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스 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닐스 보어는 1885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태어난 덴마크의 물리학자이다. 그는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1913년 막스 플랑크의 양자 이론을 바탕으로 원자 모형을 제시하여 획기적인 업적을 남겼다. 보어는 1922년 "원자의 구조와 원자에서 방출되는 복사선 연구"에 대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양자역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상보성 원리를 제시하며 철학적 사유를 더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점령하의 덴마크에서 탈출하여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보어는 1962년 사망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닐스 보어 연구소, 소행성, 달 분화구, 화학 원소 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어가 - 오게 닐스 보어
오게 닐스 보어는 덴마크의 물리학자이자 닐스 보어의 아들로, 원자핵 구조 이론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와 닐스 보어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원자핵 물리학 분야에 큰 업적을 남겼다. - 보어가 - 크리스티안 보어
크리스티안 보어는 호흡 생리학에 기여한 덴마크의 생리학자로, 보어 효과를 발견하고 생리학적 사강을 최초로 정의했으며, 닐스 보어와 하랄드 보어의 아버지이다. - 닐스 보어 - 보어 모형
보어 모형은 닐스 보어가 러더퍼드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양자 개념을 도입하여 전자의 궤도와 각운동량이 양자화된다는 가정으로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을 설명했지만, 다전자 원자와 불확정성 원리의 모순으로 양자역학에 의해 대체된 원자 모형이다. - 닐스 보어 - 오게 닐스 보어
오게 닐스 보어는 덴마크의 물리학자이자 닐스 보어의 아들로, 원자핵 구조 이론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와 닐스 보어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원자핵 물리학 분야에 큰 업적을 남겼다. - 덴마크의 물리학자 - 오게 닐스 보어
오게 닐스 보어는 덴마크의 물리학자이자 닐스 보어의 아들로, 원자핵 구조 이론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와 닐스 보어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원자핵 물리학 분야에 큰 업적을 남겼다. - 덴마크의 물리학자 -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는 전류의 자기장 발생 발견으로 전자기학 기초를 다지고 알루미늄을 최초로 분리했으며, 코펜하겐 공과대학교 설립 등 교육에도 기여한 덴마크의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이다.
닐스 보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닐스 헨리크 다비드 보어 |
출생일 | 1885년 10월 7일 |
사망일 | 1962년 11월 18일 |
출생지 | 덴마크 코펜하겐 |
사망지 | 덴마크 코펜하겐 |
안식처 | 코펜하겐 아시스턴스 묘지 |
국적 | 덴마크 |
![]() | |
학력 및 경력 | |
모교 | 코펜하겐 대학교 |
학위 논문 제목 | 금속의 전자 이론에 관한 연구 |
학위 논문 URL | 금속의 전자이론에 관한 연구 |
학위 논문 발표 년도 | 1911년 |
박사 지도 교수 | 크리스티안 크리스티안센 |
기타 지도 교수 | Thorvald Thiele, Harald Høffding |
박사 과정 학생 | 헨드릭 크라머르스, I. H. Usmani |
주요 제자 | 레프 란다우 |
근무 기관 | 케임브리지 대학교 맨체스터 대학교 코펜하겐 대학교 |
물리학 기여 | |
주요 업적 | 보어 마그네톤 보어 모형 보어 반지름 보어-아인슈타인 논쟁 보어–조머펠트 모형 보어-판레이우언 정리 보어–크라머르스–슬레이터 이론 상보성 원리 코펜하겐 해석 |
영향을 준 인물 | 어니스트 러더퍼드 하랄트 회프딩 |
영향을 받은 인물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볼프강 파울리 폴 디랙 리제 마이트너 막스 델브뤼크 카렌 바라드 |
수상 | |
수상 내역 | 노벨 물리학상 (1922년) 휴즈 메달 (1921년) 마테우치 메달 (1923년) 프랭클린 메달(1926년)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1926년) 막스 플랑크 메달 (1930년) 패러데이 강연상 (1930년) 코플리 메달 (1938년) 코끼리 훈장 (1947년) 평화를 위한 원자상 (1957년) 소닝상 (1957년) |
개인 정보 | |
배우자 | 마르그레테 뇌를룬 (1912년 결혼) |
자녀 | 6명, 오게와 에르네스트 포함 |
2. 초년
닐스 보어는 1885년 10월 7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크리스티안 보어(Christian Bohr)는 코펜하겐 대학교 생리학 교수였고,[81][82] 어머니 엘렌 보어(Ellen Bohr, née Adler)는 유대계 은행가 집안 출신이었다.[83] 보어에게는 누나 제니(Jenny)와 남동생 하랄드 보어(Harald Bohr)가 있었다. 제니는 교사가 되었고,[82] 하랄드는 수학자이자 축구 선수가 되어 1908년 런던 하계 올림픽 덴마크 대표팀에서 뛰었다. 닐스 보어 또한 열정적인 축구 선수로, 아카데믹 축구 클럽(Akademisk Boldklub)에서 골키퍼로 활동했다.[84]
닐스 보어는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크리스티안 크리스티안센에게 물리학을, 토르발트 틸레에게 천문학과 수학을, 하랄드 회프딩에게 철학을 배웠다.[86][87] 1905년 덴마크 왕립 과학 및 문학 아카데미에서 주최한 액체의 표면 장력 측정 방법에 대한 연구로 금메달을 수상했다.[88][89][87][90] 그는 이 연구에서 존 레일리의 이론을 개선하고 물의 점도를 고려하는 등 독창적인 실험을 수행했다.[88][89][87][90]
보어는 7세부터 가메홀름(Gammelholm) 라틴어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85] 1903년 코펜하겐 대학교에 입학하여 물리학을 전공하고 크리스티안 크리스티안센(Christian Christiansen) 교수에게서 지도받았다. 또한 토르발트 틸레(Thorvald Thiele) 교수에게 천문학과 수학을, 아버지의 친구인 하랄드 회프딩(Harald Høffding) 교수에게 철학을 배웠다.[86][87]
1905년 덴마크 왕립 과학 및 문학 아카데미(Royal Danish Academy of Sciences and Letters)는 존 레일리 경이 제안한 액체의 표면 장력 측정 방법을 조사하기 위한 금메달 경연 대회를 후원했다. 보어는 대학에 물리학 실험실이 없어 아버지의 실험실을 이용했고, 실험을 위해 직접 유리 제품을 만들어야 했다. 그는 레일리의 이론을 개선하여 물의 점도와 유한 진폭을 고려한 논문을 제출하여 수상했다. 이 논문은 런던 왕립 학회의 《왕립학회의 철학적 회보(The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에 게재되었다.[88][89][87][90]
하랄드는 1909년 4월에 수학으로 석사 학위를 먼저 취득했고, 닐스는 9개월 후 금속의 전자 이론에 대한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보어는 이 논문을 철학박사(dr.phil) 논문으로 발전시켰다. 그는 폴 드루드(Paul Drude)와 헨드릭 로런츠의 모델을 확장했지만, 홀 효과 등을 설명할 수 없어 전자 이론이 금속의 자기적 특성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고 결론지었다. 1911년 4월에 논문이 승인되었고,[91] 5월 13일에 공식 심사를 받았다. 하랄드는 전년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92] 보어의 논문은 덴마크어로 작성되어 스칸디나비아 이외 지역에서는 관심을 받지 못했지만, 1921년 헨드리카 요한나 반 레우웬(Hendrika Johanna van Leeuwen)이 보어-판레이우언 정리를 독립적으로 유도했다.[93]
1910년, 보어는 닐스 에릭 뇌룬트(Niels Erik Nørlund)의 여동생 마르그레테 뇌룬트(Margrethe Nørlund)를 만났다.[94] 1912년 4월 16일 덴마크 국교회에서 탈퇴하고, 8월 1일 슬라겔세 시청에서 시민 결혼식을 올렸다. 몇 년 후 하랄드도 결혼 전 교회를 떠났다.[95] 보어와 마르그레테는 6명의 아들을 두었다.[96] 장남 크리스티안(Christian)은 1934년 보트 사고로 사망했고,[97] 차남 하랄드(Harald)는 어린 시절 뇌수막염으로 사망했다.[98][96] 오게 보어는 물리학자가 되어 197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오게의 아들 빌헴 A. 보어는 코펜하겐 대학교[99]와 미국 국립노화연구소(National Institute on Aging)[100]에 소속된 과학자이다. 한스(Hans)는 의사, 에릭(Erik)은 화학 엔지니어, 에르네스트(Ernest)는 변호사가 되었다.[101] 에르네스트는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서 덴마크의 필드 하키 선수로 활동했다.[102]
3. 물리학
1911년에는 금속의 전자 이론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91] 이 논문은 덴마크어로 작성되어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1921년 네덜란드 물리학자 헨드리카 요한나 반 레우웬에 의해 보어-판레이우언 정리로 독립적으로 도출되었다.[93]
3. 1. 보어 모형
1911년 9월, 보어는 칼스버그 재단의 지원을 받아 영국으로 유학을 갔다. 당시 원자와 분자 구조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대부분 영국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103] 그는 케임브리지의 캐번디시 연구소 J. J. 톰슨을 만났지만, 톰슨에게 큰 인상을 주지는 못했다.[104][105] 이후 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에서 어니스트 러더퍼드의 초청을 받아 박사후 과정을 밟으며, 러더퍼드 모형을 연구했다.[108]
1912년 7월 덴마크로 돌아온 보어는 코펜하겐 대학교의 프리바트도젠트(Privatdozent)가 되어 열역학을 강의했다.[110] 1913년, "3부작"[108]으로 불리는 세 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막스 플랑크의 양자 이론을 러더퍼드의 핵 구조에 적용하여 원자의 보어 모형을 제시하였다.[114]
보어는 전자가 원자핵 주위를 양자화된 "정지 상태"의 궤도로 이동하며, 전자가 높은 에너지 궤도에서 낮은 궤도로 떨어질 때 이산 에너지 양자를 방출한다는 아이디어를 도입했다. 이는 구 양자 이론(old quantum theory)의 기초가 되었다.[122]
1885년 요한 발머가 제시한 발머 계열은 수소 원자의 가시 스펙트럼 선을 설명했지만, 30년 동안 그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 보어는 자신의 모형을 통해 이를 도출해냈다.[124]
보어 모형은 피커링 시리즈(Pickering series)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이온화된 헬륨 원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124]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귀국 및 영국행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1916년 코펜하겐 대학교 이론물리학 교수로 임명되었다.[130]
3. 2. 물리학 연구소
1917년 4월, 보어는 이론물리학 연구소를 설립하기 위한 운동을 시작했다. 덴마크 정부와 칼스버그 재단의 지원을 받았고, 산업계와 개인 기부자들도 상당한 기여를 했다.[131] 1918년 11월, 연구소 설립 법률이 통과되었다. 현재 닐스 보어 연구소로 알려진 이 연구소는 1921년 3월 3일에 보어가 소장으로 취임하며 문을 열었다. 보어의 가족은 1층에 있는 아파트로 이사했다.[131][132]
보어의 연구소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양자역학 및 관련 주제에 대한 연구원들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당시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이론물리학자들 대부분이 그의 연구소에서 시간을 보냈다. 네덜란드의 한스 크라머르스, 스웨덴의 오스카르 클레인, 헝가리의 조르주 드 헤베시, 폴란드의 보이치에흐 루비노비치, 노르웨이의 스베인 로셀란트 등이 초기에 연구소를 방문했다.[133][134] 보어는 원만한 호스트이자 저명한 동료로서 널리 인정받았다.[133][134] 클레인과 로셀란트는 연구소가 문을 열기도 전에 첫 출판물을 제작했다.[132]
보어 모형은 수소와 이온화된 단일 전자 헬륨에는 잘 맞았지만,[135][136] 더 복잡한 원소는 설명하지 못했다. 1919년까지 보어는 전자가 핵 주위를 공전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전자를 기술하는 휴리스틱을 개발했다. 희토류 원소는 화학적으로 매우 유사하여 화학자들에게 특별한 분류 문제를 제기했다. 1924년 볼프강 파울리의 파울리 배타 원리 발견은 보어 모형을 확고한 이론적 토대 위에 놓았다. 보어는 미발견된 72번 원소가 희토류 원소가 아니라 지르코늄과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가질 것이라고 예측했다.[137] 코펜하겐 연구소에서 디르크 코스터와 조르주 드 헤베시는 보어의 예측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하프늄을 발견했다.[138][139]
1922년, 보어는 "원자의 구조와 원자에서 방출되는 복사선의 연구에 대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40] 노벨 강연에서 보어는 대응 원리를 포함한 원자 구조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를 제공했다.[141] 1923년, 아서 콤프턴의 콤프턴 산란 발견은 빛이 광자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신시켰다. 1924년, 보어, 크라머르스, 존 C. 슬레이터는 BKS 이론(보어-크라머르스-슬레이터 이론)을 제안했다.[142][143] 막스 보른,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크라머르스는 행렬 역학 발전으로 이어졌다. BKS 이론은 구 양자 이론의 어려움에 대한 토론과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144] 발터 보테와 한스 가이거의 실험은 BKS 이론과 충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45]
3. 3. 양자역학
1925년 조지 울렌벡과 사무엘 구드스미트가 스핀을 도입한 것은 중요한 이정표였다. 보어는 헨드릭 로런츠의 박사학위 취득 50주년 기념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라이덴으로 여행했다. 그의 기차가 함부르크에 정차했을 때 볼프강 파울리와 오토 슈테른이 그를 만나 스핀 이론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보어는 전자와 자기장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우려를 지적했고, 파울 에렌페스트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보어에게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을 사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다고 알렸다. 보어는 울렌벡과 구드스미트에게 이것을 그들의 논문에 포함하도록 했다. 괴팅겐에서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와 파스쿠알 요르단을 만났을 때, 그는 자신의 말로, "전자 자기 복음의 예언자"가 되었다.[147]
하이젠베르크는 1924년에 처음으로 코펜하겐에 왔다가 1925년 6월에 괴팅겐으로 돌아와 양자 역학의 수학적 기초를 개발했다. 막스 보른에게 결과를 보여주었을 때 보른은 행렬을 사용하여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작업은 1926년 9월에 6개월 동안 코펜하겐에 온 영국 물리학자 폴 디랙의 관심을 끌었다.[148] 에르빈 슈뢰딩거도 1926년에 방문하여 파동 역학을 사용하여 고전적인 용어로 양자 물리학을 설명하려는 그의 시도는 보어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149]
크라머르스가 1926년 위트레흐트 대학교의 이론물리학 교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연구소를 떠났을 때, 보어는 하이젠베르크가 돌아와서 코펜하겐 대학교의 크라머르스의 자리의 강사(lektor)로 임명되었다.[150] 하이젠베르크는 1926년부터 1927년까지 코펜하겐에서 대학 강사이자 보어의 조수로 일했다.[151]
보어는 빛이 파동과 입자 둘 다처럼 행동한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고, 1927년 실험을 통해 (전자와 같은) 물질도 파동처럼 행동한다는 드 브로이 가설을 확인했다.[152] 그는 상보성의 철학적 원리를 생각했다. 즉, 항목들은 실험적 틀에 따라 파동이나 입자의 흐름과 같이 명백하게 상호 배타적인 속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153] 그는 그것이 전문 철학자들에 의해 완전히 이해되지 않는다고 느꼈다.[154]
1927년 2월 하이젠베르크는 불확정성 원리의 첫 번째 버전을 개발했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의 주장에 만족하지 않았다. 1927년 9월 코모에서 열린 볼타 회의(Volta Conference)에서 보어는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관계가 광학 기기의 분해능에 대한 고전적 고려에서 도출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155] 보어는 상보성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려면 "더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믿었다.[156] 아인슈타인은 자신이 기여한 확률론적 새로운 양자 물리학보다 고전 물리학의 결정론을 선호했다. 양자 역학의 새로운 측면에서 발생한 철학적 문제는 널리 알려진 토론 주제가 되었다. 아인슈타인과 보어는 평생 동안 그러한 문제에 대해 선의의 논쟁을 벌였다.[157]
1914년 칼스버그 양조의 상속인인 칼 자콥슨은 그의 저택을 과학, 문학 또는 예술에 가장 두드러진 공헌을 한 덴마크 사람이 명예 거주지(덴마크어: Æresbolig)로 평생 사용하도록 유산으로 남겼다. 1932년, 보어와 그의 가족은 그곳으로 이사했다.[158] 1939년, 덴마크 왕립 과학 및 문학 아카데미 회장으로 선출되었다.[159]
1929년까지 베타 붕괴 현상으로 인해 보어는 에너지 보존 법칙을 포기해야 한다고 다시 제안했지만, 엔리코 페르미의 가상 중성미자와 1932년 중성자의 발견은 또 다른 설명을 제공했다. 1936년, 보어는 복합 핵(compound nucleus)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만들었다.[160][161] 1938년, 오토 한의 핵분열 발견과 리제 마이트너의 이론적 설명은 물리학자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1939년, 보어는 미국에서 페르미와 함께 제5차 워싱턴 이론 물리학 회의를 열었다.[162] 보어는 핵의 액체방울 모형에 기초하여 열 중성자와 핵분열을 주로 담당한 것은 우라늄-235 동위원소라고 결론지었다. 1940년, 존 R. 더닝은 보어가 옳았다는 것을 증명했다.[162] 보어와 휠러는 "핵분열의 메커니즘"에 관한 1939년 9월 논문에 발표한 이론적인 취급을 개발했다.[164]
4. 철학
하이젠베르크는 보어를 "물리학자가 아니라 주로 철학자"라고 평가했다.[165] 보어는 19세기 덴마크 기독교 실존주의 철학자 쇠렌 키르케고르의 영향을 받았다. 1909년, 보어는 동생에게 키에르케고르의 《인생길의 여러 단계(Stages on Life's Way)》를 선물하며 "가장 매혹적인 것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 보어는 키에르케고르의 철학에 일부 동의하지 않았으며, 이는 키에르케고르의 기독교 옹호와 보어의 무신론 때문이라는 견해가 있다.[168][169][170] 키에르케고르가 보어의 철학과 과학에 미친 영향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데이비드 파브홀트David Favrholdt는 키에르케고르가 보어의 작업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지만,[171] 얀 페이는 이론의 내용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이론의 일반적인 전제와 구조는 수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72][167]
보어는 양자론에서 밝혀낸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 위치와 속도 사이의 불확정성 원리 등의 세계관을 "'''상보성'''"이라고 명명하고, 후반생에는 양자물리학과 동양철학에 유사성이 있다고 여겨 동양철학, 특히 주역을 연구했다. 그는 "원자물리학 이론과의 유사성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붓다나 노자와 같은 사상가들이 과거에 직면했던 인식론적 문제에 되돌아가, 위대한 존재의 드라마 속에서 관객이자 동시에 배우인 우리의 위치를 조화로운 것으로 만들도록 노력해야만 한다."라고 말했다. 덴마크 최고의 훈장인 덴마크 엘레펀트 훈장을 받았을 때, 훈장의 문장으로 태극도를 선택한 것에서도 그의 동양철학에 대한 몰입을 알 수 있다. 그 문장은 덴마크의 프레데릭스보르 성에 세계 각국의 왕실 및 국가 원수들의 문장과 함께 전시되어 있다.
4. 1. 양자 물리학
양자 역학에 대한 보어의 견해와 철학에 대해서는 많은 토론과 논쟁이 있었다.[173] 보어는 반실재론, 도구주의, 현상학적 실재론자 등으로 여겨졌으며, 주관주의자나 실증주의자로 보는 시각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철학자들은 보어가 검증주의나 대상이 측정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생각을 주장한 적이 없기 때문에 오해라고 동의한다.[174]보어는 "양자 세계는 없고 추상적인 양자 물리적 설명만 있을 뿐"이라는 말을 한 것으로 인용되지만, 이는 아게 페테르센이 보어의 철학을 요약하려 한 말이다. N. 데이비드 머민은 빅토어 바이스코프가 보어가 그런 종류의 말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선언했다고 회상했다.[175]
많은 학자들은 임마누엘 칸트의 철학이 보어에게 강한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칸트처럼 보어는 주체의 경험과 대상을 구분하는 것이 지식을 얻기 위한 중요한 조건이라고 생각했다. 얀 페이에 따르면 보어는 "공간", "위치", "시간", "인과", "운동량"과 같은 "고전적" 개념 덕분에 대상과 대상의 객관적 존재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174] 보어는 "시간"과 같은 기본 개념이 우리의 일상 언어에 내장되어 있으며 고전 물리학의 개념은 단지 그것들의 정제일 뿐이라고 주장했다.[174] 따라서 보어는 양자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고전적 개념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페이는 보어가 양자 현상을 설명하는 데 고전적 개념이 필요하다고 믿었던 이유에 대한 다양한 설명을 경험주의, 칸트주의, 실용주의, 다윈주의, 실험주의의 다섯 가지 틀로 분류한다.[174] 보어는 원자를 실재하는 것으로 생각했지만, 양자역학 형식주의가 양자 세계의 상징적 표현이라고 믿었다. 페이는 보어의 해석이 "측정 중 파동 함수의 붕괴"에 대해 참조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보어는 ψ-함수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질 뿐 실제적인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에 보른 통계적 해석을 수용했다.[174] 헨리 폴스와 같은 일부는 보어가 관찰된 현상과 선험적 실재 사이의 구별을 보았다고 주장한다. 얀 페이는 이 입장에 동의하지 않는다.[174]
5. 나치즘과 제2차 세계대전
독일에서 나치즘이 부상하자 많은 학자들이 유대인이거나 나치 정권의 정치적 반대자라는 이유로 고국을 떠나게 되었다. 1933년 록펠러 재단은 난민 학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기금을 만들었으며, 보어는 1933년 5월 미국 방문 중 록펠러 재단 회장인 맥스 메이슨과 이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했다. 보어는 연구소에 난민들을 위한 임시 일자리를 제공하고,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록펠러 재단의 펠로우십을 받을 수 있도록 주선했고, 궁극적으로 전 세계의 기관에 자리를 마련해 주었다. 그가 도운 사람들은 구이도 베크, 펠릭스 블로흐, 제임스 프랭크, 게오르그 드 헤베시, 오토 프리슈, 힐데 레비, 리제 마이트너, 조지 플라체크, 유진 라비노위치, 슈테판 로젠탈, 에리히 에른스트 슈나이더, 에드워드 텔러, 아서 폰 히펠(Arthur R. von Hippel), 빅터 바이스코프이다.[176]
1940년 4월,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나치 독일은 덴마크를 침공하여 점령했다.[177] 막스 폰 라우에와 제임스 프랑크의 노벨상 금메달을 독일인들이 발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보어는 게오르그 드 헤베시에게 왕수에 녹이게 했다. 녹인 금메달은 전쟁이 끝난 후 금이 침전되고 노벨 재단이 메달을 다시 주조할 때까지 연구소 선반에 보관되었다. 보어 자신의 메달은 핀란드 구호 기금에 경매로 기부되었으며, 1940년 3월 아우구스트 크로그의 메달과 함께 경매에 부쳐졌다. 구매자는 나중에 두 개의 메달을 프레데릭스보르 성의 덴마크 역사 박물관에 기증했으며, 그곳에 아직도 보관되어 있다.[178]
보어는 연구소를 계속 운영했지만, 외국 학자들은 모두 떠났다.[179]
5. 1. 하이젠베르크와의 만남
보어는 전쟁이 시작되기 직전과 직후 영국과 덴마크에서 한 강의에서 우라늄-235를 사용하여 원자폭탄을 제조할 가능성을 알고 있었지만, 충분한 양의 우라늄-235를 추출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믿지는 않았다.[180] 1941년 9월, 독일 원자력 계획의 책임자가 된 하이젠베르크는 코펜하겐에서 보어를 방문했다. 이 만남 동안 두 사람은 밖에서 사적으로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그 내용에 대해서는 양측의 진술이 달라 많은 추측이 있었다.하이젠베르크에 따르면, 그는 원자력, 도덕성, 전쟁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고, 보어는 하이젠베르크에게 자신의 의견을 암시하지 않고 대화를 갑자기 끝낸 것으로 보인다.[181] 하이젠베르크의 제자이자 친구였던 이반 수펙Ivan Supek은 이 만남의 주요 주제가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였으며, 그는 보어에게 영국과 독일 사이의 평화를 중재하도록 설득하려고 했다고 주장했다.[182]
1957년 하이젠베르크는 당시 책 ''천 개의 태양보다 밝게''를 집필 중이던 로베르트 융크Robert Jungk에게 편지를 썼다. 하이젠베르크는 보어에게 몇몇 독일 과학자들의 견해를 전달하기 위해 코펜하겐을 방문했으며,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면 핵무기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을 전달했고, 이는 양측 과학자들에게 엄청난 책임을 안겨주었다고 설명했다.[183] 보어는 덴마크어로 번역된 책에서 융크의 묘사를 보고 하이젠베르크에게 편지를 작성했지만 보내지는 않았다. 그는 하이젠베르크의 만남에 대한 설명에 깊이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으며,[184] 하이젠베르크의 방문을 필연적으로 승리할 나치와의 협력을 장려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회상했고, 독일이 하이젠베르크의 지휘 아래 핵무기를 추구하고 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39][40]
마이클 프레인Michael Frayn의 1998년 희곡 코펜하겐은 1941년 하이젠베르크와 보어의 만남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을지 탐구한다.[185] BBC의 희곡 텔레비전 영화 버전은 2002년 9월 26일에 처음 방영되었으며, 스티븐 레이가 보어 역을 맡았다. 보어의 편지가 공개된 후, 이 희곡은 하이젠베르크를 옹호하는 관점을 채택했기 때문에 "실제 도덕적 균형에 대한 극단적인 단순화와 왜곡"이라는 비판을 받았다.[42]
같은 만남은 이전에 1992년 호라이즌 과학 다큐멘터리 시리즈에서 보어 역의 앤서니 베이트Anthony Bate와 하이젠베르크 역의 필립 앤서니Philip Anthony가 출연하여 극화되었다.[186] 이 만남은 노르웨이/덴마크/영국 미니시리즈 《더 헤비 워터 워(The Heavy Water War)》로 각색되었다.[187]
5. 2. 맨해튼 프로젝트
1943년 9월, 보어와 그의 형제 하랄트는 나치가 그들의 어머니가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가족을 유대인으로 간주하여 체포될 위험에 처해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덴마크 저항군은 9월 29일 보어와 그의 아내가 바다를 통해 스웨덴으로 탈출하는 것을 도왔다.[188][189] 다음날 보어는 스웨덴의 국왕 구스타프 5세를 설득하여 스웨덴이 유대인 난민들에게 망명을 제공할 의사가 있음을 발표했다. 1943년 10월 2일, 스웨덴 라디오는 스웨덴이 망명을 제안할 준비가 되었다고 방송했고, 그 후 동족에 의한 대규모의 덴마크 유대인 구출이 신속하게 뒤따랐다. 일부 역사가들은 보어의 행동이 대규모 구출로 이어졌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역사가들은 보어가 동포를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했지만 그의 행동이 더 넓은 범위의 사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고 주장한다.[189][190][191][192] 결국 7,000명이 넘는 덴마크계 유태인들이 스웨덴으로 탈출했다.[193]보어가 탈출했다는 소식이 영국에 전해지자 처웰 경Lord Cherwell은 보어에게 전보를 보내 그에게 영국으로 와달라고 요청했다. 보어는 10월 6일 영국해외항공(BOAC)에서 운영하는 드 하빌랜드 모스키토를 타고 스코틀랜드에 도착했다.[194][195] 보어의 아들 오게는 일주일 후 다른 비행기를 타고 아버지를 따라 영국으로 갔고 그의 개인 비서가 되었다.[200]
보어는 제임스 채드윅과 존 앤더슨John Anderson경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보어는 눈에 뜨이지 않았다. 그는 세인트제임스궁의 아파트와 영국 튜브 앨로이스 핵무기 개발 팀의 사무실을 제공 받았다. 보어는 그 동안의 발전에 놀랐다.[200][201] 채드윅은 보어가 튜브 앨로이스 컨설턴트로서 미국을 방문하고 오게를 조수로 하도록 주선했다.[202] 1943년 12월 8일, 보어는 워싱턴 DC에 도착하여 맨해튼 계획 책임자인 레슬리 그로브스 준장을 만났다. 그는 뉴저지 프린스턴에 있는 고등연구소에서 아인슈타인과 파울리를 방문하고 핵무기가 설계되고 있던 뉴멕시코의 로스앨러모스로 갔다.[203] 보안상의 이유로, 그는 미국에서 "나콜라스 베이커Nicholas Baker"로, 오게는 "제임스 배이커James Baker"로 이름을 바꾸었다.[204] 1944년 5월, 덴마크의 레지스탕스 신문 디 프리 댄스키(De frie Danske)는 전년도 10월에 '덴마크 교수 닐스 보어'가 그의 나라를 떠나 스웨덴을 거쳐 런던으로, 그리고 그는 거기서 전쟁 지원으로 추정될 수 있는 모스크바로 여행한 것을 알게 되었음을 보도했다.[205]
보어는 로스앨러모스에만 머물지 않고 다음 2년 동안 일련의 연장된 방문을 했다.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보어가 "젊은 남성들, 특히 리처드 파인먼에게 과학적 아버지 역할을 하는 것"의 공로를 인정했다.[206] 오펜하이머는 변조된 중성자 개시자(Modulated neutron initiator)에 대한 작업에 대한 중요한 기여에 대해 보어에게 공을 돌렸다. 보어는 핵무기가 국제 관계를 변화시킬 것이라는 것을 일찍부터 인식했다.[206] 1944년 4월, 그는 표트르 카피차로부터 그를 소련으로 초대하는 편지를 받았다. 보어는 1944년 5월 16일 처칠을 만났지만, "우리는 같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209] 처칠은 자신의 편지에서 "보어는 감금되어야 하거나 혹은 그가 치명적인 범죄에 매우 가까이 있다는 것을 어떤 식으로든 알게 하여야 할 것"이라고 했다.[210]
오펜하이머는 보어가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을 방문하여 맨해튼 계획이 결과를 가속화하기 위해 소련과 공유되어야 한다고 설득할 것을 제안했다. 보어의 친구인 대법관 펠릭스 프랑크푸르터Felix Frankfurter는 보어의 의견을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알렸고, 두 사람의 만남은 1944년 8월 26일에 있었다. 처칠과 루즈벨트가 1944년 9월 19일 하이드 파크에서 만났을 때, 그들은 이 프로젝트에 대해 세상에 알리는 아이디어를 거부했다.[213] 1950년 6월, 보어는 원자핵 에너지에 관한 국제 협력을 촉구하는 "공개 서한"을 국제 연합에 보냈다.[214][215][216] 1950년대 소련의 첫 번째 핵무기 실험 이후 보어의 제안에 따라 국제 원자력 기구가 창설되었다.[217] 1957년 그는 최초의 평화를 위한 원자 상(Atoms for Peace Award)을 수상했다.[218]
6. 말년
전쟁이 끝나자 보어는 1945년 8월 25일 코펜하겐으로 돌아왔다.[220] 1947년 10월 17일, 4월에 사망한 크리스티안 10세를 위한 추도식에서 새로운 왕 프리드리히 9세는 보어에게 코끼리 훈장(Order of the Elephant)을 수여한다고 발표했다. 이 상은 왕족과 국가 원수에게만 수여되는 것이었지만, 왕은 보어 개인뿐만 아니라 덴마크 과학에 영예를 안겼다고 말했다.[221][222] 보어는 태극도(음양의 상징)와 라틴어 문구 ''contraria sunt complementa'' ("반대는 상보적이다")를 특징으로 하는 자신의 문장 (상징)을 디자인했다.[223][222]
제2차 세계 대전은 과학, 특히 물리학이 이제 상당한 재정적, 물질적 자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유럽 12개국은 미국의 국립 연구소처럼 거대과학(Big Science)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을 만들었다. 보어와 크라머르스는 코펜하겐의 연구소가 이상적인 장소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피에르 오제는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보어와 그의 연구소 모두 전성기가 지났으며 보어의 존재가 다른 사람들을 압도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오랜 토론 끝에 보어는 1952년 2월에 CERN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고, 10월에 제네바가 부지로 선택되었다. CERN 이론 그룹은 1957년에 제네바에 새 숙소가 준비될 때까지 코펜하겐에 있었다.[224] 빅토어 바이스코프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의 아이디어를 시작하고 구상한 다른 인물들도 있었다. 그러나, 그 위업의 사람이 그것을 지지하지 않았다면, 다른 사람들의 열정과 아이디어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보어의 역할을 요약했다.[225][226]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은 1957년에 보어를 의장으로 하는 노르딕 이론물리학 연구소(Nordic Institute for Theoretical Physics)를 설립했다. 그는 또한 덴마크 원자력위원회의 연구기관 리소(Research Establishment Risø of the Danish Atomic Energy Commission) 설립에 참여했으며, 1956년 2월부터 초대 의장을 역임했다.[227]
보어는 1962년 11월 18일 칼스버그에 있는 자택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228] 그는 화장되었고 그의 유해는 코펜하겐의 뇌레브로(Nørrebro) 구역에 있는 어시스텐스 묘지(Assistens Cemetery)의 가족 묘역에 묻혔다.[229] 1965년 10월 7일, 그의 80번째 생일에 코펜하겐 대학의 이론물리학 연구소는 공식적으로 닐스 보어 연구소로 개명되었다.[230][231]
7. 수상
닐스 보어는 수많은 영예와 칭찬을 받았다. 1922년 노벨 물리학상 외에도 다음과 같은 상들을 수상했다.
또한 보어는 여러 학회의 회원이었다.
학회 | 년도 |
---|---|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외국인 회원 | 1923년[233] |
미국국립과학원 국제 회원 | 1925년[234] |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 1926년[235] |
미국철학학회 국제 회원 | 1940년[236]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국제 명예 회원 | 1945년[237] |
1963년 11월 21일, 덴마크에서는 보어 모형의 반세기를 기념하여 보어, 수소 원자, 두 수소 에너지 준위의 차이 공식()을 나타내는 기념 우표를 발행했다.[238] 1997년 덴마크 국립은행은 보어가 파이프 담배를 피우는 초상화가 있는 500크로네권 지폐를 유통하기 시작했다.[239][240] 2012년 10월 7일, 닐스 보어의 127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구글 홈페이지에 수소 원자의 보어 모형을 묘사한 구글 두들이 등장했다.[241]
소행성 3948 보어,[242] 보어 달분화구, 원자번호 107번의 화학 원소인 보륨[243]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8. 저서 목록
연도 | 원제 | 번역 |
---|---|---|
1922 | The Theory of Spectra and Atomic Constitution; three essays | 스펙트럼과 원자 구성 이론; 세 편의 논문 |
2008 | Volume 1: Early Work (1905–1911) | 제1권: 초기 연구 (1905–1911) |
Volume 2: Work on Atomic Physics (1912–1917) | 제2권: 원자 물리학 연구 (1912–1917) | |
Volume 3: The Correspondence Principle (1918–1923) | 제3권: 대응 원리 (1918–1923) | |
Volume 4: The Periodic System (1920–1923) | 제4권: 주기율표 (1920–1923) | |
Volume 5: The Emergence of Quantum Mechanics (mainly 1924–1926) | 제5권: 양자 역학의 출현 (주로 1924–1926) | |
Volume 6: Foundations of Quantum Physics I (1926–1932) | 제6권: 양자 물리학의 기초 I (1926–1932) | |
Volume 7: Foundations of Quantum Physics I (1933–1958) | 제7권: 양자 물리학의 기초 II (1933–1958) | |
Volume 8: The Penetration of Charged Particles Through Matter (1912–1954) | 제8권: 하전 입자의 물질 투과 (1912–1954) | |
Volume 9: Nuclear Physics (1929–1952) | 제9권: 핵물리학 (1929–1952) | |
Volume 10: Complementarity Beyond Physics (1928–1962) | 제10권: 물리학 너머의 상보성 (1928–1962) | |
Volume 11: The Political Arena (1934–1961) | 제11권: 정치 무대 (1934–1961) | |
Volume 12: Popularization and People (1911–1962) | 제12권: 대중화와 사람들 (1911–1962) | |
Volume 13: Cumulative Subject Index | 제13권: 누적 색인 |
참조
[1]
서적
Politiets Registerblade
http://www.politiets[...]
Københavns Stadsarkiv
1892-06-07
[2]
뉴스
Bohr's footballing career
https://www.theguard[...]
2011-06-26
[3]
웹사이트
Niels Bohr's school years
http://www.nbi.ku.dk[...]
Niels Bohr Institute
2012-05-18
[4]
웹사이트
Life as a Student
http://www.nbi.ku.dk[...]
Niels Bohr Institute
2012-07-16
[5]
백과사전
Niels Bohr Danish physicist
https://www.britanni[...]
2017-08-25
[6]
웹사이트
Udstilling om Brejnings historie hitter i Vejle
https://ugeavisen.dk[...]
2022-04-11
[7]
웹사이트
Bohr Group
https://icmm.ku.dk/e[...]
2019-08-22
[8]
웹사이트
Neuroscience@NIH > Faculty > Profile
https://dir.ninds.ni[...]
[9]
웹사이트
Niels Bohr – Biography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10]
웹사이트
Ernest Bohr Biography and Olympic Results – Olympics
https://www.sports-r[...]
Sports-Reference.com
[11]
논문
On the Constitution of Atoms and Molecules, Part I
http://web.ihep.su/d[...]
[12]
논문
On the Constitution of Atoms and Molecules, Part II Systems Containing Only a Single Nucleus
http://web.ihep.su/d[...]
[13]
논문
On the Constitution of Atoms and Molecules, Part III Systems containing several nuclei
https://zenodo.org/r[...]
[14]
논문
A theory of the absorption and scattering of the alpha rays
https://zenodo.org/r[...]
[15]
서적
Representing Electrons: A Biographical Approach to Theoretical Entit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
논문
Niels Bohr's Second Atomic The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간행물
Atomic Structure
1921-02-14
[18]
위키
Bohr model and Periodic Table
[19]
웹사이트
Forecasting – Prediction is very difficult, especially if it's about the future!
https://blogs.cranfi[...]
2017-07-10
[20]
서적
"Niels Bohr, the Quantum, and the World" Social Research 51, no. 3
1984
[2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institute: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e
http://www.nbi.ku.dk[...]
Niels Bohr Institute
1921-01
[22]
웹사이트
From Bohr's Atom to Electron Waves
https://galileo.phys[...]
[23]
서적
The Age of Entanglement
[24]
위키
Periodic Table, History of the periodic table, Mendeleev
[25]
논문
The Quantum Theory of Radiation
http://www.cond-mat.[...]
[26]
논문
Transmutations of Atomic Nuclei
1937-08-20
[27]
논문
The Mechanism of Nuclear Fission
http://www.pugetsoun[...]
1939-09
[28]
서적
[29]
서적
[30]
논문
The Philosophy of Niels Bohr
1963
[31]
백과사전
Copenhagen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
https://plato.stanfo[...]
[32]
웹사이트
A unique gold medal
https://www.nobelpri[...]
[33]
웹사이트
Astronaut shows off vintage Nobel Prize in space — and talks 'quantum dots' ISS experiment (video)
https://www.space.co[...]
2023-12-12
[34]
웹사이트
Andreas Mogensen leverer Nobelprismedalje retur til Frederiksborg
https://dnm.dk/press[...]
2024-06-14
[35]
웹사이트
Moj život s nobelovcima 20. stoljeća
http://jutarnji.hr/c[...]
2006-03-19
[36]
웹사이트
Letter From Werner Heisenberg to Author Robert Jungk
http://www.childreno[...]
The Manhattan Project Heritage Preservation Association, Inc.
2006-12-21
[37]
text
[38]
text
[39]
text
[40]
웹사이트
Release of documents relating to 1941 Bohr-Heisenberg meeting
http://www.nbarchive[...]
Niels Bohr Archive
2007-06-04
[41]
웹사이트
Copenhagen – Michael Frayn
http://www.complete-[...]
The Complete Review
2013-02-27
[42]
논문
'Copenhagen': An Exchange
https://www.nybooks.[...]
The New York Review
2002-04-11
[43]
방송
Horizon: Hitler's Bomb
BBC Two
1992-02-24
[44]
웹사이트
The Saboteurs – Episode Guide
http://www.channel4.[...]
Channel 4
2017-03-03
[45]
뉴스
Professor Bohr ankommet til Moskva
http://www.illegalpr[...]
1944-05-01
[46]
논문
For An Open World
https://books.google[...]
[47]
웹사이트
Guide to Atoms for Peace Awards Records
http://libraries.mi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3-02-28
[48]
웹사이트
Escutcheons of Science
http://www.numerican[...]
Numericana
2017-03-13
[49]
웹사이트
Bohr crest
http://www.nbi.dk/he[...]
University of Copenhagen
2019-09-09
[50]
웹사이트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Niels Bohr and China*
https://www.nbarchiv[...]
2023-07-15
[51]
논문
Tribute to Niels Bohr
https://cds.cern.ch/[...]
1963-07-01
[52]
논문
Niels Bohr
https://cds.cern.ch/[...]
1962-11-01
[5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Niels Bohr Institute from 1921 to 1965
http://www.nbi.dk/nb[...]
Niels Bohr Institute
2013-02-28
[54]
논문
Niels Bohr and the 20th century
https://cds.cern.ch/[...]
1998-10-01
[55]
웹사이트
Niels Bohr – The Franklin Institute Awards – Laureate Database
https://www.fi.edu/l[...]
Franklin Institute
2013-10-21
[56]
서적
Societas Scientiarum Fennica Årsbok – Vuosikirja 1922-1923
Societas Scientiarum Fennica
[57]
웹사이트
N. H. D. Bohr (1885–1962)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7-21
[58]
웹사이트
Niels Bohr
http://www.nasonline[...]
2023-05-04
[59]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5-04
[60]
웹사이트
Niels Henrik David Bohr
https://www.amacad.o[...]
2023-05-04
[61]
웹사이트
500-krone banknote, 1997 series
http://www.nationalb[...]
Danmarks Nationalbank
2010-09-07
[62]
웹사이트
Niels Bohr's 127th Birthday
https://doodles.goog[...]
2021-10-07
[63]
논문
Lightcurve Analysis of 3948 Bohr and 4874 Burke: A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http://www.minorplan[...]
2013-02-28
[64]
논문
Names and symbols of transfermium elements (IUPAC Recommendations 1997)
[65]
text
[66]
웹사이트
Niels Bohr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22 Biography
https://www.nobelpri[...]
2012-10-08
[67]
웹사이트
„Einstein mochte den Begriff ‚Relativität‘ nicht“ - DIE WELT
https://www.welt.de/[...]
2022-04-01
[68]
웹사이트
The Mysterious Meeting between Niels Bohr and Werner Heisenberg
http://www.nww2m.com[...]
2022-08-13
[69]
서적
ニールス・ボーア-その友と同僚よりみた生涯と業績
岩波書店
[70]
웹사이트
(3948) Bohr = 1975 TG5 = 1975 VH7 = 1978 NR1 = 1981 JF = 1985 RF
https://minorplanetc[...]
MPC
2021-09-23
[71]
뉴스
National service for footballers
http://www.guardian.[...]
2012-10-08
[72]
기타
[73]
기타
[74]
서적
X선에서 쿼크까지
미스즈 서방
1982
[75]
서적
물리학자들의 20세기-보어, 아인슈타인, 오펜하이머의 추억
아사히 신문사
2004
[76]
웹사이트
린다우 회의의 보어 강연 녹음 (1962년)
http://www.mediatheq[...]
[77]
Youtube
닐스 보어 박사가 본 도호쿠 대학 (도호쿠 대학 자료관 소장 필름, 2006년)
https://www.youtube.[...]
[78]
서적
닐스 보어는 일본에서 무엇을 보았는가: 양자역학의 거장, 1937년 강연 여행
평범사
2013
[79]
웹사이트
코펜하겐 - 마이클 프레인
http://www.complete-[...]
The Complete Review
2013-02-27
[80]
텔레비전
Horizon: 히틀러의 폭탄
1992-02-24
[81]
웹사이트
Politiets Registerblade
https://web.archive.[...]
Københavns Stadsarkiv
1892-06-07
[82]
기타
[83]
기타
[84]
뉴스
Bohr's footballing career
2005-07-27
[85]
웹사이트
Niels Bohr's school years
http://www.nbi.ku.dk[...]
Niels Bohr Institute
2012-05-18
[86]
기타
[87]
웹사이트
Life as a Student
http://www.nbi.ku.dk[...]
Niels Bohr Institute
2012-07-16
[88]
기타
[89]
기타
[90]
기타
[91]
웹사이트
Niels Bohr | Danish physicist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7-08-25
[92]
기타
[93]
기타
[94]
기타
[95]
기타
[96]
기타
[97]
기타
[98]
웹사이트
Udstilling om Brejnings historie hitter i Vejle
https://ugeavisen.dk[...]
ugeavisen.dk
2022-04-11
[99]
웹사이트
Bohr Group
https://icmm.ku.dk/e[...]
icmm.ku.dk
2019-08-22
[100]
웹사이트
Neuroscience@NIH > Faculty > Profile
https://dir.ninds.ni[...]
dir.ninds.nih.gov
2022-10-19
[101]
웹사이트
Niels Bohr – Biography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2011-11-10
[102]
웹사이트
Ernest Bohr Biography and Olympic Results – Olympics
https://web.archive.[...]
Sports-Reference.com
2013-02-12
[103]
기타
[104]
기타
[105]
웹사이트
닐스 보어 참고 문헌 Pais 1991
https://ko.wikipedia[...]
null
[106]
서적
Kragh 2012
[107]
서적
Pais 1991
[108]
서적
Kennedy 1985
[109]
서적
Pais 1991
[110]
서적
Pais 1991
[111]
논문
On the Constitution of Atoms and Molecules, Part I
http://web.ihep.su/d[...]
1913
[112]
논문
On the Constitution of Atoms and Molecules, Part III Systems containing several nuclei
https://zenodo.org/r[...]
1913
[113]
서적
Pais 1991
[114]
논문
On the Constitution of Atoms and Molecules, Part II Systems Containing Only a Single Nucleus
http://web.ihep.su/d[...]
1913
[115]
서적
Kragh 2012
[116]
논문
A theory of the absorption and scattering of the alpha rays
https://zenodo.org/r[...]
1912
[117]
서적
Representing Electrons: A Biographical Approach to Theoretical Entit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6
[118]
논문
Niels Bohr's Second Atomic Theory
https://doi.org/10.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9
[119]
논문
Atomic Structure
1921-02-14
[120]
참고자료
보어 모형 및 주기율표
[121]
서적
Kragh 1985
[122]
서적
Heilbron 1985
[123]
서적
Heilbron 1985
[124]
서적
Pais 1991
[125]
서적
Pais 1991
[126]
서적
Kragh 2012
[127]
서적
Kragh 2012
[128]
웹사이트
Forecasting – Prediction is very difficult, especially if it's about the future!
https://blogs.cranfi[...]
2017-07-10
[129]
서적
Kragh 2012
[130]
서적
Pais 1991
[13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institute: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e
https://web.archive.[...]
1921-01
[132]
서적
Pais 1991
[133]
서적
Kennedy 1985
[134]
서적
Hund 1985
[135]
웹사이트
From Bohr’s Atom to Electron Waves
https://galileo.phys[...]
[136]
서적
The Age of Entanglement
2008
[137]
참고자료
주기율표
[138]
서적
Kragh 1985
[139]
서적
Pais 1991
[140]
서적
Pais 1991
[141]
서적
Bohr 1985
[142]
논문
The Quantum Theory of Radiation
https://web.archive.[...]
1924
[143]
서적
Pais 1991
[144]
서적
Jammer 1989
[145]
서적
Pais 1991
[146]
서적
Pais 1991
[147]
서적
Pais 1991
[148]
서적
Pais 1991
[149]
서적
Pais 1991
[150]
서적
Pais 1991
[151]
서적
Pais 1991
[152]
서적
Pais 1991
[153]
서적
MacKinnon 1985
[154]
서적
MacKinnon 1985
[155]
서적
Pais 1991
[156]
서적
Pais 1991
[157]
서적
Dialogue 1985
[158]
서적
Pais 1991
[159]
서적
Pais 1991
[160]
서적
Pais 1991
[161]
논문
Transmutations of Atomic Nuclei
https://ui.adsabs.ha[...]
1937-08-20
[162]
서적
Stuewer 1985
[163]
서적
Pais 1991
[164]
논문
The Mechanism of Nuclear Fission
http://www.pugetsoun[...]
1939-09
[165]
서적
Honner 1982
[166]
서적
Rhodes 1986
[167]
서적
Faye 1991
[168]
서적
Stewart 2010
[169]
서적
Aaserud & Heilbron 2013
[170]
서적
Aaserud & Heilbron 2013
[171]
서적
Favrholdt 1992
[172]
서적
Pais Richardson & Wildman 1996
[173]
서적
Camilleri & Schlosshauer 2015
[174]
웹사이트
Copenhagen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
https://plato.stanfo[...]
[175]
서적
Mermin 2004
[176]
서적
Pais 1991
[177]
서적
Pais 1991
[178]
웹사이트
A unique gold medal
www.nobelprize.org
2019-10-06
[179]
서적
Pais 1991
[180]
서적
Gowing 1985
[181]
서적
Heisenberg 1984
[182]
뉴스
Moj život s nobelovcima 20. stoljeća
https://web.archive.[...]
Jutarnji list
2007-08-13
[183]
웹사이트
Letter From Werner Heisenberg to Author Robert Jungk
https://web.archive.[...]
2006-10-17 (archive 날짜)
[184]
웹사이트
Release of documents relating to 1941 Bohr-Heisenberg meeting
https://web.archive.[...]
2017-02-17 (archive 날짜)
[185]
웹사이트
Copenhagen – Michael Frayn
http://www.complete-[...]
[186]
TV
Horizon: Hitler's Bomb
BBC Two
1992-02-24
[187]
웹사이트
The Saboteurs – Episode Guide
http://www.channel4.[...]
2017-03-03
[188]
서적
Rozental 1967
[189]
서적
Rhodes 1986
[190]
서적
Hilberg 1961
[191]
서적
Kieler 2007
[192]
서적
Stadtler, Morrison & Martin 1995
[193]
서적
Pais 1991
[194]
서적
Jones 1985
[195]
서적
Powers 1993
[196]
서적
Thirsk 2006
[197]
서적
Rife 1999
[198]
서적
Medawar & Pyke 2001
[199]
서적
Jones 1978
[200]
서적
Jones 1985
[201]
서적
Pais 1991
[202]
서적
Cockcroft 1963
[203]
서적
Pais 1991
[204]
서적
Gowing 1985
[205]
간행물
Professor Bohr ankommet til Moskva
http://www.illegalpr[...]
De frie Danske
1944-05
[206]
서적
Pais 1991
[207]
서적
Pais 1991
[208]
서적
Gowing 1985
[209]
서적
Gowing 1985
[210]
서적
Aaserud 2006
[211]
서적
Rhodes 1986
[212]
서적
Aaserud 2006
[213]
서적
U.S. Government 1972
[214]
서적
Aaserud 2006
[215]
간행물
To the United Nations (open letter)
http://www.fredsakad[...]
1950-06-09
[216]
서적
Pais 1991
[217]
서적
Gowing 1985
[218]
웹사이트
Guide to Atoms for Peace Awards Records
https://web.archiv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null
[219]
웹사이트
Escutcheons of Science
http://www.numerican[...]
2017-03-13
[220]
서적
Pais 1991
[221]
서적
Pais 1991
[222]
서적
Wheeler 1985
[223]
웹사이트
Bohr crest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openhagen
1947-10-17
[224]
서적
Pais 1991
[225]
서적
Pais 1991
[226]
간행물
Tribute to Niels Bohr
1963-07
[227]
서적
Pais 1991
[228]
간행물
Niels Bohr
https://cds.cern.ch/[...]
1962-11
[229]
서적
Pais 1991
[23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Niels Bohr Institute from 1921 to 1965
https://web.archive.[...]
Niels Bohr Institute
null
[231]
간행물
Niels Bohr and the 20th century
https://cds.cern.ch/[...]
1998-10
[232]
웹사이트
Niels Bohr – The Franklin Institute Awards – Laureate Database
https://www.fi.edu/l[...]
Franklin Institute
null
[233]
웹사이트
N. H. D. Bohr (1885–1962)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null
[234]
웹사이트
Niels Bohr
http://www.nasonline[...]
null
[235]
웹사이트
Niels Bohr
https://en.m.wikiped[...]
null
[236]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null
[237]
웹사이트
Niels Henrik David Bohr
https://www.amacad.o[...]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null
[238]
서적
Kennedy 1985
[239]
웹사이트
Niels Bohr
https://en.m.wikiped[...]
null
[240]
웹사이트
500-krone banknote, 1997 series
Danmarks Nationalbank
null
[241]
웹사이트
Niels Bohr's 127th Birthday
https://www.google.c[...]
2021-10-07
[242]
간행물
Lightcurve Analysis of 3948 Bohr and 4874 Burke: A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https://web.archive.[...]
2013-01
[243]
간행물
Names and symbols of transfermium elements (IUPAC Recommendations 1997)
https://doi.org/10.1[...]
199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