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변상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상벽은 조선 숙종과 영조 시대에 활동한 화가로, 자는 완보, 호는 화재이다. 고양이와 닭 그림에 능하여 '변고양이', '변닭'이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초상화에도 뛰어나 당대 최고의 장인으로 불렸다. 도화서 화가로 활동했으며 현감을 역임했다. 대표작으로는 《묘작도》(고양이와 참새 그림)와 《계자도》(닭과 병아리 그림)가 있으며, 《묘작도》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는 1763년과 1773년에 영조의 어진을 그리는 데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양 변씨 - 변영태
    변영태는 일석이라는 호를 가진 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인, 교육자이며, 신흥학교 졸업 후 중앙고등보통학교 영어 교사, 고려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외무부 장관, 국무총리를 지내며 한미 상호방위조약 조인 등 외교 활동을 펼쳤다.
  • 밀양 변씨 - 변종인 묘와 신도비
    변종인 묘와 신도비는 변종인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고 그의 성품, 업적, 사상을 기록한 유적으로, 묘소는 부인과 쌍분으로 조성되었으며 신도비에는 대제학 성현이 지은 비문이 있다.
  • 조선의 화가 - 흥선대원군
    조선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 종식 후 권력을 장악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쇄국정책과 독재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실각 후 재집권을 시도하다 톈진으로 압송, 명성황후 암살 의혹 등 격변기 조선의 대표적 인물로 긍정·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조선의 화가 - 이황
    이황은 16세기 조선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발전시키고 영남학파를 형성했으며,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등의 저서를 남기고 사단칠정 논쟁을 벌였으며, 만년에 도산서당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다 문묘에 종사되었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변상벽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Byeon Sangbyeok
MrPyŏn Sangbyŏk
화재(和齋)
로마자 표기 (호)Hyajae
Mr (호)Hwajae
완보(完甫)
로마자 표기 (자)Wanbo
Mr (자)Wanbo
상세 정보
직책조선의 도화서 화원
본관밀양(密陽)

2. 생애

변상벽은 자가 완보(宛甫), 아호는 화재(華齋)이다. 출생 및 사망 연도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조선 숙종(재위 1674-1720)과 조선 영조(재위 1724-1776) 시대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물과 인물 묘사에 뛰어났으며, '변고양이'[2], '변닭'이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고양이와 닭 그림에 능했다.[1] 초상화에도 뛰어나 당대 최고의 장인인 국수(國手)로 불렸으며, 100점이 넘는 초상화를 남겼다고 한다.[3] 다만, 현존하는 윤급 초상화는 그의 뛰어난 솜씨를 보여주지 못한다는 평가도 있다.[3]

2. 1. 관직 활동

변상벽은 그림을 그리는 관청인 도화서의 화원으로 활동했으며, 이후 현감을 지냈다.[1] 1763년과 1773년에는 영조의 어진을 그리는 데 참여했다.[4]

2. 2. 예술 세계

변상벽은 동물과 인물 묘사에 뛰어났으며, 도화서의 화가이자 현감으로 봉직했다.[1] 『진회속고(震彙續攷)』에 따르면, 특히 고양이와 닭 그림에 능하여 '변고양이'[2], '변닭'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초상화에도 뛰어나 당대 최고의 장인인 국수(國手)로 불렸으며, 100점이 넘는 초상화를 남겼다고 한다.[3] 다만, 현존하는 윤급 초상화는 그의 뛰어난 솜씨를 보여주지 못한다는 평가도 있다. 1763년과 1773년에는 영조의 어진을 그리는 데 참여했다.[4]

3. 주요 작품

변상벽의 대표작으로는 《묘작도》와 《계자도》가 있다.[4][5]

3. 1. 《묘작도》

묘작도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묘작도》는 나무 주변에서 놀란 참새 두 마리와 고양이 두 마리의 생생한 장면을 붓으로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나뭇가지 위에 지저귀는 참새 무리의 모습은 매우 섬세한 붓질로 정확하게 묘사되었는데, 이는 동물에 대한 깊은 애정과 실제 생활에서의 면밀한 관찰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4][5]

3. 2. 기타 작품

4. 그림 모음


참조

[1] 논문 Euigwe and the Documentation of Joseon Court Ritual Life http://muse.jhu.edu/[...] 2009-11-14
[2] 간행물 An Approach through the theory on Art to theory on Painting of Scholars of the Korean Practical Science http://sjeas.skku.ed[...]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3] 웹사이트 Guksu http://handic.nate.c[...] Nate Korean-Hanja Dictionary 2009-11-14
[4] 웹사이트 Byeon Sangbyeok http://koreandb.nate[...] Nate/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11-14
[5] 웹사이트 Byeon Sangbyeok http://100.nate.com/[...] Nate / Britannica 2009-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