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굴은 자연적인 요인이나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형성된 지하 공간으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를 갖는다. 동굴은 화산 활동, 침식 작용, 용식 작용, 구조 운동 등 다양한 지질학적 과정에 의해 생성되며, 자연 동굴, 인공 동굴, 혼합형 동굴로 분류된다. 자연 동굴은 용암 동굴, 석회 동굴, 해식 동굴 등으로 나뉘며, 인공 동굴은 터널, 갱도 등이 있다. 동굴은 형태에 따라 수목상, 각상 네트워크, 망상, 해면상, 수지상, 피트 동굴 등으로 구분된다.

동굴은 다양한 생태계를 지원하며, 박쥐, 동굴 곤충, 올름 등 동굴 환경에 특화된 생물들이 서식한다. 인류는 동굴을 주거지, 종교 시설, 저장 시설 등으로 활용해 왔으며, 문화적, 예술적 가치를 지닌 유적과 유물이 발견되기도 한다. 동굴은 관광, 학술 연구,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며, 세계적으로 매머드 동굴, 베리요프키나 동굴 등 유명한 동굴들이 존재한다. 한국의 동굴은 아직 연구가 부족하며, 일본의 자료를 통해 일부 동굴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굴 - 종유석
    종유석은 동굴 천장에서 물이 증발하며 탄산 칼슘이 침전되어 자라나는 고드름 모양의 광물 덩어리이며, 석회암, 용암, 얼음, 콘크리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동굴 - 석순
    석순은 석회암 동굴에서 주로 발견되는 동굴 생성물로, 탄산 칼슘 등의 퇴적 작용으로 형성되어 종유석과 함께 석주를 만들기도 하며, 석회암 외에도 용암, 얼음, 콘크리트 등 다양한 환경에서 만들어지는 종류가 있다.
  • 해안지리학 - 암초
    암초는 물속에 잠겨있는 바위를 의미하며, 기원, 지리적 위치, 수심 등에 따라 분류되고, 해양법상 영해 등의 권한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해안지리학 - 갯벌
    갯벌은 조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쌓여 형성된 평탄한 지형으로, 생물 다양성 유지, 오염 물질 정화, 해안 침식 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간척 사업으로 면적이 감소하여 보존 및 복원 노력이 필요하며 한국 서해안과 남해안에 넓게 분포한다.
  • 지리에 관한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리에 관한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동굴
지도
명칭
영어Cave, Grotto, Cavern
한국어동굴
정의
설명지구 표면 아래의 자연적인 빈 공간
더 넓은 의미로는 땅속의 빈 공간을 포함
지질학적으로는 퇴적암, 용암, 석회암 등 다양한 지질 환경에서 발견되는 지하 공간
어원
영어cave: 고대 프랑스어의 'cave'에서 유래, '동굴, 구멍'을 의미
cavern: 고대 프랑스어의 'caverne'에서 유래, '동굴, 지하 저장소'를 의미
grotto: 이탈리아어의 'grotta'에서 유래, '작은 동굴'을 의미
형태 및 구조
크기작은 틈새부터 거대한 지하 공간까지 다양
형성석회암 동굴: 석회암이 탄산 작용으로 용해되어 형성
용암 동굴: 화산 활동 중 용암이 흐르면서 형성
해식 동굴: 파도와 조류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
주요 특징
내부 환경온도와 습도가 외부 환경과 다름
햇빛이 거의 없음
독특한 생태계 형성
생성물종유석, 석순, 석주 등의 동굴 생성물 발견
인간과의 관계
역사초기 인류의 거주지로 사용
종교적 의식 장소, 예술 활동의 공간으로 사용
현대에는 관광, 과학 연구 목적으로 활용
위험 요소낙석 위험
고립 및 길 잃음 위험
지하수 오염 가능성
관련 분야
연구 분야지질학, 생물학, 고고학,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동굴 탐험스펠레올로지 (speleology)

2. 동굴의 종류

동굴은 생성 원인에 따라 크게 자연 동굴, 인공 동굴, 혼합형 동굴로 나눌 수 있다.[36]


  • 자연 동굴: 동굴 생성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며, 석회암에서 용식 작용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6] 카르스트 지형에서 흔히 발견되며, 물이 흐르는 활동 동굴과 물이 흐르지 않는 잔류 동굴로 구분된다.[7]
  • 인공 동굴: 사람의 굴착으로 만들어진 동굴로, 선사 시대규암 광산 흔적이나 역사 시대 이후의 지하 광산, 터널, 방공호 등이 있다.[42]
  • 혼합형 동굴: 자연 동굴과 인공 동굴의 특징을 모두 가지는 동굴이다.[36]

2. 1. 자연 동굴

동굴은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지하 공간이다. 동굴의 형성과 발달은 동굴 생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백만 년에 걸쳐 일어날 수 있다.[4] 동굴은 화학적 과정, 물에 의한 침식, 지각 운동, 미생물, 압력 및 대기 영향 등 다양한 지질학적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4]

카르스트 동굴의 경우, 최대 깊이는 용해성 탄산염암의 기저부와 일치하는 카르스트 형성 과정의 하한선을 기준으로 결정된다.[5] 대부분의 동굴은 석회암에서 용식에 의해 형성된다.[6]

동굴은 물이 흐르는 활동 동굴과 물이 흐르지 않는 잔류 동굴로 구분할 수 있으며, 활동 동굴은 하천의 유입과 유출 여부에 따라 유입 동굴, 유출 동굴, 관통 동굴로 나뉜다.[7]

2. 1. 1. 형성과정(Formation types)에 따른 분류

동굴은 다양한 지질학적 과정을 통해 형성되며, 수백만 년에 걸쳐 발달한다. 이러한 과정에는 화학적 작용, 침식, 지각 운동, 미생물, 압력, 대기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4]

동굴은 활동 여부에 따라 물이 흐르는 활동 동굴과 물이 흐르지 않는 잔류 동굴로 나눌 수 있다. 활동 동굴은 다시 하천의 유입/유출 여부에 따라 유입 동굴, 유출 동굴, 관통 동굴로 분류된다.[7]

형성 과정에 따라 동굴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36]

유형설명세부 유형
용식 동굴(카르스트 동굴)지하수 속 천연 산이 층리면, 단층, 절리 등을 통해 스며들어 암석을 용해시켜 형성. 가장 흔한 동굴 형태.석회암 동굴, 석고 동굴, 암염 동굴, 빙하 동굴 등
주동굴주변 암석과 동시에 형성된 동굴용암동굴(화산 활동), 리프트 동굴, 가스 분출공 동굴 등
해식동해안가에서 파도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
침식 동굴흐르는 물, 바람 등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해식동, 호식 동굴, 하식 동굴, 풍식 동굴(바람)
단층 동굴용해도가 높은 광물층이 용해도가 낮은 암석층 사이에서 용해될 때 형성
안키알린 동굴해안가에 위치하며 담수와 염수가 섞여 있는 동굴
구조 동굴절리 동굴, 단층 동굴, 지진 동굴 등
기타인류 이외의 동물에 의한 굴착 동굴


  • 용식 동굴 (카르스트 동굴): 가장 흔한 형태의 동굴로, 석회암, 백악(석회암), 돌로마이트(돌로마이트), 대리석, 암염, 석고 등 용해 가능한 암석에서 형성된다.[6] 지하수 속의 천연 산(탄산, 유기산 등)이 암석의 틈을 따라 스며들면서 암석을 용해시켜 동굴을 만든다. 뉴멕시코주레추기야 동굴과 카슬바드 동굴은 황화수소(H2S) 가스가 지하수와 반응하여 생성된 황산(H2SO4)에 의해 석회암이 용해되어 형성된 특별한 예시이다.
  • 주동굴: 주변 암석과 동시에 형성되는 동굴을 말한다. 용암동굴은 화산 활동 중 용암이 흐르면서 표면은 굳고 내부는 계속 흘러 빈 공간이 생겨 형성되는 주동굴의 일종이다. 카나리아 제도, 제주도, 아이다호주 동부 현무암 평원 등에서 발견된다.[9] 하와이 히로 인근 카즈무라 동굴은 길이 65.6km에 달하는 매우 길고 깊은 용암동굴이다.
  • 해식동: 파도의 침식 작용으로 해안 절벽의 약한 부분이 깎여 나가면서 형성되는 동굴이다.
  • 침식 동굴: 흐르는 물이나 바람에 의해 암석이 침식되어 만들어지는 동굴이다.
  • 빙하 동굴: 빙하 내부에서 얼음이 녹으면서 만들어지는 동굴이다.
  • 단층 동굴: 석고와 같이 용해도가 높은 광물층이 용해되면서 암석이 붕괴하여 형성된다.[10]
  • 안키알린 동굴 (Anchialine caves): 주로 해안가에 위치하며 담수와 염수가 섞여 있는 동굴이다. 고유한 생물군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12]

2. 1. 2. 생성 작용에 따른 분류

일본에서는 생성의 주된 작용에 따라 동굴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기도 한다.[36]

종류설명
화산동굴리프트 동굴, 가스 분출공 동굴, 용암동굴 등
침식동굴해식동굴, 호식동굴, 하식동굴, 풍식동굴
용식 동굴석회암동굴, 석고동굴, 암염동굴, 빙하 동굴 등
구조동굴절리동굴, 단층동굴, 지진동굴 등
인류 이외의 동물에 의한 굴착 동굴


2. 2. 인공 동굴

넓은 의미에서 동굴은 자연동굴, 인공동굴, 혼성동굴로 나뉜다.[36] 인공동굴에는 대피소, 터널, 갱도 등이 있다.[36]

인공 동굴은 굴착 작용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여기에는 선사시대와 역사시대 이후의 굴착이 포함된다.[42]

  • 선사시대: 유럽에는 신석기 시대의 동굴 형태 규암 광산 흔적이 많으며, 케냐에는 코끼리나 물소가 염류를 찾아 판 동굴이 있다.[42]
  • 역사시대 이후: 지하 광산 채굴 흔적, 터널이나 방공호, 지하 수로, 지하 묘지/사찰, 지하 주거 등이 있다.[42]

2. 3. 혼합형 동굴

혼합형 동굴은 넓은 의미에서 자연동굴, 인공동굴과 함께 동굴의 한 종류이다.[36] 자연 동굴과 인공 동굴의 특징을 모두 가지며, 광산 갱도와 자연 동굴이 연결된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36]

3. 동굴의 형태적 패턴 (Physical patterns)

동굴은 그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수지상 동굴 (Dendritic caves): 지표의 수지상 하천 패턴과 유사하게, 하류로 합류하는 지류와 같은 통로로 구성된다. 가장 흔한 동굴 패턴이며, 싱크홀 근처에서 지하수 함양이 발생하는 곳에서 형성된다. 각 통로는 별도의 함양원에서 공급받고 하류의 다른 상위 가지로 합쳐진다.[13]

카스텔라나 동굴 (Castellana Caves), 이탈리아

  • 각상 동굴 (Angulate caves): 화학적 침식에 의해 균열이 확장된 탄산염암의 교차 균열에서 형성된다. 균열은 넓게 닫힌 고리에 지속되는 높고 좁고 직선적인 통로를 형성한다.[13]
  • 망상 동굴 (Anastomotic caves): 통로가 분리되었다가 하류로 더 내려가서 만나는 지표의 층상 하천과 매우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지층이나 구조를 따라 형성되며, 상부 또는 하부 지층으로 교차하는 경우는 드물다.[13]
  • 해면상 동굴 (Spongework caves): 화학적으로 다양한 물이 혼합됨으로써 용해 공동이 연결될 때 형성된다. 공동은 3차원적이고 무작위적인 패턴을 형성하여 해면과 유사하다.[13]
  • 수평 동굴: 불규칙한 대형 공간, 갤러리 및 통로로 형성된다. 황화수소가 풍부한 물로 탄산염암을 침식하는 상승하는 지하수면에서 형성된다.[13]
  • 피트 동굴(수직 동굴, 포트홀 또는 단순히 "피트"): 수평 동굴 통로가 아니라 수직 갱으로 구성된다. 위에 언급된 구조적 패턴 중 하나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4. 동굴의 생태

동굴은 햇빛이 들지 않고 온도와 습도가 비교적 일정한 환경을 가지고 있어,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한다. 동굴에서만 사는 특별한 생명체들이 간혹 발견되는데, 박쥐 등이 대표적인 동굴 생물이다.[50]

조류 중에는 베네수엘라의 왕쏙독새와 같이 동굴 속에 둥지를 만드는 경우가 있다. 이들은 야행성이기 때문에 거의 암흑 속에서 생활하며, 음향을 이용하여 날아서 먹이를 잡는 구조가 발달되어 있다. 일생을 동굴 내 암흑 속에서 지내는 동물들은 동굴 밖 근연종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양서류보다도 하등한 동물로 몸은 작고 가늘며 색소가 결핍되어 엷은색을 띠고 있다. 아드리아 해안 가까이에 있는 동굴 물속에 사는 양서류인 올름은 몸이 흰색이고 장님이다. 북아메리카에는 2종 이상의 동굴생 도롱뇽이 살고 있다. 어류로는 카라신과의 장님동춘고기가 있다. 이것의 눈은 퇴화되었고 몸은 흰색이며, 동굴생활을 하는 다른 어류와 마찬가지로 몸길이가 7.5cm 이상 되는 일은 드물다. 갑각류인 징거미 새우 등 새우류에는 동굴생이 많다.[50]

캘리포니아 동굴의 타운센드 큰귀박쥐들


슬로베니아 동굴의 올름들


동굴 생물은 그 특성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동굴 외부와 출입하는 것: 박쥐올빼미(아브라요타카), 동굴곰(호라아나구마)처럼 외부에서 먹이를 찾고 동굴 안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번식을 하는 것, 또는 꼽등이(카마도우마)나 바퀴벌레류처럼 어두운 곳을 좋아해서 동굴에서도 많이 발견되는 것들이 있다. 이들은 분포 범위가 넓어 종유동뿐만 아니라 용암동굴, 해식동, 인공 동굴에서도 발견된다.
  • 거의 동굴에만 서식하는 것: 동굴 내에서만 발견되거나, 주변 지하수 등에서도 발견되는 것들이다. 특수한 적응이 관찰되거나 고유종인 경우가 많으며, 동굴 내부의 독특한 환경에 특화·특수화가 진행된 것이 많다. 절지동물 종류가 많고, 대개는 많은 종류의 종유동에서 발견되지만, 최근 생성된 후지산 용암동굴이나 인공적인 오래된 갱도에서도 발견된다는 점에서 동굴 내 진화·적응이라는 생각이 수정되었다.[43] 프로테우스(호라이모리)나 동굴성 어류 등이 알려져 있다.


인간을 포함한 많은 지표면 생물도 동굴을 방문하지만, 빛과 양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만 머무른다. 동굴 입구에는 일반적인 식물상이 종종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동부 온대 미국에서는 동굴 입구에 작은 알뿌리 고사리인 ''Cystopteris bulbifera''가 흔하게 서식한다.

4. 1. 동굴 생물

동굴에 서식하는 동물은 서식 환경에 따라 동굴성 동물(동굴에만 사는 종), 동굴성 친화 동물(동굴과 다른 환경 모두에서 서식하는 종), 동굴성 비친화 동물(동굴을 이용하지만 동굴에서 생활사를 마칠 수 없는 종), 우연히 들어온 동물 등으로 분류된다.[50] 수생 동굴성 동물은 별도로 지하수성 동물, 지하수성 친화 동물, 지하수성 비친화 동물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동굴성 동물은 지하 생활에 적응하여 색소가 없어 창백하거나 흰색을 띠고, 눈이 없거나 시각 기능이 약화된 경우가 많다. 또한, 부속지가 길어지거나 다른 감각이 발달하는 등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수생 동굴성 동물은 동굴 내 물속에 서식하며, 씻겨 들어온 부유물이나 박쥐 등의 배설물에서 영양분을 얻는다. 올름[50], 텍사스 맹인 도롱뇽, 앨라배마 동굴 새우 등이 대표적이다.

동굴 곤충인 Oligaphorura schoetti는 동굴성 친화 동물로, 몸길이가 1.7mm에 달하며, 암컷이 대부분이지만 수컷 표본도 발견된 적이 있다.

회색박쥐, 멕시코 자유꼬리박쥐와 같은 박쥐[50]는 동굴성 비친화 동물이며, 동굴 밖에서 먹이를 찾는다. 일부 동굴 귀뚜라미도 낮에는 동굴에서 휴식을 취하고 밤에는 지상에서 먹이를 찾아 동굴성 비친화 동물로 분류된다.

동굴 생태계는 취약하고 고립된 환경 때문에 이빨 동굴 거미, 리피스티우스 함정문 거미, 회색박쥐와 같은 여러 멸종 위기종이 서식한다.

5. 동굴의 이용과 문화

인류는 역사를 통틀어 동굴을 이용해왔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스터크폰테인, 스와르트크란스 등 여러 동굴 유적지에서는 300만 년에서 100만 년 전 사이의 다양한 초기 인류 종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여기에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 ''파란트로푸스 로부스투스'' 등이 포함된다.

약 18만 년 전 초기 현생 인류는 남아프리카에서 바다를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해안 동굴을 피난처로 사용했다.[26] 피나클 포인트의 PP13B는 가장 오래된 유적 중 하나로, 약 6만~5만 년 전 인류의 빠른 확산에 기여했을 수 있다. 남아프리카, 호주, 유럽 등지에서 초기 현생 인류는 자이언츠 캐슬과 같은 암벽화 유적지에 동굴과 바위 그늘을 사용했다. 중국의 야오둥은 피난처로, 다른 동굴들은 매장지(암굴묘)나 종교적 장소(불교 동굴)로 사용되었다. 천불동[27]과 크레타의 신성한 동굴이 대표적인 신성한 동굴이다.

구석기 시대 동굴 벽화는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며, 비구상 예술은 6만 4800년 전[28], 구상 예술은 4만 3900년 전[29]의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에서는 동굴 안에 신불을 모시거나(미야자키현 우도신궁, 사이타마현 하시다테 종유동 등) 동굴 자체를 신체로 삼는 경우가 많다.

5. 1. 이용

인류는 선사시대부터 동굴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해 왔다. 초기 인류는 동굴을 주거 공간, 피난처, 매장지로 사용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여러 동굴에서는 300만 년에서 100만 년 전 사이의 초기 인류 화석이 발견되기도 했다.[26]

손의 동굴


시간이 흐르면서 동굴은 종교적, 제사적, 수행 장소로도 활용되었다. 중국의 천불동,[27] 크레타의 신성한 동굴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또한, 동굴은 농산물 저장, 와인 양조, 버섯 재배, 빙실 등 저장 시설로도 이용되었다. 온천이 용출되는 카르스트 지형에서는 동굴이 목욕탕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타이노 암벽화가 있는 푸에르토리코의 동굴


일부 동굴은 호흡기 질환 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동굴 치료) 동굴 내부의 용출수, 석순, 동굴 퇴적물은 자원으로 이용된다.

현대에 들어 동굴은 관광, 학술 연구, 스포츠 (동굴 탐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5. 2. 문화

문화적으로 동굴은 사후 세계나 이세계로의 입구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이자나기노미코토가 이자나미노미코토를 찾아 요미노쿠니로 간 것도 지하로 이어지는 동굴을 통해서였다. 류큐 지방에서는 과거에 씻은 뼈를 다시 매장하기 위한(풍장) 석회암의 작은 동굴이 이용되었다.[44]

동굴은 어둡고, 실종되기 쉬우며, 수직 구멍에 빠지거나 위험한 짐승이 서식하는 등 위험한 곳이기도 하다. 중국에서는 호랑이가 동굴에 산다고 여겨지며, 요괴나 악귀의 은신처로 여겨지기도 한다. 일본에도 기괴한 전설이 있는 동굴이 많다. 영웅의 모험담에는 동굴 탐험 중 맹수나 악귀를 물리치는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롤플레잉 게임던전은 이러한 동굴 모험담을 본뜬 것이다.[44]

동굴과 관련된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45]

방언지역설명
유가마홋카이도온수가 솟는 곳
와쿠즈이와이즈미지하수가 솟는 곳
후토코로아이치
가마치치부
즈리도오시아즈미
신키치아나오가사와라
우도이요
카나치아나비츄종유동의 뜻
지바스아키요시수직으로 뚫린 구멍의 뜻
하토아나히라오다이수직으로 뚫린 구멍의 뜻
무고·테울·예·이요·가마·가마·가네·아부·미도·쿠무이·구류큐
클라고·그라고·클라가·아브가·갈라갈라·우리카·카라류큐지하수가 흐르는 동굴의 뜻


6. 동굴의 음향학

동굴에서 소리의 중요성은 현대 음향학에 대한 이해보다 앞선다. 고고학자들은 스페인과 프랑스의 동굴 내부에서 특정 공명 영역에 있는 점과 선의 그림들과 구석기 시대의 모티프를 묘사한 악기들을 발견했는데[30], 이는 음악 행사와 의식의 지표이다. 그림들이 밀집된 곳은 종종 주목할 만한 음향 특성을 지닌 곳에 있었고, 때로는 벽에 묘사된 동물의 소리를 재현하기도 했다. 인간의 목소리 또한 횃불이 효과적이지 않은 동굴의 어두운 지역을 탐색하기 위한 반향 위치 측정 장치로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이론이 있다.[31] 붉은 황토 점들은 종종 공명이 가장 높은 공간, 그림을 그리기가 너무 어려운 곳에서 발견된다.[32]

동굴은 현대 음향 탐험가들에게도 계속해서 활용되고 있다. 오늘날 컴벌랜드 동굴은 현대 음악에서 동굴을 사용하는 가장 좋은 예 중 하나를 제공한다. 동굴은 잔향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표면의 감쇠 특성에도 활용된다. 컴벌랜드 동굴의 벽의 불규칙성은 벽에서 반사되는 소리를 확산시켜 거의 레코딩 스튜디오와 같은 음질을 제공한다.[33] 20세기 동안 다이너 쇼어, 로이 아커프, 베니 굿맨과 같은 음악가들은 동굴을 클럽과 콘서트홀로 사용할 가능성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오늘날과 달리, 이러한 초기 공연은 대개 동굴 입구에서 열렸는데, 기술 부족으로 내부 깊숙한 곳까지 음악 장비를 가지고 접근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34] 버지니아주 루레이 동굴에는 종유석을 망치로 타격하여 소리를 생성하는, 각각 다른 음높이를 가진 기능적인 오르간이 개발되었다.[35]

7. 세계의 동굴

동굴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지만, 기록된 동굴 시스템의 분포는 프랑스, 이탈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미국 등 오랫동안 동굴 탐험이 활발했던 국가들에 집중되어 있다. 탐사된 동굴은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에 널리 분포하지만,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남극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

이는 일반적인 경향이며, 북아메리카아시아의 광대한 지역에는 기록된 동굴이 없지만, 마다가스카르 건조낙엽수림과 브라질의 일부 지역에는 많은 동굴이 기록되어 있다. 중국은 전 세계 노출된 석회암의 약 절반(100만km² 이상)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록된 동굴은 비교적 적다.

7. 1. 기록 (Records and superlatives)


  • 측량된 통로의 총 길이가 가장 긴 동굴 체계는 미국 켄터키주에 있는 매머드 동굴로 675.9km이다.[14][15]
  • 측량된 수중 동굴 중 가장 길고, 전체적으로 두 번째로 긴 동굴은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있는 시스테마 옥 벨 하로 436km이다.[16]
  • 가장 깊은 동굴(최고 입구에서 최저 지점까지 측정)은 조지아 압하지아에 있는 베리요프키나 동굴로 깊이가 2204m이다.[17]
  • 동굴 내 가장 깊은 수직갱은 슬로베니아의 브르토글라비차 동굴에 있는 603m이다.[18]
  • 수중 동굴에서 원격 조종 수중 차량(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이 도달한 최대 깊이는 체코의 흐라니체 협곡의 450m이다.[19]
  • 묘실은 부피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방으로, 측정된 부피는 10780000m3이다.[20]
  • 면적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방은 말레이시아 사라왁 미리 보르네오에 있는 구눙 멀루 국립공원의 사라왁 챔버로, 면적은 154500m2이다.[20]
  •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통로는 베트남 꽝빈성에 있는 퐁냐-께방 국립공원의 손둥 동굴에 있다. 길이는 4.6km이고, 대부분의 길이에서 높이와 폭이 80m이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140m이 넘는다.[21]

8. 한국의 동굴

한국에는 다양한 종류의 석회암 동굴용암 동굴이 분포한다.

8. 1. 한국의 주요 동굴

원본 문서에는 한국의 주요 동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일본의 동굴 목록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주어진 원본 소스만으로는 '한국의 주요 동굴' 섹션에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 섹션 제목과 일치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빈 내용으로 출력한다.

8. 2. 총 연장 길이 순위 (일본 자료)

2006년 5월 기준으로 일본 동굴 탐험 협회에서 조사한 일본의 동굴 총 연장 길이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명칭소재지총 연장 (m)참고 문헌/출처
1안가동이와테현이와이즈미정23,700https://www.j-cave.jp/about/index.html NPO법인 일본동굴탐험협회 2006/5
2다이센스이쿄쿠도가고시마현치나정10,483https://150.7.63.68/caving/erabu/ 오키나에라부섬 동굴탐험대 14차대
3가와치후카나시가현타가정10,0202012. 도쿄스페레오클럽
4아키요시도-풍혈-갓케아나야마구치현미네시8,850.0야마구치 케이빙클럽 회보, no.45, 2010.
5우치마키도이와테현쿠지시6,013.8
6큐센도쿠마모토현쿠마촌4,80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7타카가아나야마구치현미네시4,532.0서아키요시다이 타카가아나 석회동 학술조사보고, 1981. 아키요시정・아키요시정교육위원회;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8규센도오키나와현난조시4,50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8신케이겐 케이브 시스템오키나와현타마키손4,500.0케이빙 입문과 가이드, 1995. 산과 계곡사
10히오토리 케이브 시스템(히오토리도-츠보사와아나)이와테현이와이즈미정3,902https://www.j-cave.jp/sugawatari/index.html NPO법인 일본동굴탐험협회
11곤보우조네-본고야의 아나오카야마현신미시3,389.5보고서 제11집, 2001. 오카야마대학 케이빙클럽
12아부쿠마도-다이타키네도-오니아나후쿠시마현다무라시3,300.0
13히하라미타마타도도쿄도오쿠타마정3,22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14백련동(공혈 제2동)이와테현스미다정3,20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14이시가키섬 종유동(구 류구조 종유동・마리아이저)오키나와현이시가키시3,20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16사사렌도야마구치현하기시3,021일본동굴학회 제35회 대회 아키요시다이 대회자료집, 2009. 일본동굴학회 외
17코이케노아나가고시마현 치나정3,000.0
18긴스이도가고시마현 치나정2,903.6
19쿠마이시도기후현구조시2,853.0석회동 보고서, no.21-22, 1982. 야마구치대학 동굴연구회
20다이아나 종유동후쿠시마현미나미소마시2,772.2
21후쿠라이구치 종유동니가타현이토이가와시2,715.0
22니시시모쿠 가마오키나와현요미탄손2,57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23메이겐도이와테현2,500.0
24나카토도미야자키현시이바손2,351.0석회동 보고서, no.23/37, 1996. 야마구치대학 동굴연구회
25류가도고치현코미시2,30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26이와야노아나오카야마현마니와시2,276.2보고서 제11집, 2001. 오카야마대학 케이빙클럽
27호슈도가고시마현 치나정2,191.0
28메지로도-수원지의 아나후쿠오카현기타큐슈시2,160.0
29히메사카카나치아나(히메사카카나치아나)-호시아나-다이아나오카야마현신미시2,118.5보고서 제12집, 2016. 오카야마대학 케이빙클럽
30고도오키나와현기노완시2,10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31타키야도사이타마현치치부시2,088.0
32긴가도가고시마현이센정2,052.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33쇼류도 조도(석화동-도겐도-카다레도-유케이도)가고시마현치나정2,047CAVING JOURNAL, no.38, 2010. 일본동굴학회
34세이류굴-타다노이와야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2,000.0야마구치대학 동굴연구회 1983년 측량의 미공표 데이터(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34이나즈미 수중종유동오이타현토요후쿠오노시2,000.0
36모모노키도이와테현 이와이즈미정1,820.0
37키리아나미에현오오키정1,789.5
38스와도오카야마현 마니와시1,750.0
38코하나 종유동오이타현사에키시1,750.0JAPAN CAVING, vol.17, no.3-4, 1988. 일본케이빙협회
40케이세이도-산각다도-사자노누케아나야마구치현미네시1,745.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41미즈나시 종유동후쿠오카현이토시마시1,630.0석회동의 연구, no.4, 1980. 동굴학연구회
42하쿠호도가고시마현 치나정1,586.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1] 보고서 제6집, 1985. 오카야마대학 케이빙클럽.
43야지가마오키나와현 난조시1,565.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44테라야마노아나야마구치현 미네시1,533.0석회동 보고서, no.17, 1976. 야마구치대학 동굴연구회
45텐고노아나기후현야마가타시1,515.0기후대학 교육학부 연구보고(자연과학),vol.5, no.1, 1972.
46우야마도오카야마현 신미시1,514.9보고서 제11집, 2001. 오카야마대학 케이빙클럽
47도구치노아나?잘못된 데이터?야마구치현 미네시1,500.0*** 잘못된 데이터?
48야코이코〜사키시라즈이코나가사키현 고토시 토미에정1,420동굴연구, no.4, 1971. 야마구치 케이빙클럽
49하지죠후카나 제1도쿄도 하치죠정1,403.0동인, vol.2, no.3, 1980. 일본동굴협회
50쿠라자와 종유동도쿄도 오쿠타마정1,40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50타키칸도이와테현 스미다정1,40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52미츠이케아나시즈오카현후지노미야시1,376.1동인, vol.2, no.3, 1980. 일본동굴협회
53인가마고가고시마현 와도쿠정1,352.0
54다이아나이와테현 이와이즈미정1,35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55후카도케이케 후카나시가현타가정1,326.0
56쇼류도 카도(무겐도-하쿠자도)가고시마현 치나정1,30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56타바루가마(동구 매몰)오키나와현 기노완시1,30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58우시오이 고야노아나오카야마현 신미시1,293.4보고서 제12집, 2016. 오카야마대학 케이빙클럽
59후사도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1,292.0
60히하라 종유동도쿄도 오쿠타마정1,27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61후진 종유동(후진도)쿠마모토현미후네정1,227.0
62류센도이와테현 이와이즈미정1,20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62후동도후쿠오카현유쿠하시시1,200.0
64큐세세도쿠마모토현고무라1,186.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65와노아나가고시마현 와도쿠정1,108.3
66사라하치로노아나(사라무카이노아나-하치로사와노후카나)이와테현 이와이즈미정1,103.0
67헤비노아나오카야마현이하라시1,100.2보고서 제8집, 1989. 오카야마대학 케이빙클럽
68류겐도(시카노이데우에노아나)야마구치현 미네시1,100.0아키요시다이 동굴 목록과 측도, 1996. 야마구치 케이빙클럽
69다이킨포도쿠마모토현야츠시로시1,093.0
70미야마 종유동(구죠하치만 다이종유동)기후현 구조시1,085.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71한자키 다이종유동가고시마현와도쿠정1,072.0
72백련동니가타현 이토이가와시1,06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73공혈 제4동이와테현 스미다정1,050.0JAPAN CAVING 이와테현 스미다정 동굴 특집호, 1981; 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74류가이와도시즈오카현하마마츠시1,046.0
75다이가마타자와・케이야도사이타마현 치치부시1,041.0
76이누가모리노아나야마구치현 미네시1,032.0석회동 보고서, no.21-22, 1982. 야마구치대학 동굴연구회
77케이야도사이타마현 치치부시1,029.0
78센닌도이와테현토노시1,006.0
79다이가쿠 종유동도쿄도아키루노시1,002.0JAPAN CAVING, vol.17, 1988. 일본케이빙협회
80산호동기후현야마가타시1,000.0
80다이쿠라 종유동(불혈)군마현미나미마키촌1,000.0
80야가와-극락동가고시마현요론정1,00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80이사무 안카와오키나와현우루마시1,000.0
80마지문도오키나와현 난조시1,000.0일본의 대동굴, 1987. 일본케이빙협회



이 자료는 일본에서 조사된 자료이므로, 한국에서 조사된 자료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8. 3. 한국 동굴 연구의 과제

한국의 동굴, 특히 석회암 동굴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며, 동굴 생태계 보존 및 지속 가능한 이용 방안에 대한 연구도 요구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자연유산의 가치를 인식하고, 보존과 활용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참조

[1] 사전 cave OED
[2] 서적 California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3] 서적 Reconstructing Quaternary Environmen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4] 학술지 Two million years of river and cave aggradation in NE Brazil: Implications for speleogenesis and landscape evolution 2016-11-15
[5] 웹사이트 Karst Terminology http://www.rgo-spele[...] The Commission for Speleology and Karst, Moscow Center of the Russian Geographical Society 1991
[6] 웹사이트 How Caves Form https://www.pbs.org/[...] Nova (American TV series) 2013-07-01
[7] 서적 The Cave Book https://books.google[...] New Leaf 2008
[8] 웹사이트 Learning about caves; how caves are formed http://www.amazingca[...] Project Underground 2009-09-08
[9] 서적 Encyclopedia of Caves Elsevier Academic Press
[10] 학술지 Merging the concepts of pseudokarst and paleoseismicity in Sweden: A unified theory on the formation of fractures, fracture caves, and angular block heape 2018-09
[11] 학술지 Talus Caves: Geotourist Attractions Formed by Spheroidal and Exfoliation Weathering on Akure-Ado Inselbergs, Southwestern Nigeria. 2011-01-01
[12] 웹사이트 Peldanga Labyrinth (Liepniekvalka Caves), Latvia - redzet.eu https://www.redzet.e[...] 2020-05-17
[13] 서적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nd edition] Prentice Hall
[14] 웹사이트 World's Longest Caves List from The National Speleological Society https://www.caverbob[...] 2022-08-21
[15] 웹사이트 Mammoth Cave Just Got A Little More "Mammoth" - Mammoth Cave National Park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2-09-08
[16] 웹사이트 CINDAQ 2022 Annual report https://www.cindaq.o[...] El Centro Investigador del Sistema Acuífero de Quintana Roo A.C.(CINDAQ) 2023-01-26
[17] 웹사이트 World's Deepest Caves List from The National Speleological Society http://www.caverbob.[...]
[18] 웹사이트 Iranian cavers discover one of the world's deepest shafts http://darknessbelow[...]
[19] 뉴스 Hranice Abyss is believed to be 1200 m. deep (in Czech) https://www.novinky.[...] 2022-08
[20] 뉴스 China's "Supercave" Takes Title as World's Most Enormous Cavern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4-09-28
[21] 뉴스 World's Biggest Cave Found in Vietnam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09-07-04
[22] 서적 World Heritage Sites: a Complete Guide to 1007 UNESCO World Heritage Sites UNESCO Publishing 2014
[23] 웹사이트 Cueva de las Manos, Río Pintura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4] 서적 Art & Place: Site-Specific Art of the Americas. https://www.worldcat[...] Phaidon Press 2013
[25] 서적 El arte rupestre de Argentina indígena: Patagonia https://books.google[...] Grupo Abierto Communicaciones
[26] 학술지 Early human use of marine resources and pigment in South Africa during the Middle Pleistocene http://doc.rero.ch/r[...] 2007
[27] 서적 Sacred Places Around the World: 108 Destinations https://books.google[...] CCC Publishing
[28] 학술지 U-Th dating of carbonate crusts reveals Neandertal origin of Iberian cave art
[29] 학술지 Earliest hunting scene in prehistoric art. 2019-12-11
[30] 학술지 Cave acoustics in prehistory: Exploring the association of Palaeolithic visual motifs and acoustic response 2017-09-11
[31] 뉴스 Turns out, cavemen loved to sing http://www.nbcnews.c[...] 2008-07-03
[32] 뉴스 Music Went With Cave Art In Prehistoric Caves https://www.scienced[...]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2008-07-05
[33] 뉴스 Cumberland Caverns: A Subterranean Concert Venue In Tennessee https://www.npr.org/[...] 2015-08-11
[34] 웹사이트 Why Brandi Carlile, Steve Earle and More Are Performing in a Tennessee Cave https://www.rollings[...] 2018-06-04
[35] Youtube Real Live Cave Music: Marvel at the World's Largest Instrument https://www.youtube.[...] 2016-02-03
[36] 웹사이트 洞窟・鍾乳石と人間 http://www.cave-ens.[...] 洞窟環境NET学会 2019-10-22
[37] 웹사이트 特集 潜入! 巨大結晶の洞窟 https://natgeo.nikke[...] 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2019-10-04
[38] 웹사이트 月面には200個の垂直洞窟が存在している、NASAの月面観測衛星による調査で判明 http://jp.sciencenew[...] 2019-10-04
[39] 뉴스 ???????????? 朝日新聞社 2019-10-04
[40] 서적 Morphogenetics of Karst Region Adam Hilger 1977
[41] 참고자료 ナショジオ 2019-10-04
[42] 참고자료 アニマ 2019-10-04
[43] 참고자료 上野・鹿島 2019-10-04
[44] 참고자료 遠藤 2019-10-04
[45] 참고자료 日本地理学会 2019-10-04
[46] 뉴스 洞窟の長さ238.38キロと確認 貴州・双河洞、アジア最大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AFP) 2018-04-14
[47] 웹사이트 世界的冒険家のディーン・ポッター氏が墜落死 米国ヨセミテ国立公園で何が起きたのか https://natgeo.nikke[...] 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2018-04-16
[48] 웹사이트 絶景ロケ地多数!ノーCGアクション映画「X−ミッション」の凄すぎるロケ地まとめ https://retrip.jp/ar[...] 株式会社trippiece 2018-04-16
[49] 뉴스 世界一深い水中洞窟を発見 「21世紀のコロンブスになった気分だ」 https://www.huffingt[...] ハフポスト 2018-04-22
[50] 글로벌2 동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