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변성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고온, 고압 등의 환경에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어 생성된 암석으로, 화성암과 퇴적암과 함께 암석의 세 가지 주요 분류 중 하나이다. 변성 작용의 요인에 따라 광물의 재결정작용, 새로운 광물의 생성, 화학 반응 등이 일어나며, 열수 변성 작용, 접촉 변성 작용, 동적 변성 작용, 충격 변성 작용 등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변성암은 광물 조성, 조직 변화, 변성 교대 작용 등의 특징을 보이며, 광역 변성암, 접촉 변성암, 동력 변성암, 충격 변성암 등으로 세분된다. 변성암은 건축 자재, 조각 재료 등으로 활용되며, 광역 변성대는 지각 변동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구의 지각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지구의 지각 - 대륙 지각
    대륙 지각은 해양 지각보다 두껍고 밀도가 낮은 지구 지각의 일부로, 지구 표면적의 약 41%를 차지하며, 맨틀 유래 용융체의 분별 결정 작용과 기존 지각의 재용융을 통해 형성되어 육지 환경과 생물 진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였다.
  • 암석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암석 - 화산쇄설암
    화산쇄설암은 화산 폭발 시 분출된 화산쇄설물이 굳어져 형성된 암석이며, 화산쇄설물은 입자 크기에 따라 분류되고 폭발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생성된다.
  • 암석학 - 용암
    용암은 화산 활동으로 지표면에 분출된 액체 상태의 녹은 암석 물질이거나 굳어져 형성된 암석을 뜻하며, 마그마에서 휘발성분이 빠져나온 것으로, 규산염이 주성분이고 온도와 조성에 따라 점성이 달라지며, 파호이호이 용암, 아아 용암 등의 형태가 있다.
  • 암석학 - 저반
    암체는 지하 깊은 곳에서 형성된 거대한 화강암 지대로, 여러 플루톤이 모여 이루어지며, 지표면에 노출된 후 풍화 작용을 거쳐 독특한 지형을 형성하고, 지질학적 역사와 판구조론적 움직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기후변화에 따른 저반 현상 심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변성암
지도 정보
정의
변성암열과 압력을 받은 암석
온도 범위150 ~ 200 °C
압력 범위100 MPa (1000 bar)
형성 과정
변성 작용암석이 높은 온도와 압력 하에서 물리적, 화학적으로 변화하는 과정.
원암기존의 화성암, 퇴적암 또는 다른 변성암이 변성 작용을 겪어 형성.
주요 변성암 종류
규암사암이 변성되어 형성된 단단한 암석.
대리암석회암이 변성되어 형성된 암석, 조각용으로 사용됨.
편암운모나 석영이 풍부한 변성암, 박편으로 잘 쪼개지는 성질.
지질학적 의미
암석 순환지구의 암석 순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 암석이 변형되고 재활용되는 과정에 기여.
지각 변동변성 작용은 지각 변동과 밀접한 관련, 지진과 화산 활동 같은 지질 현상과 연관.
건축 자재
사용지붕 건설 및 건축 자재로 사용.
예시규암은 내구성이 강하여 건축 자재로 사용.
대리암은 조각 및 건축 장식재로 사용.
추가 정보
특성변성암은 다양한 광물 조합과 조직을 가지며, 변성 작용의 정도와 원암의 성분에 따라 달라짐.
연구변성암 연구는 지구의 역사와 지각 변동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

2. 변성 작용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고온, 고압, 화학적 활성 유체의 작용으로 물리적, 화학적으로 변화하여 생성된다. 이러한 변화 과정을 변성 작용이라고 한다. 변성 작용은 화성암이나 퇴적암과는 다른, 변성암만의 독특한 특징을 만들어낸다.

변성 작용의 중요성은 1795년 스코틀랜드의 자연학자 제임스 허턴이 처음으로 언급했다. 허턴은 스코틀랜드 고지대의 암석층이 원래 퇴적암이었지만, 고열에 의해 변형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압력 또한 변성 작용에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의 친구 제임스 홀 경은 석회암을 압력 용기에 넣어 가열하는 실험으로 압력이 대리석과 유사한 물질을 만드는 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후 프랑스 지질학자들은 매장된 암석을 통해 순환하는 유체, 즉 변성작용이 변성 작용에 기여하는 또 다른 요인임을 밝혀냈다.

변성 작용은 암석의 조직과 광물 조성을 변화시킨다. 특정 압력과 온도 조건에서 형성되는 독특한 광물 조합을 변성상이라고 하며, 이는 핀란드 지질학자 펜티 에스콜라(Pentti Eskola)의 연구를 바탕으로 정의되었다.

2. 1. 변성 작용의 요인

변성 작용은 주로 온도, 압력, 그리고 화학적 활성 유체의 영향을 받아 일어난다.

온도는 광물이 다시 결정되도록 만들거나, 새로운 광물을 생성하고,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석회암 속 작은 방해석 결정은 대리암으로 변하면서 크게 자란다. 사암의 석영 입자도 변성 과정을 거치며 재결정되어 빈틈없는 규암이 된다.

압력은 광물이 배열되는 방식과 엽리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암석의 밀도를 높인다. 스코틀랜드의 자연학자 제임스 허턴은 압력이 변성 작용에 중요하다는 것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그의 친구 제임스 홀 경은 석회암을 압력 용기에 밀봉하고 가열하는 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했다.

화학적 활성 유체는 광물과 반응하여 암석의 화학 조성을 변화시킨다. 프랑스 지질학자들은 매장된 암석을 통한 유체 순환인 변성작용을 변성 작용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추가했다.

이러한 요인들의 조합은 변성암의 종류와 특징을 결정한다.

2. 2. 변성 작용의 종류

변성 작용은 발생 환경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접촉 변성 작용'''(Contact Metamorphism): 마그마의 관입에 의해 주변 암석이 열에 의해 변성되는 작용이다. 관입체에서 멀어질수록 변성의 정도는 약해진다. 변성 정도가 가장 심한 곳은 마그마와 암석이 접촉하는 부분이다.
  • 접촉 변성 작용을 받은 암석은 더 강해지고, 입자가 커지며, 엽리가 없는 혼펠스가 만들어진다.
  • 셰일은 갈색 흑운모로 이루어진 이질 혼펠스가 된다.
  • 불순물이 섞인 석회암은 회색, 황회색, 녹회색을 띄는 라임-규산염-혼펠스나 규산염질 대리암으로 변성된다.
  • 돌러라이트나 안산암각섬석흑운모가 새로 자라고 원래 있던 장석이 부분적인 재결정작용을 거치면서 돌러라이트혼펠스나 안산암혼펠스로 변성된다.
  • 쳐트나 플린트는 미정질의 석영암으로 변성되고, 사암은 쇄설성 구조를 잃어버리고 입자들이 서로 맞물려 있는 규암으로 변성된다.
  • 원래 층리나 엽리 구조의 흔적이 완전히 지워지지 않고 호상혼펠스가 생길 수 있다.
  • 화석이 재결정과정을 거치는 동안에도 그 형태를 보존할 수도 있고, 접촉변성을 받은 많은 용암에서도 기공을 관찰할 수 있다.
  • 열 변성작용이 심할 경우 미세 구조는 완전히 사라진다. 셰일 안의 작은 석영 입자는 주위의 점토에 완전히 섞이게 되고 용암의 석기들 역시 완전히 재결정된다.
  • 셰일은 홍주석, 십자석, 석류석, 남정석, 규선석의 거대 결정들이 들어가 있는 근청석암으로 변성될 수 있다.
  • 석회암은 순수하다면 결정이 큰 대리암으로 변성되지만, 점토나 모래 같은 불순물이 모암에 섞여 있으면, 석류석, 녹렴석, 이도그레이즈, 규회석 등이 만들어진다.
  • 화성암은 높은 온도에서 생성되었기 때문에 쉽게 변화하거나 재결정작용을 받지 않아 고도로 변성되는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 드문 경우에 한하여 암석들이 합쳐져서 스피넬, 규선석, 근청석 같은 어둡고 유리질의 광물이 분리되어 나오는 경우가 있다.
  • 퇴적암 배경암과 관입한 화성암 마그마 사이에는 스카른과 같은 접촉교대작용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빅 코튼우드 캐년의 석탄기 대리암, 와사치 산, 유타주.

  • '''광역 변성 작용'''(Regional Metamorphism): 넓은 지역에 걸쳐 일어나는 변성 작용이다. 주로 조산대에서 발생하며, 고온 고압 조건에서 암석이 변성된다.
  • 광역 변성 작용을 받은 암석은 더 강해지고, 엽리(점판벽개, 편리, 편마구조)가 생긴다.
  • 판상 또는 주상의 광물은 서로 장축이 평행하게 배열된다.
  • 편암 표본에서 신선한 쪼개짐면은 판상 광물로 코팅되어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옆면은 입자 모양의 석영이나 장석의 면을 보게 된다.
  • 편마암에서는 교대하는 편리의 층이 더 두껍고 덜 규칙적이고, 운모가 덜 포함되어 있다.
  • 장석은 더 단단하고 쪼개지는 성질이 약하다.
  • 편리와 편마구조(엽리의 주요한 두 형태)는 높은 온도에서 한쪽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았을 때 생긴다.
  • 광역 변성 작용은 온도와 압력의 관계에 따라 고온 고압형, 저온 고압형, 중간형으로 구분된다.
  • 저온 고압형 변성암은 판이 침강하는 곳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 초고압 변성암: 저온 고압형 중에서도 특히 지하 깊은 곳까지 내려갔다가 상승한 암석을 말하며, 코어사이트나 다이아몬드가 산출된다.
  • 백립암은 고온 고압형 변성작용의 결과 생기며, 대륙지각 심부의 환경을 지시한다.
  • '''동력 변성 작용'''(Dynamic Metamorphism): 단층 운동과 같이 짧은 시간에 암석의 온도와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변성 작용이다. 미그마타이트(압쇄암) 등이 있다.
  • '''충격 변성 작용'''(Impact Metamorphism): 운석 충돌과 같이 국소적인 초고압 환경에서 발생하는 변성 작용이다.

3. 변성암의 특징

변성암은 변성 작용의 결과로 만들어지는데, 광물 조성과 조직이 독특하다는 특징이 있다.

스타우롤라이트와 알만다인 가닛을 포함하는 변성암

3. 1. 광물 조성 변화

변성 작용으로 인해 새로운 광물이 생성되거나 기존 광물의 성분 변화가 일어난다. 모든 광물은 온도, 압력, 화학적 환경의 특정 한계 내에서만 안정적이다. 예를 들어, 대기압에서 규선석은 약 190°C에서 홍주석으로 변환되며, 홍주석은 약 800°C에서 남정석으로 변환된다. 이 세 광물은 모두 로 화학 조성은 동일하다.[10]

포스터라이트는 대리석에서 넓은 압력 및 온도 범위에 걸쳐 안정적이지만, 사장석이 포함된 더 실리케이트가 풍부한 암석에서는 고압 및 고온에서 휘석으로 변환된다. 이는 포스터라이트가 사장석과 화학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이다.[10]

광물이 녹지 않고도 광물들 사이에서 여러 복잡한 고온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며, 생성된 각 광물 조합은 변성 작용 당시의 온도와 압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반응은 고온에서 원자의 빠른 확산으로 인해 가능하며, 광물 입자 사이의 기공 유체는 원자가 교환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될 수 있다.[10]

3. 2. 조직 변화

변성 작용으로 인해 암석의 조직, 즉 광물 입자의 크기, 모양, 배열이 변화한다. 암석이 모든 방향에서 압력을 받았거나, 특정한 방향성을 가지는 광물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엽리가 생기지 않는다. 대리석은 일반적으로 엽리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건축이나 조각에 이용된다.

변성 과정 동안 광물의 크기가 변화하는 것을 재결정작용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석회암 안에 들어있는 작은 방해석 결정은 대리석으로 변성되면서 크게 자라게 된다.[9] 사암은 변성 과정 동안 석영 입자들이 재결정작용을 거치면서 입자 사이의 빈 공간을 결정들이 모두 채워서 빈틈없는 규암이 된다. 재결정작용에는 온도와 압력 모두 영향을 준다. 높은 온도에 의해서 광물 안의 원소와 이온이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높은 압력으로 인해 광물 간의 접촉점에서 용융이 시작될 수 있다.

thumb

변성암은 일반적으로 그것이 형성된 원암보다 결정이 더 조립질이다. 결정 내부의 원자들은 인접한 원자들의 안정적인 배열에 둘러싸여 있다. 이것은 결정 표면에서 부분적으로 누락되어 표면 에너지를 생성하고, 이로 인해 표면이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해진다. 더 조립질의 결정으로 재결정화되면 표면적이 감소하여 표면 에너지가 최소화된다.

입자 조대화는 변성 작용의 일반적인 결과이지만, 강하게 변형된 암석은 미세 입자 암석인 밀로나이트로 재결정화하여 변형 에너지를 제거할 수 있다. 석영, 탄산염 광물 또는 감람석이 풍부한 특정 종류의 암석은 밀로나이트를 형성하기 쉽지만, 장석석류석은 밀로나이트화에 저항한다.

3. 3. 변성 교대 작용

변성교대작용은 변성 작용 과정에서 화학 조성이 크게 변하는 현상이다. 주변 암석에서 새로운 원소들이 유입되면서 발생한다. 물은 이러한 원소들을 빠르고 멀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1] 변성교대작용을 겪은 암석은 원래 암석에 없던 원소를 많이 포함하거나, 원래 가지고 있던 원소를 잃어버리기도 한다.[1] 그러나 재결정작용이 일어날 때 새로운 원소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1]

4. 변성암의 종류

변성암은 원암의 종류, 변성 작용의 종류, 광물 조성, 조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변성암의 원암(protolith)을 확인할 수 있다면, 원암 이름 앞에 "메타-"를 붙여 구분한다. 예를 들어 현무암이 변성된 암석은 메타현무암, 역암이 변성된 암석은 메타역암으로 부른다.

영국 지질 조사소 분류 시스템에 따르면, 원암이 퇴적암 또는 화산암처럼 일반적인 유형만 확인될 경우, 광물 조성을 기준으로 분류한다. 변성 퇴적암은 탄산염 함량에 따라 구분하고, 변성 마그마암은 실리카 함량에 따라 구분한다.[12]

광물 조성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조직을 기준으로 분류한다.


  • 편암: 중간 정도 크기의 입자로 뚜렷한 편리 구조를 보이는 암석이다.[12] 판상 광물이 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1cm 미만 두께로 잘 쪼개진다.[13]
  • 편마암: 입자가 더 크고 편암보다 두꺼운 편리 구조(5mm 이상)를 보인다.
  • 호른펠스: 뚜렷한 편리 구조가 없다.[12][13]


화산쇄설성 원암, 단층을 따라 형성되거나 열수 순환으로 형성된 변성암은 특별히 분류한다. 석회암, 에클로자이트, 섬록암처럼 원암은 알 수 없지만 광물 조성이 알려진 경우에도 특별한 명칭을 사용한다.[12]

광물 함량이나 조직을 나타내는 용어를 덧붙여 변성암을 더 세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약한 편리 구조를 보이는 메타현무암은 편마암질 메타현무암으로 부를 수 있다.[12][13]

4. 1. 광역 변성암

광역변성암은 넓은 지역에 걸쳐 일어나는 광역 변성 작용으로 생성된 암석이다. 광역 변성 작용은 주로 지각 하부 깊은 곳에서 높은 압력과 온도 조건 하에 발생한다. 판의 수평 운동으로 인한 대륙 충돌은 조산대를 형성하며, 이곳에서 고온 고압의 변성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오랜 시간이 지나 침식 작용으로 산맥이 깎이면, 지각 심부에 있던 광역변성암이 넓게 노출된다.

광역 변성 작용을 겪으면 암석은 원래의 특징을 잃고, 엽리(판상 광물의 배열)와 같은 새로운 구조가 생긴다. 예를 들어, 운모각섬석 같은 광물은 장축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암석이 특정 방향으로 쉽게 쪼개지도록 만든다. 편마암은 편암보다 장석의 비율이 높아 더 단단하고 쪼개짐이 덜하다.

광역 변성 작용은 온도와 압력 조건에 따라 구분된다. 고온 고압형, 저온 고압형, 중간형 등으로 나뉘며, 특히 저온 고압형 중 코어사이트나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암석은 초고압 변성암이라고 한다. 이러한 온도-압력 조건은 변성암이 생성된 지구조적 환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저온 고압형 변성암은 판이 섭입하는 곳에서 만들어진다고 여겨진다.

광역 변성암의 대표적인 예로는 엽리가 잘 발달된 슬레이트, 필라이트, 편암, 편마암 등이 있다. 엽리는 암석이 재결정되는 과정에서 한 방향으로 압력을 받아 형성되는 층상 구조이다. 엽리의 발달 정도는 변성 정도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이암은 낮은 온도에서 슬레이트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필라이트, 편암, 편마암 순으로 변한다.

광역 변성암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원암(protolith)의 종류에 따라 "메타-" 접두사를 붙여 구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현무암이 변성된 암석은 메타현무암, 역암이 변성된 암석은 메타역암으로 부른다.

광물 조성이나 조직에 따라 변성암을 분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영국 지질 조사소의 분류 시스템에 따르면, 변성 퇴적암은 탄산염 함량에 따라 구분하고, 변성 마그마암은 실리카 함량에 따라 구분한다. 조직에 따라서는 편암, 편마암, 호른펠스 등으로 분류한다.

광역 변성암은 지구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조산대나 대륙 방패 등에서 널리 발견된다. 특히 조산대에서는 판 충돌로 인해 깊은 곳에 있던 암석이 융기하여 지표에 노출된 광역 변성암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주요 광역변성암은 다음과 같다.

천매암


편마암

4. 2. 접촉 변성암

마그마가 관입하면서 주변 암석이 열에 의해 변성되는 작용을 접촉 변성이라고 한다. 변성은 마그마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가장 심하게 나타나며, 관입체에서 멀어질수록 온도가 낮아져 변성 정도가 약해진다. 관입한 마그마 부근의 변성된 부분을 변성흔적대(contact metamorphism aureole)라고 부른다. 접촉면 부근에서는 변성교대작용에 의해 광상이 형성되기도 한다. 관입암체의 크기가 1km 이상이면 100m 정도의 범위까지 변성 작용의 흔적이 남는다.[26]

접촉 변성에 의해 변성된 암석은 더 강해지고, 입자가 커지는 특징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입자 크기가 작고, 알갱이 사이에 빈 공간이 없으며, 엽리가 없는 접촉변성암을 혼펠스라고 부른다. 셰일은 갈색 흑운모로 이루어진 이질 혼펠스로 변성된다. 이회암이나 불순물이 섞인 석회암은 회색, 황회색, 녹회색을 띠는 라임-규산염-혼펠스나 규산염질 대리암으로 변성되는데, 여기에는 오자이트, 석류석, 규회석 등 탄산염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광물이 풍부하게 들어가 있어 거칠고 쪼개지기 쉽다. 돌러라이트나 안산암각섬석흑운모가 새로 자라고 원래 있던 장석이 부분적으로 재결정되면서 돌러라이트혼펠스나 안산암혼펠스로 변성된다. 처트나 플린트는 미정질의 석영암으로 변성되고, 사암은 쇄설성 구조를 잃고 입자들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지면서 규암으로 변성된다.

원래 암석이 층리나 엽리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면, 그 흔적이 완전히 지워지지 않고 호상혼펠스가 생길 수 있다. 화석이 재결정 과정을 거치는 동안에도 그 형태가 보존될 수 있고, 접촉변성을 받은 많은 용암에서도 기공을 관찰할 수 있다. 하지만 원래의 광물 조성은 유지되지 못한다. 미세 구조는 열 변성 작용이 심할 경우 완전히 사라진다. 셰일 안의 작은 석영 입자는 주위의 점토에 완전히 섞이고, 용암의 석기들도 완전히 재결정된다.

열변성에 의해 셰일은 홍주석(또는 키아스톨라이트), 십자석, 석류석, 남정석, 규선석의 거대 결정들이 들어 있는 근청석암으로 변성될 수 있다. 이 광물들은 모두 원래 셰일에 있던 알루미늄 성분에서 유래된 것이다. 상당량의 운모가 동시에 생성되어 편암과 비슷한 외관을 가지게 되는 경우도 있다. 석회암은 순수하다면 결정이 큰 대리암으로 변성되지만, 점토나 모래 같은 불순물이 섞여 있으면 석류석, 녹렴석, 이도그레이즈, 규회석 등이 만들어진다. 사암은 매우 뜨거워지면 거정질 규암으로 변성된다. 화성암은 높은 온도에서 생성되었기 때문에 쉽게 변하거나 재결정되지 않아,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고도의 변성 단계를 보이지 않는다.

드물게 암석들이 합쳐져 스피넬, 규선석, 근청석 같은 어둡고 유리질의 광물이 분리되어 나오는 경우가 있다. 셰일은 현무암맥에 의해 변성되기도 하고, 장석질 사암은 완전히 유리질화될 수 있다. 석탄층이 타면서 셰일이 만들어지는 유사한 변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퇴적암 배경암과 관입한 화성암 마그마 사이에는 접촉 교대 작용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스카른화강암석회암이나 백운암에 관입했을 때, 열수에 의해 물질 교환이 일어나면서 생성된다.

캐나다의 선캄브리아기에서 발견된, 방해석과 사문석이 층상으로 이루어진 접촉 변성암. 한때는 ''에오존 카나덴세''라는 가짜화석으로 여겨졌다. 눈금은 mm.



4. 3. 동력 변성암

단층 운동에 동반하여 짧은 시간에 암석의 온도와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때 변성을 받은 암석을 동력변성암이라고 한다. 동력변성암에는 미그마타이트(압쇄암) 등이 있다.[12]

단층 운동을 수반하여 단시간에 암석의 온도나 압력이 상승하거나 변형을 받아 생성되는 암석을 '''동력변성암'''(dynamic metamorphic rock영어)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다. 또한, 과거에는 광역 변성암의 결정편암 등을 동력변성암이라고 부르기도 했으므로, 그 점에도 주의해야 한다.

  • 밀로나이트(압쇄암)
  • 의사현무암맥

4. 4. 충격 변성암

충격 변성암은 운석이 낙하할 때 생기는 국소적인 초고압 환경에서 생겨난 변성암이다.[23] 이는 외계 천체의 충돌 사건 동안 발생하며, 코사이트 및 스티쇼바이트와 같은 희귀한 초고압 변성 광물을 생성한다. 코사이트는 킴벌라이트 관에서 지표면으로 운반되는 에클로자이트에서 드물게 발견되지만, 스티쇼바이트의 존재는 충돌 구조에 고유하다.[23]

5. 한국의 변성암

대한민국에 분포하는 변성암으로는 옥천 누층군이 대표적이다. 옥천 누층군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 문주리층, 서창리층천매암 등의 변성암으로 구성된 퇴적암 지층이다.

충주 활옥동굴은 변성퇴적암인 옥천 누층군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에 개설된 활석광산을 재활용하여 만든 관광지이다.

6. 변성암의 활용

슬레이트는 건축, 특히 지붕 기와로 사용된다.[3] 석영암은 매우 단단하고 치밀하여 채석하기 어렵지만, 일부는 건축용 돌로 사용되며 바닥, 벽, 계단 판석 등으로 활용된다. 도로 골재로 사용되는 쇄석의 약 6%는 석영암이다.[4] 대리석 또한 건축[24]과 조각 재료로 높이 평가받는다.[6]

7. 변성대

변성대는 특정 변성 작용을 받은 암석이 띠 모양으로 넓게 분포하는 지역이다. 이러한 변성대는 주로 판 경계에서 일어나는 광역 변성 작용의 결과로 형성되며, 광역 변성대라고도 불린다. 광역 변성 작용은 조산대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는데, 조산대는 수렴형 경계에서 판의 충돌로 생성된다. 이때 깊이 매몰되었던 암석이 융기와 침식으로 지표면에 노출되면서 변성암이 드러나게 된다.[15]

조산대의 변성암은 다양한 변성상을 보인다. 섭입이 일어나는 곳에서는 섭입하는 슬래브의 현무암이 고압 변성상을 거쳐 청색편암상이나 에클로자이트상으로 변성된다. 많은 조산대는 고온, 저압 변성대를 포함하는데, 이는 화산호의 마그마나 조산대의 변형, 지각 두꺼워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암석은 녹색편암상, 각섬암 또는 각섬정질암상에 이른다. 외곽의 고압, 저온 변성대와 내부의 저압, 고온 변성암대가 함께 나타나는 것을 ''쌍을 이룬 변성대''라고 한다.[17]

7. 1. 일본의 변성대

일본의 대표적인 광역 변성대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metamorphic petrology https://archive.org/[...] Longman Scientific & Technical 1989
[2] 논문 Global geologic maps are tectonic speedometers – Rates of rock cycling from area-age frequencies
[3] 서적 Roof Construction Manual : Pitched Roofs DE GRUYTER 2003
[4] 웹사이트 Quartzite http://www.mii.org/M[...] Mineral Information Institute 2009-09-09
[5] 웹사이트 Marble https://www.naturals[...] Marble Institute of America 2021-02-28
[6] 서적 PROCEEDINGS 4th International Congress on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 Safeguard of Cultural Heritage in the Mediterranean Basin" VOL. I https://archive.org/[...] Angelo Ferrari
[7] 논문 Engineering properties of quartz mica schist 2011-08
[8] 서적 The earth through time https://archive.org/[...] J. Wiley 2010
[9] 서적 Glossary of geology.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1997
[10] 서적 Manual of mineralogy : (after James D. Dana) Wiley 1993
[11] 서적 Essentials of Geolog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12] 논문 BGS Rock Classification Scheme, Volume 2: Classification of metamorphic rocks http://nora.nerc.ac.[...] 2021-02-27
[13] 서적 Metamorphic Rocks: A Classification and Glossary of Terms: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Geological Sciences Subcommission on the Systematics of Metamorphic Rocks https://stuff.mit.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2-28
[14] 논문 Nature and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A lower crustal perspective 1995
[15] 논문 A reappraisal of episodic burial metamorphism in the Andes of central Chile 2004-01-01
[16] 서적 Global tectonics. Wiley-Blackwell 2009
[17] 서적 Metamorphism and Metamorphic Belts Springer Netherlands 1973
[18] 서적 Cordilleran metamorphic core complexes (Memoir 153)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 서적 Essentials of Geology W. W. Norton & Company
[20] 서적 Principles of igneous and metamorphic petr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1] 백과사전
[22] 논문 Geosights: Colorful coal "clinker" close to Castle Gate, Carbon County https://geology.utah[...] 2021-02-28
[23] 논문 Evidence of former stishovite in metamorphosed sediments, implying subduction to >350 km 2007-11
[24] 웹사이트 Marble https://www.naturals[...] Marble Institute of America 2021-02-28
[25] 논문 The Hebgen Lake, Montana, earthquake of August 17, 1959 1964
[26] 서적 지구를 소개합니다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