하여 1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정부의 중추였다. 도제가 사망했을 때, 그 장례식에서 "도제는 죽었다. 그러나 시뇨리아는 건재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2명으로 구성된 사피엔테스(sapientes)도 설립되었고, 후에 6명으로 확장되었다. 이것은 다른 집단과 함께 콜레지오(collegio)를 구성하여, 정부의 실행 부서가 되었다. 1229년에 설립된 콘실리오 데이 프레가디(Consiglio dei Pregadi)는 귀족원과 같은 것으로, 대평의회에 의해 선출된 60명의 의원이 구성했다.[31] 이러한 기관 때문에, 도제의 실권은 제한적인 것이 되었고, 실제 직권은 주로 대평의회에 위임되었다.

1454년 3명의 조사관으로 구성된 정보 기관이 설립되어, 첩보, 방첩 및 국내 감시를 위한 정보망을 충실하게 했다. 이는 비합법적인 정체 변혁 시도 등을 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조사관 중 한 명은 붉은 외투를 착용했기 때문에 일 로소(Il Rosso, 붉은 남자)라고 불렸고, 도제의 고문에 의해 임명되었다. 다른 2명은 이 네그리(I Negri, 검은 남자)라고 불리는 검은 외투의 인물이었으며, 십인 위원회에 의해 임명된다. 이 정보 기관은 점차 십인 위원회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되었다.[31]

1556년 provveditori ai beni inculti가 설립되어, 농업 기술 및 농업 기술 개발에 대한 개인 투자가 촉진되었다. 이것은 16세기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것이다.

1335년 십인 위원회가 상설화되어 정부의 중추로서 비공개 활동을 했다. 원래 공식 업무는 공화국의 치안 유지, 정부 전복 방지, 부패 방지였으나 조직이 작아 빠른 결정이 가능했기 때문에 업무는 점점 확대되어 1457년 경에는 정부의 전반적인 업무를 취급하게 되었다. 10인이란 명칭과는 달리 정원은 도제와 6인의 도제 보좌관, 10명의 원로회 대표 등 17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제와 도제 보좌관을 제외한 인원의 임기는 1년이었다. 1600년경에는 십인 위원회의 영향력이 대평의회를 능가하게 되었고, 그 권한은 축소되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정체는 공화제와 도제에 의한 군주제, 그리고 귀족원에 의한 귀족 정치와 대평의회에 의한 민주 정치의 복합 정체라고 생각했다.[32]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베네치아를 공화제 국가로 분류했다.[33]

롬바르드족 점령과 로마인들의 점진적인 이주 이후, 현지 의회인 ''코미티움''(comitia)이 지역 행정을 관리할 호민관을 선출하는 새로운 해안 정착지가 생겨났으며, 이는 서로마 제국 말기에 시작된 로마 관습을 영속화한 것이었다. 7세기 말과 8세기 초 사이에 새로운 정치 개혁이 해상 베네치아에 영향을 미쳤다. 이탈리아의 다른 비잔틴 속주와 마찬가지로 공국으로 바뀌었고, 그 수장은 도제였다. ''마기스터 밀리툼''(magistri militum)의 짧은 통치 이후, 742년에 도제 선출은 비잔틴 제국에서 지역 의회로 이전되었고, 이는 기복은 있었지만 11세기까지 지속된 도제 군주의 시작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베네치아 귀족인 귀족이 권력 관리에 처음으로 안정적으로 참여한 것은 ''쿠리아 공작''(ducis)의 제도가 생기면서였고, 1141년부터 중세 코뮌 시대가 시작되면서 대평의회에 모인 신생 상업 귀족의 일부에서 도제의 권력을 제한하고 제거하는 멈출 수 없는 과정이 시작되었다. 이는 베네치아 코뮌의 가장 큰 의회였다. 13세기에 ''콘치오''(concio)의 민중 의회는 점차 모든 권한을 박탈당했고, 이탈리아의 시뇨리아와 마찬가지로 베네치아에서도 권력이 소수의 가문에 집중되기 시작했다. 군주의 탄생을 막고 옛 가문의 권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1297년에 대평의회 폐쇄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대평의회의 구성원 수를 늘리고 가문 수는 그대로 유지하여 새로운 귀족의 진입을 막는 조치였다.

13세기와 14세기 사이에 도제의 권력은 순전히 형식적인 것이 되었고 민중 의회의 권력은 무효가 되었지만, 무두질은 1423년에야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이것은 공화국의 붕괴까지 계속 존재했던 과두적이고 귀족적인 공화국의 탄생을 선언했다. 국가 조직은 일반적으로 1년 미만으로 재임하고 공화국의 정치 중심지인 도제의 궁전에서 만나는 수많은 의회로 나뉜 많은 귀족에게 위임되었다.

;원로원

: '프레가디' 평의회로도 알려진 원로원은 주로 입법 권한을 가졌다. 35세 이상의 약 300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졌으며, 대의회에서 선출된 120명의 원로원(60명과 60명의 'de 존타')이 있었으며, 10인 평의회, 40인 평의회, 현자 회의, 그리고 종종 법안을 투표하거나 제안하는 독점적인 권한을 가진 많은 다른 행정 기관이 추가되었다. 원로원은 주로 재정, 상업 및 외교 정책에 대한 입법을 담당했다.

;40인 평의회

: 40인 평의회는 최대의 사법 권한을 가진 기구였다. 이 기구는 형사 재판을 위한 Quarantia Criminale, 'Dogado'와 본토 지배령의 민사 재판을 위한 Quarantia Civil Vecchia와 Quarantia Civil Nuova, 그리고 중요하지 않은 사건을 위한 15명과 25명의 두 패널로 나뉘었다. 각 Quarantie는 40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졌으며, 대학의 구성원과 합하면 160명이 되었다. 판사들은 대학에서 시작하여 Quarantia Criminale에 도착할 때까지 교대 근무했으며, 각 회의에서 8개월 동안 근무하고 2년 8개월 동안 재임했다.

;아보가도리아 데 코문

: 오늘날의 검찰과 유사한 아보가도리아 데 코문은 공동체와 국가의 이익을 대표했다. 변호사들은 16개월 동안 재임했으며, 대의회에 앉을 자격이 있는 모든 사람들을 등록하는 'Libro d'Oro'를 작성하는 역할도 했다.

;10인 평의회

: 티에폴로 음모 이후 만들어진 특별 국가 안보 기관으로, 어떤 수단을 통해서든 공화국과 정부의 안보를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10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졌다. 평의회는 국가 안보 문제에 대한 관할권을 가진 법정 역할을 했다. 그 권한은 매우 광범위하여 1355년에는 심지어 도제 마리노 팔리에로에게 사형을 선고하기도 했다. 이러한 광범위한 권한을 가지고, 그 직위는 단 1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또한 10명은 다른 공직을 수행할 수 없었고 그들 사이에 가족 관계가 없었다. 그들의 행동의 비밀을 보장하기 위해, 평의회는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돈을 위탁받았다. 일반 판사를 대체하고 비밀리에 진행할 수 있는 세 명의 국가 심문관은 기구 내에서 더 큰 권한을 가졌다.

베네치아 시의 질서는 주야로 범죄자를 체포할 권한을 가진 6명의 밤의 군주가 조정하는 경찰력에 의해 관리되었다. 밤의 군주 외에도, 지역 지도자들 또한 거리를 순찰했다. 그러나 질서는 다양한 수의 감독관들에 의해서도 관리되었다. 강간 및 신성 모독과 같은 범죄는 신성 모독 행위자에 의해 규제되었으며, 이들은 또한 사창가의 관리도 담당했고, 펌프 감독관은 대신 귀족들의 과도함을 통제했으며, 치안 판사는 공공 장소의 건강과 위생을 관리했다. 새로운 정의는 사기를 통제했고, 검열관은 공직자들의 부패를 통제했다. 정치적이고 더 내부적인 문제에 대해, 공화국은 때때로 청부업자를 이용하기도 했으며, 현대의 비밀 첩보기관에 필적하는 첩보망을 가지고 있었다.

4. 경제

베네치아 공화국의 경제는 어업, 소금 생산, 유리 শিল্প, 조선업, 무역 등 다양한 산업을 기반으로 발전했다.

초기에는 어업이 석호 공동체의 생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어업은 일반 대중 사이에서 가장 널리 퍼진 활동이었으며, 잡힌 물고기는 소금에 절여 보존했다. 어업 외에도 사냥, 조류 사냥, 목축업이 있었지만, 목초지 부족으로 제한적이었다. 농업은 주로 채소 작물과 포도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과일 상인들이 농산물을 판매했다.

소금 생산은 베네치아 경제의 또 다른 중요한 축이었다. 석호 인구는 소금 채취에 크게 의존했으며, 소금 무역을 통해 밀과 같은 필수품을 구매할 수 있었다. 키오자는 주요 소금 생산지였으며, 13세기에는 지중해 최대 소금 생산지로 성장했다. 키오자 염전은 도시 면적의 90배에 달하는 30km2 규모였다. 염전은 도제와 귀족 가문이 주도하여 건설했으며, 소금 노동자 가족에게 임대되었다. 소금 노동자들은 컨소시엄을 조직하여 토지 소유주의 부과에 대응하기도 했다. 14세기에는 소금 생산이 감소했지만, 베네치아는 상인들에게 일정 비율의 소금 운송을 요구하여 독점권을 유지했다.

베네치아 유리는 9세기 초부터 거래되었으며, 뛰어난 품질로 전 세계에 수출되었다. 화재 위험 때문에 유리 생산은 무라노 섬에서만 이루어졌다. 12세기부터 운영된 국립 조선소와 도시의 작은 조선소에서는 조선 산업이 발달했다. 13세기부터는 흑해를 통해 러시아에서 수입한 삼을 이용한 해군 밧줄 생산도 발전했다. 주데카에서는 무두질과 모직물 방적도 이루어졌다.

베네치아는 포강을 포함한 강과 아드리아 해의 제해권을 획득하면서 상업을 확장했다. 이후 이오니아해, 동지중해로 영토를 확대하여 지배력을 높였다.

하위 섹션들에서 이미 무역, 산업, 금융에 대한 자세한 내용들을 다루고 있으므로, 경제 섹션에서는 위와 같이 간략하게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한다.

4. 1. 무역

중세 동안 베네치아는 프랑크 왕국과 비잔티움 제국 사이에서 소금과 생선 등을 바탕으로 무역 중계와 상업을 통해 세력을 넓혔다. 뛰어난 상술과 항해술로 베네치아는 비잔티움 제국으로부터 특혜를 얻었으며, 제4차 십자군 원정을 통해 점차 강대해졌다.[37]

15세기에 베네치아 공화국은 전성기를 맞이한다. 키프로스와 에게 해의 여러 섬들을 복속하고 이탈리아 본토에 속주를 차지했으며 달마티아알바니아 연안에 베네치아 귀족이 통치하는 속국을 만들었다. 숙적 제노바 공화국과의 네 번의 전쟁 끝에 승리한 베네치아는 동지중해 무역을 독점하다시피 하여 엄청난 부를 거둬들였다.[37] 1453년 동로마 제국이 멸망하자 베네치아는 르네상스의 주역으로 떠오른 한편, 동로마 제국을 멸망시킨 오스만 제국과 경쟁하며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다.

16세기에 이르러 교황령 주도의 캉브레 동맹이 베네치아에 대항하여 결성되었고, 1508년 캉브레 동맹 전쟁에서 승리하지만 이후로는 더 이상 영토를 넓힐 수 없었다. 4차 십자군 전쟁 이후 동지중해는 사실상 베네치아의 바다였지만, 1499~1503년에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 패하면서 동지중해에 대한 독점적인 지배권을 상실한다.

이후 에스파냐와 포르투갈이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여 부와 무역의 주도권은 대서양으로 넘어가자 지중해 무역의 중요성은 점차 떨어졌다. 1571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레판토 해전에서 승리하지만 베네치아는 오히려 키프로스를 상실했다.

1606년 교황 바오로 5세개신교와 로마 가톨릭 간의 분쟁을 중재하면서 개신교에 유리하게 중재한 베네치아에게 선전 포고를 하고 베네치아를 파문했다.

이후 무역에서 주도권을 상실한 베네치아는 18세기에는 무라노 섬의 유리 공예와 뛰어났던 가공 기술, 관광업, 그리고 포 강 유역의 비옥한 토지를 이용한 농업을 통해 유지되었다.

16세기 초 베네치아의 무역로와 영토 지도


그리스 나플리온에 있는 베네치아 요새 팔라미디, 동부 지중해에서 베네치아의 무역로를 확보한 많은 요새 중 하나


초창기부터 무역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성공과 정치적 부상의 기반이었다. 829년 도제 주스티니아노 파르테치파치오는 봉건적 자산 관리뿐만 아니라 해상 상업에도 관여했다.[37] 12세기에는 무장 선박의 호위를 받으며 동부 시장으로 향하는 상인 갤리의 대상인 무데가 만들어졌으며, 처음은 콘스탄티노폴리스였다.[37] 베네치아는 1082년부터 비잔틴 제국과 특권적인 관계를 맺었다. 황금 칙서가 발효되면서 베네치아 상인들은 세금 없이 비잔틴과 상품을 교환하고 수도에 직접 거주 구역을 설립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 특권은 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포고령에 의해 1171년에 폭력적으로 종식되었다.[37] 상업적 교역은 13세기에 정점에 달했지만, 16세기 말까지 베네치아의 정치적, 사회적 삶에서 기본적인 역할을 계속했다. 이 시기에는 국가가 승인한 무데, 즉 상인과 계약을 맺은 선단이 설립되었으며, 인도, 중국, 잉글랜드, 플랑드르를 포함한 먼 지역에 도달하는 데 사용되었다. 1325년에 사우샘프턴과 브뤼헤를 포함한 북유럽 도시와 자이툰, 수다크, 아조프, 트라브존, 암만과 같은 아시아 도시, 그리고 아랄 해 연안의 다른 정착지에 베네치아 정착지가 존재했다.[37] 16세기 말 포르투갈, 스페인, 잉글랜드, 네덜란드의 경쟁으로 베네치아 무역은 급격한 쇠퇴를 겪었다.[37]

베네치아인들이 주로 해상으로 교환했고 중앙 리알토 시장에 넘쳐나던 상품은 면화, 직물, 철, 나무, 명반, 소금, 향신료였다. 9세기 초부터 교환되었으며, 후추가 언급된 주교 오르소 파르테치파치오의 유언은 853년에 거슬러 올라간다.[37] 후추 외에도 베네치아는 계피, 커민, 고수, 정향 및 기타 향신료를 거래했는데, 이는 고기 보존, 와인 향료, 베네치아 의학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향신료에는 키프로스에서 생산되어 베네치아에서 정제된 설탕, 베네치아 귀족과 종교 행사에서 널리 사용된 향수와 향도 포함된다. 동방은 보석과 실크를 공급했고, 베네치아는 유럽산 금속, 나무, 가죽, 직물을 동방에 가져갔다. 베네치아가 독점했던 소금은 상업적 특권이자 외국에 대한 정치적 억지력이었다. 기근에 대비하기 위해 밀 관리가 담당했던 곡물과 조미료, 조명에 사용되는 기름도 대량 수입되었다.[37]

베네치아 공화국은 식량을 자급자족할 수 없었기에 초기 무역에서 식량 조달이 중요했다. 포 강을 비롯해 내륙에서 아드리아해로 흐르는 강을 따라 무역이 이루어졌으며, 이탈리아 왕국 내 베네치아의 수도원이나 귀족의 토지, 내륙 도시에서 식량을 확보했다. 중요한 강에는 경비를 위한 요새와 함대가 배치되었다.

해상 무역에서는 동로마 제국의 식량 거래 외에도 교황령이 있는 마르케 지방, 시칠리아 왕국, 라틴 제국과 아카이아 공국 등의 그리스 제국, 크레타 섬 등으로부터 식량을 수입했다. 또한, 밀, 와인, 올리브유, 무화과, 치즈, 소금 등의 식량을 해외에서 내륙 도시로 재수출하는 것을 독점하고, 대립하는 도시에는 금수 조치를 취하는 등의 정치적 수단도 사용했다.

베네치아 상인들은 동로마 제국 내에서의 특권으로 제국 내 도시들 간, 그리고 시칠리아 왕국, 십자군 국가, 이집트 등 여러 국가와 교역을 했다. 후추나 비단 등 동방 무역 상품 외에 올리브유, 와인, 면, 양모피, 인디고, 무기, 목재, 노예 등이 거래되었다. 제국 내에서는 대토지 소유자가 지배적인 지위에 있었고 상인들은 배제되었기 때문에 제국 내에서 막대한 이익을 올렸다.

13세기에는 흑해 동부에 몽골 제국의 조치 울루스와 일 칸국이 성립했다. 지중해에서는 맘루크 왕조에 의해 십자군 국가가 소멸되었고, 교황은 기독교도와 맘루크 왕조 간의 교역을 금지했다. 베네치아는 동방 무역 상품을 흑해 경유로 거래하게 되었고, 흑해는 향신료, 비단, 노예 등의 거대한 공급지가 되었다.

이베리아 반도에서 레콩키스타가 진행되어 지브롤터 해협에서의 교통이 안정되자 베네치아는 런던이나 브뤼주까지 상선을 보냈다. 지중해와 북유럽은 육로 대신 해로가 활발해졌다. 이탈리아 북부에서는 면 공업이 번성하여 베네치아는 원료와 제품의 수송을 담당했다.

대운하에 면한 리알토 시장에서 거래가 이루어졌다. 상선이 귀항하고 출항하기 전까지 수입 상품의 판매와 수출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졌다. 지중해는 겨울에는 항해에 적합하지 않아 여름과 겨울에 거래가 많았다.

13세기 이후 지중해에서는 선박의 종류가 늘어나 코그선이나 갤리 상선 등이 도입되었다. 베네치아는 갤리 상선이 타국에 비해 많았으며, 통일 규격에 따라 국립 조선소(아르세날레)에서 건조하여 국가 소유 하에 정기 항해를 했다. 선단의 이용권은 유력 상인들의 경매에 부쳐졌고, 갤리 상선은 적재량이 작기 때문에 고가 경량 상품을 운송했다. 해군에 의해 안전이 확보되고, 정기적으로 선단이 운영되는 점이 베네치아 갤리 상선의 특징이었다. 범선은 대부분 사립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 베네치아인 외에도 사용되었다. 범선은 적재량이 크기 때문에 식량, 면이나 양모 등의 원료, 자재 등 저가로 무게가 있는 상품을 운송했다.

13세기 이후, 행상에서 통신을 통한 거래로 전환되었다. 상인들은 선편으로 문서를 통해 연락을 주고받으며, 멀리 떨어진 시장에 있는 대리인에게 거래를 부탁했다. 15세기에 다마스쿠스의 대리인으로부터 베네치아로 보내진 문서로는 상업 서간, 계산서, 가격표, 구매 보고서의 4가지 종류의 기록이 있다. 이처럼 문서를 통해 원거리 거래를 진행했다.[40]

4. 2. 산업

베네치아 유리는 9세기 초부터 판 형태로 거래되었으며, 현재도 베네치아 산업의 주요 제품 중 하나로 여겨진다. 베네치아 유리는 품질이 뛰어나 전 세계로 수출되는 예술 작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3] 베네치아 수도 내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해 생산은 무라노 섬에서만 이루어졌다.[26] 유리 생산 외에도 가장 성공적인 활동은 12세기부터 운영된 국립 조선소(arsenal)와 도시의 작은 베네치아 조선소에서 이루어진 조선 산업이었다.[26] 선박 건조와 함께, 13세기부터 흑해를 통해 러시아에서 삼을 수입한 ''필라카네비''(filacànevi)에 의해 해군 밧줄 생산이 발전했다.[26] 13세기에 이미 널리 퍼진 활동으로는 주데카에서 행해진 무두질과 모직물 방적이 있었다.[26]

초기 정착지부터 어업은 석호 공동체의 생계에 근본적인 역할을 했다. 어업은 어업에 종사하는 일반 대중 사이에서 가장 널리 퍼진 활동 중 하나였다. 잡힌 물고기는 보존을 개선하기 위해 소금에 절였다. 어업 외에도, 정도는 덜하지만, 사냥, 조류 사냥, 목축업도 널리 퍼져 있었지만, ''도라도''의 목초지 부족으로 제한되었다. 석호의 목초지가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농업은 대신 주로 채소 작물과 일부 포도밭으로 널리 퍼졌으며, 그 농산물은 과일 상인들이 판매했다.

어업 외에도, 석호 인구는 생계를 위해 소금 채취에 크게 의존했다. 소금 무역으로 인해, 초기 석호 인구는 베네치아 석호가 생산하지 않는 상품, 주로 밀을 구매할 수 있었다. 소금 생산의 직접적인 경쟁자는 932년에 파괴되어 그 인구가 베네치아 석호로 이전된 코마키오였다. 가장 큰 생산 지역은 석호 북부와 키오자 구역이었으며, 수세기 동안 지중해에서 가장 큰 소금 생산지가 되었고, 13세기에 정점에 달했다. 키오자에서 생산된 대부분의 소금은 포강아디제강을 통해 이탈리아로 수출되었다. 염전은 올바르게 작동하도록 일련의 댐, 저수지 및 운하로 구성되었다. 그 확장은 주목할 만했다. 키오자 염전은 약 30km2의 면적을 차지했으며, 이는 도시 크기의 90배에 해당했다. 재단 건설의 추진력은 도제와 토지를 소유한 대공 가문에서 주어졌다. 귀족의 영지는 소금 노동자 가족에게 임대되었으며, 그들은 독립적으로 염전을 유지하고 소금을 채취했다. 토지 소유주는 소금 노동자와 전적으로 경제적인 관계를 맺었다; 결과적으로 토지 소유주인 귀족은 밀 재배에서 유럽의 나머지 지역의 경우와 같이 봉건 영주라고 간주할 수 없었다. 소금 노동자들은 또한 토지 소유주의 부과를 더욱 어렵게 만드는 컨소시엄을 조직했다. 14세기 상업적 확장이 절정에 달하는 동안, 석호의 소금 생산은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네치아는 상인들에게 종종 풀리아, 시칠리아, 사르데냐, 발레아레스 제도, 키프로스 및 리비아 해안에서 구입한 소금의 일정 비율을 운송하도록 요구함으로써 이 귀중한 상품에 대한 독점권을 유지했다.

4. 3. 금융

12세기 베네치아 무역이 크게 발전하면서 안정적인 통화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다. 1202년 엔리코 단돌로 도제 때 은 두카토(마타판) 주조가 시작되어 지중해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두카토는 26데나리에 해당하며 무게는 약 2그램이었다.[27] 베네치아의 다른 동전처럼 두카토는 도제의 초상을 담고 있었고, 도제는 성 마르코 앞에서 베네치아 깃발을 들고 있었다.[28]

1284년 10월 31일, 도제 조반니 단돌로는 금 체키노(두카토)를 주조하기로 결정했다.[29] 순도가 높은 금으로 만들어진 체키노는 무게가 약 3.5그램이었으며, 공화국 멸망과 함께 주조가 중단되었다.[29] 16세기부터 주조는 마르시아노 부두가 내려다보이는 베네치아 제카에서 이루어졌으며, 사십인 위원회가 감독했다.[28]

베네치아 공화국의 통화 단위는 리라()였으며, 복수형은 ''lire''였다. 1807년까지 독자적인 베네치아 리라를 발행했다. 1리라는 20솔도(, 복수형 ''soldi'')였고, 1솔도는 12데나로(, 복수형 ''denari'')였다. 두카토는 124솔도였으며, "체키노"()로도 알려진 ''탈레로''는 7리라였다.

18세기 후반에는 다음과 같은 동전이 주조되었다.

종류동전
빌론 동전6, 12데나로
은화5, 10, 15, 30솔도, 1/8, 1/4, 1/2, 1두카토, 1/8, 1/4, 1/2, 1탈레로
금화1/4, 1/2, 1두카토, 1 도피아, 4, 5, 6, 8, 9, 10, 12, 18, 20, 24, 25, 30, 40, 50, 55, 60, 100, 105체키노



1797년 임시 정부는 10리라 은화를 발행했으며, 오스트리아 점령 하에서는 1/2, 1, 1.5, 2리라 은화와 1 체키노 금화가 1800년부터 1802년 사이에 발행되었다.

상업 금융으로 동로마 제국의 영향을 받은 콜레간차(동료 조합)가 있었다. 콜레간차에는 융자자와 융자를 받는 자 모두 출자하는 형식(소키에타스)과 한쪽만 출자하는 형식(코멘다)이 있었다. 양쪽 출자 콜레간차는 융자자가 3분의 2, 상인이 3분의 1을 출자하고 이윤은 절반으로 나누었다. 한쪽만 출자하는 콜레간차는 융자자가 전액 출자하고 이윤은 융자자가 4분의 3, 상인이 4분의 1을 받았다. 자본 증가와 함께 한쪽만 출자하는 콜레간차가 늘어나 자본이 없어도 능력 있는 상인 계층이 확대되었다. 이후 해상 대출, 환율 등 금융도 사용되었다.

베네치아에서는 귀족 혈연 중심 가족 조합(소키에타스)에 의한 구별 손익 계산이 이루어졌다. 루카 파치올리가 베네치아에서 출판한 『수학 총론』(1494년)은 복식 부기를 최초로 체계화·이론화한 서적이었다. 13세기 이탈리아 도시에서는 직업 회계사(rationator)가 영리 사업 회계와 감사를 담당했고, 베네치아에서는 1581년 세계 최초 직업 회계사 협회가 설립되었고, 1585년에는 회계 전문 학교(Collegio dei Raxonati)도 설립되어 공공 회계와 감사 인재를 육성했다.

베네치아 부기는 국외로 전파되어 15세기 뉘른베르크 중심 남독일 상인들이 복식 부기를 채택했다. 푸거 가문 야코프 푸거와 회계 주임도 베네치아에서 복식 부기를 배워 푸거 가문 번영의 한 요인이 되었다.

산 마르코 재무관(Procuratori di San Marcoit)은 원래 산 마르코 대성당 시설과 재산 관리 책임자로 창설된 관직이었다. 이후 성당에 기증되는 막대한 자산, 재보, 국내 징수 교회세, 정부 세수와 전리품 관리·운영 직책도 부여받아 도제 다음으로 큰 권력을 가지게 되었다.[36]

5. 사회

베네치아 공화국은 오랜 역사 동안 다양한 이름을 사용했는데, 이는 모두 도제에게 부여된 칭호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8세기, 베네치아가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던 시기에는 도제를 라틴어로 Dux Venetiarum Provinciaela('베네치아 지방의 도제')라고 불렀다.[11] 이후 840년, 파크툼 로타리la 조약 체결 이후에는 Dux Veneticorumla('베네치아인의 도제')로 불렸다. 이 조약은 베네치아 공국과 카롤링거 제국 간의 상업 협정으로, 사실상 베네치아의 비잔틴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승인했다.[11]

이후 베네치아는 비잔틴의 지배를 받는다는 언급을 없애고, 976년 문서에는 '가장 영광스러운' Domino Venetiarumla('베네치아의 군주')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이 칭호는 파크툼 로타리la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군주'라는 칭호는 도제가 민중 회의에 의해 선출되었음에도 왕처럼 여겨졌음을 보여준다.[11] 독립 후 베네치아는 아드리아 해 연안으로 확장했고, 1109년부터 달마티아와 크로아티아 해안을 정복한 후 도제는 공식적으로 Venetiae Dalmatiae atque Chroatiae Duxla('베네치아, 달마티아 및 크로아티아의 도제')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18세기까지 사용되었다.[12] 15세기부터는 라틴어 문서와 함께 베네치아어로 작성된 문서가 추가되었고, 베네치아 공국은 베네치아 군주국으로 이름을 바꾸어 Illustrissima et Excellentissima deta Signoria de Venexiavec('가장 훌륭하고 훌륭한 베네치아 군주국')라고 불렸다.[13]

17세기, 절대주의 확산으로 군주국과 공화국의 차이가 뚜렷해졌다. 군주국은 엄격한 법률과 농업 경제에 기반을 둔 반면, 공화국은 상업과 자유 시장에 의존했다. 이러한 차이는 제노바 공화국, 일곱 개의 연합 주 공화국과 같은 이름으로 나타났다. 베네치아 군주국도 베네치아의 가장 고귀한 공화국(; )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14] 도제는 serenissimoit 또는 ''그의 세레니티''라는 별칭을 얻었다.[14] 17세기부터 베네치아 공화국은 베네치아 국가 또는 베네치아 공화국과 같은 다른 공식적인 이름을 갖게 되었고, "가장 고귀한 공화국" 중 하나라는 칭호를 참조하여 ''라 세레니시마''라고도 불렸다.[14]

산 조르조 데이 그리치


스타토 다 마르를 포함한 베네치아 공화국에는 가톨릭 외에도 정교회 신앙이 존재했다. 177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정교회 그리스인이 약 13.3%였다.[14] 베네치아의 그리스 공동체는 1456년 산 비아조 교회 건설 허가를 받았고, 1514년 산 조르조 데이 그리치 교회 건설이 허가되었다.[14]

나머지 인구는 개신교,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 등 다른 교회에 속했으며, 이슬람 상인들도 있었지만 베네치아에 영구 거주하지는 않았다. 아르메니아인들은 13세기 중반부터 베네치아에 정착했지만, 산타 크로체 데글리 아르메니 교회는 1682년에야 건설되었다.[14] 산 라자로 데글리 아르메니는 아르메니아인들의 주요 문화 중심지였다.

개신교는 독일인 및 스위스인과의 상업 관계를 통해 퍼졌다. 1649년 개신교는 산 바르톨로메오 교회에 죽은 자들을 묻을 수 있게 되었고, 1657년에는 폰다코 데이 테데스키에서 미사를 거행하는 것이 허용되었다.[14]

베네치아에는 폰다코 데이 투르키가 있었는데, 이곳에서 오스만 상인들이 시간을 보내고, 무슬림 신자들이 기도할 수 있는 작은 모스크가 있었다.[14]

왼쪽은 1581년 르네상스 후기 의상을 입은 도제 부인, 오른쪽은 1750년 ''Tonda''를 입은 여성


베네치아는 동방과의 상업적 관계 때문에 비잔틴 제국에서 유행하던 화려한 의상이 퍼졌다. 이는 대부분 자수 또는 퀼팅 처리된 파란색 튜닉이었다. 일반 사람들은 줄무늬 캔버스 드레스, 가죽 샌들을 착용했다. 남성들은 카소크 위에 벨트, 모자, 망토를 걸쳤다. 귀족 여성들의 옷은 자수 실크, 족제비털 망토와 모피였다. 13세기에 길드가 설립되어 재단 기술이 규제, 보호되었다.[14]

르네상스 시기 귀족 여성 드레스는 화려해졌고, 남성들은 투톤 스타킹과 스커트를 입었다. 높은 나막신이 널리 퍼졌으며, 바로크 양식 영향으로 귀족 의상은 부라노 레이스로 장식되었다.[14] 1488년 사치 제한 법률이 제정, 1514년 펌프 감독관이 설치되었다.[14]

17세기에는 가발과 분 사용이 시작, 남성 의상은 부피가 커졌다. 18세기 ''벨라다''(망토), ''베스타 아 센다''(검은 드레스, 흰 스카프)가 사용되었다. 가난한 여성들은 후드, 둥근 흰색 드레스를 입었다.[14]

5. 1. 계층

도제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국가 원수였으며, 임기는 종신이었다. 도제의 이름은 동전, 공작 칙서, 사법 판결 및 외국 정부에 보낸 편지에 나타났다. 도제의 가장 큰 권한은 법률을 공포하는 것이었다. 그는 또한 전쟁 기간 동안 군대를 지휘했으며, 소프라가스탈도가 그의 이름으로 모든 사법 판결을 집행하게 했다.[1] 도제 선출은 긴 일련의 선거와 추첨을 거쳐 선택된 41명의 선거인단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부정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도제로 선출된 후에는 공화국에 대한 충성을 약속하고 그의 권한의 제한을 인정한 서약인 ''promissione ducale''을 선언해야 했다.[2][3]

시뇨리아는 베네치아 정부 시스템에서 가장 위엄있는 회의였으며 도제, 소평의회 및 콰란티아 크리미날레의 세 지도자로 구성되었다. 시뇨리아는 국가의 주요 회의(현인 회의, 대평의회, 원로원, 10인 평의회)를 주재하는 기본적인 임무를 맡았다. 시뇨리아 구성원들은 또한 주재하는 회의에서 법률을 제안하고 투표하며 언제든지 대평의회를 소집할 권한을 가졌다. 소평의회는 대평의회에 의해 선출되었으며, 8개월마다 3명씩 선출된 6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그들은 1년 동안 재임했으므로, 퇴임하는 3명의 의원은 4개월 동안 하위 의원의 역할을 했고 시뇨리아를 대표하여 콰란티아 크리미날레를 주재했다. 소평의회 내에서 세 명의 국가 심문관 중 한 명이 선출되었고, 도제가 사망한 후에는 부도제를 선출하여 나머지 시뇨리아와 함께 공화국을 주재했다.[4][5]

수 세기에 걸쳐 120명의 도제가 베네치아에서 선출되었다. 가장 유명한 도제는 다음과 같다.

  • 파올로 루치오 아나페스토, 베네치아의 첫 번째 도제.
  • 피에트로 2세 오르세올로, 아드리아 해에 대한 베네치아의 지배를 확립하고 베네치아 달마티아를 정복했다.
  • 엔리코 단돌로, 베네치아 공화국을 비잔틴 제국에 대한 지배로 이끌어 베네치아의 해양 제국을 탄생시켰다.
  • 마리노 팔리에로, 영주국을 세우려다 참수당했다.
  • 프란체스코 포스카리, 공화국의 영토를 본토로 확장했다.
  • 레오나르도 로레단, 베네치아를 이끌고 베네치아에 대항한 가장 중요한 유럽 국가들의 연합인 캄브레이 동맹에 저항했다.
  • 프란체스코 모로시니, 베네치아를 이끌고 모레아 왕국(펠로폰네소스 반도)을 회복시켰으며, 이는 투르크에 대한 공화국의 마지막 위대한 구원이었다.
  • 루도비코 마닌, 베네치아의 마지막 도제.


''콘치오''는 노예를 제외한 일반 자유 시민과 귀족의 일반적인 집회였다. 역사를 통틀어 권한이 극적으로 변동하여, 때로는 거의 모든 권력을, 때로는 거의 아무런 권력도 갖지 못했다. 13세기부터 베네치아 사회는 두 개의 사회 계급으로 명확히 구분되었다.

; 귀족

: 베네치아 귀족은 비교적 개방적인 사회 계층으로, ''황금의 책(Libro d'Oro)''에 기록되었다. 최초의 집정관과 그들의 행정관의 직계 후손이 있었고, 키오자 전쟁, 칸디아 전쟁(1645-1669) 및 모레아 전쟁에 적극적으로, 특히 경제적으로 참여한 가문이 추가되었다. 1774년에는 육상 지배지(Domini di Terraferma)의 모든 귀족 가문도 ''황금의 책''에 추가되었다. ''황금의 책''은 아보가도리아 데 코문(Avogadoria de Comùn)에서 관리했으며 귀족의 모든 출생과 결혼 목록이 포함되어 있었다.[6] 귀족은 특권층일 뿐만 아니라 국가의 전문적인 봉사 계급이기도 했다. 그들은 모두 교육을 받았으며, 가장 부유한 사람들은 파도바 대학교에 다녔고, 가난한 귀족은 주데카에서 무료로 교육을 받았다.[7] 권력 집중을 막고, 일정한 순환을 보장하며, 최대한 많은 귀족이 일자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모든 직위는 단기적이었으며, 종종 1년만 지속되었고, 급여가 낮았다. 귀족은 외국인과 관계를 맺거나, 공화국 경계를 떠나거나, 사면을 요청하거나, 돈을 분배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귀족은 사법적 혐의와 조국 배신 이후에도 유지되었다.[8]

; 시민

: 베네치아 시민권은 세 가지 유형이 있었다.[9]

  • ''원래 시민'': 베네치아 출신이거나 3대까지 베네치아 가문 출신은 유대인을 제외하고 완전한 시민권을 누렸다. 원래 시민은 공직을 맡을 수 있었고, 재무관, 비서, 변호사, 공증인이 될 수 있었다. 또한 시민들은 스콜레에 합류했는데, 이는 모든 구성원에게 상호 원조를 제공하고 베네치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직업에 대한 규칙을 설정할 수 있게 해주는 종교 또는 전문 브라더후드(Confraternity)였다.[10]
  • ''시민 데 인트라'': 새로운 이주민은 자격을 바탕으로 완전한 시민권과 국경 내에서 국가의 보장을 받았으며, 도시 내에서 일부 직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 ''시민 데 엑스트라'': 이것은 또한 자격을 바탕으로 부여된 완전한 시민권으로, 베네치아 시민으로서 항해하고 무역할 수 있는 특권을 부여했다.

5. 2. 유대인 사회

베네치아에 유대인이 존재했다는 가장 초기의 증거는 93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4] 12세기에는 약 1,000명의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으며, 이들은 주데카가 아니라 메스트레에 정착했다. 유대인들은 매일 메스트레를 떠나 베네치아로 가서, 산 마르코와 리알토 구역에서 일했다. 그들은 물품을 거래하고 돈을 빌려주었으며, 일부는 의료업에 종사했다. 고리대금업은 도시의 상업 활동에 필수적이었고, 유대인들은 시민권을 가지지 못했지만 5년 또는 10년마다 갱신되는 허가를 받아 수도에 들어갈 수 있었다. 1298년 5월 22일자 법령에 따라 대출 이자율은 10%에서 12% 사이로 제한되었고, 상업 거래에 5%의 세금이 부과되었다.[14]

1385년, 유대인 고리대금업자 그룹이 처음으로 석호에 살도록 허가받았다.[15] 1386년 9월 25일, 그들은 사망자를 매장하기 위해 산 니콜로 알 리도 수도원의 일부 토지 구매를 요청하여 승인받았고, 오늘날까지 운영되는 베네치아 유대인 묘지를 만들었다. 14세기 말, 유대인에 대한 제약이 강화되어 도시에 단 2주 동안만 머물 수 있었고, 16세기에 붉은 천으로 바뀌는 노란색 원을 식별 표지로 착용해야 했다.[14]

아냐델로 전투에서 캄브레이 동맹에 의해 패배한 후, 비첸차코넬리아노에서 많은 유대인들이 석호로 피난하여 기독교인과의 공존이 어려워졌다. 사회적 긴장 이후, 베네치아 게토는 1516년 3월 29일 이전에 제철소가 있었던 곳에 설립되었고, 1541년에는 레반틴 유대인을 수용하기 위해 확장되었다.[16][17] 유대인들의 작업은 카타버의 치안 판사의 감독 하에 놓였고, 게토의 전당포를 관리하는 것 외에도 중고 상품을 거래할 수 있었고, 게토는 중요한 상업 중심지가 되었다. 게토는 출신 국가를 기준으로 공동체로 나뉘었으며, 각 공동체는 자체 회당을 가지고 있었다.[18]

흑사병 이후 게토는 일부 동유럽 유대인들에 의해 다시 채워졌고 1633년에 게토가 확장되었지만,[19] 그 동안 베네치아는 중심성을 잃었고 유대인 공동체도 축소되기 시작했다. 그에 대한 세금이 증가했고 종파 운동이 시작되었다. 상황은 악화되어 1737년 공동체가 파산 선고를 했다.[20]

1770년에는 유대인이 5,026명으로, 베네치아 공화국 인구의 약 0.2%에 불과했지만,[14] 이 소수 민족을 위해 가톨릭 신자와의 관계와 시민의 자유를 제한하는 다양한 법률이 공포되었다. 거의 모든 유럽에서 유대인이 추방된 후, 베네치아의 유대인들은 도시의 혼란을 일으키지 않고 그들의 전통을 수행하고 회당에서 기도할 수 있도록 게토에 남도록 허용되었다.[14] 베네치아에는 서로 다른 베네치아 유대인 공동체, 즉 대학 또는 국가에 속한 다섯 개의 회당이 있었고, 각 회당마다 다른 의식을 따랐다.[18]

6. 문화

베네치아 공화국의 문화는 경제적, 정치적 발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16세기부터 국제 무역의 중심지가 대서양으로 이동하면서 경제적 활력은 쇠퇴했지만, 베네치아의 정치 체제는 18세기 계몽주의 철학자들에게 모범으로 여겨질 정도였다. 장 자크 루소는 1743년 베네치아 주재 프랑스 대사의 비서로 일하면서 정치 철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고, 이는 훗날 ''인간 불평등 기원론''(1755)과 ''사회 계약론''(1762) 집필로 이어졌다.[12]

성 마르코의 사자는 산 마르코 대학교 정면에 있다.


알렉산드리아에서 마르코 복음사가의 유해를 가져온 828년 이후, 베네치아는 수호성인 마르코와 특별한 관계를 맺었다. 마르코 성인은 베네치아의 주권을 수호하는 상징이 되었고, 공화국은 '성 마르코 공화국', 영토는 '테레 디 산 마르코'로 불렸다. 날개 달린 사자는 마르코 복음사가의 상징으로, 공화국의 깃발, 문장, 인장에 나타났으며, 도제들은 대관식에서 성인으로부터 곤팔론을 받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성 마르코 만세!"는 1797년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원정으로 공화국이 해체될 때까지 베네치아의 전투 구호였으며, 다니엘레 마닌과 니콜로 토마세오가 통치하는 부활한 공화국에서도 사용되었다. 라구나리 연대 "세레니시마"의 군인들은 오늘날에도 모든 공식 활동이나 의식에서 "산 마르코!"라는 구호를 사용하는데, 이는 세레니시마의 "파티 다 마르" 전통을 계승한 것이다.

공화국의 유일한 기사단은 성 마르코 훈장(도제의 훈장)이었다.

산 마르코 대성당


베네치아 공화국은 가톨릭을 국교로 인정했지만,[23] 다른 종교에 대해 비교적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177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86.5%가 가톨릭 신자였기 때문에 가톨릭 전통을 옹호하는 법률이 존재했다. 가톨릭 교회는 그라도 총대주교구를 통해 공화국 영토를 관리했으며, 1451년 베네치아 총대주교구가 설립되면서 산 피에트로 디 카스텔로 성당이 대성당 역할을 했다. 1807년 산 마르코 대성당으로 변경되기 전까지였다.[24] 반종교 개혁 기간 동안 종교 재판이 활동하여 조르다노 브루노 등 3,620명을 재판했다. 신앙 관련 범죄는 세속 법원에서 규제되었으며,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에게는 화형이 주로 적용되었다. 종교 재판은 기독교인에게만 권한이 있었고, 정부는 예배 장소 건설을 규제하고 교회에 대한 유증을 제한하는 등 종교에 대한 통제를 유지했다.

1655년 지오반니 그리마니가 건설한 산 사무엘레 극장


17세기까지 연극은 귀족 저택이나 이동식 극장에서 공연되었다. 1637년 최초의 영구 극장인 산 카시아노 극장이 개관하면서 극장이 확산되었고, 귀족들의 자금 지원으로 12개의 극장이 건설되어 비극과 멜로드라마가 주로 공연되었다. 아포스톨로 제노는 프랑스 비극에서 영감을 받아 멜로드라마를 개혁하여 절제된 형태로 만들었다.

코메디아 델라르테는 17세기에 덜 널리 퍼졌지만, 배우들의 즉흥 연주와 전형적인 캐릭터를 특징으로 했다. 카를로 골도니는 가면을 제거하고 정확한 대본을 도입하여 새로운 형태의 극장을 도입했고, 카를로 고치는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전통을 찬양하는 공연을 무대에 올렸다.

베네치아는 동방과의 상업적 관계로 인해 비잔틴 제국의 화려한 의상이 유행했다. 일반 사람들은 줄무늬 캔버스 드레스를 입었고, 귀족 여성들은 자수 놓인 실크 옷과 모피를 착용했다. 13세기 길드가 설립되면서 재단 기술이 규제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유럽 패션의 영향으로 귀족 여성들의 드레스가 화려해졌고, 남성들은 투톤 스타킹과 스커트를 입었다. 높은 나막신이 널리 퍼졌다. 바로크 시대에는 부라노 레이스로 장식된 과도하게 화려한 의상이 유행했다. 1488년 공화국은 사치스러운 옷을 제한하는 법률을 제정하고, 1514년에는 사치품 감시 기관을 설치했다.

17세기에는 가발과 분 사용이 시작되었고, 남성 의상은 부피가 커졌다. 18세기에는 ''벨라다''라는 망토가 남성 의상에 도입되었고, 여성들은 ''베스타 아 센다''라는 수수한 옷을 입었다. 가난한 여성들은 후드와 둥근 흰색 드레스를 입었다.

6. 1. 예술

베네치아 르네상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기본적인 양상 중 하나였다. 르네상스 미술은 1443년부터 1453년까지 도나텔로파도바에 머물면서 베네토에 전파되었고, 이후 스콰르치오네와 그의 제자들을 통해 회화로 확산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새로운 양식은 조반니 벨리니를 시작으로 (전통적으로 국제 고딕 문화와 연관된) 베네치아에도 퍼졌으며, 이후 베네치아 미술은 조르조네와 16세기 초 티치아노에 의해 혁신을 겪었다. 이 시대는 베로네세와 1594년에 사망한 틴토레토로 마무리되며 매너리즘으로의 전환을 알렸다.

6. 2. 출판

인쇄 및 기타 그래픽 아트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번성하는 경제 부문을 구성했으며, 기술, 인문학 및 과학 분야에서 베네치아의 지식과 발견을 전파하는 주요 수단이었다. 베네치아 출판의 시작은 15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특히 1469년 9월 18일 독일인 요한 폰 슈파이어의 노력으로 베네치아 정부가 출판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최초의 법률을 통과시키면서 출판업자에게 특정 작품을 인쇄할 독점적 권한을 부여하는 인쇄 특권을 부여했다.[21] 독일 커뮤니티 외에도 니콜라 젠슨이 이끄는 프랑스 커뮤니티도 15세기 말에 베네치아 인쇄기의 대부분을 소유했다.

1495년에서 1515년 사이 알두스 마누티우스는 나중에 유럽 전역으로 확산된 세 가지 혁신, 즉 8절판, 이탤릭체 문자 및 갈고리 모양의 쉼표를 통해 베네치아 출판을 더욱 발전시켰다. 이러한 발명품을 통해 그는 베네치아 최대의 출판업자가 되었고, 피에트로 벰보와 에라스무스를 포함한 당시의 주요 인문학자들을 끌어들였다.[22] 마누티우스 이후 피렌체 출신의 루칸토니오 주안티와 같은 많은 이탈리아 기업가들이 베네치아에 인쇄소를 열었고, 16세기 말에는 200개의 기업에 도달했으며, 각 기업은 유럽 도시의 평균보다 높은 도서 발행 부수를 기록했다. 베네치아 영토 곳곳에 흩어져 있는 많은 인쇄소로 인해 베네치아는 이 분야의 선두 주자가 되었으며, 15세기 마지막 20년 동안 유럽에서 발행된 책 10권 중 1권이 베네치아에서 인쇄되었다. 베네치아의 도서 생산은 출판업자를 위한 규칙뿐만 아니라 검열의 부재로 인해 장려되었다. 16세기에는 ''음란한 소네트''와 같이 유럽의 나머지 지역에서는 금지된 작품이 베네치아에서 인쇄되었다.

요하네스 구텐베르크활판 인쇄가 1460년대부터 이탈리아에 도입되면서 베네치아가 유럽 최대의 인쇄 중심지가 되었다. 베네치아의 인쇄 기술은 선명도, 종이 질, 글자체로 정평이 나 있으며, 현재는 초기 인쇄본이라고 불리는 인쇄물이 다수 제작되었다.

6. 3. 축제와 전통

1732년의 승천일 축제


16세기에 거행된 도제의 대행진


베네치아 공화국은 오랜 역사 동안 다양한 역사적, 민속적 전통을 가지고 있었으며, 일부는 공화국 멸망 후에도 여전히 기념되고 있다. 베네치아에서는 종교적 축일이 산마르코 대성당으로 향하는 매우 호화로운 행렬과 함께 기념되었으며, 도제, 다양한 정부 의회, 도시의 주요 스콜라가 이에 앞장섰다. 모든 주요 가톨릭 축일 외에도 도시의 수호 성인을 기념하는 성 마르코 축일도 똑같이 웅장하게 기념되었다.[1] 또한, 한 해 동안 티에폴로 음모의 실패나 도제 마리노 팔리에로가 꾸민 음모, 그리고 베네치아의 힘을 기념하는 마리아 축제와 같은 공화국 역사의 몇 가지 중요한 사건을 기리는 다양한 미사가 열렸다.[2]

가장 정치적으로 중요한 축제 중 하나는 승천일에 기념되는 승천일 축제였으며, 부첸타우로가 이끄는 보트 퍼레이드와 베네치아의 해상 지배력을 상징하는 바다 결혼 의식이 포함되었다.[3] 도제는 "바다와의 결혼" 의식을 거행할 의무가 있었는데, 이는 반지를 도제의 공식 좌승선인 부첸타우로에서 아드리아 해에 떨어뜨리는 것이었다. 이 제례는 피에트로 오르세올로 2세가 1000년의 승천제에 달마티아 정복을 기념하여 시작한 것이었다. 교황 알렉산데르 3세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가 1177년에 베네치아를 방문한 후, 이 축전은 더욱 성대하게 거행되었다.

도제는 그 외에도 산 마르코 광장에서 시작하는 대행진을 거행했다. 이 행진은 하급 공무원이 선두에 서고, 순서대로 상급 공무원이 이어지며, 도제가 중앙을 차지하고, 상급 귀족에서 하급 귀족으로 이어졌다. 프란체스코 산소비노는 1581년에 이 행렬의 상세한 내용을 기술했고, 체사레 베첼리오는 1586년에 이 대행진의 그림을 그렸다.

14세기 이후, 도제가 의식 때 썼던 관은 Corno ducale|코르노 두칼레it라고 불리는 것이다. 이것은 보석 세공이 된 비단의 보닛으로, 앞이 뿔처럼 뾰족했다. 이것은 부드러운 삼베의 Camauro|카마우로it 위에 썼다. 부활절 다음 날에 도제는 산 마르코 광장에서 산 자카리아 수도원까지 행진하여 그곳에서 원장 수녀로부터 수녀가 짠 새로운 카마우로를 받았다.

세속적인 축제 중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베네치아 카니발이었다. 이 축제는 전체 기간 동안 기념되었으며, 사육제와 참회 화요일에 주요 축하 행사가 열렸다. 다양한 종류의 춤과 공연 외에도, 카니발 마지막 일요일에는 스페인 투우와 유사한 소 사냥이 열렸다. 카니발 외에도 레가타가 열렸으며, 다른 축제와 마찬가지로 대규모 축하 행사와 행렬이 포함되었다.[4]

7. 연표

참조

[1] 웹사이트 VENEZIA E LA LINGUA UFFICIALE DELLO STATO VENETO https://dalvenetoalm[...] 2022-11-02
[2] 웹사이트 Venezia 1600: un dialetto e una lingua https://ilbolive.uni[...] Università di Padova 2021-05-29
[3] 서적 Eurasian Slavery, Ransom and Abolition in World History, 1200–1860 https://books.google[...] Ashgate 2015-12-23
[4] 서적 The realm of St. Stephen: A History of Medieval Hungary, 895–1526 I.B. Tauris 2001
[5] 서적 The Military Organisation of a Renaissance State, Venice c. 1400 to 161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6] PhD thesis Ἡ ἐν Κρήτῃ συνωμοσία τοῦ Σήφη Βλαστοῦ (1453–1454) καὶ ἡ νέα συνωμοτικὴ κίνησις τοῦ 1460–1462 http://thesis.ekt.gr[...] National and Kapodistrian University of Athens 2020-12-29
[7] 서적 The Ottoman Empire 1326–1699 Routledge
[8] 서적 E epibiose:odoiporiko se chronus meta ten Alose tes Basileusas (1453–1605 peripou) Ekd.Vergina 2010
[9] 웹사이트 Europe in an age of crisis 1600–1750 https://web.archive.[...] 2018-09-02
[10] 서적 The Jesuits and Italian Universities, 1548–1773 https://books.googl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22-01-05
[11] 서적 Venice: The Golden Age, 697–1797 https://books.google[...] Abbeville Press 2020-09-28
[12] 서적 Jean-Jacques Rousseau Tallandier 2012
[13] 웹사이트 Ravenna in età Veneziana http://www.storiadiv[...] 2020-01-22
[14] 웹사이트 Storia – Le origini: Gli ebrei a Venezia https://web.archive.[...] Jewish Community of Venice 2020-01-22
[15] 웹사이트 Storia – La prima condotta https://web.archive.[...] Jewish Community of Venice 2020-01-22
[16] 웹사이트 Storia – La nascita del Ghetto – I Tedeschi https://web.archive.[...] Jewish Community of Venice 2020-01-22
[17] 웹사이트 Storia – Levantini e Ponentini https://web.archive.[...] Jewish Community of Venice 2020-01-22
[18] 웹사이트 Storia – La Natione italiana https://web.archive.[...] Jewish Community of Venice 2020-01-22
[19] 웹사이트 Storia – La peste e la ripresa del Ghetto https://web.archive.[...] Jewish Community of Venice 2020-01-22
[20] 웹사이트 Storia – Dalla crisi economica al messianesimo di Sabbatai Zevi https://web.archive.[...] Jewish Community of Venice 2020-01-22
[21] 웹사이트 Privilegio di stampa https://www.treccani[...] Istituto della Enciclopedia Italianafondata da Giovanni Treccani S.p.A. 2024-04-03
[22] 웹사이트 Aldo Manuzio – Note biografiche https://web.archive.[...] 2020-02-11
[23] 서적 Controlling the State: Constitutionalism from Ancient Athens to Today Harvard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Storia del Patriarcato – Patriarcato di Venezia https://web.archive.[...] Patriarcato de Venezia 2019-02-07
[25] 웹사이트 Eta Ducale – Le risorse: le saline https://web.archive.[...] 2020-06-26
[26] 웹사이트 Storia dell'Arsenale https://www.comune.v[...] Città di Venezia 2020-03-19
[27] 웹사이트 Grozzo Enrico Dandolo https://numismatica-[...] 2019-02-16
[28] 웹사이트 Venezia https://numismatica-[...] 2019-02-16
[29] 웹사이트 Ducato https://numismatica-[...] 2019-02-16
[30] 서적 伊和中辞典(第2版) 小学館
[31] 백과사전 Venice http://www.newadvent[...]
[32] 서적 The Political Ideas of St. Thomas Aquinas Hafner Publishing Company
[33] 서적 The Prince http://press-pubs.uc[...] W.W. Norton & Co.
[34] 웹사이트 Electing the Doge of Venice: Analysis of a 13th Century Protocol https://ieeexplore.i[...] 2024-09-26
[35] 웹사이트 ヴェネツィア共和国の外国人貴族 https://cir.nii.ac.j[...] 桃山学院大学国際教養学部
[36] 논문 16世紀ヴェネツィアの門閥家系 : サン・マルコ財務官就任者の分析より https://cir.nii.ac.j[...]
[37] 논문 ハリントンの統治原理に関する一考察 http://www.law.nihon[...]
[38] 서적 ヴェネツィアの市場
[39] 서적 中世後期イタリアの商業と都市
[40] 서적 ヴェネツィアの市場
[41] 문서 "마르쿠스의 사자(Leone di San Marco)"의 발 아래 있는 "PAX TIBI MARCE EVANGELISTA MEUS"에 대한 설명
[42] 웹인용 VENEZIA E LA LINGUA UFFICIALE DELLO STATO VENETO https://dalvenetoalm[...] 2022-11-02
[43] 웹인용 Venezia 1600: un dialetto e una lingua https://ilbolive.uni[...] Università di Padova 2022-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